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4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을 중심으로 - 산․백 ** 26) < 次 例 > . 연구 목적 . 연구 설계 . 결과 분석 및 논의 . 시사점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 과정의 수준 적합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 ‘ 적합성 이라는 말은 다면적으 로 논의될 수 있다 . 교육과정 일반론에서의 양과 수준의 적합성을 비롯하 여 학습자 , 교수자 , 교수 학습 과정 , 교육과정 조직과 편성 , 교육 평가 등 다양한 관점에서 그 적합성이 조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러한 측면에서 적합성을 가늠하는 기준 , 즉 무엇 또는 누구를 중심에 놓고 판단하는가에 따라 적합성의 여부는 달라진다 . * 이 연구는 경선박순경권점례구영산(2012),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수학 교육 과정의 수준 적합성 제고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3”에서 본 연 구자들이 다룬 부분을 수정, 보완한 것임.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Upload: others

Post on 04-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을 중심으로 -

구 산․백 경 선**

26)

< 次 例 >

Ⅰ. 연구 목적

Ⅱ. 연구 설계

Ⅲ. 결과 분석 및 논의

Ⅳ. 시사점

Ⅰ.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

과정의 수준 적합성을 검토하는 데에 있다. ‘적합성’이라는 말은 다면적으

로 논의될 수 있다. 교육과정 일반론에서의 양과 수준의 적합성을 비롯하

여 학습자, 교수자, 교수․학습 과정, 교육과정 조직과 편성, 교육 평가 등

다양한 관점에서 그 적합성이 조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적합성을 가늠하는 기준, 즉 무엇 또는 누구를 중심에 놓고 판단하는가에

따라 적합성의 여부는 달라진다.

* 이 연구는 “백경선․박순경․권점례․구영산(2012),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수학 교육

과정의 수준 적합성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3”에서 본 연

구자들이 다룬 부분을 수정, 보완한 것임.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Page 2: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32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본고에서 주목하는 교육과정의 적합성은 교육과정이 함의하는 교육 내

용 수준 측면에서의 적합성을 의미하되,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교육과

정의 수준을 가늠한 결과를 의미한다. 즉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의 언어

능력 발달 상황을 비교 준거로 볼 때 그들에게 적용될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수준이 어떠한지를 판단한다는 의미에서의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에

본 연구의 초점이 있다.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적합

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연구 차원에서 전국 단

위의 조사 연구를 계획하였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로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는 실제 국어과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실현하

는 주체라는 점에서 현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학생들을

직접 지도한 체험을 통해 그들의 언어 발달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

서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

사는 5세 누리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언어 발달 상태, 즉 초등학교 입학

직전 학생들의 국어 능력이 어떠한 수준에 도달해 있는지를 파악하고 있

다는 점에서 이들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위치

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검토 의견과 초등학교 1

학년 담임교사들의 검토 의견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조사 내용에 대한 보

다 포괄적인 시각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학교급 소속 교육 주체들

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본 연구는 교육과정 구성상 학교급의 전환기에

해당하는 결절부(結節部)의 교육과정 수준을 보다 충실히 검토할 수 있

Page 3: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33

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의 수준과 관련하여,

학교급의 위계에 입각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 주체들의 합의된 의

견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기초 조사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연구가 수행된 적이 있으나

(김민진, 2006; 박순경 외, 2006; 노영희, 2005; 주영희, 2002) 국어과 교육과

정의 내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수준에서 논의된 적은 드물다.1)

서로 맞닿아 있는 두 학교급 교육과정의 연계성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상대적 상급 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의 수준 적합성 여부는 상대적 하위 교육기관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의 연계를 전제로 할 때 논의 가능한 문제이다.

취학 전 교육과정이 교육과학기술부가 고시하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보건복지부가 고시하는 ‘표준 보육과정’으로 이원화되어 있었던 2011년

초반까지는 국어교육의 맥락에서 취학 전 5세 교육과정을 포괄적으로 다

루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5세 공통과정인 ‘누

리과정’의 도입으로 모든 5세 아동 대상의 교육과정이 일원화되었으며(교

육과학기술부, 2011b; 보건복지부, 2011), 이러한 이유로 유치원 교육과정

과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에 입각한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 제고는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두 교육기관에서 학생들의 국어교육을 담

당하는 교사들에게 현재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에 근거를

두고 이들에게 적용될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검토를 의뢰하였다. 전국

1) 유치원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연구는 연계의 개념화나 연계의 방

안에 관한 연구(김창복, 2011; 윤은주, 2010; 이승미, 2010; 김진숙, 2006)가 주류를 이

루었다. 교과 교육과정 수준에서 이루어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연구

는 충분하지 못하다.

Page 4: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34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를 대상으

로 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현 초등학교 입문기 학습

자들에게 적절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실효성

있는 교육과정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Ⅱ. 연구 설계

1. 조사 대상과 자료 수집

본 설문조사는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개별 유치원의 경우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가 많지 않으며,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수가 적은 학교는 1학년

담임교사가 1명뿐인 상황도 있는 관계로 인터넷 웹을 이용하여 전국 단

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 교육청 교육과

정 담당자의 도움을 받아 전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전자우편을 통해

설문 협조를 요청하였다. 인터넷 웹을 이용한 설문조사는 2012년 7월 9일

부터 7월 13일까지 5일 동안 실시되었다. 그 결과 전국의 유치원 5세 누리

과정 담당교사 855명,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2,470명이 설문에 참여하

였다.

설문 응답자의 주요 배경 변인은 아래의 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다.

Page 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35

<표 1>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의 주요 배경 변인

구 분사례 수(명) 구성비(%)

유치원 초등학교 유치원 초등학교

학교 소재

대도시 344 1,317 40.2 53.3

중소도시 251 653 29.4 26.4

읍면지역 260 498 30.4 20.2

무응답 0 2 0 0.1

설립유형

국․공립 683 2,458 79.9 99.5

사립 172 10 20.1 0.4

무응답 0 2 0 0.1

경력

10년 이하 419 536 49.0 21.7

11-20년 192 785 22.5 31.8

21-30년 236 666 27.6 27.0

30년 초과 8 481 0.9 19.5

무응답 0 2 0 0.1

전 체  855 2,470 100.0 100.0

2. 설문조사 도구와 자료 분석

1) 설문조사 도구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과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

악하기 위해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를 대상으로 2종류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각각에 담긴 보다 구체적인

설문 내용은 아래 표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2)

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은 1학년과 2학년을 하나의 군으로 설정

하여 [1-2학년군]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

정에 따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남민우․김도남․옥현진․최숙

Page 6: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36 국어교육연구 제31집

<표 2> 설문조사 영역별 설문 내용

설문 영역 유치원 교사 대상 설문내용 초등학교 교사 대상 설문내용

국어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입학 전 문자 언어 지도

여부 및 수준

․유치원 졸업생 수준 대비 초등학

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수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반적 수준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수준

유치원 교

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방안

․유-초 교육과정 연계를 위한 초등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의 필요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 방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응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초 학습 능력

․유-초 교육과정 연계 방안

․유-초 교육과정 연계를 위한 초등

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의 필요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 방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적응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초 학습 능력

․유-초 교육과정 연계 방안

2) 자료 분석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 분석은 전체적 응답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

항목에 대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지역, 설립 유형, 경력 등 설

문 응답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정을 실시하

였다.

설문 결과의 기술은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의 개략적인 경향을 기술하

고, 응답자의 배경 변인 간 차이분석 결과는 유의수준 5% 수준에서 유의

기․구영산․강영미․곽춘옥․구본관․김기훈․김창원․김호태․류수열․안혁․

이도영․이지수․이한공․조재윤․주세형․진선희․천경록․황희종, 2012)에 입각

하여 ‘2009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 위계표

(민현식․구본관․권순희․김성룡․김성진․김정우․김정자․김중신․김창원․박

재현․서혁․신명선․염은열․원진숙․유영희․이경화․이관규․이문규․이재

승․이창덕․임주탁․천경록․최미숙, 2011)를 참조하여 1학년에 해당하는 성취기

준을 설문조사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Page 7: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37

미하게 나타난 경우에만 기술하였다. 유치원의 경우 경력 30년 초과 교사,

초등학교의 경우 사립학교 교사의 응답 비율이 현격히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이유에서 분석 결과 기술에서 제외하

였다. 아울러 설문지는 유치원 교사용과 초등학교 교사용 등 2종으로 개

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설문 결과 분석의 기술은 주요 설문 결

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두 가지 내용을 통합하여 기술하였다.

Ⅲ. 결과 분석 및 논의

1. 유치원에서의 문자 언어 학습 수준

유치원 의사소통 수업과 초등학교 국어 수업 사이의 차이 중 하나는

문자 언어에 대한 학습 여부 및 수준에 있다. 학생들의 기초 읽기 능력 및

기초 쓰기 능력의 함양을 도모하는 데에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한다. 후자는 한글 해득을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가장 우선적인

과업으로 간주하는 반면, 전자는 유치원에서의 한글 해득을 보류하는 관

점을 견지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에게 현재의 초등학교 국

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이 적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직전

교육이 이루어진 유치원에서의 문자 언어 학습 경험을 살펴볼 필요가 있

다.

1) 읽기 학습

(1) 유치원에서의 읽기 지도 여부

Page 8: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38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읽기’ 영역을 지도할 때 아동들이 글씨를 직접 읽도록 하는 수업을 하

는가에 대한 설문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들은 ‘가끔 실시한다’(65.0%), ‘자

주 실시한다’(29.0%)로 응답하여 대다수의 유치원에서 의사소통 영역의

수업에서 아동들이 글씨를 직접 읽는 수업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국․공립 유치원에 비하여 사립 유치원이 직접 읽기를 실시하는 비율

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유치원 읽기 영역 지도 시 학생에게 글을 직접 읽게 하는지의 여부

구분 실시하지 않음 가끔 실시함 자주 실시함 계

빈도(명) 53 555 246 854

비율(%) 6.2 66.0 29.0 100.0

(2) 유치원에서의 읽기 지도 수준

글씨를 직접 읽게 하는 수업을 할 경우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

한 설문 결과 ‘짧은 문장 수준’을 읽게 한다는 비율이 47.0%로 가장 높았

고, ‘단어 수준’(예: ‘나무’, ‘기차’ 등)을 읽게 한다는 의견이 36.7%로 나타

났다. 배경 변인별 차이분석 결과 읍면 지역은 ‘단어 수준’이 가장 많았고,

중소도시와 대도시는 짧은 ‘문장 수준’이라고 응답한 교사가 가장 많았다.

또한 국․공립 유치원에 비하여 사립 유치원이 보다 높은 수준의 읽기 수

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39

<표 4> 유치원 읽기 수업에서의 학습 내용 수준

구분 빈도(명) 비율(%)

자음, 모음 수준 ('ㄱ', 'ㄴ', 'ㅏ', 'ㅑ' 등) 5 0.6

낱자 수준 ('가', '나', '다' 등) 20 2.5

단어 수준 ('나무', '기차' 등) 314 39.2

짧은 문장 수준 402 50.2

짧은 이야기 수준 이상 60 7.5

전체 801 100.0

2) 쓰기 학습

(1) 유치원에서의 쓰기 지도 여부

‘쓰기’ 영역을 지도할 때 아동들이 글씨를 직접 쓰도록 하는 수업을 하

는가에 대한 설문에 유치원 교사들은 ‘가끔 실시한다’(61.4%), ‘자주 실시

한다’(36.2%)로 응답하여 대다수의 유치원에서는 의사소통 수업 중에 아

동들에게 글씨를 직접 쓰도록 하는 수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경 변인별 차이분석 결과 ‘자주 실시한다’는 비율은 ‘대도시>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립 유치원 교사가 국․공립 유치원 교사

보다, 경력이 적은 교사가 경력이 많은 교사보다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5> 유치원 쓰기 영역 지도 시 학생에게 글씨를 직접 쓰게 하는지의 여부

구분 실시하지 않음 가끔 실시함 자주 실시함 계

빈도(명) 21 524 309 854

비율(%) 2.5 61.4 36.2 100.0

Page 10: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40 국어교육연구 제31집

(2) 유치원에서의 쓰기 지도 수준

글씨를 직접 쓰게 하는 수업을 할 경우 그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

한 설문 결과 ‘단어 수준’(예: ‘나무’, ‘기차’ 등)이 60.6%, ‘문장 수준’이

34.2%로 나타나, 90% 이상의 유치원에서 ‘단어 수준’의 글씨를 직접 쓰도

록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별 차이분석 결과 ‘문장 수

준’까지 쓰게 하는 비율은 ‘대도시>중소도시>읍면지역’ 순으로 나타났

고, 사립 유치원이 국․공립 유치원에 비하여 더 높은 수준의 쓰기 수업

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유치원 쓰기 수업에서의 학습 내용 수준

구분 빈도(명) 비율(%)

자음, 모음 수준 ('ㄱ', 'ㄴ', 'ㅏ', 'ㅑ' 등) 9 1.1

낱자 수준 ('가', '나', '다' 등) 21 2.5

단어 수준 ('나무', '기차' 등) 505 60.6

문장 수준 285 34.2

문단 수준 13 1.6

전체 833 100.0

2.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내용 중 1학년에 해당하는 각

영역별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교육

과정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물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과

정 전반에 수준, 교육과정 내용 중 특히 어렵거나 쉽다고 생각하는 성취

Page 1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41

구분매우

쉽다

쉬운

편이다

적절

하다

어려운

편이다

매우

어렵다전체

빈도

(명)16 162 912 1,258 120 2468

비율

(%)0.6 6.6 37.0 51.0 4.9 100.0

기준, 마지막으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수준과 관련된 질문을 하였다.

1) 국어과 교육과정 반에 한 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이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수준에 비하

여 어떠한가에 대한 설문 결과 ‘어렵다’(어려운 편이다 + 매우 어렵다)는

의견(55.9%)이 ‘쉽다’(쉬운 편이다 + 매우 쉽다)는 의견(7.2%)보다 높게 나

타났다. 배경 변인별 차이분석에서는 경력에 따라 응답에서 차이를 보였

는데, 경력 10년 이하의 교사가 그보다 경력이 많은 교사에 비하여 어렵

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3)

<표 7> 1학년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수준 (초등)

2) 국어과 교육과정 수 에서 보이는 특징

(1)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쉽다’고 인식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

3) 학생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수준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1학년 담임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참고로 유치원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수준에 대해

서는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Page 12: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42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유 치 원 초 등 학 교

순 성취기준 비율 순 성취기준 비율

1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24.0 1 자음과 모음 알기 28.6

2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

는 태도 지니기21.0 2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25.2

3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

말을 설명하기18.9 3

글자의 결합 방식 알고 글자

읽기24.7

4상황과 상대에 따른 바른 태

도로 인사 나누기18.8 4

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

는 태도 지니기23.9

5 자음과 모음 알기 17.9 5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

말을 설명하기22.2

전체적으로 볼 때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쉽다’고 인식한 상

위 5개 학습 요소와 그에 대한 응답 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다. 유치원 교

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자음과 모음 알

기’, ‘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는 태도 지니기’,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말을 설명하기’를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쉬운 학습 요소로 인식하

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졸업생의 국어 능력 또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고려할 때 ‘한글 낱자의 이름 말

하기’를 상대적으로 쉬운 내용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음과 모음 알기’를 학생 수준 대비 상대적으로 가장 쉬운 내용으로 인

식하였다.

<표 8> 교사들이‘쉽다’고 인식한 국어과 성취기준 및 해당 비율

(2) 학생들에게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인식되는 교육과정 성취기준

전체적으로 볼 때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어렵다’고 인식한

상위 5개 학습 요소와 그에 대한 응답 비율은 아래의 표와 같다. 유치원

Page 13: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43

유치원 초등학교

순 성취기준 비율 순 성취기준 비율

1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리할 때의 의

미 변화 알기

66.1 1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

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66.3

2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게

읽기62.4 2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

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66.0

3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

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54.5 3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

각과 까닭을 정리하기62.7

4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

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52.4 4

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며 자

신의 기분이나 느낌 말하기42.0

5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

되도록 글을 실감나게 읽기51.9 5

생활 속의 다양한 고유어 사

용하기41.6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를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쉬운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사들은 초등학교 입학 학령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을 볼 때,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같은 문

법을 고려한 읽기를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 입문기 학생들이 ‘쓰기’와 관련된 학습 요소, ‘자

신의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와 ‘자신의 생각을 글로 쓰기’ 등을 어

려워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표 9> 교사들이 ‘어렵다’고 인식한 국어과 성취기준 및 해당 비율

Page 14: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44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내용

영역학습 요소

학교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계

·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듣는

태도 갖기

유14

(1.6)

70

(8.2)

641

(75.1)

113

(13.2)

16

(1.9)

854

(100.0)

초38

(1.5)

267

(10.8)

1673

(67.8)

454

(18.4)

36

(1.5)

2468

(100.0)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를

듣고 내용

파악하기

유8

(0.9)

78

(9.1)

603

(70.6)

154

(18.0)

11

(1.3)

854

(100.0)

초28

(1.1)

173

(7.0)

1355

(54.9)

827

(33.5)

85

(3.4)

2468

(100.0)

상대의 말을 듣고

감정 파악하기

유9

(1.1)

73

(8.6)

570

(66.7)

192

(22.5)

10

(1.2)

854

(100.0)

초29

(1.2)

202

(8.2)

1390

(56.3)

761

(30.8)

86

(3.5)

2468

(100.0)

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며 자신의

기분이나 느낌

말하기

유8

(0.9)

69

(8.1)

469

(54.9)

283

(33.1)

25

(2.9)

854

(100.0)

초28

(1.1)

174

(7.1)

1229

(49.8)

933

(37.8)

104

(4.2)

2468

(100.0)

3) 국어과 교육과정 역별 수

(1) 듣기․말하기 영역

듣기․말하기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총 8개의 성취기준에 대한 설문

에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현재의 교육과정 내용이 학생 수

준 대비 적절하다고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단, 듣기․말하기 영

역 중 ‘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며 자신의 기분이나 느낌 말하기’를 유치원 5

세 누리과정 담당교사(33.1%)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37.8%)가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응답하였음이 주목된다.

<표 10>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듣기‧말하기’ 성취기준 수준 (유-초)

Page 1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45

듣는 이를

바라보며 말하기

유20

(2.3)

110

(12.9)

610

(71.4)

104

(12.2)

10

(1.2)

854

(100.0)

초52

(2.1)

342

(13.9)

1741

(70.5)

309

(12.5)

24

(1.0)

2468

(100.0)

자신 있게 말하기

유8

(0.9)

98

(11.5)

589

(69.0)

152

(17.8)

7

(0.8)

854

(100.0)

초29

(1.2)

246

(10.0)

1581

(64.1)

577

(23.4)

35

(1.4)

2468

(100.0)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말을

설명하기

유21

(2.5)

140

(16.4)

581

(68.0)

107

(12.5)

5

(0.6)

854

(100.0)

초99

(4.0)

449

(18.2)

1574

(63.8)

314

(12.7)

32

(1.3)

2468

(100.0)

상황과 상대에

따른 바른 태도로

인사 나누기

유34

(4.0)

26

(14.8)

612

(71.7)

81

(9.5)

1

(0.1)

854

(100.0)

초115

(4.7)

433

(17.5)

1689

(68.4)

214

(8.7)

17

(0.7)

2468

(100.0)

(2) 읽기 영역

읽기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총 7개

의 성취기준 중 5개의 성취기준에 대해서 그 수준이 학생 수준 대비 적절

하다고 답하였다.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교육과정 수준이 적절하지 않

다고 응답한 요소는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게 읽기’와 ‘띄어쓰기를 고

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리할 때의 의미 변화 알기’로, 각각에 대해서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49.4%)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50.6%)

가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꼽았다. 이는 위의 두 가지 성취

기준 수준이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고려할 때 어려운 것으로

간주된다는 점뿐만 아니라, 같은 성취기준에 대해 학생 수준 대비 교육과

정 수준 측면에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서로 다른 인식을 보여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Page 16: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46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내용

영역학습 요소 학교급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계

읽기

자음과 모음 알기

유28

(3.3)

125

(14.6)

529

(61.9)

161

(18.9)

11

(1.3)

854

(100.0)

초172

(7.0)

532

(21.6)

1546

(62.7)

201

(8.1)

17

(0.7)

2468

(100.0)

글자의 결합 방식

알고 글자 읽기

유12

(1.4)

94

(11.0)

470

(55.0)

255

(29.9)

23

(2.7)

854

(100.0)

초125

(5.1)

483

(19.6)

1514

(61.3)

324

(13.1)

22

(0.9)

2468

(100.0)

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는

태도 지니기

유26

(3.0)

154

(18.0)

625

(73.2)

48

(5.6)

1

(0.1)

854

(100.0)

초117

(4.7)

473

(19.2)

1693

(68.6)

172

(7.0)

13

(0.5)

2468

(100.0)

소리 변화가 없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유9

(1.1)

100

(11.7)

507

(59.4)

223

(26.1)

15

(1.8)

854

(100.0)

초100

(4.1)

413

(16.8)

1610

(65.4)

316

(12.8)

24

(1.0)

2463

(100.0)

소리 변화가 있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유8

(0.9)

75

(8.8)

407

(47.7)

340

(39.8)

24

(2.8)

854

(100.0)

초49

(2.0)

232

(9.4)

1263

(51.3)

829

(33.7)

90

(3.7)

2463

(100.0)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게

읽기

854

(100.0)

111

(13.0)

422

(49.4)

272

(31.9)

46

(5.4)유

3

(0.4)

2463

(100.0)

79

(3.2)

627

(25.5)

1481

(60.1)

232

(9.4)초

44

(1.8)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리할 때의 의미

변화 알기

854

(100.0)

128

(15.0)

432

(50.6)

258

(30.2)

34

(4.0)유

2

(0.2)

2463

(100.0)

123

(5.0)

861

(35.0)

1269

(51.5)

179

(7.3)초

31

(1.3)

<표 11>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읽기’ 성취기준 수준 (유-초)

Page 17: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47

내용

영역학습 요소 학교급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계

쓰기

연필을 바르게

잡고 글씨 쓰기

유4

(0.5)

67

(7.8)

544

(63.7)

222

(26.0)

17

(2.0)

854

(100.0)

초45

(1.8)

242

(9.8)

1635

(66.4)

471

(19.1)

70

(2.8)

2468

(100.0)

바른 자세로 글씨

쓰기

유4

(0.5)

67

(7.8)

569

(66.6)

200

(23.4)

14

(1.6)

854

(100.0)

초44

(1.8)

253

(10.3)

1755

(71.3)

370

(15.0)

41

(1.7)

2468

(100.0)

(3) 쓰기 영역

쓰기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총 6개

의 성취기준 중 3개의 성취기준에 대해서 그 수준이 학생 수준 대비 적절

하다고 답하였다.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교육과정 수준이 적절하지 않

다고 응답한 요소는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

으로 정리하기’,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리하기’, ‘자신

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

로 첫 번째 학습 요소에 대해서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41.8%)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47.1%) 모두가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학습 요

소로 응답하였다. 두 번째와 세 번째 학습 요소에 대해서 초등학교 교사

가 각각 차례로(45.1%, 45.8%) 학생 수준 대비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그 외

에도 적절하다고 응답한 교사 비율과 근소한 차이로 ‘글자를 필순과 방향

에 맞게 쓰기’,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리하기’, ‘자신

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에 대해서 어렵다고 응

답하였다.

<표 12>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쓰기’ 성취기준 수준 (유-초)

Page 18: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48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글자를 필순과

방향에 맞게 쓰기

유4

(0.5)

36

(4.2)

389

(45.6)

379

(44.3)

46

(5.4)

854

(100.0)

초29

(1.2)

205

(8.3)

1606

(65.2)

550

(22.3)

73

(3.0)

2468

(100.0)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유4

(0.5)

45

(5.3)

339

(39.7)

357

(41.8)

109

(12.7)

854

(100.0)

초22

(0.9)

105

(4.3)

712

(28.9)

1159

(47.1)

465

(18.9)

2468

(100.0)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리하기

유2

(0.2)

55

(6.4)

362

(42.4)

339

(39.7)

96

(11.2)

854

(100.0)

초22

(0.9)

101

(4.1)

796

(32.3)

1110

(45.1)

434

(17.6)

2468

(100.0)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

유2

(0.2)

45

(5.3)

359

(42.1)

335

(39.2)

116

(13.2)

854

(100.0)

초22

(0.9)

107

(4.3)

701

(28.5)

1127

(45.8)

506

(20.5)

2468

(100.0)

내용

영역학습 요소 학교급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계

(4) 문법 영역

문법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총 6개의 성취기준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

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현재의 학습 내용이 학생 수준 대비 절적하다고

응답하였다. 단, 문법 영역 중 ‘생활 속의 다양한 고유어 사용하기’에 대해

37.1%의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들이 학생 수준 대비 어렵다고 응답함

으로써 문법 영역의 학습 내용 중 가장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인식되고 있

음이 드러났다.

<표 13>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문법’ 성취기준 수준 (유-초)

Page 19: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49

문법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유46

(5.4)

159

(18.6)

564

(66.0)

79

(9.3)

6

(0.7)

854

(100.0)

2463

(100.0)

14

(0.6)

168

(6.8)

1659

(67.4)

481

(19.5)초

141

(5.7)

854

(100.0)

18

(2.1)

246

(28.8)

484

(56.7)

90

(10.5)한글 낱자를

획순에 따라

쓰기

유16

(1.9)

2463

(100.0)

22

(0.9)

244

(9.9)

1691

(68.7)

405

(16.4)초

101

(4.1)

854

(100.0)

4

(0.5)

87

(10.2)

633

(74.1)

119

(13.9)글자를 바르게

발음하기

유11

(1.3)

2463

(100.0)

23

(0.9)

265

(10.8)

1735

(70.4)

349

(14.2)초

91

(3.7)

854

(100.0)

12

(1.4)

220

(25.8)

543

(63.6)

71

(8.3)글자를 바르게

쓰기

유8

(0.9)

2463

(100.0)

39

(1.6)

322

(13.1)

1763

(71.6)

289

(11.7)초

50

(2.0)

-----생활 속의

다양한 고유어

사용하기

유 -

2463

(100.0)

110

(4.5)

915

(37.1)

1268

(51.5)

152

(6.2)초

18

(0.7)

-----고유어를 소중히

여기는 태도

지니기

유 -

2463

(100.0)

79

(3.2)

698

(28.3)

1496

(60.7)

164

(6.7)초

26

(1.1)

(5) 문학 영역

문학 영역에 대한 조사 결과 총 8개의 성취기준 중 7개의 성취기준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모두 학생 수준 대비 교육과정의 수

준이 적절하다고 답하였다. 그렇지 않다고 답한 항목은 ‘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을 실감 나게 읽기’로 설문에 응한 유치원 교사 중

43.7%가 학생 수준 대비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같은 성취기준에 대

해 설문에 응한 초등학교 교사 중 61.5%가 적절하다고 답해 교육과정 수

준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의 인식 차이를 보였다.

Page 20: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50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내용

영역학습 요소 학교급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계

문학

동시를 낭송하기

유17

(2.0)

112

(13.1)

572

(67.0)

140

(16.4)

13

(1.5)

854

(100.0)

2463

(100.0)

25

(1.0)

267

(10.8)

1834

(74.5)

28

(11.6)초

51

(2.1)

854

(100.0)

7

(0.8)

91

(10.7)

612

(71.2)

128

(15.0)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기

유16

(1.9)

2463

(100.0)

23

(0.9)

220

(8.9)

1800

(73.1)

352

(14.3)초

68

(2.8)

854

(100.0)

5

(0.6)

111

(13.0)

599

(70.1)

126

(14.8)

짧은 이야기를

읽은 경험을

선생님이나

친구와 주고받기

유13

(1.5)

2463

(100.0)

47

(1.9)

565

(22.9)

1578

(64.1)

228

(9.3)초

45

(1.8)

854

(100.0)

9

(1.1)

153

(17.9)

575

(67.3)

107

(12.5)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작품 속

인물의 모습과

마음 상상하기

유10

(1.2)

2463

(100.0)

59

(2.4)

659

(26.8)

1482

(60.2)

226

(9.2)초

37

(1.5)

854

(100.0)

70

(8.2)

373

(43.7)

356

(41.7)

51

(6.0)

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을

실감나게 읽기

유4

(0.5)

2463

(100.0)

61

(2.5)

663

(26.9)

1514

(61.5)

191

(7.8)초

34

(1.4)

854

(100.0)

25

(2.9)

193

(22.6)

546

(63.9)

85

(10.0)

그림만 제시된

책이나 그림책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 말하기

유5

(0.6)

2463

(100.0)

96

(3.9)

741

(30.1)

1399

(56.8)

192

(7.8)초

35

(1.4)

854

(100.0)

34

(4.0)

294

(34.4)

461

(54.0)

59

(6.9)만화 영화를 보고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기

유6

(0.7)

2463

(100.0)

53

(2.2)

599

(24.3)

1556

(63.2)

221

(9.0)초

34

(1.4)

-----인물의 말과

행동에 관심을

갖고 인형극이나

아동극을 보기

유 -

2463

(100.0)

36

(1.5)

382

(15.5)

1728

(70.2)

267

(10.8)초

50

(2.0)

<표 14>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문학’ 성취기준 수준 (유-초)

Page 2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51

3.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기초 학습 능력

초등학교 입학 대비 기초 학습 능력에 대한 설문에서 유치원 교사들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여러 하위 요소 중 ‘기

초 학습 태도’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는데, ‘바르게 듣기’(91.1%),

‘바르게 말하기’(90.4%), ‘바른 자세로 앉기’(9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상대적으로 ‘짧은 한글 문장 쓰기’(58.3%)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

다. 초등학교 교사 또한 입학 대비 기초 학습 능력에 대한 설문 문항에 대

해 대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부

분은 ‘바르게 듣기’(90.2%), ‘바른 자세로 앉기’(88.1%), ‘바르게 말하

기’(87.3%) 순으로 나타나 기초 학습 태도를 가장 필요한 학습 능력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짧은 한글 문장 쓰기’(58.5%)는 낮

게 나타났다. 이로 보건대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초등학교 1학

년 담임교사 모두 ‘짧은 한글 문장 쓰기’는 초등학교 입학 전 학생들이 갖

추어야 할 기초 학습 능력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다.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별 차이분석 결과 지역에 따라 (3), (4), (5)번

설문 문항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읍면지역>중소도시>대도시’의 순으

로 ‘매우 필요’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설립 유형에서는 (1), (2), (3), (10),

(11)번 설문 문항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국․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

치원 교사에 비해 설문에서 열거한 기초 학습 능력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 수준 대비 교사의 인식을 나

타내는 것으로, 달리 표현하면 사립 유치원 학생들에 비해 국․공립 유치

원 학생들에게서 교사들은 기초 학습 능력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는 것

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경력에 따라서는 (10), (11)번 설문 문항에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별 차이분석 결과는 경력

Page 22: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52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기초 학습 및

관련 능력

학교급매우

필요

필요한

편보통

불필요

한편

매우

불필요계

바른 자세로

앉기(1)

유491

(57.6)

278

(32.6)

72

(8.5)

6

(0.7)

5

(0.6)

852

(100.0)

초1208

(49.0)

962

(39.9)

272

(11.0)

16

(0.6)

5

(0.2)

2463

(100.0)

바르게 듣기 (2)

유537

(63.0)

239

(28.1)

67

(7.9)

4

(0.5)

5

(0.6)

852

(100.0)

초1364

(55.4)

857

(34.8)

228

(9.3)

11

(0.4)

3

(0.1)

2463

(100.0)

바르게 말하기 (3)

유498

(58.5)

272

(31.9)

72

(8.5)

4

(0.5)

6

(0.7)

852

(100.0)

초1146

(46.5)

1004

(40.8)

301

(12.2)

11

(0.4)

1

(0.0)

2463

(100.0)

한글 자모음

읽기(4)

유258

(30.3)

381

(44.7)

173

(20.3)

35

(4.1)

5

(0.6)

852

(100.0)

초840

(34.1)

1048

(42.5)

523

(21.2)

37

(1.5)

15

(0.6)

2463

(100.0)

한글 자모음

쓰기 (5)

유240

(28.2)

382

(44.8)

188

(22.1)

37

(4.1)

5

(0.6)

852

(100.0)

초806

(32.7)

1038

(42.1)

536

(21.8)

62

(2..5)

21

(0.9)

2463

(100.0)

한글 단어 읽기 (6) 유278

(32.6)

407

(47.8)

151

(17.7)

9

(1.1)

7

(0.8)

852

(100.0)

변인에 의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해당하는

문항은 (1), (3), (9)번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의 적응을 위해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

초 학습 능력 및 그에 대한 교사들의 필요성 인식 정도를 주요 특징 중심

으로 간추려 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5> 국어과 교육과정에의 적응을 위해 필요한 기초 학습 능력 (유-초)4)

4) 통계분석 결과 기술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소문항 번호를 부여함.

Page 23: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53

초804

(32.6)

1100

(44.7)

522

(21.2)

25

(1.0)

12

(0.5)

2463

(100.0)

한글 단어 쓰기 (7)

유236

(27.7)

402

(47.2)

186

(21.8)

22

(2.6)

6

(0.7)

852

(100.0)

초685

(27.8)

1058

(43.0)

629

(25.5)

72

(2.9)

19

(0.8)

2463

(100.0)

짧은 한글 문장

읽기(8)

유200

(23.5)

399

(46.8)

222

(26.1)

22

(2.6)

9

(1.1)

852

(100.0)

초622

(25.3)

1074

(43.6)

685

(27.8)

69

(2.8)

13

(0.5)

2463

(100.0)

852

(100.0)

11

(1.3)

63

(7.4)

281

(33.0)

340

(39.9)짧은 한글 문장

쓰기(9)

유157

(18.4)

2463

(100.0)

29

(1.2)

168

(6.8)

826

(33.5)

919

(37.3)초

521

(21.2)

852

(100.0)

8

(0.9)

10

(1.2)

86

(10.1)

284

(33.3)쓰기 도구

바르게 사용하기(10)

유464

(54.5)

2463

(100.0)

11

(0.4)

51

(2.1)

503

(20.4)

944

(38.3)초

954

(38.7)

선 따라 긋기 (11)

유455

(53.4)

247

(29.0)

106

(12.4)

25

(2.9)

19

(2.2)

852

(100.0)

25

(1.0)

2463

(100.0)

70

(2.8)

588

(23.9)

973

(39.5)초

807

(32.8)

4.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수준을 검토하는 과

정에는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여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학교급의 교육과정 간 결절부가 적절하게 연계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각

각의 교육과정 수준 적합성 여부를 보여 주는 지표가 된다. 이 절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여부, 연계 필요성, 연계

방안 등에 대한 교사 인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Page 24: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54 국어교육연구 제31집

학교급 조정 필요 조정 불필요 계

유치원 566 (66.4) 287 (33.6) 853 (100.0)

초등 1813 (73.6) 650 (26.4) 2463 (100.0)

1) 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 필요성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초등학

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 조정이 필요한가

에 대한 설문에 유치원 교사는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66.4%로 ‘필요

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인 33.6%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의 배

경 변인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읍면지역 교사가 중소도시나 대도시 교사

들에 비하여 그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더 많은 필요성을 인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연계를 높이기

위해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

이 76.3%로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인 26.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 비율 또한 유치원 교사보다 높았다.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

른 차이분석 결과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조정에 대한 필요성은 ‘읍

면지역>중소도시>대도시’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

다.

<표 16> 유-초 교육과정 연계를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 필요성 (유-초)

2) 연계성 제고를 한 교육과정 조정 방안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국어과

Page 2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55

구분 학교급 빈도(명) 비율(%)

유치원 5세 누리과정 수준의

상향 조정

유치원 204 36.0

초등 557 30.7

유치원 5세 누리과정 수준의

하향 조정

유치원 94 16.6

초등 167 9.2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상향 조정

유치원 36 6.4

초등 147 8.1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하향 조정

유치원 232 41.0

초등 941 51.9

전체유치원 1,022 100.0

초등 1812 100.0

교육과정 조정 방안에 대한 설문에 유치원 교사들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준 하향 조정’에 각각 41.0%, 51.9%가 응답함으로

써, 전체 응답자 중 가장 많은 수의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두 교

육과정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준을 하향 조정

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높은 응답률을 보인 연계

성 제고 방안은 ‘유치원 5세 누리과정 수준의 상향 조정’으로, 유치원 교

사와 초등학교 교사 각각 36.0%, 30.7%가 동의하였다.

<표 17> 유-초 교육과정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조정 방안 (유-초)

3)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학교 교육과정 연계 방안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

과정 조정 이외의 방안에 대한 설문 결과 유치원 교사의 경우 ‘유-초 교

육과정의 공동 개발’이 52.9%로 가장 높았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기회 확대’(23.3%)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상호 교류 확

Page 26: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56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대’(22.6%)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유치원 교사와 동일하

게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이 43.4%로 가장 높았고 ‘유

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상호 교류 확대’(29.1%),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기회 확대’(26.3%) 순으로 나타났다.

<표 18> 유-초 교육과정 연계성 제고 방안 (유-초)

학교급교육과정의

공동 개발

교사들의 상호

교류 확대

유↔초 상호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확대

기타 계

유치원 451 (52.9) 193 (22.6) 199 (23.3) 10 (1.2) 855

초등 1069 (43.4) 717 (29.1) 648 (26.3) 28 (1.1) 2,468

Ⅳ. 시사점

초등학교 1학년은 의무교육의 시작점으로 보편 국어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표준화된 교육과정에 입각하여 실시된다. 이때 대상 학습자

인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은 이 교육의 실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가 된다. 또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이

전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 아래 학생들의 언어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조직되어야만 학습자가 초등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서의 국어 학습에 흥

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새로이 적용되는 국어과 교육

과정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준이 적합한지를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수준에서 발견되는 교육과

Page 27: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57

정 전반 및 각 영역별 특징이 드러났다. 또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을 고려할 때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초 학습 능력과 필요

성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이 국어과 교육과정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또

한 볼 수 있었다.

이상에서 기술된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

어과 교육과정의 수준 적합성을 제고하는 데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

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입학 전 문자 언어 학습

초등학교 입학 전 유치원에서의 읽기, 쓰기 학습 여부 및 그 수준에 대

한 설문 결과 각각에 대해 ‘실시하지 않는다’고 답한 교사(6.2%, 2.5%)에

비해 ‘실시한다(‘가끔 실시한다’ + ‘자주 실시한다’)’고 답한 유치원 교사

(93.8%, 97.5%)가 많다는 점에서 유치원에서의 문자 언어 지도는 보편화되

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자 언어 지도 방식 면에서 좀 더 상세히 살

펴볼 필요가 있다. 읽기, 쓰기 지도를 ‘실시한다’고 답한 교사들 중 ‘가끔

실시한다’고 응답한 교사(66.0%, 61.4%)가 ‘자주 실시한다’고 응답한 교사

들(29.0%, 36.2%)에 비해 많다는 점에서 유치원에서의 문자 지도가 정기적

으로 이루어진다고 보기 힘들다. 이는 문자 언어를 지도하기는 하나, 가

끔씩 할 뿐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정기적으로 문자 언어 지도를 하고 있

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한 점에서 초등학교 입학 전 교육과정 수준에 준하여 이루어지는

표준화된 문자 언어 학습은 대다수의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기대하기

Page 28: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58 국어교육연구 제31집

힘들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학생의 거주 지역이나 유치원 형태에 따라

문자 언어 학습의 경험 또한 차이가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읍면 지

역의 학생들일수록, 그리고 공립 유치원 경험을 갖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문자 언어 학습에 덜 노출되었음이 조사 결과 드러났다. 이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이 지역과 유치원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말해 준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은 학

생들의 입학 전 문자 언어 학습 경험의 성격을 고려할 때 문자 언어 지도,

즉 읽기 영역과 쓰기 영역 설계 시 학생들의 ‘기초’ 읽기 능력과 ‘기초’ 쓰

기 능력을 어떻게 함양할 것인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학생의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전반의 수준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수준

에 대한 설문 결과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각각은 ‘한글 낱자의 이

름을 말하기’와 ‘자음과 모음 알기’를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쉬운 성취

기준으로 꼽았다. 반면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리할

때의 의미 변화 알기’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를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꼽았다. 그러나 각 항목에 대해서 응답한

교사 비율을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쉽다고 인식한 성취기준 각각에 대해

서 유치원 교사의 24.0%, 초등학교 교사의 28.6%가 응답한 반면, 어렵다고

인식한 각각의 성취기준에 대해서는 유치원 교사의 66.1%, 초등학교 교사

의 66.3%가 응답하였다. 뿐만 아니라 어렵다고 인식한 성취기준 중에는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자신

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리하기’,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

게 읽기’ 등에 대해 62% 이상의 교사들이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성취기

Page 29: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59

준이라고 응답하였다. 그 외에도 ‘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

을 실감나게 읽기’에 대해서 약 52%의 교사들이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인식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수준에 대한 경

험적 지식을 갖고 있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국어과 교육과정의

영역 중 특히 읽기 영역과 쓰기 영역에서 학생들이 어려움을 보일 것이라

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보면 ‘문법 지식 및 적

용’, ‘쓰기 및 말하기 과정에서의 내용 생성’, ‘의견과 까닭 생각하기’ 등이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교육과정 내용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이상과

관련된 학습 요소는 학생들이 기초 읽기 능력 및 기초 쓰기 능력을 일정

수준에서 확보한 뒤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조직할 필요가 있다.

3. 학생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수준 적합성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

준 수준에 대한 검토 결과 교사들이 듣기‧말하기 영역의 성취기준 수준

에 대해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

수준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읽기 영역에 대해서는 특히 유치원 교사들이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

게 읽기’를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학습 요소로 꼽았다(49.4%). 반면 초등

학교 교사들은 이에 대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60.1%). 이러한 현상은

유치원 교사들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학생들이 유치원에서 다루지 않

았던 문장 부호와 같은 문법 지식에 대해서 학생들이 낯설거나 어려워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필요한 문법 지식을 제공하되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교육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어떠한 내용’을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과정

Page 30: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60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상에 제시할 것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초 문법 지식이 무엇이며, 그 지식이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보다 주의 깊게 설

계해야 한다.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설문 결과 교사들이 국어과 교육과정의

다섯 개 영역 중 그 수준이 어렵다고 응답한 성취기준 수가 가장 많은 영

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서 논의한 학생들의 국어 능력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조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현재의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 쓰기 영역에 속한 성취기준이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준거로 할

때 가장 어려운 것으로 인식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쓰기 영역의

내용 성취기준의 수준을 좀 더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설문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작품 속 인

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을 실감나게 읽기’를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성취기준으로 인식하였다. 이는 기초 읽기 능력이 확보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실감나게 읽는 일이 어려운 활동이라는 판단이 작용

한 것으로 해석된다. 무엇보다 이러한 현상은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

사 모두에게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해당 성취기준은 초등학교 입문기 학

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으로 그 수준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

은 것으로 볼 수 있다.

4.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기초 학습 능력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초등 입문기 학생들에게 기초 읽기 능력, 기초 쓰기 능력, 문법 지식 등과

관련하여 현재의 교육과정이 학생 수준 대비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음에

Page 3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61

도 불구하고, 현재의 교육과정에 적응하기 위해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

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바른 자세로 앉기’, ‘바르게 듣기’, ‘바르게 말하

기’, ‘쓰기 도구 바르게 사용하기’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응답한 비율은

초등학교 교사에 비해 유치원 교사의 비율이 더 높았는데, 이를 보더라도

문자 언어 습득과 관련된 학습은 초등학교에서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유치원에서의 국어수업은 구어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과 최소한의

쓰기 활동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유치원 교사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5.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학교급 교육과정 사이의 결절부 연계에 관한 연구 중 가장 높은 비율

을 차지하는 것은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에 관한

것이다. 이는 교육과정 측면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사이의 연계가 중요

하기도 하거니와,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 괴리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준이 적합하다

함은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또한 높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여부

및 연계성 제고 방안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는 매우 유의미하다. 설문에

응한 유치원 교사 66.4%, 초등학교 교사 73.6%가 유-초 교육과정의 연계

를 위해 현재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

였다. 이러한 경향은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에게서 더 높은 비율로 나

타났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또한 교육과정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해

유치원 교사(52.9%)와 초등학교 교사들(43.4%)은 각각의 교육과정을 현재

처럼 서로 다른 집단이 각각 개발하기 보다는 공동으로 개발하여 둘 사이

의 수준 차이를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요구가 유

Page 32: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62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치원 교사들에게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는 점은, 보다 상급 교육 기

관으로 학생들을 진학시켜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 초등학교 국어과 교

육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 간의 수준 차이에 대해서 유치원 교사가 보다

절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급 간, 학년군 간 서

로 다른 교육과정 개발진이 단기간에 연구, 개발(정)하는 현재의 교육과

정 개발(정) 시스템을 극복하는 일이 절실히 요구된다.*5)

참고 문헌

1.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11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2011-361.

교육과학기술부(2011b),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0호.

교육과학기술부(2011c),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5].

교육과학기술부(2012a), �국어 1~2학년군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2b), �국어 1~2학년군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2c), �국어 1~2학년군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2d), �국어 1~2학년군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2e), �국어 1~2학년군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2012f), �국어 1~2학년군 교사용 지도서 초등학교 국어 1-㉰㉱�,

서울: 주(미래엔).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2012),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0호․보건

* 이 논문은 2013. 5. 10. 투고되었으며, 2013. 5. 20. 심사가 시작되어 2013. 6. 3. 심사가 완

료되었고, 2013. 6. 7. 편집위원회 심의를 거쳐 게재가 확정되었음.

Page 33: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63

복지부 고시 제 2011-106호에 따른 5세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

부․보건복지부.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2009), �하고 싶은 공부 즐거운 학교,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보건복지부(2011), �5세 누리과정의 영역 및 구체적 내용�, 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1-106호.

2. 논저

김민진(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 국어과 연계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열린유

아교육연구� 11-1,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pp.293-315.

김진숙(2006),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

로」, �교육과정연구� 24-4, 한국교육과정학회, pp.83-108.

김창복(2011), 「초등학교 교육의 최근 동향과 유초 연계교육 소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5-3, 한

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pp.395-418.

남민우․김도남․옥현진․최숙기․구영산․강영미․곽춘옥․구본관․김기

훈․김창원․김호태․류수열․안혁․이도영․이지수․이한공․조재

윤․주세형․진선희․천경록․황희종(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

른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연구�, 연구보고 CRC 201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노영희(2005),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문어 교육 연계를 위한 교사의 교수

실천 반응도 비교」, �유아교육학논집� 9-3,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pp.57-83.

민현식․구본관․권순희․김성룡․김성진․김정우․김정자․김중신․김창

원․박재현․서혁․신명선․염은열․원진숙․유영희․이경화․이관

규․이문규․이재승․이창덕․임주탁․천경록․최미숙(2011), �국어

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박순경․허경철․이광우․정영근․김진숙․민용성(2006), �국가수준 교육과

정 총론 개선 연구(Ⅱ)�, 연구보고 RRC-200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age 34: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64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백경선․박순경․권점례․구영산(2012),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 수학 교육과정

의 수준 적합성 제고 방안�, RRC 201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윤은주(2010), 「유초연계의 재개념화: Dewey와 Noddings의 연속성을 기반으

로」, �유아교육학논집� 14-6,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pp.273-292.

이승미(2010),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교육과정

연구� 28-2, 한국교육과정학회, pp.59-90.

주영희(2002),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

과정 비교」, �교육논총� 20,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pp.33-59.

Page 3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65

■국문초록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 초등 입문기 학생 수준 대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준을 중심으로 -

구 산·백경선

본 연구는 등학교 입문기 학생 수 비 국어과 교육과정 수 에 한 교

사들의 인식을 조사하 다. 본 조사는 2012년 7월 9일부터 7월 13일까지 5일 동

안 인터넷웹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국의 유치원 5세 리과정 담당교사 855명

과 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2,470명이 참여하 다.

설문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국어과 교육과정 정책 수립을 한 다음과

같은 시사 을 도출하 다.

(1) 등학교 입학 다수의 유치원에서 문자 언어 지도가 이루어지나 비

정기 으로 이루어지므로, ‘기 ’ 읽기 능력과 ‘기 ’ 쓰기 능력 함양을 우선 으

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2) 등학교 교사들은 재의 국어과 교육과정 반이 등 입문기 학생 수

비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문법 지식 용’, ‘쓰기 말하기

과정에서의 내용 생성’, ‘의견과 까닭 생각하기’ 등을 가장 어려운 학습 내용으로

인식하 다.

(3) 유치원과 등학교 교사 모두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 쓰기 역의

성취기 이 다른 역에 비해 학생 수 비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재의 쓰기 역 성취기 수 을 좀 더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4) 등 입문기 학생 수 비 국어과 교육과정의 수 합성을 높이기

해서는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제고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두 교육과

정 개발 주체를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수 합성, 등 입문기, 교사 인식

Page 36: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66 국어교육연구 제31집

■Abstract

A Study of Level Relevance for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in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Goo, Youngsan · Baek, Kyeong-sun

From July 9–13, 2012,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about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difficulty of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rts

(KLA).

The results of this survey lead us to make four policy recommendations

related to KLA: (1) We need to emphasize basic and essential reading/writing

skills. (2) We need to make current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KLAC)

easier especially with regard to grammar and its application, developing ideas

for speaking and writing, positioning and reasoning. (3) The writing section

in KLAC is currently too difficult. We should adjust the level of 1st-grade

curriculum in KLA, especially the writing section, in response to students’

ability. (4) The Nuri (K-level) and 1st-grade level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by people coordinat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Nuri and 1st-grade curricula.

[Key words]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level relevance for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 teachers' recognition

Page 37: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67

<부록1> 유치원 교사용 설문지

※ 해당하는 내용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학교 소재지 : ① 도시 ② 소도시 ③ 읍면지역

2) 설립 유형 : ① 국․공립 ② 사립

3) 경력 : ① 10년 이하 ② 11~20년 ③ 21~30년 ④ 30년 과

※ 리과정의 ‘의사소통’ 역에 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내용

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행 리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내용은 아동들의 수 에 비하여 어떠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① 매우 쉽다.

② 쉬운 편이다.

③ 하다.

④ 어려운 편이다.

⑤ 매우 어렵다.

2. ‘의사소통’의 ‘읽기’ 역의 내용을 지도할 때, 직 을 읽도록 하는 수업을 실시하

십니까?

① 실시하지 않는다. (☞ 3번으로)

② 가끔 실시한다. (☞ 2-1번으로)

③ 자주 실시한다. (☞ 2-1번으로)

2-1. 직 을 읽도록 하는 수업을 개할 경우 그 수 은 어느 정도입니까?

① 자음, 모음 수 ('ㄱ', 'ㄴ', 'ㅏ', 'ㅑ' 등)

② 낱자 수 ('가', '나', '다' 등)

③ 단어 수 ('나무', '기차' 등)

④ 짧은 문장 수

⑤ 짧은 이야기 수 이상

Page 38: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68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내용

영역학습 요소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 어려움

매우

어려움

듣기·

말하기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듣

는 태도 갖기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를 듣고 내용 파

악하기

상대의 말을 듣고 감정 파악하기

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며 자신의 기분이나

느낌 말하기

듣는 이를 바라보며 말하기

자신 있게 말하기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말을 설명하기

상황과 상대에 따른 바른 태도로 인사 나누

읽기

자음과 모음 알기

글자의 결합 방식 알고 글자 읽기

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는 태도 지니기

소리 변화가 없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3. ‘쓰기’ 역의 내용을 지도할 때, 직 자를 쓰게 하는 수업을 실시하십니까?

① 실시하지 않는다. (☞ 4번으로)

② 가끔 실시한다. (☞ 3-1번으로)

③ 자주 실시한다. (☞ 3-1번으로)

3-1. 직 쓰도록 하는 수업을 개할 경우 그 수 은 어느 정도입니까?

① 자음, 모음 수 ('ㄱ', 'ㄴ', 'ㅏ', 'ㅑ' 등)

② 낱자 수 ('가', '나', '다' 등)

③ 단어 수 ('나무', '기차' 등)

④ 문장 수

⑤ 문단 수

4. 다음의 국어과 학습 요소는 귀원 아동들의 수 에 비해 어떠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Page 39: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69

소리 내어 읽기

소리 변화가 있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게 읽기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

리할 때의 의미 변화 알기

쓰기

연필을 바르게 잡고 글씨 쓰기

바른 자세로 글씨 쓰기

글자를 필순과 방향에 맞게 쓰기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

리하기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

문법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한글 낱자를 획순에 따라 쓰기

글자를 바르게 발음하기

글자를 바르게 쓰기

문학

동시를 낭송하기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기

짧은 이야기를 읽은 경험을 선생님이나 친

구와 주고받기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작품 속 인물의 모습

과 마음 상상하기

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을 실

감나게 읽기

그림만 제시된 책이나 그림책을 읽고 이야

기의 흐름 말하기

만화 영화를 보고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현하기

※ 유치원과 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에 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의견과 가

Page 40: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70 국어교육연구 제31집

기초 학습 및 관련 능력 매우

불필요

불필요

한편보통

필요

한편

매우

필요

1) 바른 자세로 앉기

2) 바르게 듣기

3) 바르게 말하기

4) 한글 자모음 읽기

5) 한글 자모음 쓰기

6) 한글 단어 읽기

7) 한글 단어 쓰기

8) 짧은 한글 문장 읽기

9) 짧은 한글 문장 쓰기

10) 쓰기 도구(연필, 색연필, 크레파스 등) 바르

게 사용하기

11) 선 따라 긋기

12) 기타 (이외에도 필요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해 주시

기 바랍니다)

장 가까운 내용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해 국어과 교육과정의 조정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조정이 필요하다. (☞ 5-1번으로)

②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 6번으로)

5-1.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해 국어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유치원 리과정 수 의 상향 조정

② 유치원 리과정 수 의 하향 조정

③ 등학교 교육과정 수 의 상향 조정

④ 등학교 교육과정 수 의 하향 조정

6. 등학교 입학에 비하여 유치원에서는 다음의 기 학습 련 능력과 련하

여 어느 정도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4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71

7. 교육과정의 수 조정 이외에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

일 수 있는 가장 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학교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

② 유치원 교사와 등학교 교사의 상호 교류 확

③ 등학교 교육과정에 한 연수 기회 확

④ 기타( )

Page 42: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72 국어교육연구 제31집

내용

영역학습 요소

매우

쉬움쉬움 적절함어려움

매우

어려움

듣기·

말하기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에 귀 기울여 듣

는 태도 갖기

다른 사람의 말이나 이야기를 듣고 내용 파

악하기

상대의 말을 듣고 감정 파악하기

상대의 감정을 배려하며 자신의 기분이나

느낌 말하기

듣는 이를 바라보며 말하기

자신 있게 말하기

상황과 상대에 알맞은 인사말을 설명하기

상황과 상대에 따른 바른 태도로 인사 나누

<부록2>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지

※ 해당하는 내용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학교 소재지 : ① 도시 ② 소도시 ③ 읍면지역

2) 설립 유형 : ① 국․공립 ② 사립

3) 경력 : ① 10년 이하 ② 11~20년 ③ 21~30년 ④ 30년 과

※ 국어과 교육과정에 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내용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행 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은 학생들의 수 에 비하여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쉽다. ② 쉬운 편이다.

③ 하다. ④ 어려운 편이다.

⑤ 매우 어렵다.

2. 다음은 등학교 1학년에서 지도하는 국어과 학습 요소를 내용 역별로 제

시한 것입니다. 귀교 학생들의 수 에 비해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age 43: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73

읽기

자음과 모음 알기

글자의 결합 방식 알고 글자 읽기

글자에 관심을 갖고 읽으려는 태도 지니기

소리 변화가 없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소리 변화가 있는 낱말과 문장을 정확하게

소리 내어 읽기

문장 부호의 쓰임에 알맞게 읽기

띄어쓰기를 고려하여 읽고, 띄어 읽기를 달

리할 때의 의미 변화 알기

쓰기

연필을 바르게 잡고 글씨 쓰기

바른 자세로 글씨 쓰기

글자를 필순과 방향에 맞게 쓰기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쓸 내용으로 정리하기

자신이 경험한 일에 대한 생각과 까닭을 정

리하기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생각을

글로 쓰기

문법

한글 낱자의 이름을 말하기

한글 낱자를 획순에 따라 쓰기

글자를 바르게 발음하기

글자를 바르게 쓰기

생활 속의 다양한 고유어 사용하기

고유어를 소중히 여기는 태도 지니기

문학

동시를 낭송하기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기

짧은 이야기를 읽은 경험을 선생님이나 친

구와 주고받기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작품 속 인물의 모습

과 마음 상상하기

작품 속 인물의 마음이 표현되도록 글을 실

감나게 읽기

그림만 제시된 책이나 그림책을 읽고 이야

기의 흐름 말하기

만화 영화를 보고 인물의 말을 실감 나게 표

현하기

Page 44: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74 국어교육연구 제31집

인물의 말과 행동에 관심을 갖고 인형극이

나 아동극을 보기

기초 학습 및 관련 능력 매우

필요

필요

한편보통

불필요

한편

매우

불필요

1) 바른 자세로 앉기

2) 바르게 듣기

3) 바르게 말하기

4) 한글 자모음 읽기

5) 한글 자모음 쓰기

6) 한글 단어 읽기

7) 한글 단어 쓰기

8) 짧은 한글 문장 읽기

9) 짧은 한글 문장 쓰기10) 쓰기 도구(연필, 색연필, 크레파스 등) 바르게 사

용하기

※ 유치원과 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에 한 질문입니다. 선생님의 의견과 가

장 가까운 내용에 √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해 국어과 교육과정의 조정

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조정이 필요하다. (☞ 3-1번으로)

②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 (☞ 4번으로)

3-1.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이기 해 국어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조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유치원 리과정 수 의 상향 조정

② 유치원 리과정 수 의 하향 조정

③ 등학교 교육과정 수 의 상향 조정

④ 등학교 교육과정 수 의 하향 조정

4. 등학교 입학 시 의 아동들은 다음의 기 학습 련 능력들을 어느 정도로

갖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십니까?

Page 45: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s-space.snu.ac.kr/bitstream/10371/87241/1/2. 개인 투고 논문 국어과 교육... · 의 유치원 5세 누리과정 담당교사와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75

11) 선 따라 긋기

12) 기타 (이외에도 필요한 능력이 있다고 생각되시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해 주시

기 바랍니다)

5. 교육과정의 수 조정 이외에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높

일 수 있는 가장 한 방안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유치원 교육과정과 등학교 교육과정의 공동 개발

② 유치원 교사와 등학교 교사의 상호 교류 확

③ 유치원 교육과정에 한 연수 기회 확

④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