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28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및 융자사업 계획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및 융자사업 계획 2005. 2 2005. 2 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과 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과

Upload: others

Post on 09-Jan-2020

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및 융자사업 계획홈네트워크 시범사업 및 융자사업 계획

2005. 22005. 2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과정보통신부 정보보호산업과

Page 2: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 목 차 >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계획홈네트워크 시범사업 계획II

홈네트워크 융자사업 계획홈네트워크 융자사업 계획IIII

Page 3: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I.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계획I. 홈네트워크 시범사업 계획

Page 4: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개념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개념개념

Anymedia

편리한 삶편리한 삶 원격검침

전자민원

원격교육

원격진료

즐거운 삶즐거운 삶네트워크 게임

대화형 DTV

안전한 삶안전한 삶

개인정보관리

경제적 삶경제적 삶

홈뱅킹

홈쇼핑

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Anytime

Anydevice

Anyone

방송망

지상파

케이블망

초고속망이동망 Anywhere

에너지 관리

Anyservice

위성망

방범 방재

가정내의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구애받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 가정환경인

디지털홈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가정내의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기기 시간 장소에구애받지 않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미래 가정환경인

디지털홈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1

Page 5: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특징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특징특징

편리한

가 정

편리한편리한

가가 정정원격교육, 원격진료, 원격검침, 원격제어 등 편리한 생활가능

즐거운

가 정

즐거운즐거운

가가 정정대화형 DTV, VOD, 네트워크 게임 등을 통한 여가선용

안전한

가 정

안전한안전한

가가 정정방범,방재,안전한 정보관리 등 도난,재난 등을 24시간 방지

윤택한

가 정

윤택한윤택한

가가 정정양방향 홈쇼핑, 홈뱅킹, 에너지 관리 등 경제활동의 효율성

홈게이트웨이 홈서버, 홈네트워킹, 지능형정보가전,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산업 분야임

홈게이트웨이 홈서버, 홈네트워킹, 지능형정보가전, 유비쿼터스 컴퓨팅 등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창출하는 신산업 분야임

1

Page 6: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비전홈네트워크비전

· 통신ㆍ방송ㆍ인터넷 대통합 선도· 첨단기술 개발 및 표준화

· 편리하고 저렴한 유비퀴터스서비스 환경 조성

· BcN, IPv6 등 IT 신산업 및BT, NT 등 국가전략산업결과의 시장환경 제공

· 세대 구성원 삻의 질 향상· 개인의 Life Style 변화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

정보통신 일등국가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구현정보통신 일등국가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구현

디지털홈 1,000만 가구 보급, 확산디지털홈디지털홈 1,0001,000만만 가구가구 보급보급, , 확산확산

통신, 방송 융합서비스 제공

통신, 방송 융합서비스 제공

세계최고 광대역통합서비스 제공

세계최고 광대역통합서비스 제공

가정정보화의전면화

가정정보화의전면화

IT 신성장동력핵심 결정체

IT 신성장동력핵심 결정체

2개 컨소시엄과 공동으로 시범사업 추진2개 컨소시엄과 공동으로 시범사업 추진

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한 시장활성화/산업경쟁력 강화서비스 모델 개발을 통한 시장활성화/산업경쟁력 강화

가입자망 광대역화(유선, 무선, 방송, 홈N/W)가입자망 광대역화(유선, 무선, 방송, 홈N/W)

기기 및 서비스간 표준화 유도기기 및 서비스간 표준화 유도

필드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홈네트워크 인증(안) 도출필드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홈네트워크 인증(안) 도출

중장기 기술개발 전략 수립중장기 기술개발 전략 수립

법·제도 정비법·제도 정비

Page 7: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시범사업목표홈네트워크시범사업목표

통신, 방송, 건설, 가전 등 홈네트워크 관련 업체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산업 활성화

통신, 방송, 건설, 가전 등 홈네트워크 관련 업체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산업 활성화

홈네트워크 기술 및 다양한 이종기기 및 서비스간 상호 호환성을

검증하고, 중장기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전략 도출

홈네트워크 기술 및 다양한 이종기기 및 서비스간 상호 호환성을

검증하고, 중장기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전략 도출

대국민 홍보를 통한 디지털 홈에 대한 인식 제고대국민 홍보를 통한 디지털 홈에 대한 인식 제고

Page 8: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추진방향홈네트워크추진방향

“디지털홈 붐” 조성이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기존 IT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존기술 응용, 신기술 적용 추진– PC외의 다양한 기기에 웹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모델 등

기기 및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관련 문제점 도출 및 해결방안 마련

“디지털홈 붐” 조성이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 발굴– 기존 IT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존기술 응용, 신기술 적용 추진– PC외의 다양한 기기에 웹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 모델 등

기기 및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관련 문제점 도출 및 해결방안 마련

1단계 : 2003. 10 ~ 2004. 121단계 : 2003. 10 ~ 2004. 12

광대역통합망, 유비쿼터스 및 IPv6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모델 발굴– 단말기기들의 지능화 기능, 음성•영상인식 기능 등이 부가되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등

1단계에서 수립한 기기 및 서비스간 호환성 해결방안을 시범사업에 적용, 검증

광대역통합망, 유비쿼터스 및 IPv6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모델 발굴– 단말기기들의 지능화 기능, 음성•영상인식 기능 등이 부가되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 등

1단계에서 수립한 기기 및 서비스간 호환성 해결방안을 시범사업에 적용, 검증

2단계 : 2005. 1 ~ 2007. 122단계 : 2005. 1 ~ 2007. 12

Page 9: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1단계 시범사업 추진 성과1단계 시범사업 추진 성과

Page 10: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추진 성과 개요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추진추진 성과성과 개요개요

시 범

지 역

시시 범범

지지 역역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대 지역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대 지역

홈네트워크 산업의 최대 현안인 Killer Application 발굴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 추진

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산업의산업의 최대최대 현안인현안인 Killer Application Killer Application 발굴발굴을을

적극적극 지원하기지원하기 위해위해 정부정부 주도의주도의 시범사업시범사업 추진추진

시 범

가 구

시시 범범

가가 구구총 1,300세대 (KT컨소시엄 : 700세대, SKT컨소시엄 : 600세대)총 1,300세대 (KT컨소시엄 : 700세대, SKT컨소시엄 : 600세대)

사 업

형 태

사사 업업

형형 태태 KT 컨소시엄, SKT 컨소시엄 등 2개 컨소시엄 (80여개 업체) KT 컨소시엄, SKT 컨소시엄 등 2개 컨소시엄 (80여개 업체)

소 요

예 산

소소 요요

예예 산산 약 320억원 (정부 : 40억원, 컨소시엄 : 280억원)약 320억원 (정부 : 40억원, 컨소시엄 : 280억원)

주 요

서비스

주주 요요

서비스서비스 홈오토메이션, 홈시큐리티, 양방향 DTV, 인포테인먼트 등 45개홈오토메이션, 홈시큐리티, 양방향 DTV, 인포테인먼트 등 45개

Page 11: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참여업체간 역할 분담참여업체간참여업체간 역할역할 분담분담

K T 컨소시엄K T 컨소시엄

통 신 사통 신 사

S K T 컨소시엄S K T 컨소시엄 역 할역 할

방 송 사방 송 사

건 설 사건 설 사

KT, KTFKT, KTF

KBS, MBC,

Skylife

KBS, MBC,

Skylife

한국주택공사,

삼성물산,

현대건설

한국주택공사,

삼성물산,

현대건설

가 전 사가 전 사삼성전자,

린나이코리아,

위니아 만도

삼성전자,

린나이코리아,

위니아 만도

솔류션사솔류션사 코맥스, 에스원,

현대홈쇼핑 등

코맥스, 에스원,

현대홈쇼핑 등

공공기관공공기관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등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등

SKT, 하나로통신SKT, 하나로통신

SBS,

CJ 케이블넷

SBS,

CJ 케이블넷

대우건설

롯데건설,

LG건설

대우건설

롯데건설,

LG건설

LG전자,

대우일렉트로닉스

LG전자,

대우일렉트로닉스

SKC&C,

비트컴퓨터 등

SKC&C,

비트컴퓨터 등

부산광역시,

안산병원 등

부산광역시,

안산병원 등

통신망 및 연계 플랫폼 제공통신망 및 연계 플랫폼 제공

컨텐츠 제작 및 통신,방송

융합 기술 제공

컨텐츠 제작 및 통신,방송

융합 기술 제공

사이트 제공, 댁내 환경

구성 및 가구 유형별

서비스 적용

사이트 제공, 댁내 환경

구성 및 가구 유형별

서비스 적용

가전기기 연동 및

기기 호환성 확보 기여

가전기기 연동 및

기기 호환성 확보 기여

서비스, 기술 적용 및 개발서비스, 기술 적용 및 개발

대국민 홍보 및 산업화

행정지원, 공공서비스

개발 지원

대국민 홍보 및 산업화

행정지원, 공공서비스

개발 지원

구 분구 분

Page 12: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구축 사이트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구축구축 사이트사이트

KT 컨소시엄 : 500세대, SKT 컨소시엄 : 400세대KT KT 컨소시엄컨소시엄 : 500: 500세대세대, SKT , SKT 컨소시엄컨소시엄 : 400: 400세대세대

KT컨소시엄 : 100세대KTKT컨소시엄컨소시엄 : 100: 100세대세대

SKT컨소시엄 : 100세대SKTSKT컨소시엄컨소시엄 : 100: 100세대세대

KT컨소시엄 : 100세대KTKT컨소시엄컨소시엄 : 100: 100세대세대

SKT컨소시엄 : 100세대SKTSKT컨소시엄컨소시엄 : 100: 100세대세대

광주

부산

대구대전

서울/수도권

Page 13: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홈네트워크 제공 서비스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제공제공 서비스서비스

구 분 KT 컨소시엄KT 컨소시엄

편리서비스편리서비스

안전서비스안전서비스

윤택서비스윤택서비스

즐거운서비스즐거운서비스

공공서비스/기타

공공서비스/기타

SKT 컨소시엄SKT 컨소시엄

정보가전 제어,

생활기기 제어,

원격검침

정보가전 제어,

생활기기 제어,

원격검침

홈뷰어, 방문자 확인

재난방지, 침입탐지

홈뷰어, 방문자 확인

재난방지, 침입탐지

양방향 DTV, VOD,

IP-Multicasting,

네트워크게임

양방향 DTV, VOD,

IP-Multicasting,

네트워크게임

전자정부, TV기반 온라인 뱅킹전자정부, TV기반 온라인 뱅킹

원격제어,

원격검침

원격제어,

원격검침

가정안전, 가정방재,

건강체크, 건강상담, Care

가정안전, 가정방재,

건강체크, 건강상담, Care

통신/메시지, 원격교육,

화상전화, 지역/맟춤 정보

통신/메시지, 원격교육,

화상전화, 지역/맟춤 정보

PC 원격제어, VOD, 대화형 TV,

MOD, 네트워크 게임

PC 원격제어, VOD, 대화형 TV,

MOD, 네트워크 게임

전자투표, 교통정보전자투표, 교통정보

원격의료상담,

원격체력/건강진단

원격의료상담,

원격체력/건강진단

Page 14: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결과 주요 시사점(1/2)추진추진 결과결과 주요주요 시사점시사점(1/2)(1/2)

컨소시엄내 참여업체가 기기 및 서비스 호환성은 확보되었으나, 컨소시엄 간상호 연동 및 호환성 확보 필요

– 홈네트워크 플랫폼, 정보가전, 이동통신 등 사업자간 첨예한 이해관계로 프로토콜/ 망 개방에 소극적

컨소시엄내 참여업체가 기기 및 서비스 호환성은 확보되었으나, 컨소시엄 간상호 연동 및 호환성 확보 필요

– 홈네트워크 플랫폼, 정보가전, 이동통신 등 사업자간 첨예한 이해관계로 프로토콜/ 망 개방에 소극적

컨소시엄간 상호호환성 필요컨소시엄간 상호호환성 필요

T-Gov, 재난방지, 방범 등 공공성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공공부문과연계 미약-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회자본과 관련된 생활기반시설과 방재, 방법 등과 관련된공공서비스 연계 모델 발굴 필요

- 장애인, 노약자 등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

T-Gov, 재난방지, 방범 등 공공성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공공부문과연계 미약-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회자본과 관련된 생활기반시설과 방재, 방법 등과 관련된공공서비스 연계 모델 발굴 필요

- 장애인, 노약자 등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모델 발굴 필요

공공부문 서비스 모델 개발 강화공공부문 서비스 모델 개발 강화

Page 15: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결과 주요 시사점(2/2)추진추진 결과결과 주요주요 시사점시사점(2/2)(2/2)

사생활 침해, 유해 트래픽, 보안취약성 등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및 보급/확산저해 요소 제거를 위한 보안기능 강화 필요

–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별 보안 요구사항 및 기준 도출을 통해 개인 정보 및 사생활 보호기능 강화 필요

사생활 침해, 유해 트래픽, 보안취약성 등 홈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및 보급/확산저해 요소 제거를 위한 보안기능 강화 필요

– 홈 네트워크 구성요소별 보안 요구사항 및 기준 도출을 통해 개인 정보 및 사생활 보호기능 강화 필요

홈네트워크 보안성 강화홈네트워크 보안성 강화

이용행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핵심서비스 위주의 상용화모델 발굴 필요- 홈네트워크 서비스 확산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연계 방안 등 서비스 모델별 상용화추진전략 개발 필요

이용행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핵심서비스 위주의 상용화모델 발굴 필요- 홈네트워크 서비스 확산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산업연계 방안 등 서비스 모델별 상용화추진전략 개발 필요

킬러서비스 발굴킬러서비스 발굴

Page 16: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2005년 시범사업 추진계획2005년 시범사업 추진계획

Page 17: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개요추진추진 개요개요

사업 기간사업 기간 2005년 1월 ~ 2005년 12월2005년 1월 ~ 2005년 12월

시범 지역 및 규모시범 지역 및 규모 5대 지역 1,300 가구5대 지역 1,300 가구

총 사업비총 사업비 정부출연금 15억 원, 민간 재원 유치정부출연금 15억 원, 민간 재원 유치

통신, 방송, 건설, 가전, 솔류션 및 컨텐츠 제공 등 다양한 업체 참여를 통해홈네트워크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산업 활성화 촉진

홈네트워크 기기,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및 보안성을 시험, 검증하여, 중장기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전략 도출

대국민 홍보를 통한 디지털 홈에 대한 인식 제고

통신, 방송, 건설, 가전, 솔류션 및 컨텐츠 제공 등 다양한 업체 참여를 통해홈네트워크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산업 활성화 촉진

홈네트워크 기기,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및 보안성을 시험, 검증하여, 중장기

기술개발 및 표준화 추진전략 도출

대국민 홍보를 통한 디지털 홈에 대한 인식 제고

추진 목적추진 목적

Page 18: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전략추진추진 전략전략

1단계 사업결과 구축된 1,300가구를 기반으로 하되, 신규서비스 제공을 위해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규 가구 추가 가능

1단계 사업결과 구축된 1,300가구를 기반으로 하되, 신규서비스 제공을 위해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신규 가구 추가 가능

시범지역 및 규모시범지역 및 규모

기존 인프라의 활용 및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2개의컨소시엄과 협약체결을 우선 추진하되- 1단계(’03-’04) 사업결과 및 ’05년 계획을 평가하여 결정하며- 기존 컨소시엄이 탈락되는 경우, 1단계 시범사업 컨소시엄 선정 기준을 준용하여 신규컨소시엄을 선정

기존 인프라의 활용 및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2개의컨소시엄과 협약체결을 우선 추진하되- 1단계(’03-’04) 사업결과 및 ’05년 계획을 평가하여 결정하며- 기존 컨소시엄이 탈락되는 경우, 1단계 시범사업 컨소시엄 선정 기준을 준용하여 신규컨소시엄을 선정

컨소시엄 구성 및 평가컨소시엄 구성 및 평가

사업비용은 정부와 민간의 공동출자(매칭펀드)방식으로 조달하되, 정부출연금의 2배 이상을 분담

정부재원은 공공부문의 시범서비스 모델 발굴,적용에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중소기업 등의 응용서비스 개발, 호환성 및 보안성 확보를 위해 지원 가능

사업비용은 정부와 민간의 공동출자(매칭펀드)방식으로 조달하되, 정부출연금의 2배 이상을 분담

정부재원은 공공부문의 시범서비스 모델 발굴,적용에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중소기업 등의 응용서비스 개발, 호환성 및 보안성 확보를 위해 지원 가능

재원분담 및 정부재원재원분담 및 정부재원

Page 19: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내용(1/3)추진추진 내용내용(1/3)(1/3)

BcN 및 IPv6 등 신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개발보안성 강화 및 기기/서비스간 상호호환성 확보방안 강구시범사업에서 발굴된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를 통해 산업활성화 지원

BcN 및 IPv6 등 신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개발보안성 강화 및 기기/서비스간 상호호환성 확보방안 강구시범사업에서 발굴된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를 통해 산업활성화 지원

추진 내용추진 내용

신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기존 서비스 고도화- BcN, IPv6, RFID 등 IT839 전략과 연계하여 고도화된 서비스 발굴 및 적용- 1단계 시범서비스 이용행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서비스의 질적 향상 추진

공공부문 연계 및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개발 추진-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회자본성 시설과 방재, 방범 등과 관련된 공공서비스 연계모델 발굴 추진

- 장애인, 노약자 등 정보 소외계층 대상의 서비스 모델 발굴 추진

신기술 기반의 고도화된 서비스 모델 발굴 및 기존 서비스 고도화- BcN, IPv6, RFID 등 IT839 전략과 연계하여 고도화된 서비스 발굴 및 적용- 1단계 시범서비스 이용행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서비스의 질적 향상 추진

공공부문 연계 및 정보 소외계층을 위한 서비스 개발 추진- 가스, 전기 수도 등의 사회자본성 시설과 방재, 방범 등과 관련된 공공서비스 연계모델 발굴 추진

- 장애인, 노약자 등 정보 소외계층 대상의 서비스 모델 발굴 추진

시범 서비스 제공시범시범 서비스서비스 제공제공

Page 20: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내용(2/3)추진추진 내용내용(2/3)(2/3)

홈게이트웨키, 홈서버 등에서 전자적 침해로부터 댁내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보안 기능 및 안정성 확보 추진- 가정내 디바이스 등의 정보보안을 위해 접근/ 권한 관리, 기밀성 및 무결성을 확보하는다양한 요소 기술 검토

홈네트워크 구성요소별 보안 요구사항 도출 및 기준 적용으로 개인 정보 및사생활 보호기능 강화

홈게이트웨키, 홈서버 등에서 전자적 침해로부터 댁내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보안 기능 및 안정성 확보 추진- 가정내 디바이스 등의 정보보안을 위해 접근/ 권한 관리, 기밀성 및 무결성을 확보하는다양한 요소 기술 검토

홈네트워크 구성요소별 보안 요구사항 도출 및 기준 적용으로 개인 정보 및사생활 보호기능 강화

홈네트워크 보안성 강화홈네트워크홈네트워크 보안성보안성 강화강화

다양한 기기,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이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 컨소시엄내 상호호환성 확보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 및 추진하며, 컨소시엄간 상호호환성 문제 해결도 추진

- 시범사업에서 검증된 기술 규격을 업계 표준으로 제안하여 국내 홈네트워크 기술의표준화 조기 추진 지원

호환성 및 신기술을 시험/검증할 수 있는 공동시험환경 구축- 시범사업의 장비 및 서비스의 보안성, 호환성, 성능 등을 시험/검증할 수 있는 환경 구축- IT839와의 연계된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요/시험할 수 있는 환경 마련

다양한 기기, 서비스간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이행계획을 단계적으로 추진- 컨소시엄내 상호호환성 확보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 및 추진하며, 컨소시엄간 상호호환성 문제 해결도 추진

- 시범사업에서 검증된 기술 규격을 업계 표준으로 제안하여 국내 홈네트워크 기술의표준화 조기 추진 지원

호환성 및 신기술을 시험/검증할 수 있는 공동시험환경 구축- 시범사업의 장비 및 서비스의 보안성, 호환성, 성능 등을 시험/검증할 수 있는 환경 구축- IT839와의 연계된 신기술을 선도적으로 적요/시험할 수 있는 환경 마련

상호 연동 및 호환성 확보 추진상호상호 연동연동 및및 호환성호환성 확보확보 추진추진

Page 21: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추진 내용(3/3)추진추진 내용내용(3/3)(3/3)

홈네트워크 상용화에 필요한 이용자 요구 사항 파악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위하여 이용자 행태 분석 실시- 서비스별 활용도 및 사용 후 선호도 분석, 시장반응 조사 등을 통한 핵심 어플리케이션및 타켓 소비층 분석

- 서비스 이용현황 분석을 통한 상용화 고려사항을 도출 및 관련업계에 공개하여 서비스모델 개발 및 개선에 활용

이용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위주로 상용화 모델 적용 추진- 서비스 모델별 상용화 추진을 위한 산업연계모델 제시로 홈네트워크 서비스 확산 및산업 발전 유도

인증제도 시행방안 마련- 1단계에서 결과물인 홈 네트워크 인증제도(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도도입 및 시행을위한 세부 시행방안 마련 추진

컨소시엄별로 외부인이 참관할 수 있고, 신규 개발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는시범가구 확보/운영

홈네트워크 상용화에 필요한 이용자 요구 사항 파악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위하여 이용자 행태 분석 실시- 서비스별 활용도 및 사용 후 선호도 분석, 시장반응 조사 등을 통한 핵심 어플리케이션및 타켓 소비층 분석

- 서비스 이용현황 분석을 통한 상용화 고려사항을 도출 및 관련업계에 공개하여 서비스모델 개발 및 개선에 활용

이용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위주로 상용화 모델 적용 추진- 서비스 모델별 상용화 추진을 위한 산업연계모델 제시로 홈네트워크 서비스 확산 및산업 발전 유도

인증제도 시행방안 마련- 1단계에서 결과물인 홈 네트워크 인증제도(안)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도도입 및 시행을위한 세부 시행방안 마련 추진

컨소시엄별로 외부인이 참관할 수 있고, 신규 개발 기술 등을 적용할 수 있는시범가구 확보/운영

이용 활성화 여건 조성이용이용 활성화활성화 여건여건 조성조성

Page 22: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향후 추진 일정향후향후 추진추진 일정일정

• 2005년 3월 : 시범과제 제안요청 및 컨소시엄 협약 체결

• 2005년 4월 ~ : ’05년도 시범서비스 과제 착수

• 2005년 6월 ~ : 공동시험환경 구축 완료 및 운영

• 2005년 7월 ~ : 신규 서비스 제공

• 2005년 9월 ~ 10월 : 시범서비스 만족도 조사

• 2005년 11월 : ’05년도 시범서비스 과제 완료

• 2005년 12월 : ’06년도 사업계획 수립

• 2005년 3월 : 시범과제 제안요청 및 컨소시엄 협약 체결

• 2005년 4월 ~ : ’05년도 시범서비스 과제 착수

• 2005년 6월 ~ : 공동시험환경 구축 완료 및 운영

• 2005년 7월 ~ : 신규 서비스 제공

• 2005년 9월 ~ 10월 : 시범서비스 만족도 조사

• 2005년 11월 : ’05년도 시범서비스 과제 완료

• 2005년 12월 : ’06년도 사업계획 수립

향후 추진 일정향후 추진 일정

Page 23: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Ⅱ. 홈네트워크 융자사업 계획Ⅱ. 홈네트워크 융자사업 계획

Page 24: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융자 사업 개요융자융자 사업사업 개요개요

사업목적

통신, 방송, 건설 및 서비스 개발 등 다양한 홈 네트워크 관련 업체들의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소요되는 자금을 융자 지원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산업의 활성화 및 서비스 보급 촉진 지원

소요예산 : 550억원(통신사업특별회계 융자지원)

※ ’04년 실적 : 9개 업체의 인프라 구축 및 응용서비스 개발에 948.5억원 지원

사업내용

홈 네트워크 관련업체들의 홈 네트워크용 통신설비, 홈게이트웨이, 홈 서버등의 인프라 구축비용과 홈 네트워크 관련 응용서비스 개발에 소요되는자금의 일부를 저리로 융자지원

사업목적

통신, 방송, 건설 및 서비스 개발 등 다양한 홈 네트워크 관련 업체들의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소요되는 자금을 융자 지원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산업의 활성화 및 서비스 보급 촉진 지원

소요예산 : 550억원(통신사업특별회계 융자지원)

※ ’04년 실적 : 9개 업체의 인프라 구축 및 응용서비스 개발에 948.5억원 지원

사업내용

홈 네트워크 관련업체들의 홈 네트워크용 통신설비, 홈게이트웨이, 홈 서버등의 인프라 구축비용과 홈 네트워크 관련 응용서비스 개발에 소요되는자금의 일부를 저리로 융자지원

Page 25: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융자 사업 추진방안융자융자 사업사업 추진방안추진방안

기본방향

- 인프라 구축 및 응용서비스 개발간 재원배분은 시장수요 등을 고려하여신축적으로 운용

- IPv6 등 신기술 도입업체,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 컨소시엄 참여업체 및인프라 구축 융자시 다수 응용서비스 개발업체가 참여하는 경우에 대해우대 지원

지원대상 및 분야

- 통신, 건설, 방송, 가전 등 홈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업체. 아파트, 주상복합, 일반주택 등의 통신망 구축 및 통신관련 장비 구축 재원. 홈게이트웨이, 홈서버, 방범, 보안, 원격제어 등 홈 네트워크 관련 장비 보급 재원

-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 개발 추진 업체

기본방향

- 인프라 구축 및 응용서비스 개발간 재원배분은 시장수요 등을 고려하여신축적으로 운용

- IPv6 등 신기술 도입업체, 홈 네트워크 시범사업 컨소시엄 참여업체 및인프라 구축 융자시 다수 응용서비스 개발업체가 참여하는 경우에 대해우대 지원

지원대상 및 분야

- 통신, 건설, 방송, 가전 등 홈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업체. 아파트, 주상복합, 일반주택 등의 통신망 구축 및 통신관련 장비 구축 재원. 홈게이트웨이, 홈서버, 방범, 보안, 원격제어 등 홈 네트워크 관련 장비 보급 재원

- 홈 네트워크 응용서비스 개발 추진 업체

Page 26: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융자 사업 지원조건융자융자 사업사업 지원조건지원조건

융자금리

- 인프라 구축 : 전분기 재특금리 (비중소기업 : +0.5%)- 응용서비스개발 : 전분기 재특금리-0.75% (비중소기업 : -0.25%)* 2004년 4사분기 재특금리 : 3.09%

융자기간 : 5년(2년 거치 3년 분할상환)

지원범위 : 소요재원의 90% 이내

지원한도- 인프라 구축 : 업체당 100억원 이내- 응용서비스 개발 : 업체당 20억원 이내

지원방식 : 선융자 후정산

특이사항 : 응용서비스개발 자금의 경우 기술담보대출 제도 시행

융자금리

- 인프라 구축 : 전분기 재특금리 (비중소기업 : +0.5%)- 응용서비스개발 : 전분기 재특금리-0.75% (비중소기업 : -0.25%)* 2004년 4사분기 재특금리 : 3.09%

융자기간 : 5년(2년 거치 3년 분할상환)

지원범위 : 소요재원의 90% 이내

지원한도- 인프라 구축 : 업체당 100억원 이내- 응용서비스 개발 : 업체당 20억원 이내

지원방식 : 선융자 후정산

특이사항 : 응용서비스개발 자금의 경우 기술담보대출 제도 시행

Page 27: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융자 사업 추진일정융자융자 사업사업 추진일정추진일정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 신청서 접수, 평가 및 선정* 문의처 : 융자사업팀(042, 869-1491~7)

• 접수위탁기관(체신청, 기술신보) : 접수, 심사, 평가 및 추천(체신청: 접수)

• 융자취급은행 : 지원대상사업체에 자금 대출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 신청서 접수, 평가 및 선정* 문의처 : 융자사업팀(042, 869-1491~7)

• 접수위탁기관(체신청, 기술신보) : 접수, 심사, 평가 및 추천(체신청: 접수)

• 융자취급은행 : 지원대상사업체에 자금 대출

추진 체계추진추진 체계체계

• 2005년 2월 : 사업공고 및 사업설명회 개최

• 2005년 2월 ~ : 사업시행

• 2005년 : 지속적인 홍보 추진

• 2005년 2월 : 사업공고 및 사업설명회 개최

• 2005년 2월 ~ : 사업시행

• 2005년 : 지속적인 홍보 추진

향후 추진 일정향후 추진 일정

Page 28: 홈네트워크시범사업및융자사업계획사생활침해, 유해트래픽, 보안취약성등홈네트워크서비스이용및보급/확산 저해요소제거를위한보안기능강화필요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