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 자연보존 110 : 10-17 ; 2000년 6월

    − 10 −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성 종 상

    서안 환경설계연구소

    자연이 없는 도시공원

    오늘날 대도시 도시공원에는 자연이 없다. 모

    든 생명체의 지반인 땅은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그도 아니면 고압 블럭으로 완전히 포장되니 그

    속으로 물 한 방울 공기 한 숨 스며들기 어렵

    다. 섬처럼 분리된 녹지에 선 나무들도 새로 심

    느라 뿌리도 잘리고 가지도 정리된 상태라서 크

    고 짙은 그림자는 드리우지 못한다(그래서 도

    시공원에는 그늘을 만들어 줄 다른 특별한 장

    치 -파고라가 필요한지도 모르겠다). 지렁이가

    살만한 흙도, 곤충이 숨을 만한 덤불도 제대로

    없으니 새나 나비도 잘 오지 않는다. 적어도 생

    태학적 입장에서 보자면 오늘날 도시공원은 병

    든 허파임에 틀림없다.

    도시 내에서 자연적인 식생이나 새, 동물, 곤

    충 등이 인위적으로 조성된 녹지공원에서보다,

    개발되지 않고 방치된 곳에서 더 잘 발생된다1)

    는 지적은, 도시공원이 생물보다는 사람 중심의

    공간임을 감안하면 별로 놀랄 만한 사실은 아

    니다. 사실 근대 산업사회에 들어오면서 생겨난

    도시공원(urban public park)이 ‘도시 속의 자연

    (Nature in City)’ 혹은 ‘자연으로 난 창(Window

    to the Nature)’이라는 역할을 해 오긴 했으나

    최근에 들어 대두된 생태공원(ecological park)

    과는 그 출발 자체부터 다르다.2)

    인간이 만든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까지 하는

    도시에 생태공원이 생겨난 사실에는 두 가지 중

    요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 하나는 도시가

    갖는 대표적 속성 중 하나인 개발밀도에 대한

    인식변화로서 고도로 집약된 토지이용을 추구

    하는 도시에서 개발을 포기(?)하고 ‘별로 쓸모

    없게’ 남겨진 토지의 필요성이 인정됐다는 점

    이다. 토지를 자본으로 간주하는 경제논리로만

    보면 선듯 납득이 가질 않는 것이, 급박하기 만

    한 현대인의 삶에 제기되는 느림 내지는 머뭄

    의 미학에 비견할 만하다. 하지만 방치되어 있

    는 땅이 대체로 지저분하고 위험한 곳이라 주

    변지역 전체환경 이미지까지 같이 안 좋아져 점

    점 낙후되어지기 쉬운데 반해, 새로 생태공원으

    로 조성 정비되면 자연환경이 쾌적해지고 명소

    가 되면서 이미지는 물론 땅의 가치도 상승되

    어 경제적 효용도 무시할 수 없기도 하다. 다

    른 하나는 도시에 인간 외에 자연생물사회가 당

    당히 그 주체가 되는 공간이 확보되어 이른바

    도시 내에서 인간과 자연과의 공생관계가(부분

    1) 영국의 조경가 Laurie는 장식적인 공원경관을 만드는데만 신경쓸 뿐, 유보지에 대한 유지관리나 자연화 과정에 따

    른 재생은 거의 고려하지 않는 전통적인 도시공간 개발기법을 비판하면서, 현대도시에 그 같은 개발의 손이 덜

    미친 미개발지가 많이 남아있는 것이 오히려 다행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Ian C. Laurie(1979), Nature in Cities,John Wiley & Sons. xvi-xvii

    2) 도시공원(urban public park)은 19c 서구도시가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두된 도시환경의 문제와 시민대중의 사

    회적 요구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으로서 보건위생과 레크레이션 및 스포츠 활동을 수용하는 장이라면,

    생태공원(ecological park)은 다양한 생태계를 보존 또는 재현하여 (주로 어린이에게) 자연에 대한 이해와 체험의

    기회를 주기 위한 장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출현은 생태학적 지식과 생태적 조경설계기법이 가능해진 최근

    의 일(1925년 네덜란드 Jacques P. Thijsse Park)이다.

  • 성,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 11 −

    적이나마)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아마도 이 두

    가지야말로 도시생태공원의 효용과 직결되는 중

    요한 가치변화가 아닌가 한다.

    도시생태공원 만들기

    도시생태공원은 이처럼 자연과 격리된 도시

    에 살아있는 자연을 들여오기 위해 조성된다.

    도시에 자연을 들여오기에는 통상 세 가지 방

    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3) 첫째는 기존의 공원

    과 오픈스페이스를 자연적인 특성이 강화되도

    록 개선하는 것이고, 둘째는 작은 숲이나 철도

    변 등 버려진 땅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

    여 생태적인 장소로 탈바꿈시키는 것이며, 셋째

    는 개발 등으로 생겨난 부지에 새롭게 자연을

    도입해서 조성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첫 번째

    방식은 기존 공원의 효용과 연관지어 다루어야

    하는바 현재의 공원 이용자의 요구를 저해하지

    않도록 추진되어야 한다. 또 셋째 방식은 새로

    운 부지에 생물을 인위적으로 도입해야 하므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생태공원을 만들기가 사실

    상 어렵다. 이런 점에서 보면 현재의 도시상황

    에서는 두 번째가 생태공원으로서 가장 바람직

    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로 기존에 성

    공적으로 조성되어 운영 중인 도시생태공원이

    이 경우에 해당되는 곳이 많다. 사람이 외면한

    곳이 자연이 깃드는 곳이 되는 것이다. 사람들

    의 발길이 미치지 않으면서 자연이 들어와 살

    기 시작하게되고 따라서 생태공원으로 만들어

    성공하기 유리한 조건을 갖추게 된 것이다.

    하나의 도시생태공원을 계획·설계하기에는 수

    많은 주체들의 여러 단계에 걸친 참여와 역할

    수행이 요구된다. 공원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개

    발성격을 정하는 일로부터 전문적인 설계에 이

    르기까지 조경가를 중심으로 관련되는 각 주체

    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수행되어지는 것이다.

    생태공원 계획·설계의 각 단계별로 중요한 사

    항을 살펴보기로 하자.

    기획단계 -입지선정과 성격설정

    특정도시에서 생태공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사항이 선행조건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우

    선 도시생태공원의 필요성이 인정되어야 할 것

    이고 그런 연후에 조성할 만한 장소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전자가 생태공원의 수요측면의 출발

    점이라면 후자는 공급차원에서의 첫단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 둘의 순서

    가 뒤바뀌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즉, 개발되

    지 않고 방치되었거나 기존의 용도가 폐기되어

    새로이 개발하고자할 어떤 장소가 생겼을 때 그

    개발방안으로 생태공원이 대두되는 것이다. 최

    근 사회 전반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공감대가

    널리 형성됨으로써 새로이 개발되는 공원인 경

    우 생태적인 차원에서의 요구가 강하여 점차 생

    태공원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어쨌거나 특정 장소를 생태공원으로 개발하

    고자할(장소와 대상 결정) 다음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은 생태공원의 성격 규명이다. 생태공원이

    도시 내에 건강한 자연을 들여오는 곳임은 틀

    림없으나 그 자연의 내용과 수준은 경우에 따

    라 차이가 많이 날 수가 있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생태공원 조성방식과 대상지의 입지특성,

    그리고 조성주체와 해당지역 사회구성원의 기

    대 등이 특정 장소에 조성될 생태공원의 성격

    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즉, 기존 공

    원에다 자연을 강화하여 생태공원으로 바꾸려

    할 경우에는 기존 공원이용을 저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순수한 생태공원이라기 보다는 아무래

    도 도시공원에 생태공원의 성격이 가미되는 형

    식이 되기 쉽다. 달리 말하면 자연보다는 사람

    위주의 공원이 되는 셈이니, 생태도 사람들이

    보고 즐기며 배우는데에 초점이 맞추어 지는 것

    이다. 그에 반해 방치되거나 남겨진 토지에다

    만드는 생태공원은 현재 이용자나 이해당사자

    3) Jacklyn Johnston (1990), Nature Area For City People, London Ecology Unit. p.7

  • 자 연 보 존

    − 12 −

    가 없으니 자연생태에 주안점을 더 두어 조성

    할 수가 있게 된다. 자연생태에 주안점을 둔 생

    태공원이라도 그 쓰임새에 따라서는 연구형 공

    원과 일반인의 자연교육 및 전시형 공원 등으

    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상지의 입지

    와 물리적 특성이 중요한 결정인자가 된다. 일

    반적으로 대상지가 학교나 역 등 많은 사람이

    접근하기 쉬운 곳이면 연구형보다는 학습과 관

    람형 공원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학

    생을 주 대상으로 하는 자연학습형의 생태공원

    인 경우 인근 학교로부터의 거리나 접근수단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한편으로 대상지가 지닌

    물리적 특성도 공원성격 결정에 중요한 요소이

    다. 만약 그 곳이 생태적으로 희귀하거나 가치

    있는 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다면 가급적 보존

    위주의 연구형으로 조성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생태공원의 성격을 어떤 것으로 하느냐에 따

    라 들여올 자연생태요소와 시설 및 공간프로그

    램이 달라지게 되므로 계획 초기에 도시생태공

    원의 성격이 분명히 설정되어야만 한다.

    조사분석

    통상적인 과업에서는 과업지시서에서 대상지

    와 함께 개발방향(공원성격) 및 구체적인 시설

    프로그램까지도 제시하게 되므로, 생태공원 계

    획과 설계의 구체적인 업무는 조사분석으로 시

    작하게된다. 기제시된 과업의 성격이 조사분석

    결과로 수정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조사분

    석은 크게 대상지에 대한 것과 유사사례 등의

    자료에 대한 것으로 구분되며, 대상지에 대한

    조사분석은 주변(off-site)과 대상지내(on-site)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생태공원을 만들기 위한 대

    상지 조사분석은 생태적인 항목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특별히 필요로 한다. 현재 대상지에 존

    재하고 있는 것들을 하나의 자원으로 간주하여

    잘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들여올 자연요소와 유

    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조사되어야 할 대상지의 특성 중에서 중요한 것

    은 다음과 같다.

    - 기반조건에 관한 것 : 토질 및 토양, 수문

    (지하수위, 지표수 등의 수량, 수질 등), 지형(경

    사, 향 등)

    - 도입요소에 관한 것 : 식생(초본/목본), 곤

    충 및 미생물(육상/수서),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의 종류, 분포, 구조, 생태적 특

    성 등

    - 영향인자에 관한 것 : 기후(풍향/풍속, 일

    조, 강우량 등); 경관적 특성, 주변 요소(자연/

    인문)의 분포, 위치, 특성 등; 소음. 공해원인 요

    소의 위치; 주변과의 관계(동선, 접근방향과 루

    트), 예상되는 주이용자와 그 분포, 관련법규와

    지목 등

    - 기타 : 땅의 역사와 유래, 이미지, 소유자 등

    항목들간의 관련성(system)과 시간적인 과정

    (process)에 대한 이해는 이들 항목을 조사분석

    하는데 있어 가장 주요한 포인트이다. 자연이라

    는 것 자체가 여러 인자가 복합된 일종의 시스

    템으로 이해되는 바 개개의 생물종은 커다란 구

    조 내에서 상호 관련되면서 살아가는 구성요소

    로 이해하고 그들간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조사

    분석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각 부문의 전문가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어 공

    동으로 조사한 후 종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자연이 주가 되는 생태공원은 조성 이후 시간

    이 지남에 따라 끊임없이 성장 변화해 나가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에 따라 조사관점과

    내용에 있어서도 조사 당시의 고정된 시점이 아

    니라 과거부터 장차 조성이후까지 이어지는 연

    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하고 조사분석하여야 하

    는 것이다. 특히 지형이나 지질, 토양, 수문 등

    이 복합되어 이루어지는 자연형성과정과 그로

    인한 경관의 변천과정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통

    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야말

    로 생태공원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일이 된

    다. 이를 위해서는 대상지 주변의 자연형성과정

    에 대한 기록이나 자료에 대한 분석력은 물론

    앞으로 있을 도시개발과 그로 인한 영향 등을

  • 성,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 13 −

    예측할 수 있는 안목이 요구된다.

    기본구상 -기본방침과 프로그래밍

    조사분석의 결과는 기설정된 공원성격을 재

    검토하고 조성할 공원의 기본방침을 결정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도입 활동과 시설 프로그램

    은 기본방침을 달성하기위한 구체적인 수단이

    다. 도입활동은 전시관람을 통한 자연교육활동

    뿐만 아니라 공원에서 기대되는 일상적 활동 -

    휴식이나 산책, 간단한 운동 등도 수용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도입활동이 결정되면 그

    활동을 담을 장으로서의 공간이나 시설을 검토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물을 중심으로한 자연학

    습위주의 생태공원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수공

    간과 함께 그곳에 들어갈 수 있는 요소들 -수

    중/수변식생, 관찰용 마루다리와 데크, 조류유

    치용 횃대, 수중섬, 물고기산란시설, 수질유지

    장치 등-이 도입가능한 시설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활동과 시설 프로그래밍에서 중

    요한 것은 해당 생태공원성격을 충족시키면서

    당해 장소가 갖는 능력, 특히 생태적 수용능력

    (carrying capacity)을 넘지 않도록 결정하는 일

    이다. 도시생태공원에 도입되는 주요 시설은 다

    음과 같다.

    -생태기반 시설:연못, 저습지, 계류나 도랑,

    섬; 수림대, 초지, 산림, 모래언덕, 자갈더미 등

    - 생물종 요소 : 각종 수목과 초화류; 곤충

    류, 양서파충류, 어류 등(방사 또는 유치); 조류,

    포유류(유치)

    - 관람이용 시설 : 비지터센터, 산책로, 관

    찰 마루와 데크, 조류관찰대, 횃대, 안내사인류,

    주차장 등

    - 보호관리 시설 : 난간, 울타리, 화장실 등

    계획 및 설계 -몇 가지 기법들

    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는 조경가 뿐만 아니

    라 생태학자, 중앙정부나 자치단체의 관련자, 대

    상토지 관리자, 지역 주민대표 등 다양한 주체

    를 참여시켜 아이디어를 함께 모색하면서 추진

    하는 것이 좋다. 설계는 식물과 동물 등의 서

    식환경설계와 관람이용을 위한 시설설계로 구

    분된다. 어느 것이든 당해 생태공원이 추구하는

    목표와 기본방침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대상지의 조건을 면밀히 분석

    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물입장에서의 생태적

    원리와 이용자 입장에서의 고려사항 -심미적, 기

    능적 차원에서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세부설계 이전에 고려되어야할 기본적인 체

    크포인트는 기존(생태)자원을 얼마나, 또 어떻

    게 존치하고 활용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새로

    식재되는 수목이나 초본의 종류는 그 자체의 속

    성(심미적, 형태적 특성 등)과 대상지의 물리적

    조건을 동시에 고려하여 선정된다. 특히 기존

    식생과 관련해서는 자연화(naturalization) 과정

    에 입각하여 중장기적으로 건강한 식생이 유지

    될 수 있도록 하는 배려가 요구된다. 주요 요

    소별 설계주안점을 살펴보기로 하자.4)

    - 수림대 : 인공 조림지처럼 단순림인 경우

    다양한 야생생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숲의 환경

    을 다양하게 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

    부 수림지는 벌채 후 다른 食餌木 또는 타수종

    을 혼식하거나 수목밀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다.

    특히 林緣部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분포하여

    생물상도 풍부하게 나타나는 곳이므로 잘 보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수림이 좋지 않아

    갱신하고자 할 때에는 인근에 유사한 환경조건

    하에서 분포하고 있는 자연수림 중에서 가장 양

    호한 곳을 골라 표본으로 삼아 교체해 나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기존 수림 내에 분포하고 있

    는 하층목이나 초본류는 물론 낙엽이나 고사목

    등은 야생생물들의 좋은 먹이 또는 서식환경이

    되므로 제거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한다(사진 1).

    4) Michael Hough(1995), Cities and Natural Process. Routledge. pp 117-119; 안봉원 외역 스기야마게

    이이찌 등 저(1998), 『생태환경계획. 설계론』.도서출판 누리에. pp58-60; 조경설계서안주식회사(1993),『고덕

    근린공원 기본계획』. 서울시 강동구. pp. 47-53에서 발췌 요약 재정리

  • 자 연 보 존

    − 14 −

    기존 수림이 나쁘지 않은 곳이라면 계획은 단

    순히 그 수림대를 울타리로 보호하는 것만으로

    충분할 수도 있다(사진 2). 때로는 간단한 관찰

    용 나무마루나 데크, 안내판 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수령 25년 이상된 수림들이나 수관하부에 과

    도한 답압으로 인해 토양경도가 극도로 불량

    (경도18-31)하여 표층을 경운하고 멀칭한 후 사

    람의 출입을 막도록 설계되었다. 시공 후 1년

    이 경과된 현재 제대로 관리된 지역에서는 유

    목이 자라고 있는 등 좋은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자연화에 의한 건강한 식생형성기법

    · 천연갱신 : 사람의 접근을 제한하여 자연종

    이 자연스레 형성되도록 함(그림 1)

    · 관리천이(managed succession) : 자연천이과

    정에 맞추어 최소의 인위적인 간여로 건강한 수

    림 형성

    방식 1) 초기 선구수종 유목식재로 수림대를

    발생시켜 식생생장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한

    후 성목이 된 선구수목을 간벌하여 안정된 식

    생구조를 확립(그림 2)

    방식 2) 초기에 선구수종과 극상수종 유목을

    동시에 심고 성목이 된 상태에서 경쟁이 되는

    사진 1. 고사목은 좋은 서식처가 된다 .

    사진 2.어린이대공원내 기존수림대 침입방지용 울타리

    그림 1. 천연갱신

    그림 2. 관리천이 (방식 1)

  • 성,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 15 −

    선구수종을 간벌하여 안정된 식생구조를 확립

    (그림 3)

    ▶ 식생생장환경조건을 감안한 건강한 식생

    구조 형성기법(그림 4, 5)

    ▶ 수종갱신기법(그림 6)

    ▶ 야생동물 서식지 보존(그림 7)

    - 수변 및 수역 : 수공간은 생태공원에서 가

    장 핵심이 되는 곳이다. 특히 수변은 수상 및

    육상생태계가 공존하는 곳으로 어류와 식물, 조

    류, 양서파충류 등 다양한 종이 분포하는 귀중

    한 공간이다. 가급적 기존 수공간은 살리되 필

    요할 경우 수변선에 변화를 주어 환경을 다양

    하게 하는 것도 좋다. 특히 새로 조성하는 수

    공간인 경우 수원확보 및 수질 유지를 위한 각

    종 조치 -지하수 개발; 물 순환, 수생식물 식

    재, 수심조절 등-가 검토되어야 한다.

    양재천 : 친수하천 설계를 통해 수질을 개

    선하고 호안공법(식생/자연석), 산책로와 관찰

    데크, 징검다리와 낙차공 등의 친환경 공법을

    적용하여 버려진 하천에서 생물과 시민들 모두

    에게 친숙한 곳으로 탈바꿈되어졌다(사진 3).

    ▶ 조류서식을 위한 수역처리(그림 8)

    ▶ 어류 서식을 위한 수변처리(그림 9)

    - 관찰시설 : 관찰시설은 인간과 야생동식물

    과의 접촉기회를 늘림으로써 자연에 대한 이해

    와 학습이라는 생태공원 조성목적을 달성하기

    그림 4. 수림대 외연부에 다양한 식생구조 형성 유도

    그림 5. 다양한 서식환경 조건을 조성하여 다양한 식

    생구조 형성 유도

    그림 6. 건강한 주변수림에서 표본식생모델 설정

    그림 7. 서식처의 파괴 /교란 지양

    시진 3. 양재천

    그림 3. 관리천이 (방식 2)

  • 자 연 보 존

    − 16 −

    그림 8. 사람과 새와의 관계를 물리적으로 조절

    그림 9. 수변을 식생 , 자갈 , 호박돌 등으로 다양한 환경 조성

    그림 10. 야생동물의 이동경로 확보

    그림 11. 터널 , 다리설치에 의한 이동통로 (eco-corridor)

    위한 필수시설이다. 그러나 시설설치로 인해 야

    생동식물 서식환경을 위협하거나 저해하지 않

    도록 가급적 최소한의 시설로 하되 배치, 재료,

    구조 등을 세심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대표적인

    시설로는 관찰센터(비지터센터), 관찰로, 관찰마

    루와 데크, 경계울타리 등이 있다. 관찰로는 기

    존 자연지형과 식생분포를 최대한 살리면서 중

    요한 야생자원을 관찰하기 유리한 코스로 개설

    한다. 노폭은 1.5-2.0 m 정도로 하고 포장은 흙

    이나 마사토 등 자연소재이면서 흡음 효과가 큰

    것으로 하면 좋다. 시설물의 재료는 가급적 자

    연소재로 하면서 색채나 형태 등도 주위환경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공원에 적합하도록

    배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 야생동물 서식환경 조성(그림 10, 11)

    ▶ 식생환경 보존을 위한 시설설치기법(그림

    12)

  • 성,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

    − 17 −

    ▶ 식생생장특성을 감안한 시설의 선택적 배

    치(그림 13)

    맺는말

    도시내 자연은 거대한 인공물이 갖는 한계 -

    비인간적인 거대 스케일을 줄여주고, 사람으로

    하여금 주변 환경과 관계 맺도록 해주는 소서

    식처(micro-habitats)를 만들어 줌으로써 심미적

    인 자극을 준다. 도시생태공원은 분명한 목적을

    지니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설계, 시공, 관리와 이용이 따른다는 점에서 도

    시내 기존 수림이나 유보지와는 근본적으로 다

    르다. 또한 생태적 과정과 요소가 존중되며 자

    연학습과 교육위주의 기능을 갖는다는 점에서

    기존 도시공원과도 자못 다른 것이다. 그것은

    자연이 갖는 수많은 가치 -건강, 평화, 자유, 공

    존 등-에 보다 겸손하게 주목하고 자연의 과정

    을 존중함으로써 삭막해진 현대도시에서 진정

    한 허파로서의 의미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생태공원의 계획과 설계에서 가

    장 중요한 것은 자연생태계의 원리에 대한 이

    해에 입각하여 대상지를 파악하고 그 장소에 적

    합한 기법을 섬세한 안목으로 찾아내는 것이

    다. 공기와 비와 토양의 메카니즘에 의해 흙이

    만들어지게 하고, 깨끗한 물이 흐르게 함으로써

    그 위에 식물이 건강하게 자라게 하는 것이다.

    종자를 퍼뜨리거나 여타 식물사회가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켜 토착식물이 잘 자라도록 해주

    고, 새나 야생동물의 먹이와 보호처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건강한 자

    연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도

    시생태공원이 살아 숨쉬는 자연으로 될 때 그

    곳에서 우리 도시가 필요로 하는 자연과 인간

    의 풍부하고 의미있는 만남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림 12. 도로개설과 보행데크 설치

    그림 13. 답압에 강한 수림하부에 간단한 이용시설 배치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