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3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 미 숙 * · 최 선 미 ** 본 연구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세 두 학급 총 명의 유아를 선정하였고 실험처치 후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 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이 향상되었 둘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조망수용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타인의 도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실제 유아교 육현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해 볼 수 있 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주제어 밥상머리교육 자아존중감 조망수용능력 논문 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 승인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 교신저자

Upload: others

Post on 19-Mar-2021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생태유아교육연구

2013. 제12권 제3호 , 81 - 103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 미 숙* · 최 선 미**

요 약

본 연구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유치원 만 5세 두 학급 총 50명의

유아를 선정하였고 실험처치 후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

(ANCOVA)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자아존중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이 향상되었

다. 둘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조망수용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타인의

도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실제 유아교

육현장에서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 증진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활용해 볼 수 있

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주제어 밥상머리교육(table manners education)

자아존중감(self-esteem)

조망수용능력(perspective taking ability)

※ 논문 접수 : 2013. 04. 29 / 수정본 접수 : 2013. 06. 01 / 게재 승인 : 2013. 08. 09* 전남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전남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박사과정(교신저자: [email protected])

Page 2: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8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Ⅰ. 서 론

밥상머리란 사람이 밥상에 마주앉은 자리를 말하며, 가족과 함께 하는 밥상머리에서의

시간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단순히 음식을 먹는 곳이라는 공간적

개념만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나누는 모든 대화와 식사 예절 등을 전부 포함하는 것(이영희,

2011)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우리문화에서 밥상머리는 주로 식사 예절을 가르칠 때에 한

해 사용하는 말 그 이상으로 폭넓은 의미를 가지며, 어떤 잘못도 이해받는 화해의 공간, 삶의

철학이 대물림되는 교육의 공간(SBS 스페셜 제작팀, 2011)이라고 할 수 있다.

옛날부터 우리나라의 식사예법은 어른과 함께 하는 가족 밥상이었으며, 삶을 살아나가는

데 필요한 덕목들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었다. 식사시간에는 모든 사람들이 모일 때

까지 기다렸다가 식사를 시작하며, 어른이 수저를 들기 전에 음식에 손을 대지 않고 기다리

면서 식구들에 대한 배려와 인내심을 배웠다. 식사시간에 나누는 대화를 통해 나와 다른 생

각을 하는 가족들의 의견을 듣고, 내 생각을 이야기하면서 타인의 생각을 받아들이고 이해하

는 능력을 키웠으며, 한 그릇에 담긴 음식들을 가족들과 나눠 먹으면서 적절하게 음식을 나

누고 뒷사람을 위해서 깨끗하게 음식을 덜어 가는 등의 배려와 절제를 자연스럽게 깨우쳤다.

음식을 대할 때 만들며 수고하신 많은 사람들에게 고마워하는 마음을 가짐으로써 남들을 경

쟁과 대결의 상대가 아닌 감사와 존중의 대상으로 대하는 원만한 인간관을 기를 수 있었다

(김인회, 2004). 또한, 음식 남기는 습관을 고침으로써 환경사랑을 배울 수 있으며(광양제철남

초등학교, 2012), 먹은 그릇과 수저를 스스로 정리하는 행동을 통해 주변을 늘 청결하게 정리

하는 습관과 자립심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c).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우리나라 옛날 사대부 집안과 유대인의 가족식사, 케네디가의 식사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최근 TV나 여러 매스컴을 통해 밥상머리교육활동의 효과(교육과학

기술부, 2011a; 김종일, 이기영, 2010; 이영희, 2011; EBS 아이밥상 제작팀, 2011; SBS 스페셜

제작팀, 2011)가 널리 알려진 바 있다. 즉, 가족식사시간의 대화를 통해 1,000여개의 어휘를

학습하여 언어습득과 학업성적에 긍정적이며,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안정되며, 예절, 공손, 나

눔, 절제, 배려를 학습하게 되며, 균형적인 식습관으로 건강해지고, 가족 유대감이 생기고 행

복감을 느끼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전통 식사시간은 가족이 함께 식사를 하면서 가족 구성원들과의 사랑과 인성을

키우는 시간을 가졌고, 이는 유아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시간(교육과학기술부, 2011a; 김종일,

이기영, 2010; 이영희, 2011)이었다. 하지만, 현대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Page 3: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83

길기 때문에 아침 간식, 점심, 오후 간식 등을 기관에서 먹게 된다. 이처럼 유아들은 부모와의

식사 횟수가 줄어들게 되고, TV를 보거나 게임을 하면서 식사를 하거나, 유아 혼자서 식사하

는 경우 또한 늘어나고 있는 실정(정덕희, 2010; 하정연, 임재택, 2006; Francis & Birch,

2006)이다. 이에 가정이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식생활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함으

로써 유아들의 몸과 마음을 되살릴 필요가 있으며, 특히 가정의 역할을 대신해서 유아교육기

관에서 올바른 식생활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유아교육현장의 일부 학급에서

는 식사를 빠른 시간에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만 인식(김은화, 2012)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 실

정이다. 즉, 급식시간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에서 제대로 실시하지는 못

하고 있는데, 이선례(2008)는 학급당 원아수가 많아 개별지도가 힘든 어려운 현실을 지적하

기도 하였다. 이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유아교육현장에서 현실적이고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교육과학기술부(2012c)에서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서로를 존중하며 행복하고 즐거운 식사

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한 유아교육기관의 밥상머리교육 활동

의 방법으로는 애착이 전제 되어야 하며(EBS 아이밥상 제작팀, 2011), 배려와 배움의 교육활

동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천천히 음식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상대방을 배려할 수 있고,

대화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말은 피하고 공감과 칭찬을 많이 하면서(광양제철남초등학교,

2012) 상대방을 배려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대화내용에 있어서는 하루일과를 서로 나누

며, 음식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며 감사의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대

화방법에 있어서는 열린 질문을 하고, 끝까지 경청하며, 차례를 지켜 말하는 배려를 자연스럽

게 배울 수 있다(SBS 스페셜 제작팀, 2011).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밥

상머리교육활동을 유아교육기관 급식의 교육적 활동에 초점을 두었으며, 배려, 감사, 배움, 즐

거움의 시간이 될 수 있도록 교사와 유아가 공동체를 구성하여 식사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자 한다.

밥상머리교육활동 방법들은 서로를 배려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박찬옥과 황지영(2012)

은 배려적 행동을 경험한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고 하였다. 스스로가 자신에게 갖

는 이미지인 자아존중감은 원만한 대인관계, 자신감, 자기주장, 개방적인 자기표현, 긍정적인

삶의 태도, 심리적 건강, 적응력, 대처능력, 주체성, 도전과 창조적인 사고 등을 비롯한 매우

많은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한진원, 2011). 자아존중감은 이른 시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며(Berk, 2006), 유아들은 배려를 통한 존중 속에서 나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하게 된

다. 유아들은 의미 있는 타인들과 맺는 경험과 피드백이 중요하며, 일상생활 속 반복적 상황

에서의 경험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김성숙, 2011)고 했다. 식사시간은

Page 4: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8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유아교육기관의 반복되는 일상 중 하나이므로, 유아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중요한 시간이라고

볼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c; 이영희, 2011). 예를 들면, SBS 스페셜 제작팀(2011)은 새

로운 것을 두려워하고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심리를 말하는 네오포비아(Neophobia)와 자

아존중감의 관계를 실험한 결과, 편식의 문제가 자신감 부족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고 도전하지 못하는 성향은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못하

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상태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 자신의 주장을 할 수 있도

록 돕는 유아기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자아존중감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

사 받을 수 있다.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유아기는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인식하고 이해

하는 조망능력이 차츰 형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조망수용능력은 다른 사람의 견해를 짐

작하고 다른 사람의 사고와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Berk, 2006)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지

적, 정서적으로 자신을 포함한 주위 세계를 다른 사람들의 관점에서 볼 수 있고(이기영,

2007), 상황 및 느낌 등을 이해하여 수용하는 능력(신현옥, 1996)을 의미한다. 즉, 나와 타인의

생각과 느낌, 입장 등을 이해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통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이 어떻게 향상될 수 있을지를 연구한 선행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신애(2010)는 식탁에서는 유아와 유아, 교사 사이에 수평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서로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들어주게 된다고 했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은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김인회, 2004), 타인과의 유대감을 가지고 생각을 공유하면서 타인의 사고와

감정을 읽어 내고자 노력하는 활동(김종일, 이기영, 2010)이라는 연구들에 근거해 볼 때 밥상

머리교육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밥상머리교육활동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식습관, 런치버디 프로그램이 자기조절력(조

윤나, 최윤이, 2010)과 또래 유능성(이경민, 강정원, 2011)을 향상시키며, 유기농 급식이 정신

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공격성에도 도움(한미라, 임재택, 2005)이 된다는 연구들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밥상머리교육활동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

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는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부모와 함께

교사는 유아 영양의 관리자이므로(Cotugna & Vickery, 2007),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으로 옮겨와 바람직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밥상머리교육활동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립해

볼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

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유아 발달수준에 적합한 다양한 밥상머리교

Page 5: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85

육활동 개발과 활용에 기초정보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

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G시에 있는 사립유치원 만 5세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5

명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두 집단은 P기업 자녀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거주지와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비슷한 동질집단이다. 연구대상에 대한 t-검증결과,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

균연령은 실험집단이 78.72개월, 통제집단은 78.00개월로 두 집단의 연령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고(t= .830, p> .05), 자아존중감(실험집단 M=92.80, SD=11.92, 통제집단

M=92.68, SD=10.52)과 조망수용능력(실험집단 M=12.64, SD=4.10, 통제집단 M=12.00,

SD=4.75)간에 유의한 차이(자아존중감: t= .38, p> .05, 조망수용능력 t= .510, p> .05)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였다.

2. 연구 도구

1)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Harter와 Pike(1984)의 ‘5-6세용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영숙(1998)이 수정,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인지적 능력, 동료

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의 5개 하위요인별로 6문항씩 총 30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표현한 그림을 제시하고 유아 자신과 비슷

하다고 생각되는 한쪽 그림을 선택하게 한다. 한쪽 측면에 두 단계로 나누어 평정을 하는데,

예를 들어 유아가 긍정적인 면을 표현한 그림을 선택한 경우 ‘아주 잘한다.’와 ‘조금 잘한다.’

로 나누어 아주 잘하면 큰 동그라미에, 조금 잘하면 작은 동그라미에 표시하여 큰 동그라미

를 선택하면 4점, 작은 동그라미를 선택하면 3점을 준다. 또한 유아가 부정적인 면을 표현한

Page 6: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8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하위 요인 문항번호 문항수 점수 Cronbach α

인지적 능력 1 6 11 16 21 26 6 6-24점 .75

동료수용 2 7 12 17 22 27 6 6-24점 .80

신체적 능력 3 8 13 18 23 28 6 6-24점 .76

어머니수용 4 9 14 19 24 29 6 6-24점 .80

자기수용 5 10 15 20 25 30 6 6-24점 .65

총 점 30문항 30-120점 .86

그림을 선택한 경우 ‘조금 못한다.’와 ‘아주 못한다.’로 나누어 큰 동그라미를 선택하면 1점, 작

은 동그라미를 선택하면 2점을 준다. 하위요인별 점수는 6점에서 24점이 되며, 점수가 높을수

록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 신뢰도 Cronbach α는 자아존중감

전체 .86이었으며, 인지적 능력은 .75, 동료수용은 .80, 신체적 능력은 .76, 어머니수용은

.80, 자기수용은 .65 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도구의 구성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도구 구성내용

2)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검사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연구를 기초로

한 신현옥(1996)의 연구를 수정 보완한 이기영(2007)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망수용능

력 검사는 인지조망수용과 감정조망수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지조망수용의 하위요인은

타인의도조망과 타인사고조망으로, 감정 조망수용능력은 타인감정조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는 개인 면접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유아들은 그림 자료와 함께 면접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듣고, 그림을 보고 면접자에게 이야기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하위요인별로 각 2장

씩의 그림 자료를 보고 하는 유아들의 반응을 채점 기준표에 따라 한 장의 그림 자료에 대해

0점-5점을 부여한다. 이야기인지조망수용의 경우 과제의 상황과 내용을 이해하여 제 삼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하는가를 측정하고, 감정조망수용능력의 경우 이야기 상황을 이해하고 그림

의 인물 감정을 바르게 느끼는지에 대하여 질문하고 반응을 측정한다. 타인의도조망, 타인사

고조망, 타인감정조망 점수는 각각 최저 0점, 최대 10점으로 평가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조망

수용능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 신뢰도 Cronbach α는 조망수용능력 전

체 .92, 타인의도조망은 .80, 타인사고조망은 .81, 타인 감정조망은 .83으로 나타났다. 유아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의 구성내용은 표 2와 같다.

Page 7: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87

<표 2>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 구성내용

하위요인 그림번호 점수범위 Cronbach α

인지조망

수용능력

타인의도

조망수용능력

1 0-5점0-10점 .80

2 0-5점

타인사고

조망수용능력

1 0-5점0-10점 .81

2 0-5점

감정조망

수용능력

타인감정

조망수용능력

1 0-5점0-10점 .83

2 0-5점

총 점 0-30점 .92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2012년 10월 15일~12월 21일까지 총 11주 동안 실시되었다. 3주간 예비연구를

거쳐 사전검사와 교사훈련을 실시하였고, 6주간의 실험처치(30회), 2주간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처치 전에 집단 간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

를 거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밥상머리교육활동을 6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일상적인 급식활동을 6주 동안 실시하였다.

1) 밥상머리교육활동

밥상머리교육활동은 만 5세 유아가 유치원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활동을

구성하였고, 오전․오후 간식과 점심급식 시간에 실시했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은 교육과학기

술부(2011; 2011c), 김종일, 이기영(2010), 이영희(2011), EBS 아이의 밥상 제작팀(2011), SBS

스페셜 제작팀(2011)의 연구를 참고하여 계획하였다. 주요덕목으로 배려의 시간, 감사의 시

간, 배움의 시간, 즐거움의 시간을 추출하여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유아

들 모두에게 교사의 주의와 관심이 골고루 안배 될 수 있도록 커다란 원형 2개로 책상 배치

를 다시 하고, 한 원형 책상에는 정교사가 다른 원형 책상에는 보조 교사가 번갈아 가며 앉아

서 활동하였으며, 교사의 옆자리에 앉는 유아도 골고루 안배 될 수 있도록 주의하였다. 밥상

머리교육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 관련요소는 표 3과 같다.

Page 8: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8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표 3> 밥상머리교육활동과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 관련요소

종 류 활 동 명 관련요소

배려의

시간

- 상대방에게 도움을 주는 배려하기

(식사준비과정)

- 어른 먼저 식사하기(윗어른 공경)

- 친구와 역할 나누기

- 눈높이를 함께하는 시간

- 식사 속도 조절하여 다른 사람 배려하기

- 식사예절 지켜 상대방의 기분 배려하기

- 동료수용 능력과 자기수용 능력

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기를 수

있다.

- 타인의도, 타인감정 조망수용능력

을 기를 수 있다.

감사의

시간

- 음식 재료에 대한 감사 마음 나누기

- 음식준비과정에 대한 감사 마음 나누기

- 식사시간에 대한 감사의 마음 가지기

- 음식이 우리 몸에 주는 영향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 가지기

- 인지적 능력과 자기수용능력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기를 수 있다.

- 타인사고, 타인감정 조망수용능력

을 기를 수 있다.

배움의

시간

- 손 씻기, 양치하기 모델링

- 식습관의 모델링

- 편식지도의 모델링

- 고운 말 사용 모델링

- 듣는 태도 모델링

- 신체적 능력과 자기수용능력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기를 수 있다.

- 타인의도, 타인사고 조망수용능력

을 기를 수 있다.

즐거움의

시간

- 즐거운 식사 시간에 대한 긍정의 시간 가지기

- 서로 함께 하는 시간에 대한 긍정의 시간 가

지기

- 친구와 선생님을 사랑하는 긍정의 시간 가지

- 동료수용력과 자기수용능력을 통

해 자아존중감을 기를 수 있다.

- 타인의도, 타인감정 조망수용능

력을 기를 수 있다.

2) 예비 연구

본 연구의 대상과 같은 거주지에 있는 J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남 12, 여 8)를 대상

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는 본 연구자가 예비실험에 참여한 유아 6명(남 3, 여

3)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검사와 조망수용능력 검사는 교사실에서 1명

씩 실시했고, 유아들이 검사 내용을 이해하여 무리 없이 활동하였으며, 검사 시간은 유아 1인

당 약 15-20분 정도 소요되었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의 소요시간, 방법 및 절차의 적절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예비실

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은 J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남 12, 여 8)을 대상으로 10월 15

Page 9: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89

구분 실험집단 통제집단

실시횟수 ․주 5회씩 6주 동안 총 30회 실시 ․주 5회씩 6주 동안 총 30회 실시

활동형태 ․밥상머리교육활동 ․일상적인 급식활동

활 도 ․밥상머리교육활동 준비하기(모두가 급식의 주 ․급식준비하기(개인별 급식 준비)

일~19일 사이에 3회 실시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해 교사와 유아들이 식사시간을 지루해하지

않고 즐겁게 경험하는 모습을 보여 진행상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3) 교사 훈련 및 검사자 훈련

두 집단 교사의 경력은 실험집단 3년차, 통제집단 2년차이며, 연령은 실험집단 교사 30세,

통제집단 교사 28세였다. 허용적인 아동관, 개인적인 성향도 비슷한 편으로 교사변인이 실험

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려하였다. 실험집단 활동은 담임교사가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

했는데,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잘 숙지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자가 훈련하였다.

본 연구자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검사자로 참여하였고, 연구 보조자로 5년 유치원 교사

경력의 연구보조자를 두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보조자와 함께 검사 도구와 검사방법과 검사

문항을 익히고 숙달될 수 있도록 연습을 실시하였고, 검사를 함께 진행했다. 자아존중감 .92,

조망수용능력 .90으로 관찰자간 일치도를 보였다.

4) 사전검사

사전검사는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함께 실시하였고, 2012년 10월 22일~11월 2일까지 총

10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와 조망수용능력 검사는 조용한 빈 교실 두 곳에

서 연구자와 연구보조자가 유아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는 오전 자유선택활동 시간과

오후 종일반 활동시간을 이용하였고, 검사에 소요된 시간은 개인당 15~20분 내외였다.

5) 실험처치

실험처치는 2012년 11월 5일~12월 14일까지 6주간 주 5회 총 30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은 본 연구에서 구성한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주 5회씩 매회 60분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시간에 일상적인 급식활동을 주 5회씩 매회 6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활동을 비교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활동 비교

Page 10: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9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체자로 함께 급식 준비)

- 교사와 함께 손 씻기(배움의 시간)

- 식탁 위에 음식 함께 차리기(배려의 시간)

- 친구랑 함께 수저, 젓가락 놓기(배려의 시간)

- 개인별로 손 씻기

- 각자 줄서서 식판에 먹을 수 있는

만큼 음식 담고 자기 자리로 이동

․밥상머리교육활동 ․식사하기

- 음식 메뉴 알아보고, 음식재료, 음식 준비과정

에 대한 감사의 마음 나누기(감사의 시간)

- 감사기도 함께하기(감사의 시간)

- 교사가 먼저 수저를 들고 식사하기(배움의 시

간)

- 대화 나누며 즐겁게 식사하기(즐거움의 시간)

-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기, 수저, 젓가락의 바

른 사용법, 음식 먹는 속도 등.(배움의 시간)

- 식사 예절 지켜 상대방의 기분 배려하기(배려

의 시간)

- 친구들의 식사 마무리하기까지 기다려주기(배

려의 시간)

- 못 먹는 음식이 있는 친구에게 음식 권유해 보

기(배움의 시간)

- 친구들과 이야기 나누며 식사하기

- 식사 약속 지켜 식사하기

(식사 중 이동하지 않기, 입 안에 음

식 넣고 이야기하지 않기, 음식 흘

리지 않기, 흘리지 않기, 음식 꼭꼭

씹어서 먹기, 음식 남기지 않기, 바

르게 앉아서 식사하기, 수저, 젓가

락 적절히 사용해서 식사하기)

․밥상머리교육활동 마무리 ․뒷정리하기

- 식사를 모두 마치면 식사한 그릇 함께 정리하

기(배려의 시간)

- 남은 음식들을 함께 정리하며, 오늘의 식사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감사의 마음 나누기(맛있

었던 음식, 조리방법, 전에 먹었던 음식, 색, 식

감)나누기(감사의 시간)

- 함께 양치하기(배움의 시간)

- 식사를 먼저 마친 친구들은 급식판

간식대에 스스로 정리하기

- 개인별로 양치하기

교사

역할

․유아가 즐겁게 밥상머리교육활동에 참여하도

록 돕는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의 정확한 취지를 알고 활동

하도록 한다.

․스스로 식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음식을 골고루 먹고 남기지 않도록

돕는다.

(1) 실험집단의 밥상머리교육활동

밥상머리교육활동 구성단계에서 유아교육학과 교수 1인, 유치원 교사 2인(경력 20년, 21

년), 유아교육학과 대학원생 3인(박사과정 중)이 함께 참여하였다. 밥상머리교육활동 관련 도

서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3번의 수정을 거쳐 유치원에 적절한 주

Page 1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91

밥상머리교육활동

활동명 상차리기

목 표

- 상차리기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통해 어머니 수용력과 신체적 능력 관련 자아존중감

을 기를 수 있다.

- 상차리기를 함께 하는 활동을 통해 서로 나누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타인의도,

타인감정 조망수용능력을 기를 수 있다.

도입

(10“)

▶ 손 씻기

- 교사와 함께 화장실에 가서 줄을 서서 손 씻기(배움의 시간)

- 물 사용법, 손 씻는 법 자연스럽게 모델링하기(배움의 시간)

- 손을 수건에 닦고 교실로 들어오기(배움의 시간)

전개

(40“)

▶ 상차리기

- 상을 행주로 닦은 후, 유아들은 선생님 것과 내 것, 친구들 것 수저, 젓가락을 놓기

(배려의 시간)

- 음식 옮기기: 뜨거운 국과 밥은 교사, 가볍고 옮길 수 있는 반찬은 유아들이 배식하

기(배려와 즐거움의 시간)

▶ 식사하기

- 음식재료가 식탁에 오기까지의 과정과 음식준비과정에 이야기해보고, 감사한 분들

에 대한 생각 이야기해보기(감사의 시간)

- 자리에 앉아서 감사 인사 나눈 후 교사가 먼저 식사를 시작하고 유아들도 식사하기

(감사와 배움의 시간)

- 즐겁게 식사하기: 하지 말아야하는 규칙을 가르치기보다는 즐겁게 식사하는 가운데

요덕목으로 4개의 덕목을 추출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집단의 밥상머리교육활동은 30회

로 구성하였고, 밥상머리교육활동의 특성상 회차별로 다른 활동들을 계획하기 보다는 매회

배려의 시간, 감사의 시간, 배움의 시간, 기쁨의 시간 등이 반복적으로 안배되도록 하였다. 함

께 식사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와 친구들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했고(배려의 시

간), 음식이 오기까지의 과정을 알고 수고하시는 분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고(감사의 시간), 대화와 생활 속의 다양한 모습들 속에서 모델링을 하고 이를 통해 자연

스럽게 배울 수 있게 하였고(배움의 시간), 즐겁게 함께 식사하는 기쁨을 가지는(기쁨의 시

간)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하였다. 전체 유아를 두 그룹으로

나눠서 한 그룹에서 교사가 점심식사를 유아들과 함께 하며, 다른 그룹에서는 보조 교사가

같이 식사를 하고, 다음날에는 번갈아 가며 교사가 함께 책상에 앉아 활동하였다. 실험집단

활동계획안의 예는 표 5와 같다.

<표 5> 실험집단 활동계획안의 예

Page 12: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9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익혀 갈 수 있도록 하기(즐거움의 시간)

- 음식 맛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조리사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해 보기(감사의 시간)

- 이야기가 할 때 입을 가리고 이야기하고, 음식을 소리 내지 않고 먹는 등 교사와 친

구 모델링 통해 자연스럽게 밥상머리교육활동이 되도록 하기(배려와 배움의 시간)

(10“)

▶ 정리하기

- 다른 친구들이 다 먹을 때까지 앉아서 기다려주기(배려의 시간)

- 식탁 함께 정리하기, 상 닦기(배려와 배움의 시간)

▶ 양치하기

- 함께 화장실에 가서 양치하기

- 치약 서로 덜어 주고, 나누면서 사용하기, 양치하는 방법 자연스럽게 모델링하며 즐

겁게 양치하기(배려와 배움과 기쁨의 시간)

▶ 회상하기

- 함께 상을 차리고 준비한 것에 대해 느낌을 이야기해 보고, 앉아서 휴식하며 음악

듣기(즐거움의 시간)

(2) 통제집단의 일상적 급식활동

일상적 급식활동은 유아교육기관 대부분에서 실시하고 있는 급식형태로 도우미인 유아가

상을 닦고, 유아들은 손을 씻고 교실로 들어와서 교사가 나눠주는 음식을 식판에 담고 자신

의 수저와 젓가락을 가져가서 자리에 앉아서 급식을 먹었다. 통제집단의 교사는 이야기하지

않기, 음식을 흘리지 않고 먹기, 입에 음식 넣고 이야기하지 않기, 골고루 음식 먹기 등 을 지

도하였다.

6) 사후검사

사후검사는 실험처치가 끝난 후 2012년 12월 17일~27일까지 실시하였다. 유아의 자아존

중감 검사와 조망수용능력 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아 모두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

으로 실시하였다.

4. 자료 분석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Page 13: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93

자아존중감 변량원 SS df MS F

인지적능력

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잔차

6.84527.99262.915

1147

6.84527.9921.339

5.114*

20.911***

전체 100.180 49

동료수용

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잔차

42.46823.854101.692

1147

42.46823.8542.164

19.628***

11.025**

전체 163.380 49

신체적 능력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

43.95017.361

11

43.95017.361

16.598***

6.556*

Ⅲ. 결과 및 해석

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

사와 사후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표 6, 표 7과 같다.

<표 6> 자아존중감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

자아존중감 집단 N사전

M(SD)

사후

M(SD)

인지적 능력실험

통제

25

25

20.04(3.15)

19.60(2.44)

22.20(1.44)

20.64( .90)

동료수용실험

통제

25

25

17.84(3.09)

18.24(1.94)

20.44(2.18)

19.20(1.11)

신체적 능력실험

통제

25

25

18.80(2.72)

18.04(3.06)

21.16(2.05)

19.72(1.67)

어머니 수용실험

통제

25

25

16.80(2.92)

17.84(2.86)

19.28(2.76)

19.08(1.99)

자기수용실험

통제

25

25

19.32(3.06)

18.68(3.49)

21.88(1.87)

19.40(1.77)

전체실험

통제

25

25

92.80(11.92)

92.68(10.55)

104.96(7.73)

98.60(4.56)

<표 7> 자아존중감에 대한 공변량 분석결과

Page 14: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9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잔차 124.450 47 2.648

전체 194.320 49

어머니 수용

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잔차

175.0479.475103.833

1147

175.0479.4752.209

79.235***

4.289*

전체 279.380 49

자기수용

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잔차

91.72460.50568.916

1147

91.72460.5051.466

62.555***

41.264***

전체 237.520 49

전체

공변인(사전검사)주효과(집단)잔차

841.524498.5341095.436

1147

841.524498.53423.307

36.106***

21.390***

전체 2442.580 49

*p<.05, **p<.01, ***p<.00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사전검사

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조정된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오차는 표 6과

같다. 집단에 따른 점수 변화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

한 자아존중감에 대한 공변량 분석결과는 표 7과 같다. 자아존중감에 대한 두 집단 간에 통

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21.390, p< .001).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인지적 능력(F=20.911, p< .001), 동료수용(F=11.025, p< .01), 신체적 능력(F=6.556, p<

.05), 어머니수용(F=4.289, p< .05), 자기수용(F=41.264,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일상적인 급식활

동을 한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전체 및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수용,

자기수용이 더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와 사후검사 점수를 분석하여 제시하면 표 8, 표 9와 같다.

Page 15: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95

<표 8>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집단별 기술통계

조망수용능력 집단 N 사전 M(SD)

인지

조망수용

타인의도

조망수용

실험

통제

25

25

4.00(1.29)

3.68(1.62)

타인사고

조망수용

실험

통제

25

25

3.88(1.53)

3.88(1.85)

감정

조망수용

타인감정

조망수용

실험

통제

25

25

4.76(1.89)

4.44(1.68)

전체실험

통제

25

25

12.64(4.10)

12.00(4.75)

<표 9>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공변량 분석결과

조망수용능력 변량원 SS df MS F

인지

조망

수용

타인의도

조망수용

공변인(사전검사)

주효과(집단)

잔차

62.492

6.247

70.068

1

1

47

62.492

6.247

1.491

41.918***

4.190*

전체 144.080 49

타인사고

조망수용

공변인(사전검사)

주효과(집단)

잔차

49.939

5.120

66.941

1

1

47

49.939

5.120

1.424

35.063***

3.595

전체 122.000 49

감정

조망

수용

타인감정

조망수용

공변인(사전검사)

주효과(집단)

잔차

77.525

20.742

59.675

1

1

47

77.525

20.742

1.270

61.058***

16.336***

전체 166.080 49

전체

공변인(사전검사)

주효과(집단)

잔차

534.032

86.591

384.208

1

1

47

534.032

86.591

8.175

65.328***

10.593*

전체 1039.920 49

*p<.05, **p<.01, ***p<.00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사전검

사와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조정된 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오차는 표 8과 같

다. 공변량 분석결과는 표 9와 같다. 조망수용능력에 대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0.593, p< .05).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타인의도조망수

Page 16: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9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용능력(F=4.190, p< .05),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F=16.336,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F=3.595, p> .05)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일상

적인 급식활동을 한 통제집단보다 조망수용능력 전체 및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

망수용능력이 더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일상적인 급, 간식을 실시한 통제집

단 유아들보다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경민, 강정원(2011)은 유

아들의 주도성 증진을 위해서는 또래들과의 다양한 런치버디활동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Tuft(2001)는 런치버디를 통해 버디끼리 식사를 같이 하고 식사 후 게임 등의 놀이를 함께

하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식습관 형성뿐 아니라 자신감과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주장하고 있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은 배려와 그 속에서 배움을 실천할 수 있는 런치버

디와 유사함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상대방에게 도움을 주고받으며,

친구와 역할을 나누고, 음식을 나누고 정리하는 활동과 편식하는 친구들에게 음식을 권하고,

식사 속도가 느린 친구들을 격려하며 돕는 배려의 밥상머리교육활동을 경험하게 되었다. 박

찬옥, 황지영(2012)은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

음을, 그리고 정정여(2010)는 서로를 배려하는 올바른 기본생활습관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

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를 주장하고 있다. 이는 배려를 통하여 자기인식을

하게 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인 자아존중감이 향상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유아와 유아, 유아와 교사 간의 수평적 관계를 지향

하며, 즐거움과 배움이 공존하는 시간으로서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유아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아존중감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인지적 능력’, ‘동료수용’, ‘신체적 능력’, ‘어머니

수용’, ‘자기수용’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였다.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 유아들은 또래와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다른 생각을 발견할 수 있어서

Page 17: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97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는 정진경(2012)의 연구와 같이 대화를 통해서 다양한 인지적 지식

을 알아가고 이를 통해 ‘인지적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밥상머리교육활동 시간

은 과제를 해내는 경쟁의 시간이 아니므로 또래 친구들과 교사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즐

거운 시간이었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동료수용’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자신

에 대한 가치와 존재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나는 어떤 일이나 할 수 있는 사람

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어서 ‘신체적 능력’과 ‘자기수용’ 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현미, 신동주(2012)는 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인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했는데,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통한 또래와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증진을 통해 ‘어머니 수용’

에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식습관 지도는 기본생활습관 지도에 국한되

기보다 교육적 운영이 필요함을, 그 방법으로는 가정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생활지도를 통해

자연스럽게 행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2b; 배소연, 정미라, 1996; 정경

아, 2012; 정미선, 김남희, 2011; 채영숙, 임재택, 2006). 즐거운 분위기에서 적절한 지도를 받

으며 부모와 함께 식사를 하는 유아들의 경우 식생활이 질적으로 개선(Stanek, Abbot &

Cramer, 1990)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 결과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가정과의 연계교육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상적인 급, 간식을 실시한 통제

집단 유아들보다 조망수용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식사를 하며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며, 감사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는 활동을 경험

하게 되었다. 즐거운 마음으로 친구들과 역할을 나눠서 식사를 준비하고 음식을 나누는 활동

을 통해 내가 먹을 음식만을 챙기는 개별 급식 보다는 다른 사람의 입장을 배려하는 활동이

많았다. 즉, 개별 급식을 실시한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감사와 배려의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했고, 이를 통해 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던 것으

로 보인다.

함께 식사를 하고 정리하는 경험을 이경애, 김봉생, 강희자(2007)는 초등학교 급식이 학급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킨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교사와 유아들이 함께 밥상머리교육활동을 경

험하게 됨으로써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했다고 볼 수 있다. 유아들은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안정적 애착을 증가시킬 수 있었는데, 양애경(2006)은 교사

와 유아의 안정적인 애착을 통해 사회정서 발달이 이루어짐을 주장하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

면, 실험집단 유아들은 개인별 급식이 아닌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으로 정서

적 안정을 느끼고, 또래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의미 있는 식사 시간(강경희, 이대균,

2011)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나 아닌 타인에 대한 관심이

Page 18: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9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늘어나게 되고, 상대방의 감정과 사고를 읽는 능력인 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홍순열, 전수열(2007)은 친구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향상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타인의 사고나 느낌을 이해하게 된다고 했는데, 이러한 밥상

머리교육활동을 경험한 유아들은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일회적 영양교육을 통한 감사가 아니

라, 서로의 경험을 진솔하게 나누는 가운데 생겨나는 감사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실험집단 유아들의 조망수용능력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조망수용능력을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

력’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큰소리로 이야기하지 않기, 입안에 음식 넣고 이야기하지

않기,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들고 식사를 하면 따라하는 등의 배려와 배움의 밥상머리교육활동

은 다른 사람이 어떻게 느낄지, 피해를 주지 않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하는 ‘타인의도조망수

용능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덕희(2010)는 교사에 대한 친밀감, 의존

성, 또래와의 주도성, 사교성과 유아의 ‘타인의도조망수용능력’간의 정적 상관을 주장했는데,

이는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유아는 교사와 또래들과 긍정적 애착을 형성하

는 즐거운 밥상머리교육활동을 통해 타인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다

른 사람의 입장과 마음을 이해하는 능력인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된

다.

반면,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

단 유아의 사후검사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통제집단보다 점수가 더 높기는 하지만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다. 한미라, 임재택(2005)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급식은 아이의 올

바른 식습관 형성과 부모, 가족들의 식생활 개선에도 이바지해 중요하며, 정미선, 김남희

(2011)는 이야기나누기 위주의 소극적인 교육활동보다는 유아들이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보다 다양하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유아들의 ‘타인

사고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의 유의미한 효과 도출을 위해서는 보다 지속적인 밥상머리교육

활동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함께, 밥상머리교육활동의 효율성을 강조

하는 결과로서 현장의 유아교사들에게 밥상머리교육활동에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밥상머리교육활동은 유아교육현장의 급식지도 방법의 하나

의 대안으로 긍정적으로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를 현장에 적용하

고 후속 연구를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Page 19: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99

첫째,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유아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

의 유아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연령에 적합한 밥상머리

교육활동을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연계된 밥

상머리교육활동을 실시하지 않았으나, 후속연구에서는 가정과 연계된 밥상머리교육활동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유아들에게 내면화될 수 있는 지속적인 밥상머리교육활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현대 유아들은 다양한 가족구성 형태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밥상머리교육활동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편부모 가정이

나 조부모 가정, 다문화 가정 등에서는 사회, 문화적 배경의 다양성을 고려한 밥상머리교육활

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age 20: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10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참고문헌

강경희, 이대균(2011). 어린이집 만 1세~3세 영유아의 점심시간 경험의 특성. 어린이미디어

연구, 10(1), 141-164.

교육과학기술부(2012a). 밥상머리교육-리플릿.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12b). 밥상머리교육 워크북.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2012c). 밥상머리교육-학부모용 길라잡이.

광양제철남초등학교(2012). 밥상머리교육 이렇게 합시다(가정통신문).

김성숙(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열린유아교육연

구, 16(5), 473-493.

김영숙(1998).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 주는 가정환경의 제변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김은화(2012).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김인회(2004). 밥상머리 교육부터 다시 하자. 서울: 집문당.

김종일, 이기영(2010). 밥상머리에서 배워요. 서울: 밥상머리교육.

박찬옥, 황지영(2012). 그림책을 활용한 배려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문제연구, 30(4), 221-244.

배소연, 정미라(1996), 유치원의 간식 및 점심급식시간의 교육적 운영. 아동학회지, 17(1),

117-135.

신현옥(1996). 자신과 타인이해 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애경(2006). 부모의 맞벌이 유무와 유아-부모, 유아-교사 애착안정성간의 관계. 아동교육,

15(4), 197-212.

이경민, 강정원(2011). 런치버디 프로그램이 유아의 식습관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유

아교육학논집, 15(6), 275-294.

이경애, 김봉생, 강희자(2007). 학교급식을 통한 학급공동체 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

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 165-189.

이기영(2007).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선례(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급식지도 실태와 이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어린이교육,

Page 21: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101

(10), 297-317.

이영희(2011). 유대인의 밥상머리 자녀교육. 서울: 규장.

정경아(2012).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식습관과 교사의 식생활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춘천지역 일부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18(3), 266-285.

정덕희(2010).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교사 및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239-257.

정미선, 김남희(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양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생태유아교육연구,

10(2), 131-154.

정신애(2010). 급식을 어려워하는 유아의 식사행동과 교사의 지도 이야기. 경남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정여(2010). 유아의 기본생활습관형성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진경(2012). 자기표현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윤나, 최윤이(2010). 유아의 식습관과 자기조절력의 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1, 217-233.

채영숙, 임재택(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태적 식생활 프로그램 운영 및 효과연구. 생태

유아교육연구, 5(1), 105-148.

최현미, 신동주(2012). 유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 변인에 대한 연구. 유

아교육연구, 32(1), 133-158.

하정연, 임재택(2006). 유아를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15-240.

한미라, 임재택(2005). 유기농급식이 아이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및 식생활에 미치는 영

향. 생태유아교육연구, 4(1), 193-212.

한진원(2011).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홍순옥, 전수열(2007). 인성교육 프로젝트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3(16), 19-41.

EBS 아이밥상 제작팀(2011). 아이의 식생활. 서울: 지식채널.

SBS 스페셜 제작팀(2011). 밥상머리의 작은 기적. 서울: 리더스북.

Berk, L. E. (2006). Child Development. 8th. Boston: Allyn and Bacon.

Page 22: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10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Cotugna, N., & Vickery, C.(2007). Educ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nutrition: A

collaborative venture. Childhood Education, 83(4), 194-198.

Francis, L. A., & Birch, L. L.(2006). Does eating during television viewing affect preschool

children’s intake?. Journal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106(4),

598-600.

Stanek, K., Abbot, D., & Cramer, S.(1990). Diet quality and the eating environment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0(11), 1582-1584.

Tuft, J.(2001). Turn loners into lunch buddies. The Education Digest, 67(3), 28-29.

Page 23: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 · 2014. 8. 26. ·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밥상머리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103

Abstract

The effect of table manners education on the self-esteem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Mi-Sook Choi ・ Sun-Me Choe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table manners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of young children. The sample comprises 50 five-year-old

children in two kindergarten clas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classes

exhibited improvements in self-esteem and its sub-factors, which included cognitive and

physical abilities and acceptance of their peers, mother's and selves. These children also

demonstrated improved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whose sub-factors included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ies.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establishment of

table manners education programs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will increase

self-esteem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of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