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day ago · 제 출 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515

Upload: others

Post on 24-May-2020

7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제 출 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귀하

    이 보고서를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과제의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20. 4.

    주관연구기관명 : 사단법인 한국원자력산업협회 주관연구책임자 : 조 현 갑

    연 구 원 : 박 동 원 김 규 식 권 용 원 민 경 업 현 종 혁 이 원 김 도 영 최 규 빈 구 재 천 최 미 연

  • 보고서 요약서

    과제고유번호2019M2B5A10

    58082

    해당단계

    연구기간

    2019.4.1. ~

    2019.11.30.단계구분 1단계

    연구사업명

    중사업명 원자력연구개발사업

    세부사업명 원자력정책연구사업

    연구과제명대과제명

    세부과제명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연구책임자 조현갑

    해당단계

    참여

    연구원수

    총 : 13명

    내부 : 11명

    외부 : 2명

    해당단계

    연구비

    정부 : 80,000천원

    기업 : 천원

    계 : 80,000천원

    총연구기간

    참여

    연구원수

    총 : 13명

    내부 : 11명

    외부 : 2명

    총연구비

    정부 : 80,000천원

    기업 : 천원

    계 : 80,000천원

    연구기관명 및

    소속부서명한국원자력산업협회 참여기업명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위탁연구 연구기관명 : 연구책임자 :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 이내) 보고서면수 456

    1. 조사 목적국가 통계의 수립 차원에서 지속성 있게 수행되어야 할 원자력분야 주요 통계지표 생산을 위한 연구과제 수행과 국내외 원자력시장의 변화 및 상황 변동에 따른 신규 통계지표 조정 및 확대를 통한 통계지표의 활용성을 증진하고, 통계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해 통계지표 수요에 적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조사 대상업체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 원자력 관련 대학3. 주요 조사 항목(1) 원자력관련 사업체 일반현황(사업체명, 대표자명, 소재지 등)(2) 원자력산업 매출액(분야·판매처·업종별)(3) 원자력산업 투자비(연구개발비, 설비투자비, 원전운영 및 정비비 등)

  • (4) 원자력계 인력현황(직능·분야·학위·전공·연령·근로조건·근속년수별)(5) 원자력 관련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현황, 취업 현황, 교수 현황(6) 원자력산업 국내외 협력(국내외 기술도입, 해외수출, 연구개발 성과 등)(7) 원자력계 설문 조사(원자력사업 추진 관련 내·외부 제약요인 등)(8)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의 활용 여부

    4. 분석 결과 통계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최종보고서 발간, 산업체 및 유관기관으로 배포

    색인어

    (각 5개 이상)

    한글

    원자력 동향, 원자력 산업, 원자력 인력, 원자력 산업 규모, 원자력 매

    출액, 원자력 투자액, 원자력 지역경제 기여도, 제염·해체 현황, 원자력

    관련 대학

    영어

    Nuclear Industry Trends, Nuclear Industry, Nuclear Manpower, Nuclear

    Industry Revenue, Nuclear Industry Investment, Contribution of Nuclear

    Industry to Local Economy, Status of Decontamination and

    Decommisioning, Nuclear Engineering College/University

  • 요 약 문

    Ⅰ. 제 목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Ⅱ. 실태조사 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1950년 후반 원자력법 공포 및 정부조직을 설립하고 1962년 최초의 연구용 원자로인 TRIGA Mark-Ⅱ를 가동시켜 원자력의 기초연구와 동위원소 생산 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이후 1978년 고리 1호기의 준공을 시작으로, 원자력은 국내 전력수요의 약 30%를 담당하는 등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의 견인이 되었고, 국민생활의 편익과 물가안정을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35년까지 원전 비중을 29%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는 1,500MW급 원자력 2기의 추가로 건설과 2017년 고리1호기의 영구 정지 등을 결정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원전건설에서 운영, 해체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적인 원자력 산업이 형성되어 진행될 계획이다. 또한 원자력은 UAE의 플랜트 수출과 SMART 원전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의 준공 등으로 국가경제의 큰 역할을 다하여 왔으며, 고리1호기의 영구정지에 따른 제염 및 해체분야의 준비 등 원자력산업 새로운 영역의 확대로 질적, 양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의 원자력은 준국산 에너지로서 에너지 안보와 경제 발전의 주역인 에너지원으로 국내에서 매우 중요한 산업임을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5년에 제1회 원자력산업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현황을 조사한 이래로 그동안 23회에 걸쳐 지속적인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실태를 조사하여 관련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또한 국가승인통계 자료로서 통계포털사이트인 KOSIS에 분야별 통계지표를 공개하여 왔다. 1회에서부터 지금까지 국내 원자력시장 규모와 산업체와 연구계·학계·공공분야 등에서 종사하고 있는 인력 현황, 해외수출 및 기술도입 현황과 추이를 분석하였고, 분석된 내용들은 그동안 조사한 내용과 비교분석 및 통계화해 정부와 관련분야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이에 국가 통계의 수립 차원에서 지속성 있게 수행되어야 할 원자력분야 주요 통계지표 생산을 위한 연구과제 수행과 국내외 원자력시장의 변화 및 상황 변동에 따른 신규 통계지표 조정 및 확대를 통한 통계지표의 활용성을 증진하고, 통계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해 통계지표 수요에 적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Ⅲ. 조사내용 및 범위 가. 조사 목적 우리나라 원자력산업계의 원자력관련 매출·투자·인력 현황, 원자력 관련대학 전공인력 현황 및 취업 실태, 원자력산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표에 근거하여 실태 조사하고, 심층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의 원자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통계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목적으로 함

    나. 조사 대상 국내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 관련대학

    다. 조사 내용 1) 사업체 일반현황 - 사업체명, 대표자명, 사업장 소재지, 총매출액, 총설비투자비, 총연구개발비,

    직능별 전체 종사자 2) 매출액 - 원자력 관련 매출액(분야별, 판매처별, 업종별) 3) 투자비 - 원자력 관련 투자비(연구개발비, 설비투자비, 연료비, 원전운영 및 정비비,

    기술도입비, 교육훈련비, 인건비 등) 4) 인력현황 - 원자력 관련 직능별, 분야별, 학위별, 전공별, 연령·근로조건별, 근속년수별

    인력, 면허 및 자격취득 현황 5) 원자력 관련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현황, 취업 현황, 교수 현황 6) 국내외 협력 - 국내외 기술도입 현황, 해외 수출 현황, 연구개발 성과 등 7) 설문 조사 - 조업률, 매출액 전망, 원자력사업 추진 관련 내・외부의 제약요인, 우수인력

    확보의 장애요인 - 중소기업의 지원요청 사항,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의 활용 여부 등

  • Ⅳ. 실태조사 주요 결과 가.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매출액은 20조5,610억원으로 전년도 23조8,855억원

    대비 3조3,245억원 줄어 13.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원자력발전사업체(15조1,529억원, 73.7%), 원자력공급산업체(4조4,941억원, 21.9%),

    연구·공공기관(9,141억원, 4.4%)

    나.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투자액은 7조8,980억원으로 전년도(8조2,070억원) 대비 3,090억원 줄어 3.8% 감소

    - 원자력발전사업체(6조9,827억원, 88.4%), 원자력공급산업체(1,791억원, 2.3%), 연구·공공기관(7,363억원, 9.3%)

    다.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전체 인력은 36,502명으로 전년도(2017년 37,261명) 대비 759명이 줄어 2.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원자력발전사업체(12,579명, 34.5%), 원자력공급산업체(20,735명, 56.8%), 연구·공공기관(3,188명, 8.7%)

    라. 2019년 3월 기준 재학생 전체는 2,350명으로 전년도(2018년 2,527명) 대비 7.0%(177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마. 2018년도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별 원자력 관련 학과 배출인력은 총 657명으로 전년도 620명 대비 37명(6.0%)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바. 2018년도 원자력산업분야 해외 수출 현황은 6개국, 19건(전년대비 21건 감소)에 3억9,166만 달러(전년대비 3억3,887만 달러 증가)를 수출함

    사. 2018년도 원자력산업분야 기술도입 현황은 59건(전년대비 14건 증가)에 373억원(전년대비 19억원 감소)으로 국내에서 도입한 기술은 14건, 국외로부터 도입한 기술은 45건으로 조사됨

    - 도입국가 : 미국, 러시아, 캐나다, 프랑스 등 12개국

    Ⅴ. 실태조사 결과의 활용계획 ○ 우리나라 원자력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 연구, 학술물의 연구 자료와 정부 및 학계, 산업계, 연구계의 참고 자료 활용 ○ 정기적인 조사를 통한 우리나라 원자력산업의 추이분석 활용 ○ 원자력 인력 수급현황 및 향후 전망 도출, 인력수급 대책의 자료 활용 ○ 원자력산업계 애로사항 및 대정부 건의사항 등 원자력산업계 의견 대변 ○ 주요 원자력국가의 동향 조사를 통한 세계 원자력계의 흐름 활용

  • Summary

    Ⅰ. Title The Survey on Status of Nuclear Industry in 2018

    Ⅱ. Objectives and NeedsSince late 1950s, the Government of Korea started establishing affiliated

    organizations related along with proclamation of Atomic Energy Law. Along with the ignition of TRIGA Mark-Ⅱ in 1962, the very first research reactor in Korea, basic research and production of isotopes began. After the completion of Kori #1 in 1987, atomic energy became the source of stable energy supply and economic growth for Korea despite of its lack of resources, suppling over 30% of domestic electricity demand.

    According to the Second National Energy Plan, National Assembly determined to maintain the proportion of nuclear generation at 29% until 2035. It also confirmed the construction of two 1,500MW reactors and permanent shutdown of Kori #1 in 2017 by the 7th Basic Plan fo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Korean nuclear industry now includes the total life cycle including construction, operation and decontamination & dismantlement of nuclear power plant.

    Further, atomic energy served very important role in Korean economy with events such as the export of APR-1400 to United Arab Emirates and SMART to Saudi Arabia, a small and modular research reactor in Jordan.

    Researches on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 technologies has become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the successful decommissioning of Kori #1. As such, atomic energy provided nearly domestic power supply and energy security of Korea.

    Implementing annual survey on the Status of Nuclear Industry from 1995, it provided the statistics and data out of domestic industry which is the basic reference for further understanding, policy-making of the cabinet and data for national statistics at KOSIS system.

    From the very first survey, survey provided research and analysis on status of market, human resources in every criteria(business, R&D and organizations), exportation and technical introduction and so on. Korean Government applied those accumulated research accomplishments to basic reference for related area.

  • To maintain availability of the statistic and deliver successiv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tatus of nuclear industry in Korea, KAIF will strive to improve the precision and reliability on this survey.

    Ⅲ. Contents and Scope of survey. A. Target of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organizations in nuclear industry on sales, investment, human resources and others.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perform detailed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nuclear industry in Korea and to compose statistical database of nuclear industry as a background information for nuclear policy making.

    B. Target of Survey Domestic nuclear power generator, nuclear suppliers, research institutes, public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C. Contents of Survey 1) General status of Business - Company name, representative name, location, total revenue, total

    investment in facilities. total R&D investment, total employees sorted by function

    2) Revenue - Total nuclear revenue sorted by sector, type of business and market 3) Investment - Investment in nuclear sector which includes research and development,

    equipment, fuel, operation and maintenance, technology, human resources

    4) Human resources - Human resources by function, field, education level, major, age and

    employment status, years of service, acquisition of license and certificate

    5)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 - Students and graduates in nuclear related majors. Professors. student

    and alumni status of relevant nuclear energy academy, status of employment, status of professor

    6)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Status of technique import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status of

  • overseas export, R&D result etc. 7) Survey - Capacity usage ratio, expected revenue, internal and external constraint

    in promoting nuclear industry business. Obstacles in obtaining capable professionals.

    - General inquir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usage of this survey

    Ⅳ. Results of Survey A. Total revenue of nuclear industry in 2018 is estimated to be 20.5610

    trillion KRW, decreased by 13.9% from 23.8855 trillion KRW of last year. - Total revenue consists of nuclear power generator(15.1529 trillion KRW,

    73.7%), nuclear suppliers(4.4941 trillion KRW, 21.9%),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public institutes(914.1 billion KRW, 4.4%)

    B. Total investment in nuclear industry in 2018 is estimated to be 7.8980 trillion KRW, decreased by 309.0 billion KRW(3.8%) from previous year(8.2070 trillion KRW)

    - Total investment consists of nuclear power generator(6.9827 trillion KRW, 88.4%), nuclear suppliers(179.1 billion KRW, 2.3%),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public institutes(736.3 billion KRW, 9.3%)

    C. Total employees in nuclear industry was 36,502 in 2018, which has been decreased by 759 individuals(2.0%) from 37,261 of previous year.

    - Nuclear power generator (12,579, 34.5%), nuclear suppliers(20,735, 56.8%), research and other public institutes(3,188, 8.7%)

    D. Total enrolled students in nuclear-related majors are 2,330 on August, 2018, it has been increased by 946(28.9%) from the previous year(3,276)

    E. Total graduates from nuclear-related majors in universities are 640 individuals, which has been increased by 3.2% from 620 of previous year.

    F. Total Export is currently to 6 countries and consists of 19 contracts which is estimated to be 391.66 million dollar(increased by 15.6% from last year.)

  • G. 59 types of technologies are imported in 2018 of which has been increased by 31.1% from last which. The estimated cost of importation is 37.3 billion KRW, which has been decreased by 4.8% from last year. Fourteen types of technologies is domestically developed while 45 types of technologies has been imported.

    - Countries of import : 12 countries including US, Russia, and France

    Ⅴ. Utilization Plan of Survey Results ○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policy-making of government regarding

    nuclear industry ○ As reference material for research, academic, industrial sector, and

    journals and studies ○ As reference material for trend research of nuclear industry in Korea ○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human resources in nuclear industry

    outlook and prospects and for designing plans for future employment ○ As an analysis on constraints and requests to government which nuclear

    industry of Korea has ○ As an analysis on global trend of nuclear industry which includes trend

    research on primary nations

  • 연구개발결과 활용계획서(원자력정책연구과제)

    연구목적 달성내용 필수 입력

    년도 원자력산업의 시장규모 매출 투자 수출 등 원자력 관련 인력 현황 직능 분야 근속연수 별 등 및 원자력 관련 대학 현황 재학 졸업 취업 교수 등조사 및 추이 분석 국내외 기술도입 현황 및 연구개발 성과 국내 원전 제염해체 관련 국내산업체 현황 및 업체별 특성 분석 원전주변지역 지역경제 지원사업 기여도 조사 및 원자력산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 수렴

    주요연구성과 필수 입력

    원자력산업의 시장규모 매출 투자 수출 기술인력 대학 재학생 졸업생 취업생

    교수 현황 기술도입 및 연구개발 성과 현황 등 주요지표에 대한 시계열 통계자료

    생성을 통해 연도별 추이를 제공함으로써 원자력 정책수립 연구활동 학술자료 발

    간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내외부 제약요인 향후 체감 전망 등의 설문조사를

    원자력산업계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 도출

    연구결과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 필수 입력

    가 당해연도 및 차년도 이후 활용계획

    상반기 금년도 연구과제보고서 년도 제 회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를 부 발간

    하여 응답업체 및 원자력 관련 기관 산업체 공공도서관 등에 우편으로 배부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

    국가통계포털 를 활용한 통계 화를 통해 연구결과를 공개하는 한편 차년도

    실태조사 추진 및 연속성 있는 데이터 수집 관리에 활용 예정

    나 활용방법

    국내 원자력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연구 학술물의 연구 자료와 정부 및 학계 산업계의 참고 자료로 활용

    원자력 인력 수급현황 및 향후 전망 도출 인력수급 대책의 자료 제공

    다 기대효과

    원자력산업 매출액 투자액 인력 등 주요지표를 통계화함으로써 국내 원자력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경쟁력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

    고리 호기의 영구정지에 따라 국내 제염해체 분야 산업체 및 기술력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관련 산업체 육성 방안 강구 및 안전하고 효율적인 해체 시대 대비

  • 건의사항 필수 입력

    조사 응답에 대한 강제성이 없어 조사대상 업체의 비협조 및 무응답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응답업체의 업무 담당자가 자주 교체됨에 따라 금년도 작년도 데이터 상오차가 발생따라서 일관성 있는 데이터 수집과 조사표 작성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장기적

    으로는 온라인 설문 체계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 2018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보고서 작성기준

    □ 본 보고서는 국내 원자력산업 분야별·업종별 시장규모, 기술인력 추이, 해외 원자력시장 동향 등의 조사 분석을 통한 관련 정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하여 「원자력진흥법 제16조」에 따라 실시한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연구보고서임

    □ 본 연구보고서의 조사·분석 대상시점은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의 기준으로 작성하였음

    □ 통계표의 모든 통계수치는 반올림상의 차이로 인해 각 항목의 합과 총계가 일치되지 않을 수 있음

    - 설문조사 항목에 대한 복수응답의 경우, 응답 수를 기준으로 비율계산을 하였으므로 각 항목 비율의 합계가 100.0을 초과함

    □ 이 보고서에서 사용된 모든 그림과 표의 연도는 별도 표시가 없는 이상 응답 기준연도를 의미함. 즉, 「2018」은 2018년도 기준 조사 결과를 의미함

    □ 참고사항 - 본 실태조사는 관련기관 또는 업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내용

    으로 ① 해당 조사내용이 업체의 대외비일 경우, ② 생산 제품 또는 업무가 원자력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산업과 병행하여 판매하여 해당 비용만 산출이 불가능한 경우, ③ 공급자격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납품실적이 조사단위 이하이거나 없는 경우 등 항목별 조사가 불가능한 경우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원자력산업분야’는 원자력발전사업체(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와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을 지칭함

    - 원자력발전사업체의 원자력관련 매출은 2018년도 전체 전기 판매 수익의 원전발전 비중과 한국수력원자력㈜ 및 한국전력공사의 원자력분야 해외 매출의 합으로 계산함

    □ 통계표 구분 기준 - ‘원자력산업체 분류’는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로 구분되

    며, ‘업종구분’은 ‘설계업, 건설업, 제조업, 무역업, 서비스업’으로, ‘기관구분’은 ‘공공기관’과 ‘민간업체’로, ‘기업규모’는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구분함

    - 원자력공급산업체 분류 기준은 원전건설·운영분야, 원자력안전분야, 원자력연구분야, 원자력지원·관리분야, NDT 및 기타분야 등 5개로 중분류한 후 28개의 소분야로 세부 구분함

    1. 원전건설·운영분야 : 원자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분야 - 설계분야 : 설계 및 엔지니어링분야 - 원전건설·시공분야 : 원전건설·시공분야 - 원자력기자재 제조분야 : NSSS계통, T/G계통설비 등 주기기 제조와 송변전기기

    및 관련기기 제조, 원전연료 제조분야 - 원전운영 및 정비분야 : 원전운영 및 정비서비스 관련분야 2. 원자력 안전분야 : 방사선 안전관리 및 규제, 폐기물관리·처분, 원자력 품질관리분야 3. 원자력 연구분야 : 원자력 기반연구 및 원자로 개발, 정책연구분야 등 4. 원자력지원·관리분야 : 원자력 국제협력, 원자력 홍보, 교육훈련 5. NDT 및 기타 분야

  • - 요약 1 -

    요 약 서

    조사 개요Ⅰ

    조사 목적

    ㅇ 우리나라 원자력산업계의 원자력관련 매출·투자·인력 현황, 원자력 관련대학 전공인력 현황 및 취업 실태, 원자력산업계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조사표에 근거하여 실태 조사하고, 심층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정부의 원자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및 통계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를 목적으로 함

    조사 범위

    ㅇ 조사 대상 - 국내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자력공급산업체, 연구·공공기관, 원자력관련대학

    ㅇ 조사 대상기간 - 원자력시장 규모(매출, 투자액, 수출실적 등) : 2018년 1월 ~ 2018년 12월 - 원자력산업체 기술인력 : 2018년 12월 - 원자력관련 대학 재학생 현황 : 2019년 3월 - 원자력관련 대학 졸업생 현황 : 2018년 2월(상반기), 9월(하반기) 졸업생

    조사 및 분석 방법 ㅇ 매출, 투자, 인력 등 조사항목별 기재 할 수 있는 조사표를 조사대상 기관 및 관련 업체 및

    관련대학에 메일, 팩스 등을 통해 송부하여 기초자료 수집 ㅇ 상장기업 공시 웹사이트(공인 정보) 및 주요기관 관련업무 자료 등 객관적 자료 수집 ㅇ 주요 기관 담당자 직접 면담을 통한 통계자료 수집 및 조사된 데이터 검증 ㅇ 분야별 전문가 자문 및 온・오프라인 관련자료 수집을 통한 관련 산업계 주요 동향 조사

  • - 요약 2 -

    조사 결과 요약Ⅱ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대상업체 : 635개 ㅇ 한국원산 주관으로 기실시한 전년도(2017년) 기준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명부를 활용하여 2018

    년에 원자력관련 업무가 있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원자력관련 주요기관(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기술㈜ 등)에서 제공한 추가 협력 업체를 포함하여 총 635개(원자력산업체 및 공공기관 618개, 대학 17개)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함

    ㅇ 2018년 기준 원자력관련 매출 및 투자 발생 여부에 따라 A등급~D등급으로 분류함

    구 분 전체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전 체 635 50 124 92 369

    원자력발전사업체 2 2 0 0 0

    원자력공급산업체 593 43 120 88 342

    연구·공공기관 23 5 4 4 10

    소계 618 50 124 92 352

    원자력 관련 대학 17

    조사대상 업체 등급 분류(단위: 개)

    * 등급분류기준 : A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0억원 이상), B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C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억원 미만), D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없음)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응답업체 : 584개(92.0%) ㅇ 567개 기업체(원자력발전사업체 2개, 원자력공급산업체 542개, 연구·공공기관 23개)와 17개

    원자력관련 대학이 응답함 - 회신업체별로는 A등급 50개, B등급 124개, C등급 92개로 확인되었으며, 2018년 원자력

    관련 매출, 투자, 인력 등이 있는 기업체 282개와 17개 대학을 통해 조사를 실시

    구 분 전체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전 체 584 50 124 92 318

    원자력발전사업체 2 2 0 0 0

    원자력공급산업체 542 43 120 88 291

    연구·공공기관 23 5 4 4 10

    소계 567 50 124 92 301

    원자력 관련 대학 17  

    조사표 회신업체 등급 분류(단위: 개)

    * 등급분류기준 : A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0억원 이상), B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C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10억원 미만), D등급(원자력관련 매출액 없음)

  • - 요약 3 -

    ㅇ 전체 회신율은 92.0%이며,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자력관련 대학, 연구·공공기관은 100% 회신, 원자력공급산업체는 91.4% 회신함

    구 분 조사표 발송업체 응답업체 수 회신율

    전 체 635 584 92.0

    원자력발전사업체 2 2 100.0

    원자력공급산업체 593 542 91.4

    연구·공공기관 23 23 100.0

    소계 618 567 91.7

    원자력관련 대학 17 17 100.0

    조사대상 업체 및 관련대학 회신 현황(단위: 개, %)

    ㅇ 최근 5년간 연도별 원자력산업체 및 관련대학에 대한 회신 현황은 다음과 같음

    구 분응답 업체수

    2014 2015 2016 2017 2018

    전 체 488 504 522 552 584

    원자력발전사업체 2 2 2 2 2

    원자력공급산업체 445 462 480 508 542

    연구·공공기관 25 24 24 24 23

    소계 472 488 506 534 567

    원자력관련 대학 16 16 16 18 17

    연도별 조사대상 업체 회신 현황(단위: 개)

  • - 요약 4 -

    제24회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주요내용

    (1)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규모

    ㅇ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매출액은 20조5,610억원으로 전년도 23조8,855억원 대비 3조3,245억원이 줄어 13.9% 감소됨

    - 원자력발전사업체 (15조1,529억원, 73.7%), - 원자력공급산업체 (4조4,941억원, 21.9%), - 연구·공공기관 (9,141억원, 4.4%)

    [특성별 분석] ㅇ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증감 현황은 - 원자력발전사업체 : 18조1,948억원('17년) ⟶ 15조1,529억원('18년), 3조419억원 감소(16.7%↓) ※ 원전이용률 전년대비 5.3% 하락(71.2% → 65.9%) ※ 원자력발전량점유율 전년대비 3.4% 감소(26.8% → 23.4%) - 원자력공급산업체 : 4조7,140억원('17년) ⟶ 4조4,941억원('18년), 2,199억원 감소(4.7%↓) ※ 신고리 5.6호기 공사 지연 - 연구·공공기관 : 9,767억원('17년) ⟶ 9,141억원('18년), 626억원 감소(6.4%↓) ※ 한국원자력연구원 및 한국연구재단 등의 연구개발비용 감소 등

    ㅇ 국내총생산(명목, 연간) 대비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은 1.09% 비중 차지, 전년도(2017년 1.38%) 대비 0.29% 감소 ※ 2018년도 국내총생산(명목, 연간) : 1,893조4,970억원(2017년 1,730조3,990억원)

    ㅇ 원자력산업체 전체 매출액(비원자력분야 포함)은 193조69억원, 원자력분야 순 매출액 23조8,855억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12.4%

    - 원자력발전사업체 전체 매출액(69조3,815억원) 대비 원자력분야의 매출액(18조1,948억원) 비중 : 26.2%

    - 원자력공급산업체 총 매출액(117조6,888억원) 대비 원자력분야 매출액(4조7,140억원) 비중 : 4.0% - 연구·공공기관 총 매출액(5조9,367억원) 대비 원자력분야 매출액(9,767억원) 비중 : 16.5%

  • - 요약 5 -

    ㅇ 원자력공급산업체 매출액 4조7,140억원을 원전건설·운영분야, 원자력안전분야, 원자력연구분야, 원자력지원·관리분야, NDT 및 기타분야 5개로 중분류한 매출액 현황은

    - 원전건설·운영분야 4조4,424억원(94.2%) - 원자력안전분야 645억원(1.4%) - 원자력연구분야 146억원(0.3%) - 원자력지원·관리분야 282억원(0.6%) - NDT 및 기타 1,642억원(3.5%)

    (단위: 억원, %)

    * 원자력공급산업체의 공급원전건설·운영 분야는 설계/엔지니어링(3,606억원, 8.0%), 원전건설/시공(1조3,363억원, 29.7%), 원자력기자재(1조5,585억원, 34.7%), 원전 운영 및 정비(9,573억원, 21.3%)로 구성됨. 원자력안전 분야는 폐기물관리/처분(145억원, 0.3%), 방사선안전관리/규제(1,140억원, 2.5%)으로 구성됨. 원자력연구 분야는 원자력(기반)연구(133억원, 0.3%), 원자력지원 및 관리(16억원, 0.04%), NDT 및 기타(1,380억원, 3.1%)로 구성됨

  • - 요약 6 -

    (2)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규모 ㅇ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 총 투자액은 7조8,980억원으로 전년도(8조2,070억원) 대비

    3,090억원 줄어 3.8% 감소

    - 원자력발전사업체(6조9,827억원, 88.4%)

    - 원자력공급산업체(1,791억원, 2.3%)

    - 연구·공공기관(7,363억원, 9.3%)

    [특성별 분석] ㅇ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추이는 - 원자력발전사업체 : 7조910억원('17년) ⟶ 6조9,827억원('18년), 1,083억원 감소(1.5%↓) - 원자력공급산업체 : 2,355억원('17년) ⟶ 1,791억원('18년), 564억원 감소(24.0%↓) - 연구·공공기관 : 8,805억원('17년) ⟶ 7,363억원('18년), 1,442억원 감소(16.4%↓)

    ㅇ 투자비 구성 - 2018년도 발전사업체의 총투자비는 6조9,827억원

    - 설비투자비 1조7,711억원(25.4%), - 원전운영 및 정비비 1조1,024억원(15.8%),

    - 폐기물처리 관련비 1조3,643억원(19.5%),

    - 원전연료비 9,555억원(13.7%),

    - 인건비 1조93억원(14.5%),

    - 연구개발비는 4,690억원(6.7%)

  • - 요약 7 -

    (3)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ㅇ 2018년도 국내 원자력산업분야의 전체 인력은 36,502명으로 전년도(2017년 37,261명) 대비

    759명이 줄어 2.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원자력발전사업체(12,579명, 34.5%), 원자력공급산업체(20,735명, 56.8%), 연구·공공기관

    (3,188명, 8.7%)

    (단위: 명)

    [특성별 분석] ㅇ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추이는 - 원자력발전사업체 : 12,395명('17년) ⟶ 12,579명('18년), 184명 증가(1.5%↑) - 원자력공급산업체 : 21,682명('17년) ⟶ 20,735명('18년), 947명 감소(4.4%↓) - 연구·공공기관 : 3,184명('17년) ⟶ 3,188명('18년), 4명 증가(0.1%↑)

    ㅇ 근속연수 ‘5년 미만(11,135명, 30.5%)’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 이외 근속연수별 분포 : 5~10년(9,247명, 25.3%), 11년~15년(4,522명, 12.4%),

    16~20년(1,598명, 4.4%), 21~55년(3,927명, 10.8%), 26~30년(2,783명, 7.6%), 31년 이상(3,290명, 9.0%)

    ㅇ 연령대별 인력은 ‘30대’가 12,512명(34.3%), ‘40대’는 9,789명(26.8%), ‘50대’는 7,804명(21.4%), ‘20대’는 5,105명(14.0%), ‘60대’가 1,292명(3.5%) 순으로 조사됨

    ㅇ 근로조건별 현황으로 36,502명 중 ‘정규직’ 종사자는 34,417명(94.3%), ‘비정규직’ 종사자는 2,085명(5.7%)으로 조사됨

    - ‘20대’ 종사자 5,105명, 이 중 ‘비정규직’은 310명(6.1%) - ‘30대’ 종사자 12,512명, 이 중 ‘비정규직’은 534명(4.3%) - ‘40대’ 종사자 9,789명, 이 중 ‘비정규직’은 499명(5.1%) - ‘50대’ 종사자 7,804명, 이 중 ‘비정규직’은 385명(4.9%) - ‘60대 이상’ 종사자 1,292명, 이 중 ‘비정규직’은 357명(27.6%)

  • - 요약 8 -

    ㅇ 전체 인력 중 ‘원전건설 및 운영분야(20,238명, 55.4%)’ 비중 가장 높음 - 이외 분야별 분포 : 원자력안전분야(6,383명, 17.5%), 원자력 지원 및 관리분야(4,753명, 13.0%),

    NDT 및 기타분야(2,959명, 8.1%), 원자력연구(2,169명, 5.9%)

    ㅇ 여성인력 비율이 높은 분야는 원자력 지원 및 관리(23.3%), 원자력안전(10.4%), 원자력연구(10.0%), NDT 및 기타(8.1%), 원전건설 및 운영(5.9%)의 순으로 조사됨

    (단위: 명)

    ㅇ 전체인력 36,502명 중 전문학사 학력 이상자는 30,068명(82.4%)으로 - 학사학위자(19,448명, 53.3%), 석사학위자(3,790명, 10.4%), 박사학위자(1,808명, 5.0%),

    전문학사학위자(5,022명, 13.8%), 고졸이하(6,434명, 17.6%) - 전공분포 : 기계·기계설계 전공자(7,123명, 23.7%), 전기·전자·계측제어 전공자(6,459명,

    21.5%), 인문·사회과학 전공자(3,357명, 11.2%), 원자력(핵)/방사선 관련 전공자(2,782명, 9.3%)

  • - 요약 9 -

    (4) 원자력 관련대학 재학인력

    [조사대상 기준]

    - 2018년도 국내 원자력공학과가 있는 8개 대학(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세종대학교, 울산과학기술대학

    교(UNIST), 조선대학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학교)

    과 에너지관련 학과명이지만 원자력과 관련이 있는 학과를 개설한 10개 대학(경북대학교, 단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부산대학교, 위덕대학교, 영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POSTECH)) 총 18개1)의 대학을 대상으로 조사함

    ㅇ 2019년 3월 기준 재학생 전체는 2,350명으로 전년도(2018년 2,527명) 대비 7.0%(177명)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 학사과정 : 1,705명('18년) ⟶ 1,661명('19년), 44명 감소 - 석사과정 : 405명('18년) ⟶ 328명('19년), 77명 감소 - 박사과정 : 234명('18년) ⟶ 207명('19년), 27명 감소 - 석·박사 통합과정 : 183명('18년) ⟶ 154명('19년), 29명 감소

    ㅇ 2018년도 국내 원자력 관련 대학별 원자력 관련 학과 배출인력은 총 657명으로 전년도 620명 대비 37명(6.0%)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 ‘박사’ 72명(11.0%), ‘석사’ 181명(27.5%), ‘학사’ 404명(61.5%)

    ㅇ 2018년 배출 인력 657명 중 취업은 301명(45.8%), 진학은 170명(25.9%), 미취업·휴학·병역 등 기타는 186명(28.3%)으로 조사됨

    (단위: 명)

    1) 2011년 설립한 영남대학교는 2018년부터 기계공학부 내 원자력 연계 전공을 폐지하여 2017년 졸업생만을 조사함. 단국대학교, 전북대학교 2개교를 조사대상에 추가함

  • - 요약 10 -

    (단위: 명)

    ㅇ 2019년 3월 기준 교수진 현황을 살펴보면, 전임강사 이상 교수 149명, 기타 71명 등 총 220명으로 전년도 총 217명 대비 1.4% 늘어난 것으로 조사됨

    - 정교수 : 70명('18년) ⟶ 73명('19년) - 부교수 : 50명('18년) ⟶ 47명('19년) - 조교수 : 23명('18년) ⟶ 28명('19년) - 전임강사 : 0명('18년) ⟶ 1명('19년) - 기타 : 74명('18년) ⟶ 71명('19년)

    ㅇ 재학생 전체(2,350명)와 교수 전체(220명) 비율을 볼 때 교수 1인당 약 11명을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남

    (5) 원자력산업분야 해외 수출 현황

    ㅇ 2018년도 원자력산업분야 해외 수출 현황은 6개국, 19건(전년대비 21건 감소)에 3억9,166만 달러(전년대비 3억3,887만 달러 증가)를 수출함

    - 수출 국가 : UAE, 미국, 프랑스, 중국, 아르헨티나, IAEA 등 ㅇ 주요계약내용으로는 2018.01월 한국전력기술이 나와에너지(Nawah Energy)와 ‘UAE(아랍에미

    리트) 바라카 가동원전 LTEA(장기 엔지니어링 용역)’을 3억9,091만 달러에 계약함

    (6) 원자력산업분야 기술도입 현황

    ㅇ 2018년도 원자력산업분야 기술도입 현황은 59건(전년대비 14건 증가)에 373억원(전년대비 19억원 감소)으로 국내에서 도입한 기술은 14건, 국외로부터 도입한 기술은 45건으로 조사됨

    - 도입국가 : 미국, 러시아, 캐나다, 프랑스 등 12개국 ㅇ 주요 도입내용은 한국원자력연구원이 미국으로부터 ‘한미 핵연료주기 공동연구 (3단계)’, ‘KAERI 핵설

    계 전산코드 검증을 위한 임계실험’, ‘연료한계평가 연구’ 등의 관련 기술을 도입함

  • - 요약 11 -

    (7) 원자력공급산업체 대상 설문조사 (매출액 전망) 2019년도 매출액 전망이 100% 이상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0.3%로 전년도

    보다 2.8%p 높아짐, 2년 후(2020년) ‘100% 미만’으로 매출액을 전망하는 비율이 67.1%로 나타나 전년도보다 0.7% 높아졌으며, 5년 후 ‘100% 미만’ 매출액 전망은 65.3%로 5.1%나 높아짐

    (조업률) 평균조업률은 2018년도 기준 ‘20% 미만’이 28.5%로 가장 높았고, ‘40% 미만’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44.8%를 차지함, 적정 조업률은 ‘80% 이상’이 32.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 그 다음으로 ‘80% 미만 ~ 60% 이상’이 22.4%로 높게 조사됨

    (경쟁력 제약요인) 원자력사업추진, 기술수준 향상 및 경쟁력 확보에 내부 제약 요인은 ‘기술인력 확보’가 33.5%, ‘정책의 일관성 문제’(28.5%), ‘시설투자부담’(16.7%), ‘영업 및 마케팅 능력부족’(7.6%), ‘기술부족’(6.1%), ‘품질관리곤란’(3.8%) 순으로 조사됨외부의 제약요인은 ‘원자력시장의 안정적 수주물량 부족’이 54.4%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국가 원자력 정책방향’(19.4%), ‘규제 및 절차서, 품질관리의 까다로움’(9.5%), ‘낮은 공급단가’(7.6%), ‘국내의 높은 기술수준과 경쟁력’(5.7%) 순으로 나타남

    (우수인력 확보의 장애요인) 우수인력 확보의 장애요인은 ‘예산부족’이 41.2%로 가장 높으며, ‘기술인력 확보’(29.4%), ‘기술부족’ 및 ‘영업 및 마케팅 능력부족’(각각 5.9%)이 조사됨

    (중소기업 기술 보유 현황) 중소기업체에 대한 핵심기술 보유 여부는 ‘해당 없다’가 59.3%로 절반 이상을 차지, 다음으로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가 27.6%, ‘장차 핵심기술을 보유할 계획이다‘가 13.1%를 차지함

    (중소기업 지원요청 사항) 중소기업의 육성을 위한 지원요청 사항은 ‘연구개발비 지원(정부 또는 발전사업체 등)’이 48.7%로 가장 높으며, ‘제품 또는 기술용역의 공급계약 시 특례조치’(36.9%), ‘기술담보에 의한 금융지원’(17.5%), ‘기타’(10.3%), ‘종사자의 병역특례자 적용’(3.8%) 순으로 조사됨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활용 여부)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의 통계자료를 활용 했는지 조사한 결과, ‘열람·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51.1%로 조사되었으며, ‘필요시 열람, 활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47.2%, ‘자주 열람, 활용한다’는 3.9%로 조사되었으며, ‘열람한 적이 없다’가 48.9%로 응답기업의 절반가량을 차지함

  • - 요약 12 -

    에너지 및 원자력산업실태조사 주요지표

    항 목 지표단위 2018년 지표 2017년 지표 전년대비증감률(%)

    경제 국내 총생산(GDP)(명목, 계절조정) 억원 1,893조4,970 1,730조3,985 9.4

    에너지 및

    원자력발전

    1차에너지공급 백만TOE 307.3 302.1 1.7

    최종에너지소비 백만TOE 237.9 233.9 1.7

    원자력에너지 백만TOE 133.5 148.4 Δ10.0

    발전원별 총발전설비(원자력발전설비) MWe

    119,092(21,850))

    116,908(22,529)

    1.9(Δ3.0)

    발전원별 총발전량(원자력발전량) GWh

    570,647(133,505)

    553,369(148,427)

    3.1(Δ10.0)

    상업운전 원전기수 기 24 24 0

    원전이용률 % 65.9 71.2 Δ7.4

    원전가동률 % 66.5 71.3 Δ6.7

    원자력산업

    총매출액 억원 205,610 238,855 Δ13.9

    원자력발전사업체 억원 151,529 181,948 Δ16.7

    원자력공급산업체 억원 44,941 47,140 Δ4.7

    연구·공공기관 억원 9,141 9,767 Δ6.4

    총투자비 억원 78,980 82,070 Δ3.8

    원자력발전사업체 억원 69,827 70,910 Δ1.5

    원자력공급산업체 억원 1,791 2,355 Δ24.0

    연구·공공기관 억원 7,363 8,805 Δ16.4

    원자력 관련 종사인력 명 36,502 37,261 Δ2.0

    여성 명 3,426 3,316 3.3

    남성 명 33,076 33,945 Δ2.6

    원자력 관련 인력 또는 매출 또는 투자가 있는 산업체 개 사 282 246 14.6

    국내대학의 원자력관련전공 인력

    졸업생 명 640 620 3.2

    취업생(해외 포함) 명 242 276 Δ12.3

    재학생(석·박사 포함) 명 2,330 3,276 Δ28.9

    학사과정 재학생 명 1,661 2,339 Δ29.0

    관련학과 교수 명 220 217 1.4

    기술도입

    도입금액 억원 373 392 Δ4.7

    도입건수 건 59 45 31.1

    해외수출

    수출금액 만달러 39,166 5,279 641.9

    수출건수 건 19 40 Δ52.5

    수출국가 개 국가 6 20 Δ70.0

    1. GDP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flex/Key100Stat_k.jsp) 2. 1차에너지공급/최종에너지소비/원자력에너지/에너지해외의존도 : KESIS 에너지수요전망, 에너지 통계월보, http://www.kesis.net/flexapp/EnergyDemandView.htm 3. 총발전설비/총발전량/원전기수/이용률 : 한국수력원자력㈜ 원전운영정보 1. toe : tonne of oil equivalent 4. p : 잠정치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 -

    목차

    조사 개요제1장

    1. 조사 목적 3

    2. 조사 근거 3

    3. 조사기간 및 기준시점 4

    4. 조사 대상 4

    5. 조사 Process 5

    가. 모집단 현황 파악 5

    나. 조사 진행 방법 5

    다. 조사 신뢰도 제고 6

    6. 조사 내용 6

    7. 조사업체 현황 7

    가. 발송 현황 7

    나. 회수 현황 7

    다. 조사 시행 8

    라. 유형별 조사 현황 9

    세부 분석 결과제2장

    제1절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현황 151.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개관 15

    가. 원자력산업분야 전체 매출액 중 원자력관련 순매출액 비중 22

    나. 전체 매출액과 원자력 관련분야 매출액 규모 23

    2. 원자력발전사업체 매출액 25

    3. 원자력공급산업체 매출액 27

    가. 분야별 매출액 27

    나. 판매처별 매출액 28

    4. 연구·공공기관 매출액 30

    가. 분야별 매출액 30

    나. 판매처별 매출액 31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 -

    5.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매출액 추이 32

    가. 분야별 추이 33

    (1) 원전건설·운영분야 35

    (2) 원자력안전분야 36

    (3) 원자력연구분야 37

    (4) 원자력지원·관리분야 38

    (5) NDT 및 기타분야 38

    나. 판매처별 추이 39

    제2절 원자력관련 투자액 현황 401. 원자력산업분야 투자비 40

    2. 원자력발전사업체 투자액 43

    가. 투자비 구성 43

    나. 투자비 추이 44

    (1) 설비투자비 46

    (2) 방사성폐기물관리비 47

    (3) 원전연료비 48

    (4) 원전운영 및 정비비 49

    (5) 인건비 50

    (6) 연구개발비 51

    (7) 방사선 안전관리비 52

    (8) 교육훈련비 53

    3. 원자력공급산업체 투자액 54

    4. 연구·공공기관 투자액 58

    5.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투자액 추이 60

    가. 분야별 투자비 60

    나. 항목별 투자비 62

    (1) 연구개발비 63

    (2) 설비투자비 64

    (3) 기술도입비 65

    (4) 교육훈련비 66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3 -

    제3절 원자력관련 인력 현황 681. 원자력산업분야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68

    2. 분야별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72

    3. 직능별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75

    4. 직능별(발전사업체·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79

    5. 학력별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80

    6. 전공별 인력분포 현황 및 추이 83

    7. 연령별 인력분포 현황 87

    8. 연령별(발전사업체·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 인력분포 현황 90

    9. 근속년수별 인력분포 현황 92

    10. 자격증 소지자 현황 94

    11. 원자력관련 면허 소지자 현황 96

    12. 연도별 채용실적 및 전망 98

    제4절 원자력관련 전공인력 및 교수진 현황 991. 원자력관련 대학 개관 99

    2. 원자력 관련 대학 인력 현황 101

    3. 원자력 관련 전공인력 재학생 현황 103

    4. 원자력 관련 전공인력 배출 현황 104

    5. 원자력 관련 전공인력 취업 및 진학 현황 106

    6. 원자력 관련 학과 교수 현황 108

    제5절 해외 수출 계약 현황 110

    제6절 국내외 기술도입 현황 112

    제7절 설문조사 115 1. 향후 원자력 관련 매출액 전망 115

    2. 평균 조업률 118

    3. 적정 조업률 120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4 -

    4. 원자력산업의 경쟁력 확보 제약요인 122

    5. 우수인력 확보의 장애요인-연구/공공기관 126

    6. 중소기업의 기술 보유 현황 127

    7. 현재 또는 가까운 장래 제시할 수 있는 첨단기술 및 핵심분야 128

    8. 중소기업 지원요청 사항 129

    9. 품질향상 및 품질보증을 위한 정부(또는 원자력 주요업체)에서의 지원 대책 131

    10.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활용 여부 133

    국내외 에너지 동향제3장

    제1절 세계 에너지 시장 동향 및 전망 1371. 세계 에너지 시장 동향 137

    가. 국제 석유 시장 동향 137

    나. 천연가스 시장 동향 138

    다. 석탄 시장 동향 140

    2. 세계 에너지 시장 전망 142

    가. 국제 석유 시장 전망 142

    나. 천연가스 시장 전망 144

    다. 석탄 시장 전망 145

    제2절 국내 에너지 시장 동향 및 전망 1461. 국내 에너지 시장 동향 146

    가. 국내 석유 시장 동향 146

    나. 천연가스 시장 전망 148

    다. 석탄 시장 동향 150

    2. 국내 에너지 시장 전망 152

    가. 국내 석유 시장 전망 152

    나. 천연 가스 시장 전망 154

    다. 석탄 시장 동향 156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5 -

    원자력 일반 동향제4장

    제1절 국내 원자력산업 정책 방향 1611. 신기후체제 이후 에너지 정책 동향 161

    2.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165

    가. 에너지기본계획 개요 165

    나. 국내외 여건 변화 166

    다. 에너지 수요 전망과 목표수요 166

    라. 3차 계획 기본방향 167

    제2절 국내 원자력 주요 동향 1711.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 171

    가. 개요 171

    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정책 방향 및 로드맵 172

    다. 주요 추진 과제 173

    라. 투자 계획 및 실행 방안 173

    마.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 동향 174

    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정책 재검토 175

    2. 국산 원자로 국내외 설계인증 추진현황 177

    가. 국산 원전의 설계인증 취득 추진 177

    나. 유럽사업자요건(EUR) 인증 177

    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설계인증 180

    라. 신형경수로 APR+ 183

    3. 제5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분석 183

    가. 개요 183

    나. 정책 방향별 중점 추진 과제 185

    다. 주요성과와 시사점 191

    4. Nu-Tech 2030 추진 현황 192

    가. 추진배경 192

    나. 추진 전략 및 방법 193

    다. 중점 추진과제 195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6 -

    라. 기대 효과 196

    제3절 국내 원자력산업 현황 및 전망 1971. 원전 운영 실적 197

    가. 설비용량 및 발전량 197

    나. 이용률 200

    다. 불시정지 201

    라. 원전산업계 대형 이슈와 원전 운영 영향 203

    마. 안전성과 신뢰성 최우선 원전 경영 204

    2. 원전 정비 현황 204

    가. 안전 최우선 계획예방정비 수행 204

    나. 정비체계 고도화 207

    3. 방사선 안전관리 212

    가. 종사자 방사선량 관리 실적 212

    나. 방사선 안전관리 전문가 육성 및 기술 교류 213

    4. 원전 건설 현황 214

    가. 신고리 4호기 214

    나. 신한울 1․2호기 215

    다. 신고리 5․6호기 216

    6. 국내 원전연료 수급 현황 217

    가. 원전연료주기 217

    나. 주기별 수급 현황 및 전망 218

    다. 국내 원전연료 수급계획 225

    7. 원자력연료 설계·생산 및 기술개발 226

    가. 경수로 원자력연료 226

    나. 중수로 원자력연료 238

    8. 원전 안전성 향상 240

    가. 원자력 안전문화의 개념 정립 240

    나. 안전 최우선 업무 환경 조성 241

    다. 원자력 안전문화 평가 시행 242

    라. 안전문화 교육 243

    마. 안전문화 캠페인 지속 전개 243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7 -

    바. 선진사례 벤치마킹 244

    사. 안전문화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 시행 245

    9. 경주/포항 지진 이후 안전대책 현황 245

    가. 경주·포항 지진 및 안전점검결과 245

    나. 지진 안전 강화대책 수립 및 시행 245

    다. 국내외 내진설계 현황 247

    10. 원전 기자재 품질관리 강화 추진 현황 248

    가. 품질보증체계 248

    나. 공급자 품질관리 활동 250

    다. 원자력발전소 기자재의 제작품질 활동 251

    라. 품질증빙서류 위·변조 조사 및 검증 강화 활동 251

    원전이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제5장

    제1절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 제도 2551. 개요 255

    2. 지원사업의 종류 255

    가. 기본지원사업 255

    나. 특별지원사업 256

    다. 홍보사업 256

    라. 기타지원사업 256

    마. 사업자지원사업 257

    3. 발전소주변지역지원법률 제·개정과 개선 사항 258

    4. 2018년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 현황 262

    가. 2018년 지원규모 262

    (1) 기금지원사업 262

    (2) 사업자지원사업 263

    5. 연도별 지원사업 실적 분석 264

    가. 기금지원사업 264

    나. 사업자지원사업 265

    제2절 외국의 지원제도 비교 268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8 -

    원전해체산업 현황제6장

    제1절 개관 271

    제2절 세계 해체산업 현황 2721. 해체산업 시장 현황 및 전망 272

    2. 주요 국가별 해체산업 현황 분석 277

    가. 미국 277

    (1) 규제기관 277

    (2) 원전해체 법령 277

    (3) 원전해체 인허가 체제 277

    (4) 인력양성/교육기관 278

    나. 독일 278

    (1) 규제기관 278

    (2) 원전해체 법령 279

    (3) 인력양성/교육기관 279

    다. 프랑스 279

    (1) 규제기관 279

    (2) 원전해체 법령 280

    (3) 인력양성/교육기관 280

    라. 영국 281

    (1) 규제기관 281

    (2) 원전해체 법령 281

    (3) 인력양성/교육기관 281

    마. 일본 282

    (1) 규제기관 282

    (2) 원전해체 법령 282

    (3) 원전해체 인허가 282

    (4) 기술기준 283

    (5) 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283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9 -

    제3절 국내 해체산업 현황 2831. 국내 해체산업 분류 283

    가. 산업체 분류 현황 283

    나. 국내 해체관련 경험 285

    다. 원전해체 법령 및 인허가 체제 286

    2. 국내 해체산업 기술개발현황 287

    가. 해체기술의 특징 287

    나. 안전하고 경제적인 원전해체와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해체기술 개발 288

    다. 기술 개발 현황 289

    3. 향후 과제 290

    국내 원자력 주요이슈제7장

    제1절 정책분야 2951.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확정 295

    2. 원전수출전략협의회 개최, 「금융지원 활성화 업무협약(MOU)」 체결 295

    제2절 연구·개발 분야 2971. 원전 해체용 레이저 절단 기술 개발 성공 297

    2. KAERI 하나로, IAEA 국제연구용원자로센터로 지정 297

    제3절 원자력 운영 및 건설분야 2981. 신고리 4호기 상업운전 개시 298

    2. 신고리 2호기, 5주기 연속 무고장 안전운전 달성 298

    3. 신고리 1호기, 1500일 무고장 안전운전 달성 299

    4. 월성 2호기 8주기 연속 무고장 안전운전 299

    제4절 국제협력 및 행사분야 3001. 제63차 IAEA 총회 기조연설 300

    2. IAEA 제17차 INPRO 대화포럼 개회식 300

    3. 한국수력원자력-미 전력연구원 등 글로벌 포럼 공동 개최 301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0 -

    4. 세계원전사업자협회(WANO) 30주년 기념식 연설 301

    제5절 원전 수출 분야 3021. APR1400, 미 원자력규제위원회 설계인증 취득 302

    2. 두산중공업, 미국 첫 '소형모듈원전' 만든다…1조4천억원 규모 302

    3. 한국-UAE 기업 간 바라카 원전 정비사업계약 체결 303

    해외 원자력 주요 동향제8장

    제1절 세계 원자력발전소 현황 및 전망 3071. 세계 원전 현황 307

    가. 운영 현황 307

    나. 건설 현황 309

    다. 폐쇄 현황 309

    2. 세계 원전 시장 전망 311

    제2절 주요 국가별 원자력 정책 동향 3121. 원자력정책 동향 312

    2. 주요 국가별 원자력 정책 314

    가. 원전 확대 및 유지국가 314

    (1) 미국 314

    (2) 러시아 316

    (3) 영국 318

    (4) 일본 322

    (5) 핀란드 324

    (6) 인도 325

    (7) 캐나다 326

    (8) 중국 327

    (9) 카자흐스탄 329

    (10) 아랍에미리트연합(UAE) 330

    (11) 파키스탄 331

    (12) 체코 331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1 -

    (13) 루마니아 332

    (14) 우크라이나 333

    (15) 아르헨티나 334

    (16) 브라질 335

    (17) 헝가리 335

    (18) 벨라루스 337

    (19) 남아프리카공화국 337

    나. 원전 재검토 또는 폐지 국가 339

    (1) 독일 340

    (2) 스웨덴 341

    (3) 벨기에 343

    (4) 프랑스 344

    (5) 스위스 347

    (6) 대만 348

    (7) 베트남 349

    (8) 말레이시아 349

    다. 원전 도입 예정국가 현황 350

    (1) 터키 350

    (2) 방글라데시 350

    (3) 요르단 351

    (4) 이란 351

    (5) 이집트 352

    (6) 사우디아라비아 353

    (7) 폴란드 353

    제3절 해외원전 여론동향 3551. 일본 355

    2. 미국 361

    3. 영국 364

    4. 스웨덴 366

    5. 프랑스 370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2 -

    제4절 한·일 원자력산업실태 비교 374 1. 개관 374

    2. 원자력공급산업체 매출액 비교 375

    (1) 업종별 매출액 비교 375

    (2) 업종별 매출액 비교 376

    (3) 판매대상별 매출액 비교 376

    3. 원자력발전사업자 투자비용 비교 377

    (1) 총투자비용 비교 377

    (2) 비목별 투자비용 비교 377

    4. 원자력산업분야 인력비교 378

    (1)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비교 378

    (2) 업종별 원자력인력 비교 378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3 -

    표 목차

    조사대상 업체 등급 분류 7

    조사표 회신업체 등급 분류 7

    조사대상 업체 및 관련대학 회신 현황 8

    연도별 조사대상 업체 회신 현황 8

    기관구분 현황 9

    기업규모별 현황 10

    업종별 현황 11

    설립연도별 현황 12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17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추이 19

    국내 총생산과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추이 20

    최근 10년간 발전설비용량 및 원자력 점유율 21

    최근 10년간 발전량 및 원자력 점유율 21

    2018년도 에너지원별 설비용량 및 발전량 현황 21

    전체 매출액 중 원자력 관련 분야 매출액 비중 23

    전체 매출액 규모 24

    원자력 관련분야 매출액 규모 24

    2014∼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매출액 25

    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매출액 26

    원자력공급산업체 분야별 매출액 28

    원자력공급산업체 판매처별 매출액 29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매출액 30

    연구·공공기관 판매처별 매출액 31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판매처별/분야별 매출액 32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매출액 추이 34

    원자력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의 원전건설·운영분야 매출액 추이 35

    원자력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의 원자력 안전분야 매출액 추이 36

    원자력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의 원자력 연구분야 매출액 추이 37

    원자력공급산업체/연구·공공기관의 원자력 지원·관리분야 매출액 추이 38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판매처별 매출액 추이 39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4 -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41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추이 42

    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분야별 투자액 43

    원자력발전사업체 분야별 투자액 추이 45

    원자력발전사업체 설비투자비 추이 46

    원자력발전사업체 방사성폐기물처리 관련비 추이 47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전연료비 및 성형가공비 추이 48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전운영 및 정비비 추이 49

    원자력발전사업체 인건비 추이 50

    원자력발전사업체 연구개발비 추이 51

    원자력발전사업체 방사선안전관리비 추이 52

    원자력발전사업체 교육훈련비 추이 53

    2017~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 분야별 투자액 54

    원자력공급산업체 분야별 투자액 55

    원자력공급산업체 항목별 투자액 56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의 분야별/항목별 투자액 57

    2017~2018년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투자액 58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투자액 58

    연구·공공기관 항목별 투자액 59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투자액 추이 60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항목별 투자액 추이 62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분야별 연구개발비 추이 63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분야별 설비투자비 추이 64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분야별 기술도입비 추이 65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분야별 교육훈련비 추이 66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투자내역별/분야별 투자액 67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69

    10년간(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추이 70

    10년간(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남녀별 인력 추이 71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 인력 72

    10년간(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주요 분야별 인력 추이 73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남여별 인력 74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5 -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 인력 75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 인력 추이 76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남여별 인력 77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의 직능별/분야별 인력 현황 78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업종별·직능별 인력 79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81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추이 82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전공별 인력 84

    원자력산업분야 전공별 인력 추이 85

    업종별·전공별·학력별 인력분포 현황 86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연령별 인력 88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연령별/근로조건별 인력 89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별 업종별·연령별 인력 90

    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연령별 인력 91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 연령별 인력 91

    2018년 연구·공공기관 연령별 인력 91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근속년수별 인력 93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기술사/기사 자격증 소지자 현황 95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면허증 소지자 인력 97

    연도별 채용실적 및 전망 추이 98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개설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현황 101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개설대학 재학생 및 교수진 현황 102

    원자력전공대학 입학생 현황 102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의 학위별 현황 103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학위별/연도별 배출 현황 추이 105

    2018년 원자력전공인력의 취업/진학 현황 106

    2017~2018년 원자력전공인력의 취업 현황 107

    2018~2019년 원자력 관련 학과 교수진 현황 108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교수 현황 추이 109

    계약연도별·국가별 수출 계약실적 및 계약건수 111

    계약연도별·도입국가별 국내외 기술도입 계약건수 113

    계약연도별·도입국가별 국내외 기술도입 계약금액 114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6 -

    1~5년 후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매출액 전망 116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매출액 전망 117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의 평균 조업률 119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의 적정 조업률 121

    경쟁력 확보의 내부 제약요인 123

    경쟁력 확보의 외부 제약요인 125

    우수인력 확보시 장애요인 126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보유 여부 127

    현재 또는 가까운 장래 제시할 수 있는 첨단기술 및 핵심 분야 128

    중소기업의 지원요청 사항(중복응답) 130

    품질향상을 위한 지원 대책 131

    품질보증을 위한 지원 대책 132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활용여부 관련 설문 134

    세계 석유 수급 동향 137

    국제 원유가 추이 138

    세계 천연가스 수급 동향 139

    국제 천연가스 가격 동향 140

    세계 석탄 수급 동향과 전망 141

    국제 석탄가격 동향 141

    세계 석유 수급 전망 142

    국제 원유가 전망 143

    세계 천연가스 수급 전망 144

    국제 천연가스 가격 전망 145

    세계 석탄 수급 전망 145

    국제 석탄가격 전망 146

    석유 수입 동향 147

    주요 석유제품 소비 추이 148

    LNG 수입 동향 149

    가스 소비 추이 149

    석탄 수입 동향 150

    용도별 무연탄 소비 동향 151

    용도별 유연탄 소비 동향 152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7 -

    신정부 에너지 관련 주요 정책 내용 161

    발전용 연료 제세부담금 조정 내용 164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원료용 소비 제외) 167

    주요국 처분시설 목표 운영시점 175

    주요국 고준위 방폐물 관리정책 동향 175

    EUR 인증 추진현황 178

    EUR 인증을 위한 스폰서/서포터사 현황 179

    미국 설계인증 추진 현황 181

    OPR1000/APR1400/APR+ 설계특성 비교 183

    제1차~제4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주요성과 191

    원자력진흥종합계획 투자금액 192

    R&D 수요 증감에 따른 선·후행주기 연구 192

    분과위원회 주요 논의분야 193

    원자력발전소 현황 197

    원자력발전소 정지 현황 198

    2018년도 에너지원별 설비용량 198

    최근 10년간 발전설비용량 및 원자력 점유율 198

    2018년도 에너지원별 발전량 198

    최근 10년간 발전량 및 원자력 점유율 199

    2018년도 원자력발전소 호기별 발전량 199

    연도별 국내 원자력발전소 평균이용률 201

    원자력발전소 불시정지 현황 202

    2018년 원자력발전소 불시정지 내역 203

    원전산업계 주요이슈 및 원전운영영향 204

    원자력발전소 호기별 계획예방정비 실적(2018년도) 206

    연도별 설계변경서 검증내역 210

    해외 원전과의 방사선량 비교 212

    최근 10년간 연도별 방사선량 212

    최근 10년간 연도별 종사자 개인 평균선량 213

    2018년도 원전 종사자 선량 분포 213

    건설중 원전 현황 214

    신고리 3·4호기 사업 개요 214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8 -

    신고리 3·4호기 주요 추진 일정 및 계획 215

    신한울 1·2호기 사업 개요 215

    신한울 1·2호기 주요 추진 일정 및 계획 216

    신고리 5·6호기 사업 개요 216

    신고리 5·6호기 주요 추진 일정 및 계획 217

    세계 우라늄 매장량 219

    세계 원자력발전소 설비용량 전망 220

    세계 우라늄 정광 수급 전망 220

    세계 경수로 변환시설 현황 221

    세계 경수로 변환역무 수급 전망 221

    농축기술 222

    세계 농축시설 현황 223

    세계 농축역무 수급전망 223

    세계 성형가공시설 현황 225

    교체노심 설계 현황 228

    연도별 국산 경수로용 원자력연료 생산 현황(1989년~2018년) 229

    경수로용 원자력연료 제조공정 개선 및 부품 국산화 현황 232

    원자력발전소 노심설계코드 국산화 종류 및 기능 234

    연구개발 과제 내용 및 연료서비스 기술 확보 현황 238

    연도별 국산 중수로용 원자력연료 공급 현황(1998년 ~ 2018년) 239

    중수로 원자력연료 주요 제조공정 개선 및 장비 개발 현황 239

    2018년도 중수로 원자력연료 설계 관련 중점 추진 내용 240

    원전본부별 지진 계측값 245

    내진성능 개선사례 246

    지진종합대책 주요 내용 247

    국내 원전 내진설계 기준 247

    해외 원전 내진설계 현황 248

    기본지원사업 내용 256

    기본지원사업 세부내용 256

    사업자지원사업 추진방향 :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실효성 있는 사업추진 257

    사업자지원사업 세부내용 (시행령 별표 3) 258

    기본지원사업과 사업자지원사업 비교 258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19 -

    발전소주변지역 지원(기금사업) 시행절차 261

    2017년도 기금지원사업 실적 262

    연도별 기본지원사업비 지원금액 262

    연도별 특별지원 사업비 지원금액 263

    사업자지원사업 지원실적 263

    2018년도 사업자지원사업 사업종류별 지원실적 264

    연도별 기금사업 실적 264

    한수원 사업자지원사업 세부 내역 265

    사업종류별 사업자 지원사업 지원 현황 265

    한국·일본·대만 3국의 발전소주변지역 지원제도 비교 268

    단계별 주요 수행 업무 272

    국가별 원전 운영 및 해체 현황 273

    원자로형별 세계원전 가동 및 영구정지 현황 274

    전세계 해체완료 원전(21기) 현황 274

    2017년 1월 현재 영구정지 원전 현황 274

    전세계 원전 원인별 영구정지 현황 274

    세계 원전 해체(완료) 및 부지활용 현황 275

    2016년 권역별 원전 해체시장 현황 277

    미국 해체산업 주요 Supply Chain 278

    미국의 주요 상용원전 해체 사례 278

    독일 해체산업 주요 Supply Chain 279

    프랑스 해체산업 주요 Supply Chain 280

    영국 해체산업 주요 Supply Chain 282

    해체산업 Supply Chain 업무/업종 분류 체계 283

    국내 원전해체 관련 경험 285

    국내 해체산업 기술분야별 관련업체 현황 285

    해체기술 분류 288

    미확보 상용화 기술 개발 추진 과제 290

    국가별 원자력발전소 현황(2019년 11월 기준) 310

    국가별 원자력발전 비중(2018년 발전량 기준) 312

    원전 정책 분류 기준 312

    원전 정책 분류별 대상국가 313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0 -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정책 유지 국가 314

    미국의 원전 건설 현황 315

    건설 중 주요 원전 317

    러시아 해외 원전 수출 현황 317

    영국의 신규 원전 건설 계획 현황 321

    일본의 폐쇄 진행 중 원전 323

    핀란드의 신규 원전 건설 및 추진 현황 325

    건설 계획 중인 원전 325

    인도의 건설 중인 원전 현황 326

    계획되거나 제안된 캐나다 원전노형 327

    건설 및 계획 중인 원전 328

    중국의 원전 수출 현황 329

    UAE의 건설 중인 원전 330

    체코 내에 계획 중이거나 제안된 원전 현황 332

    루마니아 원전 현황 333

    건설 계획 원전 (전체 PWR 노형) 334

    아르헨티나 원전 운영 및 건설 현황 335

    건설 중 또는 제안된 브라질 원전 335

    계획된 헝가리 원전 336

    벨라루스 원전 운영 계획 337

    제안된 남아프리카공화국 원전 현황 339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정책 재검토 국가 339

    독일의 원전 운영 현황 341

    스웨덴의 원전 운영 현황 342

    벨기에 원전 현황 344

    프랑스 원전 현황 346

    스위스의 원전 운영 현황 348

    대만의 원전 운영 현황 349

    터키의 건설 계획 중인 원전 현황 350

    방글라데시의 건설 중인 원전현황 351

    이란의 계획 중인 원전 현황 352

    이집트가 계획 중인 원전 현황 352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1 -

    폴란드의 건설 계획 중인 원전 현황 354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비교(1) 375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비교(2) 375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공급산업체 총매출액 비교 375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공급산업체 업종별 매출액 비교 376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공급산업체 판매대상별 매출액 비교 376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발전사업자 투자비용 비교 377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발전사업자 비목별 투자비용 비교 377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비교 378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산업분야 업종별 인력 비교 378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2 -

    그림 목차

    수행 Process 5

    기관구분 현황 9

    기업규모별 현황 10

    업종별 현황 11

    설립연도별 현황 12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15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16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 매출액 구성도 18

    10년간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추이 19

    국내 총생산과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추이 20

    원자력산업분야 매출액 현황 22

    전체 매출액과 원자력 관련 분야 매출액 규모 23

    2017~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매출액 비교 25

    2018년도 원자력발전사업체 매출액 구성 26

    2017~2018년도 원자력공급산업체 분야별 매출액 27

    원자력공급산업체 판매처별 매출액 29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매출액 30

    연구·공공기관 판매처별 매출액 31

    연도별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매출액 추이 33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연도별 원전건설 및 운영분야 매출액 추이 33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판매처별 매출액 추이 39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40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비교 40

    원자력산업분야 투자액 추이 42

    2018년 원자력발전사업체 분야별 투자액 43

    원자력발전사업체 분야별 투자액 추이 44

    원자력발전사업체 설비투자비 추이 46

    원자력발전사업체 방사성폐기물처리 관련비 추이 47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전연료비 및 성형가공비 추이 48

    원자력발전사업체 원전운영 및 정비비 추이 49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3 -

    원자력발전사업체 인건비 추이 50

    원자력발전사업체 연구개발비 추이 51

    원자력발전사업체 방사선안전관리비 추이 52

    원자력발전사업체 교육훈련비 추이 53

    2017~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 분야별 투자액 54

    원자력공급산업체 항목별 투자액 55

    2017~2018년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투자액 58

    연구·공공기관 투자내역별 투자액 59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분야별 투자액 추이 61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 항목별 투자액 추이 62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68

    10년간(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인력 추이 70

    10년간 (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남녀별 인력 추이 71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주요 분야별 인력 72

    10년간(2009~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주요 분야별 인력 73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분야별/남여별 인력 74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 인력 75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 인력 추이 76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직능별/남여별 인력 77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업종별·직능별 인력 79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80

    원자력산업분야 학력별 인력 추이 82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전공별 인력 83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연령별 인력 87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연령별·근로조건별 인력 89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별 업종별·연령별 인력 90

    2017~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근속년수별 인력 92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자격증소지자 인력 94

    2018년 원자력산업분야 자격증소지자 인력 96

    2017~2018년 원자력 관련 학과 재학생의 학위별 현황 103

    2017~2018년 원자력 관련 학과 학위별 배출 현황 104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학위별/연도별 배출 현황 추이 105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4 -

    2018년 원자력전공인력의 취업/진학 현황 106

    2017~2018년 원자력전공인력의 취업 현황 107

    2018~2019년 원자력 관련 학과 교수진 현황 108

    국내 원자력 관련 학과 교수 현황 추이 109

    연도별 국내외 해외수출 계약금액 및 계약건수 110

    연도별 국내외 기술도입 계약금액 및 계약건수 112

    계약연도별·도입국가별 국내외 기술도입 계약건수 113

    향후 원자력 관련 매출액 전망 115

    원자력공급산업체 및 연구공공기관의 매출액 전망 116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의 평균 조업률 118

    2018년 원자력공급산업체의 적정 조업률 120

    경쟁력 확보의 내부 제약요인 122

    경쟁력 확보의 외부 제약요인 124

    우수인력 확보의 장애요인 126

    중소기업의 핵심기술 보유 여부 127

    중소기업의 지원요청 사항(중복응답) 129

    원자력산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활용여부 133

    총, 최종 석유 수요 증가율 및 석유 제품별, 부문별 기여도 추이 153

    수송 부문 주요 석유제품 소비 동향 및 전망 154

    기저발전량과 발전용 가스 투입 증가율 추이 및 전망 155

    용도별 도시가스 소비 추이 및 전망 155

    석탄 발전 용량 변화와 석탄 소비 증가율 추이 및 전망 156

    용도별 유연탄 소비 및 유연탄 소비 증가율 추이 및 전망 157

    최종에너지 기준 전망 및 목표수요(안) 167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정책 흐름도 172

    2015년 11월, EU-APR 본심사 착수회의 179

    EUR 인증서 취득 기념행사 180

    NRC DC 인증프로세스 181

    사전심사 회의 (2013년 6월) 182

    설계인증 신청문서 제출 (2014년 12월) 182

    APR1400 SDA 182

    APR1400 미국 NRC로부터 SDA 취득 182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5 -

    제5차 원자력 종합진흥계획 로드맵 184

    비전 및 추진전략 194

    연도별 원자력발전소 발전량 변화추이 199

    원전연료주기도 218

    원심분리 및 기체확산 농축시설 222

    중수로용 원전연료집합체 224

    경수로용 원전연료집합체 224

    원자력 안전문화 실천 프로세스 242

    Safety Moment 시행 242

    안전문화 포스터(예시) 244

    원자력안전문화 실천수첩 244

    국내 원자력 사업품질체계 249

    한수원 품질보증체계 249

    품질보증활동 종합 체계도 250

    원전해체 추진 절차 271

    중장기 해체시장 전망 276

    원전 해체 단계와 단계별 소요기술 287

    정부 원전 해체산업 육성 정책 288

    해체 기술 및 장비 개발 추진 현황 289

    지역별 원전 운영 현황 307

    전 세계 원전 가동연수 현황 308

    국가별 원전 건설 현황 309

    IEA의 세계 원자력 설비용량 전망(GW) 311

    에너지원별 세계 발전설비용량 전망(발표정책 시나리오) 311

    향후 일본이 이용・활용해야 할 에너지 356

    관심도가 높은 항목 357

    원자력발전의 수용성 추이 358

    원자력발전의 경제성 인식 조사 – 원자력발전이 없으면 전기요금이 상승한다. 359

    원자력발전 리스크 인식수준 - 향후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다. 359

    원자력발전 리스크 인식수준 – 지진발생국가(일본 등)에서는 원자력발전이 위험하다.360

    원자력발전 리스크 인식수준 – 원전 주변의 방재 체제가 정비되어 있다. 360

    미국 원전 찬반 여론 추이 (1983-2016) 362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6 -

    원전지역주민과 일반 국민의 원자력 선호도 비교 (2017, %) 362

    원자력 선호도에 대한 미국 여론의 변화 363

    원전에 대한 미국의 안전 인식 변화 363

    영국 내 원자력 이용에 대한 여론 변화 (2013.3-2019.3) 364

    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에 대한 인식 (2019.3 기준) 365

    소형모듈원자로(SMR) 인지도 조사 365

    스웨덴의 원자력 이용에 관한 설문 결과 (Novus의 조사 결과) 366

    스웨덴의 원자력 이용에 관한 설문 결과(SOM연구소 조사 결과) 366

    스웨덴의 원자력 이용에 관한 설문 결과(TNS Sifo 조사 결과) 367

    원전 이용 및 증설 찬반 의견 변화 추이 367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도 변화 추이 368

    기후변화 대응수단으로서의 원자력 설문 결과 368

    스웨덴 원자력 이용에 관한 동향 369

    스웨덴 국민의 발전방식 선호도 변화 369

    원자력 운영사에 대한 신뢰도 변화 369

    프랑스 전반적인 위험 인식의 변화 (1998-2018) 370

    심각한 사고나 재난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산업 또는 기술에 대한 인식 변화(1998-2018) 370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프랑스인의 위험인식의 변화 371

    원자력발전소에 대한 프랑스인의 수용성 변화 371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에 대한 프랑스인의 의견/태도 변화 372

    BVA-Orano 설문조사 주요 결과 373

  • 2018년도 원자력산업실태조사

    - 27 -

    부록

    24년간(1995~2018) 기술도입 현황 379

    2018년도 기술도입 현황 406

    24년간(1995~2018) 인증취득 현황 408

    2018년도 인증취득 현황 445

    조사대상업체 리스트 451

  • - 28 -

    참 고 자 료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7∼2031 산업통상자원부

    ▣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2019∼2040 산업통상자원부

    ▣ 원자력뉴스레터 각 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자력연감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세계 원자력 발전의 현황 및 전망 한국원자력산업협회

    ▣ 국내 원전 해체산업실태조사, 한국수력원자력

    ▣ 통계청 국가통계포탈 사이트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에너지경제연구원

    ▣ 에너지통계연보, 에너지통계월보 각호, 에너지경제연구원

    ▣ 세계 원전 인사이트』 각호,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 전력통계속보 한국전력공사

    ▣ 원자력안전위원회 원전안전운영정보시스템

    ▣ 원자력관계법령집 원자력안전기술원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flex/Key100Stat_k.jsp)

    ▣ 산업은행 경제연구소

    ▣ 전력거래소 전력거래통계정보시스템

    ▣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원자력연료(주) 홈페이지

    ▣ World Energy Outlook』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 World Nuclear Association(WNA) (http://www.world-nuclear.org)

    ▣ IAEA Power Reactor Information System(PRIS) (http://www.iaea.org/pris)

  • 조사 개요1. 조사 목적2. 조사 근거3. 조사기간 및 기준시점4. 조사 대상5. 조사 Process6. 조사 내용7. 조사업체 현황

    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제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장

  • `

    제24회 원자력산업실태조사 보고서 3

    제1장 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2017년 5월 신정부가 들어서면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및 경주(’16.9)‧포항(’17.11)지진 이후

    안전한 에너지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반영하여 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 중심의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음

    ❍ 「에너지전환 로드맵(’17.10)」, 「재생에너지 3020(’17.12)」,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17.12)」을 수립하였으며 ’19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에너지전환의 중장기 정책방향을 정립하고 분야별 세부정책*을 마련‧이행 중임

    *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4월), 원전 전주기 수출활성화 방안(9월)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30년까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