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33

Upload: others

Post on 15-Aug-2020

4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Page 2: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Page 3: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1. 총공급의 결정

1) 개별재화의 공급량 결정 : 한계수입=한계비용

개별 재화의 공급 ① 판매가격의 증가함수 ② 생산요소 가격의

감소함수

2) 총공급의 결정: 물가와 생산요소가격이 어떤 관계로 변화하는가에

따라 물가와 총공급량과의 관계가 정해진다.

3) 물가상승→생산요소 수요 증가→생산요소 가격 상승

(물가상승률과 동일하게 생산요소 가격이 증가하면 총공급량은 변화 없다)

식(5.1)은 총공급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많음을 암시

Page 4: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총공급곡선 (총공급과 P의 관계)

(단, 식 (5.1)에서 생산요소가격 W가 일정하다고 전제)

1) 총공급곡선이 AS0일 때 물가상승(P0→P1)→공급량 증가(Y0→Y1)

생산량을 증가시키는데 들어가는 추가적인 비용이 적을수록 물가상승

에 반응해서 총공급량이 더 크게 증가함 (AS0에서 AS1로)

Page 5: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특수한 상황에서의 총공급곡선

① 총공급곡선이 수평선인 경우 (ASK)

: 물가상승에 따라 총공급량이 아주 크게 증가 (케인즈의 소득지출모형)

② 총공급곡선이 수직선인 경우 (ASC)

: 물가등락이 총공급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고전학파의 총공급함수)

Page 6: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3. 생산요소가격의 변화와 총공급곡선의 이동

물가상승(P0→P1 )→생산요소가격 상승(W0→W1)=한계생산비용 상승

→판매가격이 상승하지 않으면 총공급량 감소(AS0→AS1)

Page 7: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4. 생산성 향상과 총공급곡선의 이동

생산성이 높을수록 동일한 생산요소로 많은 양의 재화를 생산할 수 있다.

⇒ A : 생산성 (A=T∙E , T=기술수준, E=효율성)

생산요소 투입량 불변, 생산성 A가 향상되면 총공급량 증가 (AS0→AS1)

Page 8: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5. 생산요소시장을 고려한 총공급함수의 도출

1) 노동력에 대한 수요와 공급 (j산업에 대한)

① 기업의 이윤

(5.3)의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기업은,

② 노동수요함수

VMPL(노동의 가치한계생산물)=W이 되도록 노동력 고용

(상첨자 D는 수요량을 의미.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노동력의 수요곡선이 된다.)

Page 9: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③ 노동공급함수

⇒ 임금(W: 그 직장에서 얻는 환경, 전망 등 모든 가치)의 상승은 노동력의

공급의 증가를 가져오고, 물가(P)가 상승하면 노동력의 공급 은 감소.

즉, 임금의 실질가치에 영향.

따라서 물가상승률과 동일한 비율로 임금이 인상되야 노동공급이 현수준

으로 유지됨.

⇒ 재산(Wealth)이 많을수록 일을 적게 하려 하므로 노동공급량이

줄어들게 됨.

⇒ 물가와 재산소득이 고정되어 있을 때 임금과 노동공급량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그림5-5B]의 노동공급곡선

Page 10: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④ 노동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

[그림5-5A] : 임금불변, 판매가격 PJ상승→노동수요곡선 오른쪽으로 이동

[그림5-5B] : 재산고정, 물가 P상승 → 동일한 노동력의 공급량 NJS를 공급하기

위한 임금 W의 증가

Page 11: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노동시장의 균형과 생산량의 결정

노동력에 대한 수요와 노동력의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균형 고용량 NJ와 임금W가 결정되고 생산함수에 따라 생산량이 결정됨.

[그림5-6A] : 균형점 E에서 j재 가격 Pj, 물가 P0일 때 임금 W0, 고용량 N0

[그림5-6B] : J기업의 생산량 =

Page 12: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3) 물가상승과 노동시장

물가상승 → ① 재화의 가치 상승으로 노동력의 수요곡선 상향이동,

② 실질임금 감소로 노동력의 공급곡선 상향이동

[그림5-7] : 물가상승률=임금상승률→임금만 상승. 고용불변.

물가상승에 비해 생산요소가격이 얼마나 상승할 것인가에 따라

총공급량 증가여부가 결정된다.

Page 13: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1. 총수요의 구성

1) 총수요 : 재화와 용역에 대한 수요를 경제 전체에 대해 합산한 것

2) 총수요 결정주체 : 가계, 기업, 정부 및 해외부문

3) 경상수지 균형(EX=IM)을 가정한 총수요

2. 소비와 투자 그리고 재정지출

1) 소비(Consume)

가계부문이 가처분소득과 이자율을 고려해서 정한다.

Page 14: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투자(Investment)

생산능력을 확충하는 일에 자원을 쓰는 행위

투자함수는 이자율 r(투자의 기회비용)과 예상수익률Z(편익)의 함수

3) 재정지출(Government expending)

정책변수로 정해진 재정지출 G와 조세 T가

⇒ G는 직접적으로, T는 가처분소득을 통해 간접적으로 총수요에

영향을 준다.

Page 15: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3. 화폐시장의 균형

실물경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M이 아니라 실제로 얼마

나 많은 물건을 살 수 있는 가를 나타내는 M/P(실질잔고).

⇒ 화폐에 대한 수요는 M/P에 대한 수요

1) 화폐수요함수

화폐공급량 M은 중앙은행이 정하는 정책변수다. 즉, Ms=M

2) 화폐의 공급과 수요의 균형

Page 16: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4. 이자율의 결정

1) YD커브와 LM커브

① YD커브 : 이자율에 대해 우하향

(이자율 상승→소비수요와 투자수요 감소→총수요량 감소)

② LM커브 : 이자율에 대해 우상향

(실질잔고 공급 M/P이 주어졌다는 전제하에,

총수요증가→실질잔고수요 증가→이자율 상승)

Page 17: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YD커브와 LM커브의 이동

: YD커브와 LM커브가 교차하는 Q에서 이자율과 총수요량이 결정.

① YD커브가 오른쪽으로 이동→이자율 상승, 총수요 증가

YD커브가 왼쪽으로 이동→이자율 하락, 총수요 감소

② LM커브가 오른쪽으로 이동→이자율 하락, 총수요량 증가

LM커브가 왼쪽으로 이동→이자율 상승, 총수요량 감소

Page 18: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5. 총수요곡선

1) 물가와 총수요량

① 물가상승→유통 중인 화폐의 실질가치 하락→구매할 수 있는 재화,

서비스의 총량 감소 →총수요 감소

② 물가하락(P0→P1) → 실질잔고의 공급량 증가(M/ P0 →M/ P1) → 이

자율 하락 또는 총수요량 증가가 있어야 화폐시장 균형회복 → LM커

브 우향이동(LM0→LM1) → 새로운 균형 Q’ : 이자율 하락(r0→r1), 총수

요량 증가(Y0D →Y1

D)

Page 19: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총수요곡선

: 물가하락 (P0→P1) →총수요량 증가(Y0D→Y1

D)

Page 20: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6. 총수요곡선의 이동

1) 화폐공급량 증가와 총수요곡선의 이동

화폐공급량 증가(M0→M1)→물가불변시, 실질잔고 공급량 증가(M0/P0 → M1/P1)

[그림5-11A] : 화폐공급량 증가(M0→M1) →이자율하락, 총수요량 증가

[그림5-11B] : 화폐공급량 증가(M0→M1)→총수요곡선 이동(AD0 →AD1)

Page 21: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재정지출 증가

[그림5-12A] : 이자율 상승(r0→r1)과 총수요량 증가(Y0D →Y1

D)

이자율이 상승하지 않을 때의 변화된 총수요 Y2D보다는 적게 증가

[그림5-12B] : 재정지출 증가 →총수요량 증가 →총수요곡선 이동(AD0 →AD1 )

Page 22: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1. 물가와 국민소득의 결정

⇒ 총수요곡선 AD와 총공급곡선 AS가 만나 물가가 P0일 때 총수요량과

총공급량이 같아지는 E점에서 균형을 이룬다.

Y0 : 균형국민소득

Page 23: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고용, 임금, 이자율, 소비 및 투자의 결정

1) 고용량 (N0 )

①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이 만나는 E점에서 Y0와 P0가 정해졌을 때 Y0 만 큼의 최종재를 생산하기 위해 고용해야 하는 인력

② 노동시장이 균형을 이룰 때 정해지는 고용량

2) 임금 (W0)

노동시장의 균형조건으로부터 N0명을 고용할 때 노동자에게 지불하는

임금수준 W0 를 도출.

3) 이자율 (r0)

Y0, P0, M으로부터 r0를 도출.

Page 24: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4) 소비와 투자

균형소득 Y0, 균형물가 P0, 정책변수 T, 외생적 투자수익률 Z로부터

소비 C0과 투자 I0를 도출.

⇒ 소득, 물가, 고용, 임금, 이자율, 소비, 투자 등이 어떤 크기로 정해

지는 알 수 있고 이 정보를 활용해서 임금의 실질가치(W0/P0)를 알

수 있다.

Page 25: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3. 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 총수요곡선 우향이동(AD0→AD1) ⇒ E’에서 균형 Y1, P1 달성(소득증가,

물가상승) ⇒ 고용증가(생산요소 투입량 증가) ⇒ 임금상승

Page 26: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② 총공급 증가

⇒ 총공급곡선 우향 이동(AS0→AS1) ⇒ E’에서 균형 Y1, P1 달성(소득증가,

물가하락) ⇒ 고용량 증가 ⇒ 임금상승

Page 27: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총공급곡선이 수평인 경우 (캐인즈의 소득지출모형)

① 총수요 증가

⇒ 총수요곡선 우향이동 (AD0→AD1) ⇒ E’에서 균형

⇒ 소득증가, 물가 불변

Page 28: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3) 총공급곡선이 수직인 경우(고전학파의 자연율가설)

① 총수요 증가

⇒ 총수요곡선 우향이동 (AD0→AD1) ⇒ E’에서 균형 ⇒ 물가만 상승하고

총생산량(소득) Y0유지

Page 29: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1. 화폐공급량의 증가

1) 화폐시장의 균형

2) 화폐공급량 증가(M0→M1) ⇒ 총수요곡선 이동 (AD0→AD1) ⇒

⇒ E’에서 균형

Page 30: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 소득증가(Y0 →Y1), 물가상승(P0 →P1)

⇒ 화폐시장 균형조건 변화 [ M1/P0 =L(Y0, r0 ) →M1/P1 =L(Y1, r1 ) ]

⇒ 물가 상승으로 소득은 Y2보다 작은 Y1, 이자율은 r2보다 높은 r1으

로 결정.

⇒ 고용 증가, 임금 상승, 이자율 하락, 소비와 투자 증가

Page 31: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2. 생산성의 향상

생산성 A의 향상 ⇒ 총공급곡선 우향이동(AS0 →AS1 )

Page 32: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1) 생산성향상이 일시적인 경우

소비수요와 투자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자율의 변화를 초래한다면 투자에 간접적으로 영향.

2) 생산성향상이 지속적인 경우

예상수익률 Z의 증대로 투자수요가 직접적 영향을 받고, 이로 인해 총수

요도 영향을 받는다.

3) [그림5-19] : 생산성향상 ⇒ 소득 증가, 물가 하락, 소비와 투자 증가

상충되는 효과로 이자율 변화(소폭 하락 가능성)와 고용량의 변화 (소폭

증가 가능성) 는 불분명

Page 33: 총공급의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4/hufs/yunyoungsang/6.pdf총수요 또는 총공급의 변화와 효과 1) 총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경우 ① 총수요 증가

Professor. LEE JI SOON

Macroeconomics 4th 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