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14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1 No. 1, 49-62, April, 2014 ISSN 2288-2898 연구의 필요성 1. 최근 의료기관의 기업화 및 대형화 의료관광의 확산 등 의 , 료시장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또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 고객의 의식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과 양질의 의 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더불어 의료기관 , 인증평가 등 국가적 차원에서의 의료기관의 품질관리에 대한 시도가 본격화되면서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의 균형을 이룬 의료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의료시장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병 원조직은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므로 그 목표를 성취하여 사 명을 달성하는 것과 더불어 장기적으로는 조직이 생존하기 위 하여 조직성과를 제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병원조직은 의 . 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야별로 전문화 및 세분화되어 있 어 조직구성원이 다양하면서 많은 인력을 요구하는 특성을 가 진 조직으로서 그 중 병원을 구성하는 전문 인력 중 규모가 가 병원 간호조직의 조직유효성 평가지표 및 결정요인에 관한 문헌 분석 김지은 1 김진현 · 2 부산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1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 2 A Review of Research on Evaluation Indexes and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Kim, Jieun 1 · Kim, Jinhyun 2 1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usan 2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identify evaluation indexes, determi- nants, and overall trend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ements. Methods: A total of forty-one pap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were reviewed. Results: These papers were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garding nurses who worked in general hospitals and uni- versity hospitals, excluding special hospitals (ie. armed forces hospitals, mental hospitals). The review of literature identified 18 operational definitions (evaluation indexes) and 36 significant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 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The operational definitions were measured by using 46 instrument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data on recent trend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also serves as basic evidence for the nee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cat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ey Words: Review, Hospitals, Nurs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주요어: 문헌고찰 병원 간호조직 조직유효성 , , , Corresponding author: Kim, Jieun Department of Nursing,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32 Beon-gil, Buk-gu, Busan 616-737, Korea. Tel: +82-51-330-7178, Fax: +82-51-330-7178, E-mail: [email protected] 투고일 2014 2 9 / 심사완료일 2014 3 5 / 게재확정일 2014 4 1 2014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http://rins.snu.ac.kr

Upload: others

Post on 03-Jan-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ol. 11 No. 1, 49-62, April, 2014 ISSN 2288-2898

연구의 필요성1.

근 료 업 료 산 등,

료시장에 변 고 다 매체 달.

고객 식 향상 건강에 심과 양질

료 스에 도가 가 고 어 료,

평가 등 가 차원에 료 질 리에

시도가 본격 양 과 질 균 룬

료 스 고 다.

러 격 료시장 경 변 에 여병

원 직 사 충 시키므 그 목 취 여 사

달 것과 어 장 직 생

여 직 과 고 야 다 병원 직.

료 스 공 야별 어

어 직 원 다양 많 특 가

진 직 그 병원 규모가 가

병원 간 조직의 조직 효 평가지표

결 요인에 한 헌 분

김지은 1 김진현· 2

산과학 술 학 간 학과 수1 울 학 간 학 수, 2

A Review of Research on Evaluation Indexes and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Kim, Jieun1 · Kim, Jinhyun2

1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Busan

2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identify evaluation indexes, determi-

nants, and overall trend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improvements. Methods: A total of forty-one pap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were reviewed.Results:These papers were journal

article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garding nurses who worked in general hospitals and uni-

versity hospitals, excluding special hospitals (ie. armed forces hospitals, mental hospitals). The review of literature

identified 18 operational definitions (evaluation indexes) and 36 significant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

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The operational definitions were measured by using 46 instrument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data on recent trend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also serves as

basic evidence for the nee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as well as

indicat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ey Words: Review, Hospitals, Nurs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주요어: 문헌고찰 병원 간호조직 조직유효성, , ,

Corresponding author: Kim, JieunDepartment of Nursing, Bus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32 Beon-gil, Buk-gu, Busan 616-737, Korea.Tel: +82-51-330-7178, Fax: +82-51-330-7178, E-mail: [email protected]

고 월2014 2 9 / 심사 료 월2014 3 5 / 게재 월2014 4 1

2014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http://rins.snu.ac.kr

Page 2: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50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장 집단 간 직 직 과에 주 향 미

므 병원 직 생 여 간 직 과 리 매

우 다.1,2)

직 과 직목 개 신 직 효

체 개(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용 여 다.

경 에 직 효 직목 취

도 직 과 평가, ,

에 사용 효과 과 동 미 다.3) 실천차원에

직 효 그것 지 ,

매우 다양 다.4) 동 지 도 각

마다 다양 도 개 여 고 다 직 어떻게.

가 직 목 가 엇 가에 향 므 직,

에 달 지 다 그러므 간.

직 직 생 직 과 고 지 직

효 어떻게 고 가 알 어떠

지 사용 여 직 효 고 가 께 어

떠 도 사용 고 가에 탐 볼 가 다.

직 효 어떠 지 가 어 탐

야 사 직 효 에 향 미

엇 가 것 다 직 효과 경 여.

리 들 직 효 향상에 여 안에

여 고심 다 그러므 연 들 직 효 지.

직 변 계 검 향 ‘ 직

효 결 ’ 탐 고 보다 효

직 경 안 시 다 직 효.

여 어떠 결 들 효 결과가 보

고 었 지 헌들 통 재 간 직

직 효 향상 향 고 다.

에 본 연 지 지 내에 병원 간 직 상

여 루어진 연 통 연 에 사용 병원 간

직 직 효 지 도 살펴 간

직 직 효 에 탐색 고 결,

여 연 들에게 간 직 직 효 에 연

료 연 향 시 아가 실 경 들에게,

간 직 생 직 과 고 체 안 시

고 시도 게 었다.

연구목적2.

� 직 효 평가지 도 악 다.

� 직 효 결 악 다.

� 직 효 변 결 변 과( )

계 향 다.

연구 법

연구설계1.

본 연 우리 병원 간 직 직 효 에 연

들 리 헌고찰 연 다.

연구대상 및 평가방법2.

본 연 후 근 지 내에 시도1980

병원 간 직 직 효 에 연 상 다.

주 병원 간 직과 직 효 다 헌검.

색 베 스 과 보연 원 도, ,

리아 드 보원 베 스, , ,

지 용색 립 앙도 용 다 주, .

검색어 'hospital', 'organization', 'effective-

nes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ursing', 'nurse', ‘병

원’, ‘간 ’, ‘ 직’, ‘ 효 ’, ‘효과 ’, ‘효 ’, ‘ 직 효

’, ‘ 직효과 ’, ‘ 직효 ’ 개 검색어, 15

후 연산 사용 여 검색식 다.

헌 지 집 등 모든 태 포, ,

다 연 내 병원 간 직 효 에 많.

연 가 사 통 료 집 여 다양 통계

연 결과 도 고 다 그러므 본 연 에 모든.

연 포 본 연 결과에 포 여

연 간 상 통 여 결 다.

상 택 첫째 내 병(inclusion criteria) ,

원 간 직 간 사 상 째 직 효( ) , ,

결 에 째 지 과 복, ,

경우 째 직 효 평가지, ,

다루 도 ‘ 직 효 ’ 체 개 다루고

다 첫째 병원. (exclusion criteria) ,

신병원 상 째 간, ,

특 보험심사실 실 실 만 상( , , )

째 병원 타 보건 에, , ( , ) ,

째 간 사 다 병원 원 포 료 사, ( ,

직 등 다 째 직 효 평가지), , ‘ 직 효 ’

Page 3: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51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체 개 포 여 다루지 않 여 째, ,

사개 직 과 업 과 효과 등 에 곱( , , ) ,

째, ‘ 직효 ’, ‘ 직효과 ’, ‘ 직 효 ’에 가본

연 에 상(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직효( . ‘effectiveness’가 아니 ‘efficiency’

미 경우 여 째 본 연 목 에 지 않 다고), ,

연 간에 가 루어진 다.

개 헌검색 베 스 통 검색 헌7

보원 편 과 보연 원 편126 , 70 ,

도 편 리아 드 편 베 스161 , 25 ,

편 지 용색 편 립 앙도 편 었17 , 64 , 58

다 복 헌 후 택 에 도 차 헌검. 1

색 결과 개 헌 택 었다 개 헌77 . 77

연 통 택 헌 개 다38 .

연구분석3.

상 내용 리 고 연 상

특 별 도 별 평가지 결 별 도, ,

다 상 들에 시 직 효 평가지.

직 효 결 들에 계 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논문의 특성1.

연 상 편 연 사연38

가 편 사실험연 가 편 었 사37 (97.4%), 1 (2.6%) ,

실험연 경우 직 효 결 과 직 효 평가지

계에 결과만 본 연 에 포 시 다 처.

편 지 편 었22 (57.9%), 16 (42.1%) ,

사 편 사 편 공16 (72.7%), 6 (27.3%) ,

간 편 편13 (59.1%), 5 (22.7%),

경 편 보건 편 편 었2 (9.1%), 1 (4.5%), 1 (4.5%)

다 지 경우 간 지가 편. 13 (81.3%),

타 편 타났다 타 지 료경 지3 (18.7%) . ,

심리 지 병원경 지 다, .

상 연 들에 상 가 근 병원 언

없 편 고 개 병원4 167 , 41

개 병원 개 타 병원(24.5%), 118 (70.7%), ( ) 7

개 병원 에 언 없 개(4.2%), 1 (0.6%)

었다 병원 재지 울. ‧경 지역 개73 (43.7%),

도 개 경상도 개 타 니 경9 (5.4%), 7 (4.2%), (

우 울, ‧경 ‧강원 지역 경우 등 개) 59

언 없 경우 개 다 연 상(35.3%), 19 (11.4%) .

특 에 도에 리 다Table 1 .

상 연 상 편 에 편 간 사38 35

개 상 편 간 사 개 과 상, 3

다 사연 경우 간 사. 171

에 평균 었 평균1118 422.9 ,

었다 사실험연378.5 . 5) 상 모 간 사

그룹별 실험 과 상 각각 었다22 .

본 에 여 언 모 편 었 그4

편2 6,7) 편G*Power, 2 8,9) 용 본'Rule of thumb'

과 다.

조직유효성의 평가지표와 측정도구2.

본 연 결과 편 상 에 시38

직 효 평가지 개 다 직몰 편18 . 34 (89.4%),

직 만 편 직 도 편 직시민33 (86.8%), 10 (26.3%),

동과 간 업 각 편 각 고객지향 과5 ( 13.2%),

만 각 편 각 효능감 경 몰 동 여2 ( 5.3%), , , ,

워 트 간 질 직동 시 신 그룹생산, , , , , ,

본 료 가 각 편 각 에, 1 ( 2.6%)

직 효 평가지 채택 었다.

직 효 평가지 도 양 지 본(

료 가 개 평가지, ) 16

도 연 가 개 거 연46 ,

가 개 그 새 게 여 사용 것

었다 단 에 지 평균. 96

개 어 었 모 커트 척도10 (3 , 4

다 각 에 용 직 효 도, 5 , 7 ) .

들 신뢰도 에 사 었다.45 .96 .

직 효 평가지 에 도 사용 도

살펴보 직몰 도 가 사용 었 그9

가장 많 사용 도 등Mowday 10) 도 편25

에 사용 었다 직 만 도. 13

었 등, Stamps 11) 도 가 편 에 사용 어 가7

장 사용 도가 것 타났다 직 도 도. 9

Eun12) 도 가 편 에 사용 어 가장 도2

타내었 직시민 동 간 업 고객지향, , , ,

Page 4: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52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만 도 각 그 효능감 경 몰 동 여2 , , , ,

워 트 간 질 직동 시 신 그룹생산, , , , ,

각 도 가 사용 었다 직 효 평가지1 .

도 에 사 에 리 양 지Table 2 ,

본 과 료 가 포 지 않았다.

조직유효성 결정요인3.

연 상 에 직 효 과 계 검

시 직 효 결 개 다 연 상36 .

에 직 효 평가지 계 검 직 효 결

에 리 다Table 3 .

직 효 결 채택 도가 가장 변

‘리 십’ 본 연 에 변 리 십 거 리 십, ,

리 십 트 리 십 모, ‘리 십’ 개

편 에 직 효, 13 (34.2%)

평가지 계 검 다 직 편. 6 (15.8%),

직 스트 스 편 사 통 직 특 동 여5 (13.2%), , , ,

간 사 특 각 편 각 에 직 효 과 계4 ( 10.5%)

검 다 습 직 직특 공 가 각. , , ,

편 각 에 채택 었 동 연 에3 ( 7.9%) ,

연 다 그 사결 워 트 워십 공식 내. , , , ,

마 공 리 략 격특 격통 각 편, , , ( ) 2

각 에 갈등 처 략 강도 스트 스 지( 5.3%) , , ,

각 도 집단 집 집단역동 직 진 습지향, , , , ,

원 도 간 등 간 업 직시민 동 목, , , ,

리 식 직업 효능감 웍 각 편 각, , , , 1 (

에 에 직 효 과 계 다2.6%) .

직 효 결 채택 변 들 직시민 동,

간 업 효능감 동 여 워 트, , , ,

결 채택 변 동시에 직 효 지

채택 변 도 것 었다.

조직유효성 평가지표와 조직유효성 결정요인의 관계4.

편 연 상 에38 ‘ 직 효 평가지 ’ ‘

변 ’ ‘ 직 효 결 ’ ‘독립변 ’ 여

다 각 결과에 시 계 상 계 귀계. ( , ,

효과계 향 통 직 효 결 과 평가지)

계 살펴보았다 통계 결과 통계.

경우만 계 향 심 에 리 다Table 4 .Tabl

e 1.

Cha

ract

eris

tics

of A

rticl

e by

Yea

r (N

=38)

Var

iable

sC

ateg

ori

es19

9619

9719

9819

9920

0020

0120

0220

0320

0420

0520

0620

0720

0820

0920

1020

1120

12T

ota

l

n(%

)n

(%)

n(%

)n

(%)

n(%

)n

(%)

n(%

)n

(%)

n(%

)n

(%)

n(%

)n

(%)

n(%

)n

(%)

n(%

)n

(%)

n(%

)n

(%)

Typ

e of

hosp

ital

Univ

ersi

ty11

(6.6

)5

(3.0

)8

(4.8

)5

(3.0

)2

(1.2

)4

(2.4

)4

(2.4

)1

(0.6

)1

(0.6

) 4

1(2

4.5)

Gen

eral

5(3

.0)

10(6

.0)

6(3

.6)

11(6

.6)

26(1

5.6)

12(7

.2)

18(1

0.8)

2(1

.2)

8(4

.8)

2(1

.2)

10(6

.0)

7(4

.2)

1(0

.6)

118

(70.

7)

Spec

ial

7(4

.2)

7

(4.2

)

No r

eport

1(0

.6)

1

(0.6

)

Loca

tion o

f hosp

ital

Seoul-

Gye

ongi

5(3

.0)

6(3

.6)

7(4

.2)

2(1

.2)

9(5

.4)

18(1

0.8)

4(2

.4)

13(7

.8)

8(4

.8)

1(0

.6)

73

(43.

7)

Cheo

lado

2(1

.2)

4(2

.4)

3(1

.8)

9

(5.4

)

Gye

ongs

ando

7(4

.2)

7

(4.2

)

Etc

.10

(6.0

)4

(2.4

)5

(3.0

)9

(5.4

)7

(4.2

)12

(7.2

)5

(3.0

)2

(1.2

)4

(2.4

)-

1(0

.6)

59

(35.

3)

No r

eport

18(1

0.8)

1(0

.6)

19

(11.

4)

Tota

l5

(3.0

)-

10(6

.0)

6(3

.6)

11(6

.6)

5(3

.0)

11(6

.6)

34(2

0.4)

12(7

.2)

23(1

3.8)

2(1

.2)

8(4

.8)

4(2

.4)

13(7

.8)

11(6

.6)

8(4

.8)

2(1

.2)

167

(100

.0)

Page 5: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53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Table 2. Evaluation Index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ols (N=38)

EvaluationIndication of OE

Developer(year of development)

Modifier(year of modify)

Items RangeReliability(Cronbach's

)⍺Mean

Article

Author* n (%)

Organizationalcommitment

Allen & Meyer (1991)

Park (2003)

18

7

1~7

1~5

.71~.77

.77

3.17±0.88~4.10±0.833.47±0.52

Kim30)

Kang31)

34 (89.4)

Lee (2000) 6 1~5 .72 2.39±0.72 Lee32)

Lee (2001) 6 1~7 .87 4.72±0.49 Lee33)

Meyer & Allen (1990),Judge (1993)

Park (2010) 5 1~5 .87 no report Park34)

Meyer, Tsui, & Hinings(1993)

Ko & Seo (2004) 6 1~5 .75 3.35±0.56 Cho6)

Mowday et al. (1979) Moon (2007)Lim (2011)Lee (1998)

Hwang (2000)Park (2004)Choi (2003)

Koo (2000)

Choi (2003a,2003b)

Choi (2004)Kim (1986)

Koo (2002)Lee (1998)Park (2004)Park (2004)Park (1997)Yoon (2000)

7515

1291215101515151512

1215

15151591515

1~51~51~5

1~51~51~51~51~51~71~71~71~71~5

1~51~7

1~51~71~51~51~71~5

.95

.84

.89

.77

.90

.88

.90

.91

.86

.77

.90

.91

.88

.88

.91

.82

.89

.91

.89

.70

.91

.86

3.11±0.67No report3.44±0.51/3.28±0.36†

no report3.52±0.503.25±0.563.57±0.823.14±0.694.40±0.553.96±0.35No report

62.51±14.02‡

2.98±0.53

no report3.88±0.873.89±0.86

46.80±7.43‡

3.89±0.863.08±0.503.27±0.413.78±0.863.14±0.473.01±0.46

Park7)

Lim35)

Lee5)

Han19)

Kang8)

Shin36)

Yom9)

Jung14)

Lee37)

Woo38)

Jeong39),40)

Lee20)

Choi13),17)

Choi41)

Yoon42)

Yoon18)

Shin43)

Yoon44)

Kim45)

Moon16)

Park46)

Lim15)

Lim47)

Porter & Steers (1973) Kim (1986) 15 1~5 .77 2.88±0.43 Jung48)

Porter et al (1974) 9 1~5 .96 3.26±0.60 Lee49)

Porter & Smith (1979) Park (1997) 15 1~5 .67 3.03±0.36~3.24±0.31

Kim50)

Job satisfaction Alderfer (1972) - 6 1~5 .78 3.02±0.78 Lee32)

33 (86.8)

Cho (2011) - 1 1~5 - 3.51±0.67 Cho51)

Curry & Wakefield (1986),Kim (1993), Ryu (1993),Choi (1996)

Lee (1999) 9 1~5 .96 3.20±0.56 Lee49)

Lee (2001) - 10 1~7 .76 5.11±0.48 Lee33)

Locke (1976), Brown, &Peterson (1993)

- 5 1~5 .72 no report Park34)

Paula (1978)

Choi (2003)Kim (2007)

Lim (2011)Park (1997)

20201816

618

1~51~51~51~5

1~51~5

.78

.78

.79

.73

.83~65.86

3.15±0.35no report3.09±1.942.18±0.64~3.65±0.50no reportno report

Choi13),17)

Choi41)

Shin36)

Kim50)

Lim35)

Han19)

Park et al. (1997a) Yoon (2002) 11 1~5 .74 3.09±0.51 Yoon42)

Scarpello & Campbell (1983) - 25 1~7 .93 3.89±0.81 Park46)

OE=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rst author;†Experimental group / control group;

‡Mean of total point.

Page 6: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54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Table 2. Evaluation Index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Tools (Continued) (N=38)

EvaluationIndication of OE

Developer(year of development)

Modifier(year of modify)

Items RangeReliability(Cronbach's

)⍺Mean

Article

Author* n (%)

Job satisfaction(continued)

Slavitt et al. (1978) Moon (2007)

Park et al. (1997)

92911

1~51~51~5

.95

.78

.82

3.08±0.492.80±0.312.57±0.403.15±0.48

Park7)

Woo38)

Yom9)

Yoon18),44)

33 (86.8)

Stamps et al. (1978)Yoon (2000)Park (1997)

18401120

1~51~51~51~5

.68

.83

.86

.84

.82

2.73±0.34122.92±13.56

3.13±0.473.02±0.563.25±0.44/3.25±0.29

Jung48)

Kim52)

Lim15)

Lim47)

Lee5)

Taylor & Browers (1972) 7 1~5 .77.83.81

No reportNo report

20.75±4.41‡

Shin21)

Jeong39),40)

Lee20)

Torres (1988) Son (2011) 12 1~5 .87 3.18±0.62 Cho6)

Weiss et al. (1967) Park (2004)Kim (2008)

Kim (2002)

882016

1~51~51~51~5

.77

.85

.92

.91

3.00±0.493.14±0.534.20±2.933.00±0.40

Moon16)

Kang8)

Kim45)

Kim53)

Turnoverintension

Cho (2011) 1 1~5 - 3.25±0.75 Cho51)

10 (26.3)

Eun (2001) 5 1~5 .81.85

2.99±0.683.24±0.83

Kim45)

Park46)

Jaros et al. (1995) 5 1~5 .87 No report Park34)

Whitehill & Takezawa (1968) Shin (2003) 3 1~5 .45 No report Shin21)

Kim (2000) 1 1~5 - 3.3±1.1 Kim53)

Lee (1995) 2 1~5 .68 3.17±0.94 Yoon18)

Mathieu & Zajac (1990) 5 1~7 .86 4.42±1.10 Kim30)

Mobley (1982) Moon (2010) 5 1~5 .80 2.50±0.71/2.88±0.63

†Lee

5)

Slavitt et al. (1978) 4 1~5 .90 3.55±0.84 Moon16)

Organizationalcitizenbehavior

Netemyer (1997) 9 1~5 .77 3.40±0.43/no report†

Choi13),17)

/Choi41)

5 (13.2)

Podsakoff, Mackenzie,Moormas & Fetter (1990)

Park (2009)Park (2004)

1414

1~51~5

.81

.873.46±0.363.61±0.40

Moon16)

Kang8)

Nursingperformance

Park & Yoon (1986)An (2000)

2323

1~51~5

.94

.93No report3.57±0.573.17±0.47

Han19)

Lim47)

Yoon18),44)

5 (13.2)

Schwirian (1978) Choi (1997) 52 1~5 .96 21.80±2.61‡ Shin43)

Customer-orientation

Narver & Slater (1990)Yoon (2008) Jung (2009)

135

1~51~5

.95

.863.74±0.443.85±0.51

Park7)

Jung14)

2 (5.3)

Patient satisfaction Wandelt & Ager (1974) Park (1994)Park (1997)

3939

1~51~5

.96

.95160.59±21.95‡

3.99±0.21Kim52)

Yoon18)

2 (5.3)

Self efficacy Sherer & Maddux (1982) Jung (2009) 5 1~5 .83 3.57±0.57 Jung14)

1 (2.6)

Careercommitment

Gardener (1986) 10 1~5 .87 33.27±5.16‡

Shin43)

1 (2.6)

Motivation Mayo (1977) Kim (1999) 20 1~5 .94 3.38±0.48 Shin36)

1 (2.6)

Autonomy Schutzenhofer (1983) 30 1~4 .82 151.34±14.86§

Lee37)

1 (2.6)

Empowerment Spreizer (1995) 12 1~5 .90 3.42±0.47 Lee37)

1 (2.6)

Nursing quality Park (1994) Kim (2005) 96 1~5 .68~.87 164.80±13.91‡ Kim52) 1 (2.6)

Organizationalidentification

Ashforth & Mael (1989) Kim (1995) 6 1~5 .88 3.71±0.68 Lim47) 1 (2.6)

Innovativeoperations

Hurly & Hult (1998) Kang (2005) 5 1~5 .75 3.28±0.45 Kang31)

1 (2.6)

Groupproductivity

Grohar-Murray & DiCorce(1996)

10 1~3 .86 2.30±0.40 Yom9)

1 (2.6)

OE=organizational effectivenes.

*First author ;†Experimental group / control group;

‡Mean of total point;

§'Autonomy' was given weighted.

Page 7: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55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Table 3.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38)

DeterminantsEvaluation index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rst author Total n (%)

Autonomy Choi13), Choi17), Choi41) 3 (7.9)

Communication Choi13), Choi17), Choi41), Jung48) 4 (10.5)

Conflicts Kim52) 1 (2.6)

Coping strategies Kim53) 1 (2.6)

Culture strength (difference of value) Lee33) 1 (2.6)

Decision-making Choi13), Choi41) 2 (5.3)

Degree of perceived stress Lee32) 1 (2.6)

Empowerment Jung14), Lim15) 2 (5.3)

Followership Han19), Lee5) 2 (5.3)

Formalization Choi13), Choi41) 2 (5.3)

Group coherence Yoon44) 1 (2.6)

Group dynamics Yoon18) 1 (2.6)

Internal marketing activity Lim47), Park7) 2 (5.3)

Job burnout Cho51) 1 (2.6)

Job characteristics Lim15), Moon16), Yoon18), Yoon44) 4 (10.5)

Job stress Cho51), Lee32), Yom9), Yoon42), Yoon44) 5 (13.2)

Justice Park46), Woo38) 2 (5.3)

Leadership Choi13), Choi17), Choi41), Han19), Kang8), Kim30), Kim45),Kim50), Kim52), Lee33), Lee49), Lim35), Park34)

13 (34.2)

Learning organization construction Jeong39),40), Kang31) 3 (7.9)

Learning orientation Kang31) 1 (2.6)

Management Strategy Choi13), Choi41) 2 (5.3)

Member's maturity Kim30) 1 (2.6)

Motivation Choi13), Choi17), Choi41), Lim47) 4 (10.5)

Nurses characteristics Jeong39), Kim52), Moon16), Yoon18) 4 (10.5)

Nurses manpower Kim52) 1 (2.6)

Nursing performance Lee37) 1 (2.6)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Park46) 1 (2.6)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Lee20), Yoon18), Yoon44) 3 (7.9)

Organizational culture Han19), Kim52), Lee20), Lee33), Shin21), Yom9) 6 (15.8)

Perception of management by objectives Shin36) 1 (2.6)

Personality / Locus of control Yoon18)

, Yoon42)

2 (5.3)

Power base Jung48) 1 (2.6)

Professionalism Shin43) 1 (2.6)

Self-efficacy Lim35) 1 (2.6)

Shared value Choi13), Choi17), Choi41) 3 (7.9)

Teamwork Cho6) 1 (2.6)

Page 8: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56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Choi13) 연 에 본 과 료 가

직 효 평가지 시 었 에 통계

결 없 것 보고 어 에 포 지Table 4

않았다.

변 직 효 평가지 심 평가지

결 계 살펴보 다 과 같다 직몰 에.

결 개 편 에 통계33 34 (89.4%)

보고 다 그 직몰 과 양 계가.

보고 결 개 사 통 상29 , (

향 평 공식 사결 워 트 워십 공, , ), , , ,

식 집단 집 집단역동 내 마 직 특 다양, , , , ( ,

체 드 충실 직 스트 스 공 리, , , ), , ,

십 습 직 습지향 리 략 원 도 동, , , , ,

여 간 사 특 에 만 도 직 연 간, ( , , ),

업 직시민 동 직특 직 목 리 식, , , , ,

격특 거 보상 직업, ( , , ), ,

효능감 웍 보고 었다 직몰 과 계가, .

보고 결 개 사 통 향10 ( ),

강도 가 차 스트 스 지각 도 워 트 결( ), , ( ),

직 특 미감 드 직 스트 스 리 십 거( , ), , ( ),

간 사 특 경 연 직 업 보( , , ), ( , ),

강압 보고 었다 양과 계가 모( , ) .

보고 변 ‘ 워 트’ 역 ‘ 결 ’

에 여 Jung14) 양 계 등, Lim 15) 계 보

고 , ‘직 특 ’ 역 ‘업 ’에

Moon16)양 계 등, Lim 15) 계 보고 다.

‘거 리 십’ 등Choi 17) 계 가진다고 보고

다. ‘간 사 특 ’ ‘ 경 ’ Moon16) 양 계 ,

Yoon18) 계 보고 , ‘ 직 ’ ‘업 지

향 ’에 Han19)

계 , Lee20)

양 계

보고 다.

직 만 에 결 개 편32 33 (86.8%)

에 통계 보고 다 직 만 과 양.

계가 보고 결 개28 ,

사 통 상향 평 공식 처 략 사결( , , ), , ,

워 트 미감 도 향 워십 공식 집단( , , ), , ,

집 집단역동 내 마 직 특 다양, , , ( , ,

드 충실 공 리 십 습 직 리 략 동, ), , , , ,

여 간 사 특 에 만 도 경 직시민, ( , ),

동 직특 직 목 리 식 격특, , , , , (

거 보상 효능감 아 감 공, , , ), , ,

가 웍 다 계가 보고 결, . 13

개 사 통 향 갈등 강도 가 차 스( ), , ( ),

트 스 식 도 워 트 결 직 진 직 특, ( ), ,

미감 체 드 직 스트 스 리 십 거( , , ), , ( ),

간 사 특 직 경 연 간 등 직( , , , ), ,

보 강압 었다 양과 계가 모 보( ), ( ) .

고 변 ‘직 특 ’ 역 ‘ ’에 여

Moon16) 양 계 등, Lim 15) 계 보고

, ‘ 체 ’에 여 등Lim 15) 양 계 , Moon16)

계 보고 다. ‘리 십’ 역 ‘거 리

십’ 모든 연 에 양 계 보고 등Choi 17)만

계 가진다고 보고 다. ‘ 직 ’

역 ‘업 지향 ’에 Shin21)과 Lee20) 양 계

, Han19) 계 보고 , ‘보 ‧ 계 ’

경우 Han19) 양 계 , Shin21)과 Lee20) 계

보고 다.

직 도에 결 개 편12 10 (26.3%)

에 통계 보고 다 직 도 양.

계가 보고 결 개 감 동 직4 ,

진 직 특 체 직 스트 스 직 보, ( , ), , (

‧ 계 었 계가 보고 결 개) , 10

처 략 워십 집단역동 직 특 다양 드, , , ( , ),

공 리 십 변 거 원 도 간, ( , , ), ,

사 특 에 만 도 직 경 동 견( , , , ,

직시민 동 직 계지향 신지향 업 지향), , ( , , )

다.

간 업 에 결 개 편12 5 (13.2%)

에 통계 보고 다 직 도.

양 계가 보고 결 개 워십11 ,

집단 집 집단역동 내 마 직 특 리 십 변, , , , (

동 여 간 사 특 경 직특 직), , ( ), , ,

직업 었 계가 보고 결 개 직, 2

스트 스 리 십 거 었다, ( ) .

직시민 동에 결 개 편10 5 (13.2%)

에 통계 보고 다 사. ,

통 사결 공식 직 특 다양 체, , , ( , , ,

리 십 변 트 리 략 동 여 간 사), ( , ), , ,

특 에 만 도 직 경 결 상태 공( , , , , ),

가 양 계 가진다고 보고 거 리 십,

경우 다 연 고 등Choi 17)만 계 보

고 다.

Page 9: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57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Table 4. Results of Analysis (Direction of Coefficient) (N=38)

Determinants Evaluation Index of OE (direction)

Domain Sub-domain OC JS TI NP OCB PS NQ CuO GP IO OI Auto CaO Em Mo SE

Autonomy + + +

Communication (ct)UHIDownward

++-

++-

+

Conflicts - - -

Coping strategies + -

Culture strength (dv) - -

Decision-making + + +

DPS - -

Empowerment MCISelf-determination

++/-

+-

++

++

Followership + + - +

Formalization + + +

Group coherence + + +

Group dynamics + + - +

IMA + + + +

Job burnout - +

Job characteristicsSkill varietyTask significanceTask identityAutonomyFeedbackJob enrichment

++/-++++

++/-+/-+++

-

++-

++++++

+

Job stress - - + - -

Justice + + -

Leadership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SelfServant

++/-++

++/-++

---

+-

++/-

+

+-

++

LOC + + +

Learning orientation + +

Management strategy + + +

Member's maturity + -

Motivation + + + + +

Nurses characteristics SDPositionCareerODSEducationMarital stateAge

++

+/--

+

++

+/--

+

-----

+ ++

+++

+-

+-

+

Nurses manpower - - -

Nursing performance + + +

OCB + + -

OC + + +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 InnovativeTaskConservative

++/--

+++/-

--+

+ + + +

PMO + + +

P/LC + +

Power base CoerciveLegitimateRER

--+

-++

Professionalism + + +

Self-efficacy + +

Shared value + + +

Teamwork + +

Total (n) 29/10 27/13 4/10 11/2 10/1 4/4 3/3 1/0 2/1 2/0 2/0 1/0 1/0 1/0 1/0 2/0

OE=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C=organizational commitment; JS=job satisfaction; TI=turnover intension; NP=nursing performance;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Auto.=autonomy; CaO=career commitment; CuO=customer-orientation; Em.=empowerment; GP=group productivity; IO=innovative operations; Mo.=motivation; NQ=nursingquality; OI=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PS=patient satisfaction; SE=self-efficacy; PR=profit rate on total capital; IR=increasing rate of medical revenue;ct=communication type; dv=difference of value; DPS=degree of perceived stress; IMA=internal marketing activity; LOC=learning organization construction; OCB=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C=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PMO=perception of management by objectives; P/LC=personality/locus of control; UHI=upward,horizontal, informal; MCI=meaning, competence, impact; SD=satisfaction in department; ODS=opinion on department shift; RER=referent, expert, reward.

Page 10: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58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만 에 결 개 편 에6 2 (5.3%)

통계 보고 다 직 특 리 십 변. , (

간 사 특 경 직 양 계 갈등), ( ), , ,

리 십 거 과 간 사 특 간 등( ) ( ),

계 가진다고 보고 다.

간 질에 결 개 리 십 변 거5 ( ,

간 사 특 경 직 양 계 갈등 간), ( ), , ,

사 특 간 등 계 가진다고 보고( ),

다 그룹생산 결 에 간 사 특 연. (

직 양 계 직 스트 스 계 보),

고 다 그 신 결 습 직 습지향.

직동 시 결 내 마 과 동 여, ,

결 간 업 경 몰 결,

직업 워 트 결 간 업 동 여, ,

결 목 리 식 효능감 결,

워 트 모 양 계 가짐 보고 다.

논 의

본연 내 병원 간 직 직 효 에 연 에

보고 평가지 도 탐색 므 병원 간 직

직 효 고 통계 결과 계 향, ( )

심 직 효 결 과 평가지 계 리

다.

직 효 에 직 어떻게 보 가에 다

양 게 다 직 효 평가 지 직 효.

‘ ’ 고 다 등. Dalton 22) 생

산 등과 같 경 과 직 만 동 여 등, ,

심리 과 과Goodman Pennings23)

심리 지 경,

지 께 직 결근 등 리 지 직,

효 평가 지 여 시 다 같.

직 효 다차원 미 가지고 개,

없 에 그 개 사용 고

변 도 매우 다양 다.24)

본 연 에 편 연 상 통38 ‘병원

간 직 직 효 ’ 다양 평가지

고 알 었다 연 상 통 평가지.

개 본 과 료 가18

개 지 직몰 직 만 등 주 지16 , ,

연 들 병원 직 효 질 지 주

지 에 고 알 었다 러 경향.

여러 우량 업 고경 들 과 같

재 지 에 주 지 사용 여 효과

찾고 근 경 것 사료

다.25) 그러 공 경 가지 지 에

것 보다 여러 가지 주 지 에 모 집 가

다 그러므 지 께 재 지 같 통.

근 에 량 지 사용 여 간 직 직 효

에 질 과 양 모 고 균

룬 연 가 루어 야 것 다.

연 들마다 평가지 다양 게 여 직

효 고 었다 채택 도가 가장 변 직.

몰 편 과 직 만 편 었다 직시(34 , 89.4%) (33 , 86.8%) .

민 동 간 업 효능감 동 여 워, , , , ,

트 다 가지 변 연 에 결 채택

변 동시에 직 효 지 채택 도 여

야 능 다 직 효 체가.

어 운 개 각 병원 간 직마다 목 에 상,

에 직 효 가 없다 그.

러 직 효 다양 게 것 직 차

다 에 울 과 실

간 사 통 다.26) 그러므 각 직 다양

간 직 공동 ‘ 간

공’ 목 탐색 야

다 간 직 공동 목 충 포. ,

에 여 여 병원 간 직 효 재 개

재 다 직 목 과 어 연

실 간 사 통 용 게 고 결과,

것 다.

직 효 평가지 도 개 평가지16 46

다양 도 사용 여 고 었다 질 지.

단 에 지 평균96 10

어 었 모 커트 척도 다(3 , 4 , 5 , 7 ) .

동 도 사용 경우에도 연 가

커트 척도 간격 여 사용 경우가 많아 결과

다 연 들과 거 타 등 후 연 에

용 에 어 운 것 타났다.

개 평가지 에 향 미 결18 ,

개 변 가 통계 다 간36 .

직 직 효 결 가장 많 연 편(13 ,

에 결 채택 변34.2%) ‘리 십’ 었다 리.

십 직 과에 향 미 가장 26),

Page 11: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59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직 과에 리 십 질 직 향 미(quality)27) 들 연 결과 같 간 직에

도 리 십 결 미 갖 다 것

에 고 사료 다 직 편. 6 (15.8%)

통 직몰 직 만 포 개 평가지 에, 7

결 었 직 에,

향 미 다 결과 보고 다 그러므.

Albert28)가 주장 같 병원 직 효 진시

키 리 직 고 야 것

다 그 에도 과 같 개 특 리 십. , ,

과 같 집단 특 직 같 직 특

등 직 효 결 매우 다양 에 근

본 연 통 었다 그러므 직몰. ,

직 만 포 여 직 효 향상 개

직 지 다양 여건 마 주어야 것 ,

직 효 결 에 연 에 다양 근

통 과 향상 안 마 에 어야 것 다.

같 연 결과 탕 직 효 결

강 거 통 그램 개 등 후 연

통 직 효 향상에 여 것 다.

마지막 통계 결과에 살펴보 직 효

결 과 평가지 통계 결과 가지 목에

연 간에 상 결과 보고 경우가 었 ,

워 트 역 결 직 특 체, , ,

드 거 리 십 경 업 지향 보, , , ‧ 계

등 결 직몰 직 만 직 도에 미, ,

향 계가 그것 다 러 결과가 도 여.

러 가지 생각 볼 연 상 특,

규모 차 것 고 생각 다 다 모.

차 변 에(misspecification error), ,

편향 고 볼 다 모(omitted variable bias) .

차 모 에 차 모 변 가 엇

가에 차가 생 미 것 다29)

. ,

직 효 평가지 결 계에 모

탕 변 가 삭

경우 차가 생 다 탕 변.

통계 에 결과가 지 않 다

지 도 그 체 미 가지므 삭 지 않고 보고

것 가 다고 다 그러므 본 연.

결과 같 동 변 에 상 결과가

경우에 후 변 탕 모

여 결과 재검 야 가 다.

본 연 통 병원간 직 직 효 과 결

그 계 탐색 여 다양 시도가 었 알

었다 직 효 개 량 지 개 지. 2 16

개 평가지 연 에 다양18

고 알 었다 공 경 통.

근 에 량 지 사용 여 직 효 에 질

양 모 고 균 근

연 실 간 사 통 진 직 효,

직 효 에 가 알

었다 개 평가지 에 개 결. 18 36

다 결 개 격과 같 개 에.

리 십 직 등 집단 직 에 지

다양 변 가 향 미 고 알 었다 그러므.

직 효 향상 개 직 지

다양 에 근 여야 다 직 효 평가지.

결 계에 여 상 결과 보고 경우에

여 모 차 고 여 탕 모

통 재검 여 병원간 직 직 효 향상

지식 마 여 다.

본 연 내에 병원 간 직 직 효 에

연 들 상 여 직 효 에,

심과 후 연 안 연 다.

에 연 결과 포 지 못 연 상,

택 과 에 결과 에 향 미

통계 본 에 검 지 못 것과,

결 과 평가지 계에 통계 결과 통계

없 시 것도 연 미 결과 고

고 통계 다고 보고 결,

과만 포 가진다.

결론 언

본 연 내에 병원 간 직 직 효 에

연 들 고찰 여 직 효 지 결

그 계 탐색 연 결과 여 직 효

향상 안 향후 직 효 과 결 에 연

향 안 고 실시 었다.

간 직 직 효 에 내용 다룬 내

등재시 에 지 않고 검색 여 38

편 다 병원 간 직 직 효 평가.

Page 12: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60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지 직몰 직 만 직 도 등 개 변, , , 18

고 었 리 십 직 등 개 결, 36

었다.

직 효 직 목 달 도 직 보 시각

에 달 진다 지 지 연 들 연 토.

직 효 에 본 연 결과에 시,

같 매우 다양 개 직 효 고 어

연 실 간 사 통 다.

연 에 시 고 직 효 평가지 가 주 지

에 고 어 병원 간 직 목 포 에 어

운 었다 그러므 병원 간 직 목 고.

여 ‘병원 간 직 직 효 ’ 에

루고 어 평가지 직 만 직몰, ,

과 같 지 께 재 지 등 량 지 균

게 시 여 직 효 포 평가

도 다 사 통 진 직 효

가능 것 다. 도 에 어 연 가 커트 척도

간격 보 여 사용 경우가 많았․

연 결과 타 등 후 연 고

여 도 보 에 신 야 것 다.

앞 같 직 효 매우 다양

결 에 향 다 그러므 직 효.

향상 개 집단 직 지 다양,

근 다 그러므 지 지 연 들 많.

었 개 격 리 십과 같 개 집단

지 에 여 직 에 직 효 에 향 미

결 시 여 직 효 향상 다양

지식 마 주어야 다 어 연 결과.

탕 통계 결 과 그램

개 효과 검 에 연 통 직 효 향상

마 야 것 다.

마지막 직 효 평가지 에 결 향

연 간에 상 게 결과에 모 차

가 재 지에 여 재검(misspecification error)

가 다 직 효 에 근거.

탕 모 고 에 결과 검 여 보다

결과 탕 근거 간 리 지식

역 에 여 것 다 어 도.

께 결과 통계 처리 과 가 검,

검(hypothesis testing), (significance level),

에 보고 통계결과 등(power)

통 후 연 고 다.

본 연 결과 토 다 과 같 언 고 다.

첫째 병원 간 직 직 효 에 개 과,

재 개 그리고 량 평가 포,

균 지 개 연 가 다.

째 직 효 결 에 연 역,

연 에 결 향상시킬 그램 개

연 가 다 째 후 연 고 여 직 효 평. ,

가지 도 보 에 어 신 가․

다 마지막 본 연 통 시 연 간 상 결.

과에 근거 탕 병원 간 직 직 효

결 모 여 재검 것 언 다.

REFERENCES

1. Shortell SM, Kaluzny AD. Health care management: Organi-

zation, design, and behavior. 4th ed. New York: Cengage

Learning; c1994.

2. Aiken LH, Clarke SP, Sloane DM. Hospital staffing, organ-

ization, and quality of care: cross-national findings. Int J Qual

Health Care. 2002;14(1):5-13.

3. Etzioni A. Modern organization. New Jersey: Englewood Cliffs;

1964.

4. Min J.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4th ed.

Seoul: Dae Young Co.; 2012.

5. Lee YS. The effect of followership program on nurse's follow-

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1.

6. Cho MR. Relationship of nurses' teamwork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hospital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

versity of Pusan; 2012.

7. Park JH. The influential factors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of

nurs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2.

8. Kang YY. The influence of nurse manager's servant leader-

ship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9.

9. Yom YH, Yee JA, Ko JW.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organ-

izational climat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ospi-

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02;8(4):605-14.

10.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

ganizational commitment. J Vocat Behav. 1979;14(2):224-4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11. Stamps PL, Piedmont EB, Slavitt DB, Haase AM. Measurement

of work satisfaction among health professionals. Med Care.

1978;16(4):337-52.

12. Eun KS.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ganizational

Page 13: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Vol. 11 No. 1, 2014 61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lated to the equity per-

ception of the personnel of mental hospital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2.

13. Choi J. The character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3.

14. Jung BN. A study of the empowerment of nurses and organ-

izational effect [master's thesis]. Changwon: Changwon Uni-

versity; 2009.

15. Lim JY, Kim MS, Kim YH.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Korean Acad Nurs

Adm. 2008;14(2):107-17.

16. Moon JY. Nurses's job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or-

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17. Choi J, Ha NS, Park JW.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Korean Acad Nurs Adm. 2003;9(4):625-39.

18. Yoon SH. A model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nursing

unit. J Korean Acad Nurs Adm. 2000;8(3):457-74.

19. Han JY. The impact of the followership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nursing organization [dissertation].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20. Lee MH.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8.

21. Shin HJ.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r-

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mall to medium sized Hospitals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22. Dalton DR, Todor WD, Spendolini MJ, Fielding GJ. Porter LW.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Acad Manage Rev. 1980;5(1):49-54.

http://dx.doi.org/10.5465/AMR.1980.4288881

23. Goodman PS, Pennings JM. New perspectives on organiza-

tional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7.

24. Draft RL. Understanding the theory and design of organiza-

tions. 10th ed. [place unknown]: Cengage Learning; 2012.

25. Min J. A review of conceptualizations and re-conceptualiza-

tion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 Public Adm Rev.

2003;37(2):83-105.

26. Szilagyi AD, Wallace MJ.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er-

formance. 5th ed. Glenview: Scott Foresman; 1990.

27. Smit PJ, Cronje GJ, de J. Management principles. 2nd ed.

Kenwyn: Juta & Co, Ltd; 1999.

28. Albert M. Developing a service-oriented health care culture.

Hosp Health Serv Adm. 1989;34(2):167-83.

29. Gujarati DN, Porter DC. Basic economics. 5th ed. Irwin: Mc-

Graw-Hill; 2010.

30. Kim JH, A study on the effects of nursing administrator's trans-

formational leadership and member's maturity on organiza-

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

al University; 2010.

31. Kang KH, Song GJ.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con-

struc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

ness among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0;

16(3):267-75.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267

32. Lee BJ.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on the organiza-

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Daejeon: Hannam Uni-

versity; 2000.

33. Lee KH, Choi OJ.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organiza-

tional culture, cultural streng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

ness of nursing units in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Hosp

Manag. 2001;6(4):1-29.

34. Park IS. Study in leadership type of chief nurses and effective-

ness of organization: focused on C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0.

35. Lim KM.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or-

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

havior [dissertation]. Busan: Koshin University; 2012.

36. Shin ES, Ahn SH. Perception of management by objectiv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clinical nurses. J Ko-

rean Acad Nurs Adm. 2008;14(3):278-86.

37. Lee YM.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aster's thesis]. Gwangju: Chon-

nam National University; 2006.

38. Woo JH. The effect of justice recognition for compensation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nursing

organizations [master's thesis]. Seoul: Sahmyook University;

2004.

39. Jeong SH.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

tional effectiveness in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

versity; 2003.

40. Jeong SH.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03;9(3):415-27.

41. Choi J, Ha NS, Park HM. The relationship between 7S factors

of th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effec-

tiveness. J Korean Acad Nurs Adm. 2004;10(2):255-64.

42. Yoon SH.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personality 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Korean Acad Nurs

Adm. 2002;8(4):595-603.

43. Shin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linic nurse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44. Yoon SH.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managerial character-

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job effective-

ness: a survey on clinical nurses. Korean J Ind Organ Psychol.

2004;17(3):451-66.

45. Kim BM, Lee YM, Yoon SH, Choi EO. A study of the head

Page 14: 병원간호조직의조직유효성평가지표및 결정요인에관한문헌분석s-space.snu.ac.kr/bitstream/10371/91878/1/11-1-49-김지은-최종.pdf성평가지표와의관계를검증하였다

62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김지은 김진현·

nurse's leadership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per-

ceived by staff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07;13(3):

373-83.

46. Park W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n the relation of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

ceived by nurses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05.

47. Lim JY. A path analysis among the internal marketing activ-

ities, motiv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

Korean Acad Nurs Adm. 2005;11(4):371-84.

48. Jung YM. A correlation study on power base, communication

typ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in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7.

49. Lee MJ. A study on leadership type of immediate senior officer

and effectiveness of nursing system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1999.

50. Kim MH. A study on the effects of nursing leadership type of

nurse team on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master's thesis].

Sunch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07.

51. Cho CH, Kim MS. An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job burn-

out and job effectiveness: focusing on large-sized hospital in

Daegu·Gyeongbuk area. Health Serv Manag Rev. 2011;5(1):

1-13.

52. Kim JK.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hos-

pital nursing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

53. Kim JH, Park SA.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taff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02;8(1):9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