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1, pp. 337~354, 2013.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 단일 실험 설계 연구 박 해 성 * 이 나 핼 ** 김 경 미 *** 장 문 영 **** < 요 약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반적인 발달영역에서 지연을 보이는 만 36개월 된 남자로, 과도한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의 문제를 가진 아동이었다. 연구 방법은 개 별 실험 연구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 기간(A) 5회기, 중재 기간(B) 15회기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하지 않았으 며, 중재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하였다. 침 흘리기 정도는 전 자저울을 사용하여 0.5g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자세조절은 Nintendo Wii Fit 균형판을 사용 하여 신체중심의 좌우차를 %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 흘리기는 침의 양이 기초선 기간(3.10 ± 0.42g)보다 중재기간(1.50 ± 0.46g)에 평균 1.6g 감소하였다. 둘째, 자세조절은 기초선 기간(25.47 ± 3.72%) 보다 중재기간(16.12 ± 4.87%)에 신체중심의 *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제1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외래교수. 작업과학연구소 부소장(공동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공동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24-Jul-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52, No. 1, pp. 337~354, 2013.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 단일 실험 설계 연구

박 해 성* 이 나 핼** 김 경 미*** 장 문 영****

< 요 약 >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 상자는 전반적인 발달영역에서 지연을 보이는 만

36개월 된 남자로, 과도한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의 문제를 가진 아동이었다. 연구 방법은 개

별 실험 연구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과정은 기초선 기간(A) 5회기, 중재 기간(B)

15회기로 진행되었다. 기초선 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하지 않았으

며, 중재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하였다. 침 흘리기 정도는 전

자저울을 사용하여 0.5g 단위로 측정하였으며, 자세조절은 Nintendo Wii Fit 균형판을 사용

하여 신체중심의 좌우차를 %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 흘리기는

침의 양이 기초선 기간(3.10±0.42g)보다 중재기간(1.50±0.46g)에 평균 1.6g 감소하였다.

둘째, 자세조절은 기초선 기간(25.47±3.72%) 보다 중재기간(16.12±4.87%)에 신체중심의

* 인제 학교 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과정(제1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 광주여자 학교 작업치료학과 외래교수. 작업과학연구소 부소장(공동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Kwangju Women’s University

*** 인제 학교 의생명공학 학 작업치료학과 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인제 학교 의생명공학 학 작업치료학과 교수(공동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Biomedical Science and Engineering, Inje University

Page 2: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38

좌우차이가 평균 9.35% 감소하여 자세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 능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침 흘리기, 자세조절

Ⅰ. 서 론

침 흘리기(drooling)는 유아의 정상발달과정이다. 침 흘리기는 구강 운동 기술의 발달

로 인해 일반적으로 18개월에는 감소한다. 그러나 4세 이후에도 과도한 침 흘리기가 지속

된다면 삼키기 단계에서 구강단계의 병리학적 결함을 의미하므로 정확한 평가와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Eiland, 2012; Jongeriou 등, 2001). 침 흘리기 문제의 원인은 삼키기

협응 조절의 문제로 인한 과도한 타액 분비, 삼키기 빈도의 저하, 근 긴장도의 문제, 구강

내 감각 문제, 끊임없는 혀 내밀기(tongue thrusting) 등이 포함된다(Jongeriou 등, 2001).

Morris와 Klein(1987)은 침 흘리기와 같은 구강 문제는 머리부터 발까지의 자세 조절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근육의 저 긴장으로 오는 자세발달문제는 몸통, 목, 머리의 안정감

저하로 머리, 턱, 입술이 앞으로 구부러져 섬세한 구강운동을 어렵게 한다. 구강발달은 자

세발달에 중요하며 상호 발달한다(Oetter 등, 1995). 침 흘리기와 같은 구강발달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중재전략은 구강감각운동 훈련, 자세 조절 향상을 위한 중재, 약물과 수술

등이 있다(오명화, 2009; van der Burg 등, 2006). 이 중 자세 조절 향상을 위해 감각통

합중재가 적용된다(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지석연, 남궁영, 2002; 홍은경, 김경미,

2007; Bundy & Koomar, 2002).

전정감각과 고유감각 처리는 자세 조절 능력의 기초를 형성하고, 운동능력에 영향을 준다.

자세 조절 능력을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근 긴장도가 필요며, 감각통합이 잘 이루어지면

적절한 근 긴장도를 만들 수 있다(홍은경, 김경미, 2007). 감각통합중재는 치료적 환경

내에서 조절된 감각경험들을 제공해 주는 것(Bundy, Lane, & Murray, 2002)으로 촉각,

전정감각, 고유감각을 중점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이 중 고유감각은 근육, 관절, 심부 구조에

위치하고 사지의 위치와 공간에서의 다른 신체 부분에 한 정보를 제공한다(김종만, 국은주,

권미지, 2009). 고유 및 전정 감각을 제공하는 활동으로는 터널 통과하기, 무거운 사물을

당기고 떼고 옮기기, 스쿠터 보드와 같은 도구에 엎드리거나 밀기, 질감이 높은 음식을 씹

고 빨고 부수기 등이 있다(김진미, 김경미, 2007; Bissell 등, 1998; Kranowitz, 2003).

Page 3: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39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자세조절에 관한 연구가 부분이다. 감각통합 중

재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장애아동을 상으로 자세조절과 함께 손 기능, 양측

협응, 운동계획, 시각-운동 통합 능력, 신체도식과 근 긴장도의 향상을 연구하였다(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지석연, 남궁영, 2002; 홍은경, 김경미, 2007; Bundy & Koomar,

2002). 이처럼 부분의 연구에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였지만,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기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침 흘리기와

같은 구강 문제는 자세 조절의 중요성이 강조되므로(Morris & Klein, 1987), 자세조절을

향상시키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통해 자세조절 뿐만 아니라 침 흘리기

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 조절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감각통

합중재가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문제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에게 임상적 치료방법으로

제안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연구 상자는 Y시에 거주하는 만 36개월의 남자 아동으로, 전반적인 발달영역의 지연

을 보여 M병원 소아재활치료실에 의뢰되었다. 본 아동은 37주에 제왕절개로 2.74Kg으로

출산하였다. 출산 이후 6개월 때 아이가 눈 맞춤이 되지 않았고, 옹알이가 전혀 없었으며,

계속해서 혀를 내밀고 침을 흘리는 등의 문제를 알게 되었다. 19개월에 네발기기 시작하

였고 28개월에 서기 시작하여 독립보행 하였다. 현재 M병원 소아재활치료실 낮 병동에서

작업치료 주 3회, 물리치료 주 3회를 받고 있다.

아동은 덴버발달검사Ⅱ에서 개인-사회성발달 영역 16개월,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영역

15개월, 언어발달 영역 10개월, 운동발달 17개월을 보여 전반적인 영역에서 발달 지연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용 일상생활활동 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에서 총 점수는 21/126점으로 완전보조가 필요하며, 사회성숙도

검사 결과 SQ 40으로 IQ 25~54에 해당하는 훈련가능 정신지체아동이다. 아동의 감각

프로파일 결과는 전정감각처리, 촉각처리, 다감각처리,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감정 반응에

한 감각입력 조절, 감정적/사회적 반응, 감각처리 행동영역은 문제범주로, 지구력/근 긴

Page 4: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40

장도 조절, 활동정도 조절, 반응 역치영역은 의심범주로 청각처리, 시각처리, 구강감각처

리, 감정 반응과 활동정도에 한 시각입력 조절영역은 정상범주였다. 아동의 감각력을 살

펴보면, 촉각처리영역에서 세수하기, 머리 깎기, 이 닦기 등의 몸단장하는 것을 괴로워하

며, 옷을 입거나 신발, 양말신기를 불편해 하고, 사물이 자신의 몸에 닿는 것을 매우 싫어

하여, 타인이 상아동과의 접촉을 시도하면 거부하는 몸짓과 심할 경우 울거나 짜증내는

등 촉각적으로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전정감각 처리영역에서는 머리가 아래로 향하는 활

동들을 싫어하고, 그네와 기구 타는 것을 피하고, 수동적으로 전정자극을 주었을 때는 민

감 반응을 보이나 종종 스스로 빙글빙글 돌며 전정감각을 추구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구강 영역에서는 물체를 빨거나 입에 손을 자주 넣으면서 주로 구강 추구 행동을 많이 하

며, 부분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상태로 침을 많이 흘렸다. 고유감각 처리영역에서는

고개를 갑자기 뒤로 젖히거나, 온몸을 쥐어짜듯 힘을 주는 행동을 보이면서 고유감각추구

행동을 보였다.

현재 아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분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민 상태로 침을 많이 흘려

보호자가 수시로 상의를 갈아 입혀 줘야한다는 점이다. 걷기 이동 중에 빠른 속도로 걸어

가 바닥에 무릎을 강하게 부딪치며 넘어지는 행동을 반복하였고, 서 있는 자세를 유지하

는 것이 어려웠다. 앉은 자세에서 체간을 올바르게 세우지 못하고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모습이 관찰되어 신체 전반적으로 근 긴장도 및 근력이 저하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2. 연구 환경 및 설계

1) 연구 환경

본 연구의 실험은 M병원 소아재활치료실 낮 병동 작업치료실과 감각통합치료실에서 이

루어졌다. 타 아동의 치료 및 기타 외부 환경에 방해받지 않도록 조용한 환경의 작업치료

실과 감각통합치료실을 사용하였다. 작업치료실은 침 흘리기 정도를 표집하기 위해 책상

이 설치된 코너 체어와 페그 보드를 연구에 용이하도록 준비하였고, 자세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Nintendo Wii Fit 신체측정 세팅을 준비하였다. 감각통합치료실은 고유-전정감각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도구로 세팅하여 준비하였다.

2)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개별실험 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로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1년 9월 26일부터 11월 28일까지 총 20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

간(A)는 5회를, 중재 기간(B)는 15회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연하장애 재활치료

Page 5: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41

를 30분간 시행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30분 시행

한 후, 이어서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30분간 실시하였다.

3. 연구 도구

1) 침 흘리기(drooling) 평가

(1) 전자저울

본 연구에서 침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인산업의 KB-1000 모델인 전자저울을

사용하였다. 측정의 최소 단위는 0.5g이었다<그림 2-1>.

<그림 2-1> 전자저울

(2) 턱받이용 수건과 음료

연구 상자의 침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면 100%의 턱받이용 수건을 사용

하였다. 실험 전 침이 묻지 않은 턱받이용 수건을 비닐에 넣고 전자저울로 무게를 측정하

였다. 실험 후 침을 받은 턱받이용 수건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 후, 실험 후 측정값에

서 실험 전 측정값의 차를 침의 양으로 하였다. 매 실험 전 레몬에이드 음료 70ml를 섭취

하게 하여 침의 분비를 원활하게 하였다.

Page 6: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42

<그림 2-2> 턱받이용 수건과 음료

2) 자세조절 평가

(1) Nintendo Wii Fit Balance Board

연구 상자의 자세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 닌텐도주식회사 Wii Fit Plus 제품의

Nintendo Wii Fit 신체측정 프로그램과 균형판(Balance Board)을 사용하였다. Nintendo

Wii 균형판은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로(Clark 등, 2010), 측정방법은 균형판 위

에 서서 3초간 체중의 좌우 분배를 측정하는 것이다. 서 있는 자세에서 체중의 분배가 좌

우 각각 %로 값이 표시되며, 체중의 분배가 균등하다면 왼쪽 50%, 오른쪽 50%로 양쪽

값의 합은 100%가 되고, 양쪽 값의 차는 0%가 된다. 본 연구의 측정값은 신체 중심의

좌우 값의 차를 절 값으로 구하였다. 3회 측정하여 절 값의 최 값을 사용하였다. 절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아동의 정적 균형 능력이 좋은 것을 의미하고, 100에 가까울수록

정적 균형 능력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그림 2-3> Nintendo Wii Fit Balance Board

Page 7: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43

4. 연구 절차

1) 기초선 기간

기초선 기간에는 연하장애 재활치료를 30분간 시행하였으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

각통합중재는 실시하지 않았다. 기초선 기간은 30분 시행한 후, 이어서 연하장애 재활치

료를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30분간 실시하였다.

아동이 책상에 앉아서 페그 보드를 하는 10분 동안 침 흘리기 정도를 측정하였다. 침

흘리기 정도는 주 2회, 총 5회 측정하였다. 자세조절에 한 측정은 Nintendo Wii Fit 신

체측정과 균형판을 사용하여, 주 1회, 총 3회를 실시하였다.

측정에 있어 오차를 줄이기 위해, 측정 시 어떠한 치료적 자극도 제공하지 않았으며, 아

동의 침 흘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치료실의 실내온도를

25℃로 유지하였고, 측정은 항상 일정한 시간에 하였다.

2) 중재 기간

중재 기간에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30분 시행한 후, 이어서 연하장

애 재활치료를 기초선 기간과 동일하게 30분간 실시하였다.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

통합중재는 6주간 주 3회씩, 총 15회 실시하였다.

중재단계에서 침 흘리기 정도에 한 측정은 주 3회, 총 15회 측정하였고, 자세조절을

위한 측정은 주 1회, 총 5회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기초선 단계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3) 중재 내용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은 고유감각, 전정감각 처리에 필요한 활

동을 기초로 한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구성하였다(Ayres, 1979; Case-smith, 2001;

Kranowitz 2003). 프로그램은 매회 30분으로 준비활동 5분, 본 활동 20분, 마무리 활동

5분으로 구성하였다. 본 활동에는 고유-전정감각 위주의 활동 8개, 전정-고유감각 위주

의 활동 7개로 총 15개로 구성하였고, 마무리 활동은 고유감각 중심의 구강감각 치료프로

그램 15개로 구성하였다<표 2-1>.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은 감각통합치료 분야에서 치료와 교육 경험이 20년 이상인 교수와 10년 이상의 감각통

합치료 경력이 있는 작업치료사 2인의 감수 후 수정 보완되었다.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

의 적용은 아동에게 적합하게 활동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동기부여와 자발적 참여를 유도

하였다.

Page 8: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44

<표 2-1> 감각통합중재 프로그램

목 표 회 기 활 동 주 제 주요 활동

각성 조절 /

본 활동

준비

매 회 준비 활동인사 율동하기

그네타기

- 트램폴린 위에서 ‘안녕 안녕 선생님’ 노래에

맞춰 치료사와 함께 율동하며 인사하기

- 치료사와 함께 천천히 앞/뒤로 그네 타기

고유-전정

감각 처리

능력 향상 /

구강의 감각

ㆍ운동능력

향상

1

본 활동 장난감 찾기- 계단으로 올라가 미끄럼틀 타고 볼풀에 들어

가서 좋아하는 장난감 찾기

마무리 활동 빨기 / 불기- 좋아하는 음료수를 둥근 빨 로 빨기, 불기

로 거품 내기

2

본 활동 마트놀이- 아동에게 하중을 견딜 만큼 짐을 실은 카트

밀고 다니기

마무리 활동 빨기 / 불기- 좋아하는 음료수 납작 빨 로 빨기, 불기로

거품 내기

3

본 활동미끄럼틀 볼링

놀이

- 미끄럼틀 밑에 흥미를 끄는 목표물을 두고,

미끄러져 내릴 때 발로 넘어뜨리도록 하기

마무리 활동 빨기 / 불기- 농후발효유 둥근 빨 로 빨기

- 바람개비 불기

4

본 활동스쿠터 타고

고리 끼우기

- 치료사와 같이 스쿠터 보드위에 앉아서 다리

로 움직여 바닥에 떨어진 고리를 고리 에

넣으면서 움직이기

마무리 활동 빨기 / 불기- 농후발효유 납작 빨 로 빨기

- 비눗방울 불기

5

본 활동 터널 통과하기

- 여러 가지 공이 들어있는 터널 속을 네발

기기로 통과하기

- 네발기기로 경사로 오르기

마무리 활동 빨기 / 불기- 탁구공 불기, 촛불 끄기

- 피리 불기

6

본 활동 낚시 놀이- Balance Board위에 앉은 자세, 선 자세로

낚시 놀이

마무리 활동 물기 / 부수기- 물기/부수기 활동

- 과일 주스를 적신 스틱 물기

7본 활동

바닥에 붙은

볼풀 공 떼기

- 바닥에 볼풀 공을 양면테이프로 붙여서 쉽게

떨이지지 않게 하고 아동이 돌아다니면서 손

이나 발로 떼기

마무리 활동 물기 / 부수기 - 작은 얼음 깨서 먹기

8

본 활동 PET병 굴리기- PET병에 콩, 물 등을 담아 경사로에 굴려서

볼링 치기

마무리 활동 물기/부수기- 딱딱한 과자 부수기

- 막 사탕 물기

Page 9: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45

전정-고유

감각 처리

능력 향상 /

구강의 감각

ㆍ운동능력

향상

9본 활동

그네 타고 볼링

핀 차기

- 치료사와 함께 사각판 그네를 타면서 볼링핀

을 발로차거나 바닥에 부직포를 놓고 찍찍이

볼을 붙인 후 발로 차서 떼기 놀이

마무리 활동 물기 / 부수기 - 고무 칫솔 물기

10본 활동

스쿠터 타고

터널 통과하기

- 파라슈트를 이용하여 큰 터널을 만들고

스쿠터 보드를 타면서 통과하기

- 스쿠터 보드에 엎드린 자세로 치료사와 훌라

후프를 잡고 회전하기

마무리 활동 물기 / 부수기 - 땅콩 부수기

11본 활동

트램폴린

풍선치기

- 트램폴린 위에 앉은 자세, 선자세로 타면서

매달린 풍선 치기

마무리 활동 씹기 / 핥기 - 마이쮸 씹기, 아이스 스틱 씹기

12본 활동

그네 타고

장난감 빼기놀이

- 치료사와 함께 사각판 그네 위에 마주 앉아

잘 빠지지 않는 장난감 빼기 놀이

(레고, 똑딱단추, pop tube)

마무리 활동 씹기/핥기 - 육포 씹기

13본 활동

볼스터 스윙

타고 고리 끼우기

- 볼스터 스윙을 치료사와 함께 타고 오른쪽,

왼쪽방향으로 번갈아가며 고리 에 고리

끼워 넣기

마무리 활동 씹기/핥기 - 입술에 립스틱을 바르고 종이에 입술 찍기

14본 활동

해먹 타고

농구 놀이

- 해먹에 엎드린 자세로 타서 치료사가 건네

주는 공을 받아 바구니에 던져 넣기

마무리 활동 씹기/핥기 - 색종이에 침을 발라 거울에 붙이기

15본 활동

플렉서 스윙 타고

고리 끼우기

- 플렉서 스윙에 앉은 자세 유지하기, 매달린

자세를 유지하면서 고리 에 고리 끼워 넣기

마무리 활동 씹기/핥기 - 아몬드 씹기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Excel 2007로 분석하였다. 기초선과 중재 기간

동안 얻은 측정값은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 통계(평균과 표준편차)를 통해 비교 및 분석하

였다. 또한 침 흘린 양의 차이 변화와 자세 조절의 좌우 차이 변화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2 표준편차 범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즉, 기초선 시기의 평균 -2 표준편차를 기

준으로 하여, 중재기의 각 회기별 측정값들 중에서 기준보다 아래의 값이 2회 이상 있으

면, 중재결과가 독립변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하였다(Nourbakhsh & Ottenbacher,

1994).

Page 10: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46

Ⅲ. 연구 결과

1.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기에 미치는 효과

침 흘린 양의 차이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그림 3-1>. 기초선 단계에서 평균값은

3.10±0.42g이었고, 중재단계의 평균값은 1.50±0.46g으로 중재기간의 평균값이 1.6g

감소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15개의 데이터 중 8회기를 제외하고 14개의 데이터가 기초선

의 평균 –2 표준편차 밴드 이하로 나타나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

기에 영향을 주었다.

<그림 3-1> 침 흘리기 변화

2.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자세조절의 좌우차이 변화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였다<그림 3-2>. 기초선 단계에서 자세

조절의 좌우차이는 평균값 25.47±3.72%이었고, 중재기간의 좌우차이의 평균값은 16.12%

로 중재기간에 평균값이 9.35% 감소하였다. 중재기간 동안 5개의 데이터 중 3개가 기초

Page 11: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47

선의 평균 –2 표준편차 밴드 이하로 나타나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자세

조절에 영향을 주었다.

<그림 3-2> 자세조절 변화

Ⅳ. 논 의

발달 지연 아동이 가지는 근육의 저긴장은 머리, 턱, 입술을 앞으로 구부러지게 하고,

몸통, 목, 머리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주어, 섬세한 구강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

해 침 흘리기와 자세 조절의 문제가 야기 된다(Morris & Klein, 1987).

본 연구에서는 상자의 침 흘리기 원인을 끊임없는 혀 내밀기(tongue thrusting)와 낮

은 근 긴장도로 인한 자세조절의 문제로 보았다. 고유감각 입력에 해 저 반응이 있는

아동은 낮은 근 긴장도를 보이며, 심부압박과 고유감각 추구행동을 보였기 때문이다(Dunn

& Westman, 1997).

본 연구의 중재로는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고유감각은

감각통합치료의 핵심요소이다(Roley, Blanche, & Schaaf, 2001). 고유감각은 근 긴장도,

자세조절, 각성, 공간에서의 시 지각, 운동계획에 영향을 준다(Ayres, 1972). 아동에게

Page 12: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48

움직임에 저항을 주는 활동들은 고유감각 처리를 강화시켜 신체도식과 근 긴장도, 그리고

자세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Bundy & Koomar, 2002). 자세 안정성은 깨물기, 부

수기, 씹기와 핥기를 통해 호흡률과 호흡근의 기능을 향상시켜 나타난다. 호흡의 패턴이

효과적일 때 자세 근육조직은 능동적이고 바른 체간 정렬과 자세조절을 보인다. 구강운동

과 호흡은 해부학적, 신경학적으로 기능과 구조가 연결되어 있다(김인선, 이지영과 황지

영, 2003). 침 흘리기 중재를 위해 턱의 안정성 유지와 턱 닫기는 중요하며(Hopkins &

Smith, 1983), 구강 감각, 운동의 촉진이 침 조절 능력을 증가시킨다(Johnson & Scott,

1993). 또한 씹기의 발달이 침흘림의 조절을 도와준다(Winstock, 1994). 불기 기회를

매일 제공하는 것은 점진적인 호흡과 체간조절력을 향상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빨기/불기,

물기/부수기, 씹기/핥기의 순서에 따라 구강활동을 제시하는 것이 좋다(Bundy 등, 2002).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매회기 마무리 단계에서 구강의 빨기/불기, 물기/부수기, 씹기/핥기의

순서에 따라 고유감각 활동을 제공하여 침흘리기 감소와 자세조절 향상에 도움을 제공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침 흘린 양의 측정 방법은 Bothwell 등(2002)의 침 흘리기 평가

방법을 근거로 하였다. Bothwell 등(2002)은 접시저울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치과용

턱받이에 받은 침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그 외에도 오줌 봉투나 흡입 봉투에 침을 수집하

는 방법(Sochaniwskyj, 1982; Wilkie, 1970), 침 흘림 지수(Drooling Quotient)를 사용

하는 방법(Bothwell 등, 2002)이 있다. 흡수 면 치과용 롤은 구강에 롤을 삽입하여 침

흘리기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Hassin-Baer 등, 2005). 양적 방법으로 Drooling

Rating Scale은 침 흘리기 빈도와 횟수를 보호자가 체크하는 것(Bothwell 등, 2002)이

며, Drooling Impact Scale은 중재 후의 변화를 잘 파악할 수 있다(Reid, Johnson, &

Reddihough, 2010). 본 연구에서는 상자의 얼굴주위 촉각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면 소

재 턱받이를 사용하여 아동의 불편감을 최소화하였다.

본 연구의 자세조절 평가 방법은 Nintendo Wii Fit 신체측정 프로그램과 균형판을 사용

하였다. Clark 등(2010)은 Wii Balance Board는 선 자세에서의 균형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제시하였다. 노금미, 홍은경과 김경미(2011)와 지석연과 남궁영(2002)

은 자세조절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eGangi-Berk Test of Sensory Integration의 자

세조절 영역의 항목들을 사용하였다. 홍은경과 김경미(2007)는 운동과 자세 기술의 임상

적 관찰 평가(COMPS)항목 중 복와위 신전자세와 브리닉스 오세레스키의 운동 평가

(BOTMP) 항목 중 손-코 운동 항목을 사용하였다. Minshew 등(2004)은 Dynamic

posturography를 사용하여 자세조절 능력을 측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방법

들은 검사자가 관찰 측정하여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측정에 한 신뢰도가 떨어지지

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로 산출하므로 검사의

Page 13: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49

신뢰도를 높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를 적용 후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가 감소하고 자세조절이 향상되었다. 많은 선행 연구에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

각통합중재가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홍은경, 김경미,

2007)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침흘리기와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는 정신

지체아동의 침흘림과 혀 내밀기를 감소시키기 위해 입술에 진동자극, 빠른 근 신장 그리고

얼음 자극을 적용한 신경생리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McCracken, 1978). 또한 구강감각

운동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침흘리기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김숙자, 2003), 마시기와

씹기를 이용한 섭식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침흘리기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유천심, 2010).

본 연구는 감각자극 위주의 선행 연구들과 다르게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여 침 흘리기 감

소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침 흘리기와 같은 구강발달 문제는 자세조절 문제와 관련

이 있다고 하였다(오명화, 2009; Morris & Klein, 1987). 본 연구 결과에서도 자세 조

절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보일 때, 동시에 침 흘리기도 지속적으로 감소하

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자세 조절 능력이 침 흘리기에 영향을 주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연구 상자가 한 명으로 중재의 효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

가 있다. 둘째, 병원이라는 임상적 환경에서 아동에게 치료적 도움이 되는 독립변인을 제

거하는 것은 윤리적인 제한이 있기 때문에 AB설계를 사용하였다. 셋째, 침 흘리기를 측정

하는 방법에서 전자저울의 최소단위가 0.5g으로 미세한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였다. 넷째,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기 감소와 자세조절에 효과가 있었으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에는 연구 방법적인 제한을 가지고 있다. 따

라서 후속 연구에 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많은 아동을 상으로 한 실험- 조

군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설계에서 ABA 설계 또는 ABAB 설계를 사용하거나, 다중 기초

선 설계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중재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침

흘리기와 자세 조절에 한 측정방법을 추가하여 결과분석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자세조절 능력에 따라 침 흘리기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Page 14: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50

V. 결 론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을 상으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기

와 자세 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 흘리기는 중재단계의 평균 1.50(±0.46)g이 기초선 단계의 평균 3.10(±0.42)g

보다 1.6g 감소하였다.

둘째, 자세조절은 중재단계에서 좌우차이가 평균 16.12(±4.87)%로 기초선의 평균

25.47(±3.72)% 보다 9.35%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는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를 감소시키고, 자세조절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유-전정감각 중심

의 감각통합중재가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임상적 치료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숙자 (2003). 구강 감각 운동 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구강운동 기능과 씹기 및 침흘리기에 미치는 효과.

우석 학교 교육 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선, 이지영, 황지영 (2003). 각성조절과 빨기/삼키기/쉼쉬기의 조화와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한감각

통합치료학회지, 1(1), 1-13.

김종만, 국은주, 권미지 (2009). 신경해부생리학. 서울: 정담미디어.

김진미, 김경미 (2007). 감각통합치료에서 고유수용성 감각 활동에 관한 고찰. 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5(1), 1-13.

노금미, 홍은경, 김경미 (2011).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3), 377-392.

오명화 (2009). 자세조절과 구강운동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먹기 활동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16(1), 75-94.

유천심 (2010). 마시기와 씹기를 이용한 섭식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호흡과 구강운동 및 침 흘리기 개선에

미치는 영향. 용인 학교 학원 석사학위논문.

지석연, 남궁영 (2002).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자세조절, 양측협응, 운동계획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단일 사례 연구. 한작업치료학회지, 10(1), 63-70.

홍은경, 김경미 (2007). 자세조절 능력의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적 접근: 개별 실험 연구. 특수교육재활

과학연구, 46(3), 175-190.

Ayres, A. J. (1972). Sensory Integration and Learning Disorders.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Page 15: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51

Services.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the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Bissell, J., Fisher, A., & Owens, C. (1998). Sensory Motor Handbook: A guide for implementing

and modify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an Antonio; Therapy Skill Builders.

Bothwell, J. E., Clarke, K., Dooley, J. M., Gordon, K. E., Anderson, R., Wood, E. P., Camfield,

C. S., & Camfield, P. R. (2002). Botulinum toxin a as a treatment for excessive drooling in

children. Pediatric Neurology, 27(1), 18-22.

Bundy, A. C., & Koomar, J. A. (2002). Orchestrating intervention; the art of practice. In A. C.

Bunndy, S. Lane, E. A. Murray (2Ed.),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PA: F. A. Davis Co. 261-308.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Eds.).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F.A. Davis.

Case-Smith, J. (2001).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4th ed.). Philadelphia: Mosby.

Clark, R. A., Bryant, A. L., Pua, Y., McCrory, P., Bennell, K., & Hunt, M. (201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standing balance. Gait Posture.

Mar, 31(3), 307-10.

Dunn, W., & Westman, K. (1997). The Sensory Profile: The performance of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1), 25-34.

Eiland, L. S. (2012). Glycopyrrolate for Chronic Drooling in Children. Clinical Therapeutics, 34(4),

735-742.

Hassin-Baer, S., Scheuer, E., Buchman, A. S., Jacobson, I., & Ben-Zeev, B. (2005). Botulinum

toxin injections for children with excessive drooling. Journal of child Neurology. Feb, 20(2),

120-123.

Hopkins, H. L., & Smith, H. D. (1983). Occupational therapy.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

Johnson, H., & Scott, A. (1993). A practical approach to saliva control. Tucson: Communication

Skill Builders.

Jongeriou, P. H., Rotteveel, J. J., van den Hoogen, F., van Hulst, K., & Gabre ls, F. J. (2001).

Botulinum toxin A; a new option for treatment of drool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resentation of a case serie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0(8), 509-512.

Kranowitz, C. (2003). The out-of-sync child: recognizing and coping with sensory processing

dysfunction. New York; The Berkley Publishing Group.

McCracken, A. (1978). Drool control and tongue thrust therapy for the mentally retard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2(2), 79-85.

Minshew, N. J., Sung, K., Jones, B. L., & Furman, J. M. (2004). Underdevelopment of the postural

control system in autism. Neurology Dec 14, 63(11), 2056-2061.

Page 16: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52

Morris, S. E., & Klein, M. D. (1987). Pre-feeding skill.: A comprehensive resoure for feeding

development. Tucson: Therapy Skill Builders.

Nourbakhsh, M. R., & Ottenbacher, K. J. (1994). The statistical analysis of single - subject data:

A comparative examination. Physical Therapy, 74(8), 768-776.

Oetter, P., Rechte, E. W., & Frick, S. M. (1995). MORE: Integrating the Mouth With Sensory

and Postural Functions. Hugo, MN: PDP Press, Inc.

Reid, S. M., Johnson, H. M., & Reddihough, D. S. (2010). The drooling impact scale: a measure of

the impact of drool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52(2), 23-28.

Roley, S. S., Blanche, E. I., & Schaaf, R. C. (2001).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 Austin; Pro-Ed.

Sochaniwiskyj, A. E. (1982). Drool quantification: noninvasive techniqu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3(12), 605-607.

van der Burg, J., Jongerius, P., van Limbeek, J., van Hulst, K., & Rotteveel, J. (2006). Drool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qualitative method to evaluate parental perceptions of its

impact on daily life, social interaction, and self-esteem.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9(2), 179-182.

Wilkie, T. F. (1970). The surgical treatment of drooling. A follow-up report of five year’s experience.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45, 549-554.

Winstock, A. (1994). The practical management of eating & drinking difficulties in children.

UK: Winslow.

Page 17: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리기와 자세조절에 미치는 효과 353

<Abstract>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Drooling and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Park, Hae Seong Lee, Na Hael Kim, Kyeong Mi Chang, Moon 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drooling and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ubject of study was a boy who is 36-month-old with delayed development

on the overall developmental areas. A single subject research AB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rocedure consisted 5 sessions of baseline phase (A)

and 15 sessions of intervention phase (B). The baseline phase involved no

intervention, but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proprioceptive-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was conducted. the amount of drooling was

measured by the bib with an electronic scale and the postural control by the

Nintendo Wii Fit Balance Bo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mount of drooling was

decreased in intervention phase (1.50g±0.46g) than in baseline phase (3.10g±0.42g). Second, the postural control of subject was improved in intervention

phase (16.12±4.87%) than baseline phase (25.47±3.72%).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prioceptive-vestibular base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vide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drooling and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Page 18: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isers.org/common/fileDown.aspx?f=17-%B9%DA%C7%D8%BC%BA... · 중심의 감각통합중재가 발달지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제52권 제1호)354

Key Words : drooling, postural control, proprioceptive-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therapy

논문접수 : 2013. 01. 30 / 논문심사일 : 2013. 02. 19 / 게재승인 : 2013. 0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