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22
199 영어교육 6922014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 권오량 (서울대학교) Kwon, Oryang. (2014).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research by Korean scholars of English education. English Teaching, 69(2), 199-220.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research by Korean scholars of English education. The main focus was on the extent to which active scholars focus on their primary major areas. The study surveyed 11 journals of major academic societies in Korea, and analyzed a total of 5,072 research papers written by 1,639 schol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opular topic was acquisition/learning (19.30%), followed by English (applied) linguistics (17.90%), English materials (14.59%), teaching methodology (12.03%), and learning psychology (10.11%), the top five collectively comprising 73.93% of the total papers. The 99 most productive scholars published 1.01 papers per year on average. Younger scholars published more papers per year on average than older scholars. As for the concentrated efforts in their primary areas of research, the top 99 scholars wrote 46.84% of their papers on their primary areas, and 20.03% on their secondary areas of study. Younger scholars concentrated more efforts on their primary areas than older scholar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Key words: 영어교육 연구(English education research), 2언어 연구(L2 research), 연구 방법(research method), 연구 주제(research topic) 1. 서론 연구(research)어떤 연구 대상과 주제를 가지고 행하는 개별 연구가 대부분 차지하지만, 여러 연구 자체들을 살펴보는 조감적 연구도 있다. 이런 조감적 연구에는 메타분석(meta-analysis), 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그리고 역사적 (historical research) 방법이 있다. 메타분석은 여러 연구 결과들을 관통하는 패턴이 있는지, 결과들이 어디서 서로 다른지, 중요하고 흥미 있는 관계가 * 연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간접연구경비를 지원받아 수행된 것으로, 연구에 제시된 관점 내용 등은 연구자의 독자적인 의견으로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공식적인 견해가 아닙니다. Book Centre 교보문고 KYOBO

Upload: others

Post on 03-May-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년 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권오량

(서울대학교)

Kwon, Oryang. (2014).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research by

Korean scholars of English education. English Teaching, 69(2), 199-220.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cademic research by

Korean scholars of English education. The main focus was on the extent to which

active scholars focus on their primary major areas. The study surveyed 11 journals of

major academic societies in Korea, and analyzed a total of 5,072 research papers

written by 1,639 schol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opular topic was

acquisition/learning (19.30%), followed by English (applied) linguistics (17.90%),

English materials (14.59%), teaching methodology (12.03%), and learning psychology

(10.11%), the top five collectively comprising 73.93% of the total papers. The 99 most

productive scholars published 1.01 papers per year on average. Younger scholars

published more papers per year on average than older scholars. As for the concentrated

efforts in their primary areas of research, the top 99 scholars wrote 46.84% of their

papers on their primary areas, and 20.03% on their secondary areas of study. Younger

scholars concentrated more efforts on their primary areas than older scholars.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future research.

Key words: 영어교육 연구(English education research), 제2언어 연구(L2

research), 연구 방법(research method), 연구 주제(research topic)

1. 서론

연구(research)는 어떤 연구 대상과 주제를 가지고 행하는 개별 연구가 대부분

을 차지하지만, 여러 연구 자체들을 살펴보는 조감적 연구도 있다. 이런 조감적

연구에는 메타분석(meta-analysis), 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그리고 역사적 연

구(historical research) 방법이 있다. 메타분석은 여러 연구 결과들을 관통하는 어

떤 패턴이 있는지, 결과들이 어디서 서로 다른지, 중요하고 흥미 있는 관계가

*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간접연구경비를 지원받아 수행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점 및 내용 등은 연구자의 독자적인 의견으로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닙니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2: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00 권오량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하는 연구 방법이다. 가장 보편적인 목적은 연구의 결과

로 얻어지는 현상이 실제 모집단에 어느 정도로 나타나는가 하는 소위 효과크

기(effect size)를 알아보는 것이다. 영어교육학에서는 49편의 연구를 메타분석 하

여 명시적 제2언어 교수가 암시적 교수보다 더 효과적임을 밝힌 Norris와

Ortega(2000)의 연구가 그 예가 될 수 있다.

통계분석은 여러 기존 연구들을 통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전체 그림

이나 특정 연구의 변천 혹은 경향을 파악하는데 사용한다. 연구자의 목적에 따

라서 다양한 분석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통계분석에서 연구 결과들을 분류,

분석하는 데는 추론적 통계(inferential statistics)보다는 기술적 통계(descriptive

statistics)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편이다.

역사적 연구는 일반적으로 정성적 연구의 일부라고 간주하지만 (Borg & Gall,

1989),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통계도 활용하여 그 발전 방향, 특성 등을 조

감한다.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조감적인 연구를 영어교육학에 적용한 의미 있는

연구로는 1995년 한국영어교육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기획한 일련의 역

사적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영어교육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총 6개 분야로 나

누어서 정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같은 해 학회의 저널인 <영어교육>지에 개

별 논문으로 게재되었다(제 2장 참조). 같은 해에 이재희(1995)가 초등영어교육

연구들을 통계분석 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전체 혹은 일부 연구논문을

연구 대상이나 주제별로 분류하거나(김정렬, 2001; 김진완, 2000, 2004; 성명희,

남은희, 2010)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접근법을 취하였다 (김정렬, 2001,

송민종, 임정완, 2010; 이성희, 2005; 이은주, 2008; 차경환, 이원석, 심재황, 2005).

이들 연구는 논문들을 분석하면서, 주제나 방법 등을 분류하고 통계를 내거

나 서술하여 연구의 경향이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학문의 깊이 있는 발전을 위

해서는 각각의 영어교육학자가 자신의 전문 분야를 장기간 혹은 평생에 걸쳐서

깊이 있게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런 부분에 대한

조감적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의 경향과 함께, 영어교육학

자들이 자신의 전공분야에 대해 얼마나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는지

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연구의 특성과 경향은 어떠한가?

2) 한국의 영어교육학자들은 자신의 주 전공 분야에 대해 얼마나 집중적으

로 연구하는가?

2. 이전 연구에 대한 검토

1995년에 한국영어교육학회 창립 30주년을 기념하여, 학회 차원에서 기획 연

구 프로젝트로 학회지인 영어교육에 실린 과거의 논문들을 분야별로 분석을 한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3: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01

적이 있다. 이 프로젝트에는 총 5명의 학자가 참여하여 6개의 주제별 논문을

검토하였다. 배두본(1995a, 1995b)은 한국의 영어교육학의 발달과 초등영어 교육

의 발달을 다루었고, 김충배(1995)는 영어교육 연구방법의 발달을, 김임득(1995)

은 영어 습득과 학습 이론의 발달을, 권오량(1995)은 영어교수 방법과 교수 방

법론 연구의 변천을, 최용재(1995)는 영어능력 평가의 발전과정을 다루었다. 그

후 10년이 지난 2006년에는 다시 한국영어교육학회 40년간의 영어교육 게재 논

문들 중에서 박종원(2006)은 영어교육 말하기 논문의 40년사를 회고하고 있고,

박준언(2006)은 어휘교육 관련 논문들을, 오준일(2006)은 독해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학회 차원에서 실시한 유사한 통계분석 연구는 2005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0주년을 기념하여 이성희(2005)가 외국어교육에 실린 논문들에 대해 통계분석

한 연구가 있고, 2010년에 한국현대영어교육학회가 창립 1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회의 저널에 실린 논문들을 분석한 연구들이 있는데, 성명희와 남은희(2010)

는 현대영어교육에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실린 241편의 논문을 연구

분야, 주제, 연구 대상, 연구방법론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류란과 황선유

(2010)는 241편의 논문 중에서 준 실험연구 논문 40편을 골라서 역사적 흐름,

주된 주제 영역, 언어 기능, 연구 디자인 측면에서 분석을 하였다. 한편 송민종

과 임정완(2010)은 문해(literacy)관련 논문 38편을 골라서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의 능숙도, 연구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학자의 연구들도 상당 수 있다. 이들 연구들은 특정한 범위, 혹은 주제

를 중심으로 특정 저널들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이재희(1995)는 초등영어교육

에 관련된 논문들을 종합하여서 어느 분야, 어느 주제의 연구들이 얼마나 이루

어졌는지 통계분석하고 있고, 김정렬(2001)은 한국초등영어 교육학회, 한국영어

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영남영어교육학회(현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호

남영어교육학회(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한국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의 저널

에 게재된 초등영어교육을 다룬 논문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김진완(2000,

2004)은 한국영어교육학회의 저널인 영어교육과 TESOL의 저널인 TESOL

Quarterly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방법론 및 연구내용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고, 김지영(2007)은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한국영어교육학회의 2003년-2007년(1호) 저널에 실린 CALL 관련 논문들을 대

상으로 조사설계, 연구대상, 연구참여자수, 연구기간, 연구에 사용된 테크놀로지,

가르친 언어, 지도된 언어기술 및 언어영역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한편 김경석

(2006)은 영어교육에 실린 학술논문들이 인용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있고, 차경

환, 이원석, 심재황(2005)은 영어교육에 실린 듣기 논문들을 정리하고 분석하며,

이은주(2008)는 영어교육과 응용언어학 분야에서의 코퍼스 기반 연구들을 분석

하고 있다.

특정한 주제는 아니고,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로는 유현정(2006)의 연

구가 있다. 유현정은 한국영어교육학회, 응용언어학회, 외국어교육학회지에 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4: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02 권오량

린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간의 논문 총 1,091편을 연구자, 연구 주제, 연

구 방법, 연구 대상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하였듯이, 이상 소개한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연구 논문들

의 여러 측면에 대해 통계분석을 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

어교육학자들이 학문연구의 특성 및 경향과 더불어 연구의 초점을 주 전공 분

야에 대한 연구의 집중도(지속성)에 맞춘다.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조사연구이고 조감적 연구이므로, 기본적으로 문헌 조사와 분석이

주된 연구 방법이다. 연구의 대상과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3.1. 연구의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의 영어교육 관련 저널에 실린 연구 논문들이었다. 구

체적으로는 국내 영어교육 관련 11개 주요 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널에 실린 논

문들인데, 조사 대상 저널은 표1과 같다. 제시의 순서는 창간 연도순이다.

한국의 영어교육학자들이 연구업적(논문)을 발표 할 수 있는 마당은 표 1에

나열한 저널 이외에도 더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초기에는 영어교육관련 논문이

한국영어영문학회의 저널에도 가끔 투고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국영어영

문학회의 저널은 현재로는 영어교육관련 저널로 간주하기 어려워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국제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는 학자들도 근래에는 그 숫자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논문은 여전히 소수여서, 한국의 영어교육

학자들의 연구 경향을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렵고, 현실적으로 모든 국제 저널

을 조사해서 한국 학자들의 논문을 찾아내기가 불가능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에서 출간되는 저널로 제한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저널 중에서 한국응용언어학회지, 한국외국어교육학회지와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지에는 영어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교육과 관련된

논문도 게재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논문은 영어교육 논문이므로 이들 저

널도 조사의 대상에 포함하였다(실제 조사에서는 다른 언어 교육 논문은 배제

하였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5: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03

표 1

조사 대상 학회의 저널과 조사 대상 연도

번호 학회 명 (한국어) 학회 영문이

름 약어저널이름

조사대상연도*

조사대상 저널 권(호)

1 한국영어교육학회 KATE 영어교육 1968 - 2013 4-68(1) 2 한국응용언어학회 ALAK 응용언어학 1983 - 2013 1-29(1) 3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PKETA 영어교육연구 1992 - 2013 1-25(1) 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KAFLE 외국어교육 1995 - 2013 1-20(1) 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KAPEE 초등영어교육 1995 - 2012 1-18(3)

6 글로벌영어교육학회 GETA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996 – 2012 1(1)-17(2)

7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KAMALL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1998 - 2012 1(1)-15(3)

8 현대영어교육학회 MEESO 현대영어교육 2000 – 2012 1(1)-13(4) 9 영상영어교육학회 STEM STEM Journal 2000 – 2013 1-14(1) 10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KEES 영어교과교육 2002 – 2013 1(1)-12(1)

11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KASEE Secondary English Education

2008 – 2012 1(1)-5(2)

* 일부 저널은 데이터 수집 당시에 2013년도의 저널이 학회의 홈페이지에 탑재되지 않

아서 2012년까지만 조사하였다.

3.2. 조사 방법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문헌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연구

대상이 된 저널들에 수록된 논문들의 저자와 제목들을 정리하였다. 한 논문의

저자가 복수인 경우에는 제 1 저자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이유는 본

연구가 영어교육학자들의 연구 특성, 주제의 집중도 및 경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제 1 저자가 해당 논문의 주제와 방법을 결정하는 일차적인 권한과 책

임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자료 수집 절차는 각 학회의 홈 페이지에 나온 저널의 논문 목록을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자료에 들어 가는 내용은 (1) 연도, (2) 저널 이름, (3) 권수,

(4) 호수, (5) 게재 페이지, (6) 저자 이름 (복수 저자 포함), (7) 논문 제목이었다.

일차적으로는 학회의 저널 별로 엑셀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

를 만들었다. 다음에는 학회의 저널 안에서 저자를 기준으로 정렬하여서 총 몇

명의 저자가 참여하였는지, 그리고 동일 저자가 몇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는지

를 분석하였다. 다음에는 전체 11개 저널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통합하여

서, 저자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동일 저자의 논문을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의 분류를 위해서는 유현정(2006)의 주제 분류표와 성명희와 남은

희(2010)의 분류표를 참조하였다. 유현정(2006)은 16개의 분석 요목을 정하고,

각각의 분석 유목 아래에 세부 유목을 두었다. 분석 유목으로는 (1) 영어교육일

반, (2) 교육과정/교수요목, (3) 영어교수 방법론, (4) 사회언어학, (5) 학습심리, (6)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6: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04 권오량

언어기능, (7) 문법/습득, (8) 발음, (9) 어휘, (10) 상호 교류, (11) 조기/초등영어,

(12) 대학/일반영어, (13) 평가, (14) 멀티미디어, (15) 교재, (16) 교사교육을 설정

하였다. 한편 성명희와 남은희(2010)는 영어교육, 영어학, 영문학, 영어통번역학

이라는 네 개의 연구 영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하위 연구 주제를 설정

하였다. 즉, 영어교육 영역에는 영어교육현황, 정책/교육과정, 영어교재, 영어습

득/학습, 영어교수법, 평가를 주제로 설정하고, 영어학 영역에는 음운론, 화용론,

통사 및 의미론, 응용언어학, 영어대조분석을 하위 주제로 설정하고, 영문학 영

역에는 영미소설, 영미희곡, 영미시를 주제로 잡았으며, 영어통번역학 영역은

하위 주제를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 영역에는 성명희와 남은희(2010)

분류 체계를 응용하고, 그 안에 세부 영역에서는 유현정(2006)의 분석 요목과

세부 유목들을 응용하여 표 2와 같은 분류표를 만들어서 주제를 분석하였다.

표 2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주제 분류표

중 영역 주제 세부 영역 주제

1. 영어교육현황 1.1 영어교육 일반, 1.2 영어 조기교육, 1.3 영어몰입교육, 1.4 기타

2. 정책/교육과정 2.1 정책, 2.2 교육과정, 2.3 교수요목, 2.4 기타 3. 영어교재 3.1 교재, 3.2 멀티미디어/IT, 3.3 기타

4. 영어습득/학습 4.1 문법, 4.2 발음, 4.3 어휘, 4.4 언어기능, 4.5 학습일반, 4.6 기타

5. 학습심리 5.1 동기, 5.2 불안, 5.3 태도, 5.4 인식, 5.5 신념, 5.6 스타일, 5.7 책략, 5.8 자율성, 5.9기타

6. 영어교수법 6.1 교수방법 일반, 6.2 기능별 교수법, 6.3 기타 7. 평가 7.1 평가 일반, 7.2 언어기능평가, 7.3 기타 8. 교사 8.1 교사교육, 8.2 교사인식, 8.3 협동 수업, 8.4 기타 9. 연구 9.1 연구방법, 9.2 연구경향, 9.3 기타

10. 영어학 10.1 음운론, 10.2 화용론, 10.3 통사론, 10.4 의미론, 10.5 응용언어학, 10.6 대조분석, 10.7 영어학과 영어교육, 10.8 기타

11. 영문학 11.1 영문학, 11.2 영문학과 영어교육, 11.3 기타

이 표에서 중 영역별로 마지막에 있는 “기타”라는 부분은, 해당 중 영역에 속

하지만, 제시된 세부 영역에는 해당하지 않는 주제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분류표는 분류의 편의를 위해서 정한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그

러나 이 중 영역 분류와 세부 영역들이 영어교육학 및 관련 분야의 거의 대부

분을 포함한다고 보아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다고 보았다. .

4. 결과 및 논의

여기서는 연구 논문의 수, 저자 수, 사용 언어, 주제, 주제와 대한 연구 집중

도 등에 관해 차례로 결과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한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7: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05

4.1. 저널 별 게재 논문 총수

일차적인 조사 결과는 각 저널에 실린 논문의 총수와 참여 저자 수이다. 그

리고 이 논문 중에서 단독 저자 논문 수와 복수 저자 논문 수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11개 저널에 실린 논문의 총 수는 5,317편이었고, 참여 저자는 총

2,983명이었다. 이중에 단독 저자 논문이 4,042편, 복수 저자의 논문이 1,275명

이었다. 이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학회 저널 별로 게재된 논문의 총 수와 참여 저자 수, 단독 및 복수 저자 논문 수

번호 학회 명 (한국어) 총 게재논문 수

총 참여저자 수

단독 저자논문 수

복수 저자논문 수

1 한국영어교육학회 1,424 668 1,230 194 2 한국응용언어학회 583 363 475 108 3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653 356 481 172 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674 356 495 179 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377 217 216 161 6 글로벌영어교육학회 335 246 240 95 7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361 210 241 120 8 현대영어교육학회 378 225 285 93 9 영상영어교육학회 253 139 221 3210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14 143 118 9611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5 59 40 25

계 5,317 2,983 4,042 1,275

4.2. 논문 작성에 사용된 언어

다음에는 논문 작성에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초기에는 한국어

로 쓴 논문이 많았으나, 차츰 영문으로 쓴 논문이 증가하게 되었다. 표 4는 저

널 별로 본 국문 논문 수와 영문 논문 수를 보여준다.

표 4

논문 작성에 사용한 언어로 본 저널 별 게재 논문 수

번호 학회 명 (한국어) 논문 총수 국문 논문(%) 영문 논문(%)

1 한국영어교육학회 1,424 543(38.13) 881(61.87) 2 한국응용언어학회 583 194(33.28) 389(66.72) 3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653 340(52.07) 313(47.93) 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674 375(55.64) 299(44.36) 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377 303(80.37) 74(19.63) 6 글로벌영어교육학회 335 236(70.45) 99(29.55) 7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361 172(47.65) 189(52.35) 8 현대영어교육학회 378 214(56.61) 164(43.39) 9 영상영어교육학회 253 147(58.10) 106(41.90)10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14 161(75.23) 53(24.77)11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5 48(73.85) 17(26.15)

계 5,317 2,733(51.40) 2,584(48.60)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8: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06 권오량

한국응용언어학회와 한국영어교육학회의 저널은 영문 논문의 비중이 60%를

넘는다. 한국영어교육학회의 경우, 초기에는 한국어, 영어에 대한 규정이 없다

가, 연 4회 저널이 발간되면서 3호를 국제호로 하여서 영문 논문만 게재하도록

하였다. 그 후 1, 3호를, 그리고 다시 1, 3, 4호를 국제호로 바꾸었는데, 2호에도

영문 논문이 많이 실리고 있다. 이에 비해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글로벌영어

교육학회,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와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의 저널은 상대적으로

한국어 논문의 비중이 70%를 넘어서 크다. 이들 4개 학회 저널의 독자가 상당

부분 초등 혹은 중등 영어교사일 가능성이 크고, 이런 독자들이 학술 논문을

영어로 읽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둔 저자들의 배려라고 볼 수

있다.

근래에는 영문 논문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이

최근 논문 작성에 사용한 언어에 대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난 5년간의 한

국어 논문과 영어 논문의 비중을 학회 별로 비교하여 보았다. 표 5는 최근 5년

간 각 저널에 실린 국문 논문과 영문 논문의 수와 백분율을 보여준다.

표 5

최근 5년간 논문 작성에 사용한 언어로 본 저널 별 논문 수

번호 학회 명 5년 게재논문 총수

국문 논문 수(%) 영문 논문 수(%)

1 한국영어교육학회* 244 38(15.57) 206(84.43) 2 한국응용언어학회* 224 45(20.09) 179(79.91) 3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63 109(41.44) 154(58.56) 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26 130(57.52) 96(42.48) 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55 122(78.71) 33(21.29) 6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04 59(56.73) 45(43.27) 7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39 57(41.01) 82(58.99) 8 현대영어교육학회 206 109(52.91) 97(47.09) 9 영상영어교육학회* 113 58(51.33) 55(48.67)10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33 91(68.42) 42(31.58)11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5 48(73.85) 17(26.15)

계 1,872 866(46.26) 1,006(53.74)

* 별표(*) 한 학회는 2013년도 1호까지 자료가 탑재되어 있어서 이것도 포함하였다.

표 4와 표 5의 결과를 비교하면, 그림 1에서 보는 것처럼 최근에 영어 논문

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한국영어교육학회(KATE)와 응용언어학회(ALAK)의

논문은 각각 84.4%와 79.9%로 영문 논문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런 증가 현상은

한국의 중요 학회가 차츰 세계화하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한국의 영어교육학자들의 영어능력이 과거에 비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의미도 있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9: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07

그림 1

전체 논문과 최근 5년간 영문 논문의 백분율 비교(영문명은 표 1을 참고할 것)

4.3. 단수 논문 발표자와 복수 논문 발표자

다음에는 조사 대상 기간에 발표한 논문의 저자들에게 관심을 돌려서, 1편의

논문만을 발표한 단수 논문 발표자와 2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복수 논문 발

표자의 수를 파악해보았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복수 저자의 논문은 제1 저

자만 계산하였는데, 제1 저자가 논문의 성격을 결정하는 주체라고 보았기 때문

이다. 그리고, 이 조사에서는 외국인 저자들은 배제하였다. 외국인 저자의 경우,

한국 영어교육학자의 범주에 넣기가 애매하기 때문이었다. 11개 저널 별로 게재

논문 수, 총 참여 저자 수, 1편만 발표한 저자 수, 2편 이상 발표한 저자의 수는

표 6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편만 발표한 저자의 수는 1,832명으로

65.78%를 차지하였고, 2편 이상 발표한 저자는 953명으로 34.22%였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0: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08 권오량

표 6

저널 별 총 참여자 수, 1편 및 2편 이상 발표한 저자 수

번호 학회 명 (한국어) 총 게재논문 수

총 참여저자 수

1편만 발표한저자 수(%)

2편이상 발표한 저자 수(%)

1 한국영어교육학회 1,319 589 336 (57.05) 253 (42.95) 2 한국응용언어학회 556 344 242 (70.35) 102 (29.65) 3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633 338 208 (61.54) 130 (38.46) 4 한국외국어교육학회 668 351 204 (58.12) 147 (42.88) 5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371 213 150 (70.42) 63 (29.58) 6 글로벌영어교육학회 319 233 183 (78.54) 50 (21.46) 7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344 193 137 (70.98) 56 (29.02) 8 현대영어교육학회 372 221 143 (64.71) 78 (35.29) 9 영상영어교육학회 220 109 67 (61.47) 42 (38.53)10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5 135 106 (78.52) 29 (21.48)11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65 59 56 (94.92) 3 (5.08)

계 11개 학회 5,072 2,785* 1,832 *(65.78) 953 *(34.22)

* 위의 총계에서 총 참여 저자 수나 1편, 혹은 2편 이상 발표한 저자 수의 합계는 단순

합계이다. 즉 전체를 하나의 파일로 해서 다시 조사한 결과가 아니다.

4.4. 전체 11개 저널을 통합한 연구자 별 논문 수

이번에는 전체 11개 학회의 저널의 논문을 모두 통합하여서, 연구자 별로 논

문 발표의 총 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한국의 영어교

육학자의 학문적 활동의 특성과 경향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표 7

11개 저널 전체를 통합한 발표자의 논문 수 별 분포도

논문 총 수

저자 총 수

1편 발표자

2-5편발표자

6-10편발표자

11-15편 발표자

16-20편발표자

21-25편 발표자

26-30편 발표자

31편 이상 발표자

5,072 1,639 923 469 149 59 22 12 2 4 % 100 56.31 28.62 9.09 3.60 1.34 0.73 0.12 0.24

표 7에서 보면 저자의 총 수는 1,639명이다. 표 6에서는 저자의 총 수가

2,785명이었으나, 1,639명으로 줄어 든 것은, 복수의 저널에 따로 계산되었던 동

일 인물이 여기서는 한 명으로 간주 되었기 때문이다. 전체 논문의 저자들 중

에서, 1편만 발표한 저자가 전체의 56.31%인 923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이 2-5편을 발표한 저자가 469명(28.62%), 6-10편을 발표한 저자가 149명

(9.09%)이다. 이상의 세 집단을 합치면 1,541명으로 전체의 94.02%가 된다. 나

머지 99명(5.98%)은 11-15편이 59명(3.60%), 16-20편이 22명(1.34%), 21-25편이 12

명(0.73%), 26-30편이 2명(0.12%), 그리고 31편 이상이 4명(0.24%)이었다. 한국중

등영어교육학회를 제외한 모든 학회가 저널을 창간한 지 10년은 훨씬 넘었는데,

11편 이상의 논문을 쓴 저자가 전체의 5.98%라는 것은 학술활동이 활발하지 못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1: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09

하였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4.5. 주제별 분류

학회지 중에는 초등영어교육이나 멀티미디어언어교육처럼 특정한 분야를 위

한 학회지가 있기는 하지만, 많은 학회지가 일반적으로 영어교육에 관한 많은

분야의 논문을 게재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발표된 논문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봄으로써, 우리나라 영어교육학자들의 연구 경향의 일단을 볼 수 있다. 이에,

앞에서 제시한 분류표에 따라서 발표된 전체 논문들을 11개의 주제에 의해 분

류하였다. 표 8은 이 분류의 결과이다.1

표 8

주제별로 총 논문들의 수와 백분율

영어교육현황 정책/교육과정 영어교재 습득/학습 학습심리 교수법

262 (5.17%)

161 (3.17%)

740(14.59%)

979(19.30%)

513(10.11%)

610 (12.03%)

평가 교사 연구 영어학 영문학 계

330 (6.51%)

355 (7.00%)

60(1.18%)

908(17.90%)

154(3.04%)

5,072

영어 습득/학습 분야의 논문이 전체의 19.3%로 비중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이

영어학 분야가 17.9 %로 2위, 영어 교재가 14.59%로 3위, 영어교수법 분야가

12.03%로 4위, 학습심리 분야가 10.11%로 5위이다. 이 다섯 분야의 합계가

73.93%로, 전체의 4분의 3이다. 이 중에서 영어학 분야가 17.9%로 전체에서 2

위를 한 것은 순수 영어학보다는 응용언어학적인 논문이 많았기 때문이다. 나

머지는 교사(7%)가 6위, 평가(6.51%)가 7위, 영어교육현황(5.17%)이 8위, 정책/교

육과정(3.17%)이 9위, 영문학(3.04%)이 10위, 그리고 연구(1.18%)가 11위였다. 연

구 분야나 영문학의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예상 가능한 일이지만, 평가 분야

가 전체 논문의 6.51%인 것은 영어교육학에서 차지하는 평가의 비중을 고려할

때, 약간은 연구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위의 중 영역들을 다시 세부 영역들로 분류하여 보았다. 각각의

중 영역 안에서 다시 세부 영역을 살펴본 것은, 우리나라 영어교육계의 학문

연구의 지평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하고자 함이다. 그 결과는 표9와 같다. 세부영

역에서의 백분율은 해당 중 영역을 100%로 볼 때의 백분율이다.

먼저, 영어교육현황이라는 중 영역 안에서는 영어교육 일반 분야가 200편으

로 전체의 76.34%로 가장 많았고, 영어 조기교육이 23편(8.78%), 영어 몰입교육

1 주제분류를 2인 이상이 따로 하여 비교, 조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현실적인 제약으로 1인이 하였다. 그러나 중 영역 분류 후, 시간을 두고 세부 영역을 분류하면서 영역 분류를 재 조정함으로써 좀 더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2: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10 권오량

분야가 14편(5.34%), 기타가 25편(8.54%)이었다. 정책/교육과정 분야에서는 교육

과정이 111편으로 68.94%를 차지하였고, 정책 11편(6.83%), 교수요목 9편(5.59%),

기타 30편(18.63%)이었다.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이 다수이고 정책에 대한 관심은

아직은 미미한 편이다. 세 번째의 영어 교재 영역에서는 멀티미디어와 IT가

550편(74.32%)으로, 교재의 188편(25.41%)보다 세 배가 많다. 이렇게 멀티미디어

와 IT 분야의 비중이 높은 것은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의 저널이 별도로 있어

서, 이 세부 영역의 논문들만을 취급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 전체 영어

교육학계의 입장에서 볼 때, 약 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 분야의

연구는 상당히 활발하다고 할 수 있다.

표 9

중 영역을 세부 영역 주제로 나누어 본 논문 수와 백분율

중 영역 주제 세부 영역 주제

1. 영어교육현황 영어교육 일반: 200(76.34%), 영어 조기교육: 23(8.78%), 영어 몰입교육: 14(5.34%), 기타: 25(9.54%)

2. 정책/교육과정 정책: 11(6.83%), 교육과정: 111(68.94%), 교수요목: 9(5.59%), 기타:30(18.63%)

3. 영어교재 교재: 188(25.41%), 멀티미디어/IT: 550(74.32%), 기타: 2(0.27%)

4. 영어습득/학습 문법: 99(10.11%), 발음: 48(4.90%), 어휘: 112(11.44%),언어기능: 510(52.09%), 학습일반: 58(5.92%), 기타: 152(15.53%)

5. 학습심리 동기: 62(12.09%), 불안: 39(7.60%), 태도: 27(5.26%), 인식: 77(15.01%), 신념: 16(3.12%), 스타일: 10(1.95%), 책략: 149(29.04%), 자율성: 17(3.31%), 기타: 116(22.61%)

6. 영어교수법 교수방법 일반: 182(29.84%), 기능별 교수법: 388(63.61%), 기타: 40(6.56%)

7. 평가 평가 일반: 154(46.67%), 언어기능평가: 167(50.61%), 기타: 9(2.73%)

8. 교사 교사교육: 120(33.80%), 교사인식: 116(32.68%), 협동 수업: 20(5.63%), 기타: 99(27.89%)

9. 연구 연구방법: 19(31.67%), 연구경향: 16(26.67%), 기타: 25(41.67%)

10. 영어학

음운론: 75(8.26%), 화용론: 287(31.61%), 통사론: 162(17.84%), 의미론: 10(1.10%), 응용언어학: 356(39.21%), 대조분석: 9(0.99%), 영어학과 영어교육: 5(0.55%), 기타: 4(0.44%)

11. 영문학 영문학: 46(29.87%), 영문학과 영어교육: 108(70.13%), 기타: 0(0%)

습득/학습 영역과 학습심리 영역은 세부 주제의 수가 많은데, 습득/학습 영역

에서는 언어기능 분야의 논문이 510편(52.09%)으로 전체의 반을 넘었다. 그 다

음으로 어휘 112편(11.44%), 문법 99편(10.11%) 등이 이 영역 안에서 10% 이상

의 빈도를 보였다. 발음에 대한 연구 48편(4,90%)은 학습 일반에 대한 연구 58

편(5.92%)보다 적어서 학계에서의 관심은 그리 크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편, 학

습심리 영역은 어느 특정한 분야가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지는 않았는데, 책략

분야가 149편(29.04%)으로 가장 비중이 컸고, 그 다음이 학습자들의 인식(77편,

15.01%), 동기(62편, 12,09%) 등이 어느 정도 비중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3: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11

스타일(10편, 1.95%), 신념(16편, 3.12%), 자율성(17편, 3.31%) 등의 분야는 연구가

많지 않다.

실천적인 영역에 해당하는 교수법 영역과 평가 영역은 언어 기능 분야가 교

수법 일반론이나 평가 일반론 분야보다 비중이 더 높았다. 먼저 교수법 영역에

서는 기능별 교수법에 관한 논문이 388편(63.01%)로, 교수방법 일반 관련 논문

182편(29.84%)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교수법 연구의 핵심 분야가 바로 기능별

교수법이므로, 이런 경향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비해, 평가 영

역에서는 언어기능 평가 분야가 167편(50.61%)으로 평가 일반에 관한 논문 154

편(46.67%)보다 월등하게 많지는 않았다.

교사 영역의 연구에서는 교사교육 분야의 논문(120편, 33.80%)이 교사 인식

연구 논문의 수(116편, 32.68%)와 거의 비슷하였고, 협동 수업에 관한 논문(20편,

5.63%)은 미미하였다. 그리고, 영어교육연구 영역은 전체로도 논문이 그리 많지

않았는데, 연구 방법 분야의 논문(19편)이 연구 경향 분야의 논문 수(16편)와

비슷하였다.

영어교육과 관련된 학문 영역인 영어학과 영문학 분야는 전체 논문 수가 많

았는데, 우선 영어학 분야는 여러 세부 분야 중에서 응용언어학 분야(356편,

39.21%)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화용론(287편, 31.61%) 분야로, 이 두 분야가

영어학 영역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응용언어학이나 화용론

분야는 영어교육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통사론 관련 논

문 수(162편, 17.84%)가 음운론 관련 논문 수(75편, 8.26%)의 두 배인데, 앞의 교

수법 영역에서 문법 교수 논문(99편)이 발음 교수 논문(48편)보다 두 배 많은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그러나 영어학과 영어교육과의 관계를 다룬 논문은 5편

에 불과하여 적은 편이다. 영문학 영역에서는, 영문학을 영어교육에 활용하는

것에 관한 논문 수(108편, 70.13%)가 순수 영문학 논문 수(46편, 29.87%)보다 두

배 이상 많은데, 이는 영어교육학계의 연구 경향으로는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근래는 순수 영문학 논문은 영어교육학계의 저널에는 별로 게재되지 않으므로,

이들 순수 영문학 논문들은 현재의 영어교육학자들의 연구 경향으로 보기보다

는, 과거의 영어교육학 관련 저널의 역사적 흔적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영어교육학 전 영역의 모든 세부 주제들을 우리나라의 영

어교육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하겠다. 위의 표에

서 “기타”에 해당하는 더 많은 주제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부분들의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은 바람직하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4: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12 권오량

4.6. 다수 논문 발표자들

이제 본 연구의 범위를 좀 더 좁혀서, 다수 논문 발표자들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 그 이유는 아무래도 다수 논문 발표자들이 영어교육학계의 연구의 흐

름에 주도적인 기여를 하는 학자들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앞의

표7을 참조하여서, 11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99명을 선정하였다.2 그리고, 세

대별 경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최초 발표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학자들을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시대 구분에는 임의로, 영어교육학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전인 1990년 이전에 최초로 논문을 게재한 그룹을 “원로” 그룹,

1991년-2000년에 최초 게재한 그룹을 “중진” 그룹, 2001년 이후에 논문을 게재

하기 시작한 그룹을 “신진” 그룹이라고 편의상 명명하였다.

4.6.1. 상위 99명의 발표 논문 수

먼저 상위 99명의 논문 수를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상위 99명의 발표 논문 수 별 학자의 수

이들 상위 99명의 총 발표 논문 수는 1,645 편이다. 이를 99명으로 나누면 1

인당 평균 16.62 편의 논문을 발표한 셈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1위

와 99위 간의 차이가 56편으로 매우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상위에서 첫 6명

안에서도 1위가 67편인데 비해 6위는 26편으로 40편이라는 많은 격차가 있다.

그리고, 상위 6명이 쓴 논문의 총 수가 226편인데, 이들을 제외하면, 일인당 평

균 논문 수도 15.26편으로 줄어든다.

4.6.2. 상위 99명의 개인 연평균 논문 수

위의 전체 논문 수나 일인당 평균 논문 수는 시간이라는 변인을 고려하지 않

으면 별로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즉, 이 학자들이 일년에 몇 편의 논문을

2 11편 이상 발표자로 한정한 것은 그 인원 수가 99명으로, 상위 100명이라는 상징성에 근접하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논문 수 학자 수 논문 수 학자 수 논문 수 학자 수 논문 수 학자 수

67 1 25 3 19 1 13 10 41 1 24 2 18 4 12 16 32 1 23 2 17 7 11 12 31 1 22 2 16 6 29 1 21 3 15 9 26 1 20 4 14 12

논문 총계 1,645 학자 총계 99명 일인당 평균 16.62편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5: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13

발표하였는지가 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인 연평균 논문 수

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상위 99명의 논문발표 햇수3 및 연평균 발표 논문 수

집단 시작연도 학자 수 총 햇수 총 논문 수 개인 연평균 논문 수

원로 1990 이전 21 490 331 0.68 중진 1991-2000 61 963 1,074 1.12 신진 2001 이후 17 176 240 1.36

계 99 1,623 1,645 1.01

표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로 학자들은 개인 연평균 0.68편의 논문을 발표

한 데 비해 중진학자들은 개인 연평균 1.12편으로 많아졌고, 신진학자들은 개인

연평균 1.36편으로 원로 학자들 평균의 두 배이다. 이러한 경향은 영어교육학

분야뿐만 아니라, 근래에 전반적으로 대학 등에서 연구 실적이 재임용, 승진,

성과급 지급 등에 중요한 심사 자료가 되면서 나타난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4.6.3. 상위 99명의 연구 주제들

이번에는 상위 99명의 주제별 논문 수와 취급한 주제 영역의 수를 조사하였

다. 이를 통해 활발한 연구를 하는 학자들의 관심 분야가 어딘가를 알 수 있다.

표12는 상위 99명이 영역별로 몇 편의 논문들을 발표하였는지를 보여준다.

표 12

상위 99명의 주제별 논문 수 및 총 영역 수*

영역/

그룹

교육

현황

정책/

과정 교재

습득/

학습

학습

심리교수법 평가 교사 연구 영어학

영문

(영역수)

원로 48 25 36 35 16 48 45 21 11 43 3 331 (131)

중진 40 47 252 164 108 110 104 112 8 111 18 1,074 (335)

신진 8 11 24 31 39 26 12 24 1 42 22 240 (78)

계 96 83 312 230 163 184 161 157 20 196 43 1,645 (544)

* 괄호 안 영역 수는 각 개인이 연구한 영역의 합계를 나타낸다(다음 쪽의 설명 참조).

3 햇수는 최초 논문 게재 연도에서 최종 게재 연도까지의 햇수이다. 엄밀하게 본다면, 최종 게재 연도 이후에 침묵한 기간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연평균 논문 수는 최초 게재 연도부터 조사 실시 연도인 2013년까지의 햇수로 산정해야 하나, 그럴 경우 중간에 퇴임한 학자들의 문제가 있어서, 최종 게재 연도까지를 활동 기간으로 보았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6: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14 권오량

상위 99명이 가장 많이 연구한 주제는 영어교재 영역으로, 312편의 논문을 발

표하였다. 교재 영역이 많은 것은, 멀티미디어학회의 저널이 포함되어서 그렇기

도 하지만, 최상위에 속한 학자들 중에 교재를 주 전공으로 한 학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99명중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1위 연구자는 교재 분야

에서 37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그 다음이 230편이 발표된 영어습득/학습 영

역이고, 3위는 196평이 발표된 영어학 영역이다. 4위인 교수법(184편)에 이어서,

학습심리(163편), 평가(161편), 교사(157편)은 비슷한 빈도를 보였고, 그 다음에

는 많은 격차를 두고, 교육현황(96편), 교육정책(83편), 영문학(43편), 연구(20편)

로 이어졌다.

한편 앞의 표12에서 마지막에 “(영역 수)”라고 표시한 것은, 개별 학자들이

다룬 연구 영역의 총 수를 가리킨다. 99명이 다룬 영역의 총계가 544 영역이므

로, 일인당 평균 5.49 영역에서 논문을 쓴 것을 알 수 있다. 이것도 자세히 분

석하면, 원로 그룹은 일인당 평균 6.24 영역을 연구하였는데 비해 중진 그룹과

신진 그룹은 일인당 평균 5,49 영역과 4.59 영역을 다루었다. 원로 그룹이 여러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으나 차츰 신진 그룹으로 오면서, 여러 영역

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소수의 영역에 노력을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

다.

앞에 나온 표 8은 전체 5,072편의 논문을 주제 영역별로 분석한 표이고, 이곳

의 표12는 상위 99명 1,645편의 분석표인데, 전체 논문에서는 가장 많이 다룬

영역이 영어 습득/학습 영역이지만, 상위 99명의 통계에서는 영어교재 영역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전체 집단과 상위 99명 집단은 대개는 비

슷한 서열을 보였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표 13과 같다.

표 13

전체 집단과 상위 99명 집단이 많이 연구한 주제 영역 순위 비교

영역/

그룹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

전체 습득 영어학 교재 교수법 심리 교사 평가 현황 정책 영문학 연구 상위 교재 습득 영어학 교수법 심리 평가 교사 현황 정책 영문학 연구

4.6.4. 상위 99명의 주 전공, 부전공 주제들

표 14는 상위 99명이 개인별로 제일 많이 연구한 주 전공 주제와 그 다음으

로 많이 연구한 부전공 주제(괄호 안)의 빈도를 표시한 것이다. 제일 많이 연구

한 주제가 두 개 이상일 경우는 그 중 하나(편의상 분류표에서 앞쪽에 있는 주

제)를 주 전공, 나머지는 부전공 주제로 간주하였다. 마찬가지로 부전공 주제가

두 개 이상일 경우는 그 중 하나만 부전공 주제로 하고, 나머지는 기타 주제로

처리하였다. 원로, 중진, 신진 그룹의 통계를 표로 나타내면 표 14와 같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7: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15

표 14

상위 99명이 주 전공 및 부전공(괄호 안)으로 택한 주제별 인원

상위 99명

1. 현황

2. 정책

3. 교재

4.습득

5.심리

6.교수법

7.평가

8.교사

9.연구

10.영어학

11. 영문학

원로 5

(5) 0

(5) 3

(1) 3

(2)1

(0)3

(2)2

(1)2

(0)1

(1)1

(4)0

(0) 21

(21)

중진 3

(4) 0

(6) 13

(11) 10

(13)7

(7)6

(7)6

(3)6

(6)0

(0)8

(4)2

(0) 61

(61)

신진 1

(1) 0

(4) 2

(2) 2

(3)3

(2)1

(2)2

(1)0

(2)0

(0)5

(0)1

(0) 17

(17)

계 9

(10) 0

(15) 18

(14) 15

(18)11(9)

10(11)

10(5)

8(8)

1(1)

14(8)

3 (0)

99 (99)

표 14에서 전체 총계를 보면, 99명 중에서 18명(18.2%)이 교재 영역을 자신의

주 전공으로 논문을 썼고 (다시 말해, 자신의 논문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교재 영역에 두었고), 그 다음이 습득/학습 영역으로, 15명(15.2%)이 이 분야를

주 전공으로 해서 논문을 썼다. 이 두 영역은 부전공(두 번째로 비중이 큰 영

역)으로도 강세인데, 교재 영역에 14명(14.1%), 학습/습득 영역에 18명(18.2%)의

학자들이 부전공으로 이 분야에 대해 논문을 썼다. 그룹 별로 본다면, 원로 그

룹의 경우, 5명(23.8%)이 영어교육 현황을 주 전공 영역으로 연구하였고, 부전공

으로 연구한 사람도 5명이나 되었다. 원로 학자들일수록 특정 전문 영역보다도

교육의 현황에 대한 관심이 더 많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에 비해 중진 학

자들은 교재 영역에서 13명(21.3%)으로 가장 많은 수를 보였는데, 이 교재 영역

은 부전공자도 11명(18%)이어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진 학자들이 두

번째로 많이 주 전공 영역으로 논문을 쓴 분야는 습득/학습 영역인데, 이 분야

는 부전공으로도 13명이 연구를 하여서, 교재 영역과 더불어 상당히 많은 중진

학자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이다. 신진 학자들의 경우는 영어학 분야를 5명

(29.4%)이 주 전공 영역으로 논문을 썼는데, 신진 학자들의 경우, 화용론, 코퍼

스 언어학 등, 응용언어학의 여러 분야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6.5. 상위 99명의 주 전공, 부전공에 대한 집중도

한국의 영어교육학자들이 자신의 전공 영역을 지속적으로 (집중적으로) 연구

하는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어서 상위 99명의 논문들을 대상

으로 각자 많이 연구한 2개 영역을 알아보았다. 우선, 자신의 주 전공 영역에

관한 논문이 자신의 전체 논문에서 차지하는 비중(백분율)을 조사해보았다. 표

15는 주 전공 논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디에 속하는지 빈도와 그 그룹에서 그

빈도가 차지하는 백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중진 그룹에서 30-39% 대에

15명(24.29%)이라 함은, 중진 그룹에서 주 전공 영역에 쓴 논문이 자신의 전체

논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39% 대인 학자가 15명이며, 이 인원 수는 중진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8: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16 권오량

그룹 인원 61명의 24.29%라는 뜻이다.

표 15

상위 99명의 주 전공 논문의 비중 분포

그룹(n) 30% 미만

(%) 30-39%

(%) 40-49%

(%)50-59%

(%)60-69%

(%)70-79%

(%)80% 이상

(%)

원로(21) 9

(42.86) 4

(19.05) 2

(9.52)3

(14.29)2

(9.52)1

(4.76)0

(0)

중진(61) 8

(13.11) 15

(24.29) 11

(18.03)14

(22.95)8

(13.11)4

(6.56)1

(1.64)

신진(17) 2

(11.76) 2

(11.76) 3

(17.65)4

(23.53)1

(5.88)2

(11.76)3

(17.65)

계(99) 19

(19.19) 21

(21.21) 16

(16.16)21

(21.21)11

(11.11)7

(7.07)4

(4.04)

표 15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전체적으로 볼 때, 주 전공 영역에 관해 쓰는 논

문의 비중이 낮다는 점이다. 주 전공 분야에 대해 50% 이상 논문을 쓰는 학자

는 전체 99명 중에서 43명으로, 43.43%에 불과하다. 그러나 여기에도 세대에 따

른 변화의 경향이 보인다. 원로 그룹에서 신진 그룹으로 오면서, 자신의 주 전

공 영역에 대한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원로 그룹에서는

주 전공 영역에 관해 쓴 논문이 자기 논문 전체의 30% 미만인 학자가

42.86%(9명)인데 비해 중진 그룹은 13.11%(8명)로 줄어 들고, 신진 그룹에서는

11.76%(2명)으로 감소하였다. 반대로 주 전공 영역에 50% 이상의 논문을 쓴 비

율은 원로 그룹에서는 21명의 28.57%(6명)에 불과하지만, 중진 그룹에서는

44.26%(27명)로 늘어나고, 신진 그룹에서는 58.82%(10명)로 증가한다.

표의 오른쪽으로 좀 더 가면, 주 전공 영역에 70% 이상의 논문을 쓴 학자는

원로 그룹에서는 4.76%(1명)인데 비해 중진 그룹에서는 이 수가 8.2%(5명)으로

조금 늘어나고, 신진 그룹에서는 29.41%(5명)으로 많이 늘어난다.

한편, 이들 세 집단의 주 전공, 부전공, 및 기타 영역의 평균 백분율은 표 16

과 같다.

표 16

상위 99명이 주 전공, 부전공, 기타 영역에 쓴 논문의 평균 백분율

그룹(n) 주 전공 백분율 부전공 백분율 기타 백분율 계

원로(21) 37.79 20.49 41.72 100 중진(61) 46.96 20.60 32.44 100 신진(17) 55.78 19.01 25.21 100

계 46.84 20.03 33.12 100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위 99명이 자신의 주 전공 영역에 관해 쓴 논문의

평균 백분율은 46.84%이다. 10편 중에서 4.7편만이 주 전공 영역의 논문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그리 높지 않은 비율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세대간 차이가 있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19: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17

원로 그룹은 평균적으로 보았을 때, 10편중 3.8편을 주 전공 영역에 관해 쓴 셈

이다. 중진 그룹은 10편중 4.7편으로 원로 그룹보다는 높으나, 아직 반이 되지

않는다. 신진 그룹은 10편중 5.7편을 주 전공 영역에 관해 썼다. 이러한 경향은

신진 학자들일수록 자신의 주 전공 분야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을 보

여준다. 한편, 부전공에 관한 논문의 비율은 원로, 중진, 신진 그룹에서 대체로

비슷하게 20% 정도였다.

5. 결론

지금까지 우리나라 영어교육학자들의 연구 경향과 특성을 여러 관점에서 살

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한계와 장래 연구를 위한 제언,

그리고 결어를 제시한다.

5.1. 결과의 요약

본 연구에서는 나온 결과를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영어교육 관련 논문들에서 영문 논문의 비중이 국문 논문의

비중과 비슷하고, 특히 최근 5년간에는 영문 논문의 비중이 53.74%로 국문 논

문의 비중 46.26%보다 높아졌다. (학회지 중에서 2개는 최근 5년간 영어 논문의

비중이 80%대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한국의 영어교육학계가 차츰 세계화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고, 영어교육학자들의 영어구사 능력도 그만큼 향상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전체 논문 발표자 가운데 반 수 이상이 1편의 논문만을 발표하였다. 이

들 중 일부는 다른 논문의 제2, 제3 저자로 연구에 참여하여서, 본 연구의 통계

에 잡히지 않았을 수도 있고, 저널 지면의 제약, 개인적 사정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1편의 논문만을 발표한 인원수가 이렇게 많은 것은 앞으로 개선할 부

분이다. 2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영어교육학자의 길로

들어 선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인데, 이들의 활동이 좀 더 활성화될 필요

가 있다.

셋째, 전체 영어교육학자들 중에서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상위 99명의 개

인 연평균 논문 수가 1편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에서 빠진 다른

국내 저널, 혹은 외국의 저널에 논문을 발표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각 연구자들이 더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위 99명의 개인 연평균 논문 수가 1편인 것은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그

하나는 영어교육학 분야에서 논문 쓰기가 어렵다는 해석이다. 자연 과학이나

이공 계열처럼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 편의 논문이 나올 수 있는 분야가 아

니고, 많은 경우 연구 대상이 학생이기 때문에 연구 윤리 문제도 있을 수 있고,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20: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18 권오량

대상 선정과 협조 획득의 어려움도 있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해석은, 그냥 연

구가 부족하다는 해석이다. 학문 연구의 활성화 측면에서 보면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말이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신진 학자들의 개인 연평균 논문 수가

원로 학자들 평균의 두 배여서, 긍정적인 방향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넷째, 연구 주제 측면에서, 상위 99명은 주 전공 영역 논문의 비중이 자신의

전체 논문 가운데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46.84%였다. 10편의 논문을 쓴다면,

그 중 4.7편만이 주 전공 분야이고, 2편 정도가 부전공 분야, 그리고 나머지는

이것 저것 쓴다는 것이다. 한 분야를 평생 연구하는 것이 학문의 깊이와 넓이

를 확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주 전공 영역의 논문 비중을 좀 더 늘

려야 할 필요가 있다. 그 점에서, 원로나 중진 학자들보다는 신진 학자들이 자

신의 전공 영역에 집중하는 비중이 높은 것은 바람직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5.2. 연구의 한계점 및 장래 연구에 대한 제언

본 연구에는 몇 가지 한계가 있다. 첫째 연구 주제의 분류에 임의성이 있었

다. 분류표를 만드는 작업부터, 실제 논문의 주제를 특정하는 과정에서, 특히

연구의 주제가 두어 가지 주제를 함께 다루는 경우에 그 분류는 임의성을 띌

수 밖에 없다. 이 주관적 분류의 결과에 따른 통계상의 한계점이 있다. 이런 부

분은 앞으로 더 섬세한 분류표의 제시와 분류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다작을 한 상위 99명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들의 영

향이 크다는 전제에서 그리하였다. 물론 다작의 학자가 노출이 많은 것은 사실

이고, 이 부분도 무시할 수는 없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작이 반드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는 아니다. 소작이라도 우수한 논문이라면 더 영향력 있

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는 논문이 후학들에게 얼마나 읽히고,

후속 연구들에서 얼마나 인용되는가 하는 지표를 들여다봐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외국의 저자들을 제외한 것도 약간은 한계점이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외국의 저자들의 논문 한편이 더 영향력을 미칠 수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저널에 실리는 논문에서 외국인 저자의 수는 미미하고, 국내의 학

술대회에 기조 강연자로 초청된 저자들의 기조강연 내용이 추후에 실리는 경향

이 있는데, 이런 논문들은 학문적인 첨단의 내용이라기보다는 교재의 한 부분

으로 들어 갈 수 있는 성격의 논문이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러한지 이 부분에 대해서도 앞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가 우리나라 영어교육 관련 학회를 모두 조사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관련 학회가 빠짐 없이 파악하기가 어려웠

고, 파악이 된다 한들 모두 조사하는 것은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11

개 주요 학회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의 주요 학회들의 상당수를 다루었

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가 어느 정도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관련 학회를 전

수 조사한다면, 본 연구와 약간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다.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21: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 219

5.3. 결어

본 연구는 한국의 영어교육 연구의 현실을 파악하는 노력의 하나로, 그간의

영어교육관련 연구의 활성화 정도, 연구의 특성과 경향, 주 전공 영역에 대한

집중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러 영역에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몇

가지 긍정적인 결과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우리나라의 영어교

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좀 더 왕성한 연구활동과, 자신의 주 전공 분야에 대해

보다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

구가 이런 부분에 대해 학계의 인식을 높이는데 일조를 할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권오량. (1995). 한국의 영어교수 방법과 교수방법론 연구의 변천. 영어교육,

50(2), 107-131.

김경석. (2006). 영어교육 학술지 논문의 인용문헌 분석. 영어교육, 61(2), 3-23.

김임득. (1995). 한국의 영어습득과 학습 이론의 발달. 영어교육, 50(2), 69-105.

김정렬. (2001). 초등영어교육 연구방법의 흐름. 초등영어교육, 7(2), 37-62.

김진완. (2000). 한국의 영어교육 연구방법론의 변천과 전망. 영어교육, 55(4),

345-366.

김진완. (2004). 한국과 세계의 영어교육 연구방법론과 연구내용에 대한 비교분

석: 한국의 영어교육 현장에의 시사점. 영어교육, 59(4), 45-70.

김충배. (1995). 한국의 영어교육 연구 방법의 발달. 영어교육, 50(2), 47-67.

김지영. (2007). CALL 분야의 효과성 연구에 관한 고찰. 현대영어교육, 8(3), 289-

317.

류란, 황선유. (2010). 현대영어교육에 실린 준 실험연구 논문의 개관. 현대영어

교육, 11(2), 20-39.

마송희. (2007). 유아영어교육 연구 동향. 열린유아교육, 12(5), 185-208.

박종원. (2006). 영어교육 말하기 논문의 40년사의 회고와 전망. English Teaching,

61(special issue), 57-72.

박준언. (3006). 영어교육에 게재된 영어 어휘 교육 관련 연구 개관. English

Teaching, 61(special issue), 137-148.

배두본. (1995a). 한국의 영어 교육학의 발달. 영어교육, 50(2), 7-45.

배두본. (1995b). 한국의 국민학교 영어 교육학의 발달. 영어교육, 50(2), 151-180.

송민종, 임정완. (2010). 현대영어교육 학술지 10년: 읽기 및 쓰기 관련 연구 회

고. 현대영어교육, 11(2), 60-81.

성명희, 남은희. (2010). 창간 10년간 현대영어교육 게재논문 실태분석. 현대영어

교육, 11(2), 1-19.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

Page 22: 한국 영어교육학자들의 학문 연구의 특성과 경향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5/kate_69_2... · 2015-05-07 · 199 영어교육 69권 2호 2014 년여름

220 권오량

오준일. (2006). 영어교육에 게재된 독해 관련 논문 분석. 영어교육, 61(2), 73-96.

유현정. (2006). 학술지 논문을 통한 영어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3(3), 339-368.

이대균, 백경순, 정명자. (2006). 유아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및 내용 분석. 유아

영어교육학논집, 10(2), 95-120.

이성희. (2005). ‘외국어교육’ 게재 연구 논문 실태 조사: 창간 10주년 즈음하여.

외국어교육, 12(1), 107-136.

이은주. (2008). 영어교육과 응용언어학 분야에서 수행된 코퍼스 기반 연구의 분

석, 영어교육, 63(2), 283-306.

이재희. (1995). 국민학교 영어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응용언어학, 8, 37-64.

조정순, 선효승. (2007). 한국에서의 영어읽기 연구: 경향과 성과. 영어교육, 62(2),

381-413.

차경환, 이원석, 심재황. (2005). 영어교육 학술지에 실린 듣기 논문의 역사적 검

토. 영어교육, 60(2), 29-58.

최용재. (1995). 한국의 영어능력 평가의 발전 과정: 그 이론과 실제. 영어교육,

50(2), 133-150.

Borg, W. R., & Gall, M. D. (1989).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5th ed.). New

York: Longman.

Norris, J. M., & Ortega, L. (2000). Effectiveness of L2 instruction: A research synthesis

and quantitative meta-analysis. Language Learning, 50(3), 417-528.

교육단계(applicable levels): 대학(college), 대학원(graduate school)

권오량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151-748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Cell: 010-5032-5217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in March 2014

Reviewed in April 2014

Revised version received in May 2014

Book Centre교보문고 KYO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