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관계와문물교류 -...

11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Upload: others

Post on 15-Oct-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외관계와

문물교류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외관계와문물교류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age 2: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외관계와문물교류

Page 3: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한성백제사4

외관계와 문물교류

발행일 | 2008년 2월 20일발행인 | 서울특별시장 오 세 훈기획∙편집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연구원 이 상 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88-3 올림픽공원전화 | 02-413-9622팩스 | 02-413-9636Homepage | http://www.seoul.go.kr

제작원가 | 24,800원판 매 가 | 10,000원

디자인∙편집 | 경인문화사 T.02-718-4831김소라, 장호희, 이경주, 김주희

인쇄∙제작 | (주)성신프린팅 T.02-2635-6796

발간등록번호 : 51-6110000-000494-01

* 본 책자의 저작권과 판권은 서울특별시에 있습니다.

외관계와문물교류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Page 4: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서울고 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밑거름이 될《한성백제사》의 발간을 진심

으로기쁘게생각합니다.

서울은 현재 역사와 문화를 기반으로 맑고 매력 있는 세계도시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습니다. 볼거리, 즐길거리가 풍부한 서울을 만들어서 외국 관광객

1200만이찾는문화관광도시로거듭나고서울의브랜드가치를높여서세계10

위권의 로벌경쟁력을갖추어나가고자합니다.

이러한 때에 한성백제박물관을 건립하고 그간 소홀했던 한성백제사에 한

발간을서둘러서, 조선600년만이아니라493년간백제의수도 던서울의찬

란한문화와역사에 해재조명하게된것을뜻깊게생각합니다.

E.H.Carr는, 역사란‘과거와현재와의끊임없는 화’라고했습니다.

《한성백제사》를통해과거의서울과현재의서울이끊임없이 화하고만남으

로써, 우리서울의새로운가능성을열어가는소중한토 가마련되기를바랍니다.

그동안 책자발간에 애써주신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님들과 집필진, 연구

원들께도감사드립니다.

2008년2월

서울특별시장 오세훈

발 간 사

Page 5: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는 수도 서울의 역사를 연구하고 사료를 정리 수집

하여《서울육백년사》10권을 비롯한 분류사∙사료총서∙연구논문집∙내고향

서울시리즈등을발간하여오고있습니다.

조선 왕조가 개창되면서 개성에서 한성으로 도읍을 옮긴 이후 오늘날까지

600여년의역사를집중조명하면서고 사에 한역사연구가부족하여늘마

음한구석이허전한상태 습니다. 이러한때비로소고 하던《한성백제사》가

발간되어아쉬움을달랠수있는계기가되었습니다.

《한성백제사》발간은2004년발의되어2008년에발간하게되었습니다. 그

동안 조선시 600년 도읍의 역사만이 강조된 나머지 2000년 고도인 서울의

역사성이분명하게드러나지않았다는문제점을공감하고, 이를극복하기위해

먼저한성백제493년간의역사를정리할필요가있다는데인식을같이하여이

번에발간하게되었습니다.

《한성백제사》는 전체 5권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제1권은《한성백제사》의 총

설로서고 사에서백제사가가지고있는역사적위상과백제의지리적∙인문

적 조건, 그리고 선사시 이래의 문화기반을 다루고 있습니다. 제2권은 B.C.

18년백제가건국한이후 외적으로 역을확장하고, 내적으로국가체제를

정비하면서성장하는과정, 그리고고구려장수왕의침입으로수도를웅진으로

천도하는 과정을 기술하 습니다. 제3권은 수도 하남위례성의 위치비정과 백

제 한성시 의 왕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의 역사성을 발굴성과

를 토 로 기술하 고, 나아가 수도 방어를 위한 도성방어체계에 관하여 서술

하 습니다. 제4권은 백제가 건국된 이후 고구려∙신라는 물론 낙랑∙ 방∙

서진∙동진∙북위∙일본등동북아시아여러나라들과의외교관계와문물교류

를내용으로하 습니다. 제5권은백제인들의생활과문화를살펴보기위해당

시의기술산업∙사상과신앙∙건축기술과의식주∙장묘문화등을수록하 습

니다.

그간백제의역사는공주와부여가주무 가되어일반인들의인식속에자

리잡아왔습니다. 그러나실제로는678년간의백제사가운데서울이493년간,

공주가 63년간, 부여가 122년간 수도로서 중심지 역할을 하 습니다. 결국 백

제의오랜역사속에서서울이차지하고있는비중이매우높음을알수있습니

다. 그럼에도불구하고백제초기의사료가부족하다는것과《삼국사기》와《삼

국유사》초기기록의신빙성여부, 고고학적자료의부족등을이유로한성백제

의역사상을바로잡는데소홀하여왔던것이사실입니다. 비록다소늦은감이

있지만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가 주관이 되어 지금까지 학계의 축적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한성백제사》를 통사로 집 성하 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

다고할것입니다.

이책의발간으로많은서울시민들이서울고 사에 해더욱깊은애정을

갖게 되길 바라며, 이 책이 발간되기까지 노고를 아끼지 않은 집필위원∙감수

위원∙시사편찬위원과연구원, 그리고서울시관계자에게감사드립니다.

2008년2월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위원장 이존희

서 문

Page 6: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이책은선사시 부터백제가수도를한성에서공주로옮긴475년까지의역

사를총5개의주제로나누어통사로편찬하 다.

�백제가한성에수도를두고있던시 의역사를서술하 으므로지역성을강

조하기위해본위원회의심의에따라책제목을‘한성백제사’로하 다.

�본문에서는B.C. 18~A.D. 475년의시기를‘백제한성시 ’로통일하 다.

�원고는 고고학과 고 사 관련 전문가들이 집필하 고, 본 위원회의 검토를

거쳤으나 백제 건립 시기나 위례성의 위치 등 학술적 논쟁이 첨예한 부분은

필자의의견을최 한존중하여편찬하 다.

�원고내용의정확성을위해각주를달았으며, 꼭필요한경우이외에는인용

문에 한사료의원문병기를생략하 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과 사진을 최 한 수록하 으며, 일부 유물사

진은소장처의협조를얻어함께수록하 다.

�문장은국한문혼용으로하되, 현행문화관광부규정한 맞춤법과국정교과

서표기원칙에따랐다.

�인명∙지명과전문적인학술용어, 잘못전해지기쉬운용어는한자나원어를

표기하 으며, 필요한경우원어를( )에병기하 다.

�집필자이름은원고끝에각장별로밝히는것을원칙으로하 다.

일 러 두 기

Page 7: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제1장교통로의확보와운송… 21

│교통로의 발달 배경… 22

1. 자연지리적 배경 … 25

2. 정치∙군사적 배경 … 29

3. 경제적 배경 … 34

│육로 … 42

1. 북방교통로 … 42

2. 남방교통로 … 50

│수로 … 62

1. 내륙 수로-남한강- … 62

2. 해로 … 71

제2장한반도에서의 외관계와문물교류… 79

│ 외관계의 역사적 성격 … 80

│백제 외관계의 특질 … 86

│백제의 고구려관계 … 91

│백제의 신라관계 … 97

│백제의 가야 및 낙랑ㆍ 방관계 … 107

제3장 중국과의 외관계와 문물교류… 119

│魏와 西晉… 120

1. 魏晋의 동방정책과 백제 … 120

2. 마한의 西晉 조공과 백제 … 131

│晋∙宋과 北魏 … 140

1. 중교섭의 개시와 추이 … 140

2. 중국계 관인의 활동 … 144

│북위와의 외관계 … 148

1. 蓋鹵王의 북위 외교와 고구려 … 148

2. 魏虜의 백제 침입 … 168

제4장 백제의 요서 진출… 175

│요서 진출 관련 자료… 176

│요서 진출의 불신과 긍정… 182

1. 불신론의 주요 논점 … 182

2. 불신론이 지니는 문제점 … 187

3. 긍정론에서의 제논의 … 197

│요서 진출의 시기… 211

│요서 진출의 배경 및 성격… 219

│요서 진출의 결말… 226

제5장 왜관계와 문물교류… 233

│백제ㆍ왜의 국교개시문제… 234

│백제ㆍ왜관계의 성립과 전개… 250

1.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왜 동맹관계의 성립 … 250

2. 《송서》왜국전을 통해 본 백제와 왜 … 259

3. 개로왕 의 왜관계 … 270

4. 한성의 함락과 왜 왕권 … 281

│문물교류의 양상과 성격 … 284

외관계와

문물교류

Page 8: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제1장한성백제사총설

│한국 고 사의 역사적 흐름

1. 한국 고 사의 범위

2. 한국 고 사의 특징

3. 한강유역을 둘러싼 한국 고 사의 전개과정

│한성백제사의 흐름과 역사적 의미

1. 시기구분

2. 건국과 성장

3. 중앙집권체제의 확립

4. 역의 확 와 외관계의 전개

5. 집권세력의 교체와 한성 함락

6. 한성시 사의 역사적 의미

제2장한성백제와한강유역의지리환경

│한강유역의 입지 조건

1. 절 적 입지

2. 상 적 입지

│자연환경

1. 지질∙지형

2. 기후

3. 식생

│인문환경

1. 정치∙군사적 중요성

2. 경제환경

3. 사회∙문화환경

제3장 한강유역의 문화기반

│구석기문화

1. 자연환경

2. 중기구석기시

3. 후기구석기시

│신석기문화

1. 전신세(후빙기)의 자연환경

2. 개념과 시기구분

3. 유적과 유물

4. 생업경제와 사회문화

5. 신석기시 에서 청동기시 로

│청동기문화

1. 시 개념과 기원

2. 유적

3. 생업 경제와 사회상

4. 청동기시 에서 철기시 로

부록

│한성백제 관련 저서 목록

1. 개인저서(박사학위논문 포함)

2. 기관 발행 도서

3. 일본 발간 도서

│한성백제 관련 논문 목록

1. 국내 논문

2. 외국 논문

성격과

문화기반

Page 9: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제1장백제의기원과건국

│마한의 성립과 삼한

1. 삼한의 소국

2. 소연맹국의 존재

3. 마한 연맹왕국의 성립

│백제 건국설화의 분석과 그 의미

1. 현전하는 백제의 건국신화

2. 백제 건국신화의 본 모습

3. 백제 건국신화의 전승과 정착

│국가형성과 주민의 구성

1. 부여계 유이민과 토착세력

2. 백제 국가의 형성

3. 마한세력의 축출

│국호와 지배층의 변천

1. 십제에서 백제로

2. 왕실 지배세력의 변천

3. 고이왕 때의 제도정비

제2장한성백제의 역확장

│낙랑ㆍ말갈의 남침과 백제의 응

1. 낙랑의 침략과 그 실체

2. 말갈세력과의 립

│백제의 마한 병합

1. 백제 초기 마한과의 관계

2. 목지국의 위치와 성격

3. 마한의 병합과 지배

│근초고왕의 역확장

1. 남부 마한세력의 복속

2. 고구려지역으로의 진출

3. 가야지역으로의 진출

제3장 한성백제의 정치∙경제 및 사회제도 정비

│통치체제의 제도적 정비

1. 중앙집권력의 강화와 국가체제의 제도화

2. 중앙통치조직

3. 지방통치조직

4. 군사조직

5. 사상∙종교와 제의체계

│경제와 사회제도

1. 경제제도

2. 사회제도

제4장 수도 한성의 함락과 웅진천도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의 응

1.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의 곤핍

2. 집권세력의 교체와 왕권의 약화

│개로왕의 왕권강화 추진

1. 개로왕의 즉위와 왕권 중심의 정치운 추진

2. 외관계의 강화

│수도 한성의 함락

1. 개로왕의 실정

2. 고구려의 한성 함락

3.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

│웅진으로의 천도

1. 천도 배경

2. 문주왕의 국가재건 노력

제5장 고구려의 한강유역 장악과 역 지배 양상

│4세기 말~6세기 백제전과 정복지의 범위

1. 4세기 말~5세기 초 정복지의 범위

2. 5세기 초~6세기 중반 한강유역의 역 변화 양상

│《삼국사기》지리지에 나타난 고구려 군현의 성격

1. 《삼국사기》지리지의 고구려 군현과 지배방식

2. 한강유역 고구려 유적의 성격

건국과

성장

Page 10: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제1장위례성의위상과위치

│위례성 관련 사료와 연구사 검토

1. 위례성 관련 사료

2. 연구사 검토

│두 개의 위례성

│위례성의 위치

│한성의 위치와 구조

1. 한성 관련 사료

2. 한성의 위치와 구조

3. 한성의 풍경

제2장풍납토성

│풍납토성의 입지조건과 왕궁유적의 발견

1. 자연지리 환경

2. 고고학적 환경

3. 풍납토성 내의 왕궁유적 발견

│풍납토성의 구조와 출토 유물

1. 풍납토성의 구조 및 축조 기법

2. 풍납토성 내의 건축 구조와 시설

3. 풍납동식 무문토기와 백제 토기의 형성

4. 풍납토성 내 출토유물

│풍납토성의 왕궁 경

1. 풍납토성 발굴을 통해 본 왕성

2. 풍납토성 축조시기

3. 풍납토성 내 건물배치

4. 都城制의 운

│풍납토성과 한성백제사

1. 풍납토성과‘원삼국시 론’

2. 풍납토성의 역사적 의의

제3장 몽촌토성

│몽촌토성의 입지

1. 지세와 명칭 유래

2. 백제 이전의 한강유역

3. 한성시 중심 묘역 석촌동고분군

│몽촌토성 유구의 분포와 성격

1. 발굴조사의 진행과 주요 발견

2. 몽촌토성 유구 분포

3. 주요 유구의 성격

│몽촌토성 출토 유물로 본 한성백제

1. 백제 토기와 기종 구성상의 특징

2. 몽촌토성 출토 백제 토기의 이해

3. 기타 백제 유물

4. 중국 문물

5. 須惠器

6. 고구려 점유기 유물

│몽촌토성의 시간적 위치와 역사적 성격

1. 백제의 국가 성립과 한강유역 성곽의 출현

2. 몽촌토성의 축조 시기와 변천

3. 몽촌토성의 역사적 성격

제4장 도성의 방어체계

│군사제도와 외전쟁

1. 군사제도의 정비

2. 성곽 축성

3. 외전쟁

│도성방어체계

1. 도성의 방어시설물

2. 주변 성곽 현황

3. 도성 방어체계 형성

│도성 외곽 방어체계

1. 성곽 현황

2. 성곽 특징

3. 외곽방어체계 형성

王都와

방어체계

Page 11: 대외관계와문물교류 - opengov.seoul.go.kropengov.seoul.go.kr/files/dcdata/100015/20131019/F0000000178282.pdf · │백제ㆍ왜의국교개시문제…234 │백제ㆍ왜관계의성립과전개…250

생활과

문화

제1장기술산업

│토기

1. 백제 토기 연구의 추세

2. 토기문화의 발달

3. 토기의 생산기술과 유통망

4. 토기의 각종 쓰임새

5. 토기에 나타난 외교류

│기와와 전돌

1. 기와에 한 기존 연구

2. 기와 출토 유적

3. 기와의 생산과 유통

4. 기와의 출현시기와 계보

5. 기와의 용도

│공예

1. 금속공예

2. 철의 생산과 철기제작

3. 유리의 생산과 사용

4. 칠공예와 목공예

제2장사상과신앙

│불교

1. 불교의 수용

2. 아신왕과 전지왕 때 불교

3. 내법좌평과 불교

4. 북조 불교와 개로왕

5. 불교의 수용 연

6. 광불법초전설

│유교

1. 《서기》의 편찬

2. 박사제도

3. 국가제사

4. 상장례의 도입

│도교

1. 도교

2. 산악신앙과 사방관념

제3장건축과축성기술

│주거지

1. 주거지 형태

2. 벽체시설

3. 출입시설

4. 화덕시설

5. 주거지 유형별 특징

│성곽 건축기술

1. 토성

2. 토성의 특징

3. 석성

4. 백제산성 축조의 특징

제4장의∙식∙주생활과문화

│의생활

1. 백제 복식을 보는 주체적인 눈

2. 복식재료의 종류와 고유성

3. 복식의 유형과 전통성

4. 갑옷의 종류와 선진성

5. 백제 복식의 원형

│식생활

1. 전기(B.C. 18~260)

2. 후기(261~475)

│주생활

1. 주거지의 지역별 양상

2. 주거지의 구조와 특징

제5장장묘문화

│백제 건국 이전의 마한묘제

│한성백제의 묘제

1. 토광묘

2. 분구묘

3. 적석묘

4. 석곽묘

5. 석실묘

6. 서울지역 석실묘의 문제

7. 산강유역권 옹관묘의 문제

│장묘문화의 역사적 의미

1. 장제의 특징

2. 묘제를 통해 본 백제의 건국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