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46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경부 자가 운동이 경부 통증, 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Upload: others

Post on 10-Oct-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경부 자가

운동이 경부 통증, 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Page 2: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경부 자가

운동이 경부 통증, 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효과

지도 권 오 윤 교수

이 논문을 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0년 12월 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Page 3: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곽현숙의 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심사위원 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2010년 12월 일

Page 4: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감사의 글

대학원에 들어와서 공부하게 된 인간공학치료학은 저에게 매우 흥미 있는 학문

이었고, 공부하는 동안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이렇게 좋았던 기억을 뒤로한 채

그 동안 저에게 도움을 주셨던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논문을 끝

까지 마칠 수 있도록 부족한 제자를 위하여 끝까지 세심하게 지도해주시고, 논문

작성에 있어서 항상 논리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일깨워주신

권오윤 교수님, 늘 넉넉한 웃음으로 격려해 주신 이충휘 교수님, 논문을 진행 하

는 동안 세세한 부분까지 알려주신 신헌석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

합니다. 세분 교수님의 도움이 없었다면 저도 이 자리에 없었을 것입니다. 세분의

가르침에 부끄럽지 않은 제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논문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고, 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장애인들의 일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실험에 참여해 주신 장애인 근로자들께 감사를 전하며, 실험을 하는데 도움을 주

신 이봉환 선생님께 감사 드립니다.

또한 나에게 늘 멋있고 자랑스러운 친구라며 힘내라고 응원해준 나의 오랜 친

구들과 전 직장 동료들에게 진심으로 고마운 마음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적지 않은 나이에 대학원에 들어가 공부하는 모습을 자랑스럽게 생

각해주신 나의 가족에게 너무나 감사함을 전합니다. 언제나 나의 편이 되어주어

정말 큰 힘이 될 수 있었습니다. 포기하고 싶은 순간마다 나에게 할 수 있다는 용

기를 주었던 언니에게 가장 고마움을 전하고 싶습니다.

2010년 12월

곽 현 숙 드림

Page 5: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i -

차 례

그림 차례 ··············································································· ⅲ

표 차례 ················································································· ⅵ

국문요약 ················································································ ⅴ

제1장 서론 ·············································································· 1

제2장 연구 방법 ········································································ 5

2.1 연구 대상자 ······································································ 5

2.2 실험 기기 및 도구 ······························································ 6

2.2.1 경부 심부 굴곡근(deep flexor)의 근력과 지구력 ························ 6

2.2.2 경부 축회전(axial rotation) 가동범위 ··································· 6

2.2.3 시각 상사 척도(visual analog scale)···································· 7

2.2.4 경부기능장애지수 ··························································· 7

2.3 측정 방법 ········································································ 8

2.3.1 경부 심부 굴곡근(deep flexor)의 근력과 지구력 ······················ 8

2.3.2 경부 축회전(axial rotation) 가동범위 ··································· 8

2.4 실험 방법 ······································································· 10

2.4.1 실험설계 ···································································· 10

2.4.2 경부 운동 프로그램 ······················································· 10

2.5 통계 방법 ······································································· 13

제3장 결과 ············································································· 14

Page 6: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ii -

3.1 운동 전과 후의 경부 심부 굴곡근 근력 및 지구력 비교 ·················· 14

3.1.1 경부 심부 굴곡근의 최대근력 비교 ····································· 14

3.1.2 최대근력 유지시간 비교 ·················································· 14

3.1.3 최대근력 50% 유지시간 비교 ··········································· 15

3.2 운동 전과 후의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비교 ································ 16

3.3 운동 전과 후의 통증 비교 ···················································· 17

3.4 운동 전과 후의 경부기능장애지수 비교 ····································· 18

제4장 고찰 ············································································· 19

제5장 결론 ············································································· 23

참고문헌 ················································································ 24

부록 1 ·················································································· 32

영문요약 ················································································ 35

Page 7: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iii -

그림 차례

그림 1. 바이오 피드백 압력계 ························································ 6

Page 8: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iv -

표 차례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

표 2. 경부 운동 프로그램 ···························································· 11

표 3. 최대근력 비교··································································· 14

표 4. 최대근력 유지시간 비교 ······················································· 14

표 5. 최대근력 50% 유지시간 비교 ················································ 15

표 6.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비교 ··················································· 16

표 7. 통증 비교 ········································································ 17

표 8. 경부기능장애지수 비교 ························································ 18

Page 9: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v -

국문요약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경부 자가 운동이 경부 통증, 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경부 자가 운동이 장애인 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인에게

경부 통증, 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릉시에 있는 장애인 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11명을 대상으

로 실시하였으며,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과 지구력,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통증

정도, 경부기능장애지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하루 2회, 주 5회, 1회 10분 동안 8주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

였고, 운동 전과 종료 후 측정값을 짝 비교 t-검정(paired t-test)으로 분석하였

다. 통증은 5.72점에서 2.36점으로, 경부기능장애지수는 27.36점에서 17.63점으

로, 압력 바이오피드백 도구(pressure biofeedback unit)를 이용하여 측정한 최대

근력은 14.90 mmHg에서 18.55 mmHg로, 최대근력 유지시간은 23.17초에서

29.33초로, 최대근력 50% 유지시간은 63.45초에서 85.20초로 호전되었다

(p<0.05). 네발기기 자세(quadruped position)에서 측정한 좌측 경부 축회전은

55.63°에서 62.15°로, 앉은 자세에서 측정한 우측 경부 축회전은 41.83°에서

63.57°로, 좌측 경부 축회전은 32.19°에서 60.4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네발기기 자세에서 경부 우측 축회전은 운동 전후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경부 통증이 있는 지체 장애인 근로자에게 경부 자가 운동

Page 10: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vi -

이 통증 감소 및 근력과 지구력 향상, 가동범위 증가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핵심 되는 말: 경부 통증, 경부 심부 굴곡근, 경부 자가 운동, 지체장애인

Page 11: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 -

제1장 서론

만성 경부 통증은 현대 산업 사회에서 일하는 인구에서는 흔한 근골격계 질환

이다(Ylinen et al. 2004). 경부 통증을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은 비정상적인 자세

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이다. 이러한 과도한 스트레스는 장시간 잘못된 자세로 있

을 때나 긴장된 자세에서 작업을 할 때 나타난다. 자세 불량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조직에 장시간 가해졌을 때 약한 정도의 긴장이기는 하지만 조직이 과도하게 늘

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신장은 경부에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몸 전체가 영향을 받

을 수 있다(McKenzie. 1992). 과도하게 반복되는 작업, 불안정한 자세로의 습관

화, 고정된 자세 등으로 근육의 경직화와 만성적 운동부족으로 인해 10명 중 8명

은 일생 동안 한번 이상의 근골격계 질환을 겪고 있고, 인구 증 67%가 일생 동안

경부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Cote et al. 1998). 경부 통증이 만성화되면 삶의 질

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Wang et al. 2003).

경추의 손상은 접촉, 과도한 사용, 비틀림, 압박, 비정상적인 힘의 전달, 그리고

비정상적인 정렬이 원인으로 인체의 정렬은 일상생활에서 인체의 움직임과 위치

에 따른 자세 변화와 아주 밀접하다. 경부 주위의 통증과 기능장애는 경부 근육이

머리를 지지해야 하므로, 경부 근력 약화나 지속적인 근수축으로 인한 피로의 결

과로 발생될 수 있다(Berg et al. 1994).

경부 통증의 치료는 원인적인 요인을 통제하기 보다는 통증과 같이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Taimela et al. 2000). 전통적으로 경부 통증

의 치료를 위하여 열치료, 견인치료, 운동치료, 도수 치료, 그리고 관절 가동

화 치료가 시행되어져 왔다(Posner & Glew. 2002). 경부 통증 환자들에게

Page 12: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 -

운동치료는 신체적인 증상을 조절하는데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료에 대

한 환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하여 심리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Saring-Bahat. 2003).

표면근전도를 통한 분석에서 경부 통증이 있는 사람들이 경부통증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 경부 굴곡근의 근력과 지구력이 유의하게 약화되어 있었다

(Jull. 2000). 경부의 기능장애가 있을 경우 근육들 간에 불균형이 발생되며,

경부 근육들의 근력을 서로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굴곡근의 근력이 약하고

(Silverman et al. 1991: Vernon et al. 1992), 경부 통증 환자들의 경우 경

부 굴곡근 부위의 피로가 더 심하게 발생한다(Falla et al. 2003).

경부 심부 굴곡근은 경추의 자세 조절과 안정성 유지에 기여하기 때문에

경부 통증 관리에서 중요하다(Boyd-Clark LC et al. 2002; O’Leary et al.

2007). 경부 심부 굴곡근의 훈련은 경부의 증상을 감소하고, 두경부 굴곡 시

에 심부 굴곡근의 활성화가 증가하여 경추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Falla et al. 2007). 특히 두개 경부 굴곡의 낮은 부하운동은 경부 통증의 완

화에 효과적이고, 경부 표면 굴곡근보다 심부 근육에 초점을 맞춘 운동이다

(Falla et al. 2006). 선행된 연구에서 만성 경부 통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경

부 심부근 운동을 시행한 결과 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통증 감소와

기능 증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다(Chiu. 2005). 만성 경부 통

증을 가진 여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능동 근육 강화 운동과 지구력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통증감소와 장애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Anderson et al.

2008; Yilnen et al. 2003). 경부 심부 굴곡근의 훈련은 경부 통증이 있는 사람들

의 증상을 경감시키고, 증가된 경부 심부 굴곡근의 활성도는 경추의 기립자세를

Page 13: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 -

유지하는 능력을 개선시킬 수 있다(Jull et al. 2004).

경부와 어깨 부위의 통증은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으로 가장 흔하다

(Ahlgren et al. 2001). 직업관련 근골격계 경부 질환은 허리와 어깨보다는

적지만 팔, 팔꿈치나 손, 손목 부위보다는 빈번히 발생하는 흔한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이다(Heuvel et al. 2006). 작업관련성 경부 통증에는 다양한

직업적 요인이 작용한다. 이들 직업적 위험 요인에는 목의 굴곡(flexion)과

신전(extension), 비틀림(twisting)과 굽힘(bending), 정적 부하, 진동

(vibration), 반복 작업이나 앉아서 작업하는 시간 등이 포함된다(Ariens et

al. 2000). 정적이거나 매우 반복적으로 근육에 부하(load)가 걸리는 일과 관련

이 있는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 경부와 어깨 주변의 통증으로 인해 많은 문제들

을 발생한다(Hagberg & Wegman. 1987).

지체 장애인은 장애 특성으로 인하여 일반인 보다 직장 생활에서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으며 부자연스러운 작업 자세로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

요소에 더 노출된다(Jung et al. 2003). 지체장애인은 신체적 불균형으로 인

한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고, 이러한 통증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나타나는 매

우 흔한 증상이며, 이로 인하여 신체적 활동 시 제한이 따르는 경우가 많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김태희. 2006). 지체장애인에게 재활 운동은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동작을 증진시킨다. 성인장애인 22명을

대상으로 8주간 주관절과 슬관절을 강화시키는 재활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근력과 유연성에 유의한 차이가 보였고,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Lee.

2006).

대부분의 장애인들은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적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Page 14: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4 -

일상생활뿐 아니라 작업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제한된 신체기능을

지닌 장애인들의 장기간에 걸쳐 일을 하게 될 경우 근육과 관절의 부적절한

사용 또는 무리한 사용으로 통증이 유발되며, 고정된 자세로 지속해서 일할

경우에는 단축이나 구축 등의 자세 결함 문제도 일어날 수 있다(김미현 등.

2006). 장애인 근로자는 비장애인 근로자보다 근력, 근지구력, 상지기능, 관

절가동범위, 유연성이 낮아 직무 관련 신체 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Minor et al. 1995). 하지만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부 자가 운동의 효

과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장애인 근로자에게 경부 자

가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경부 통증, 근력, 가동범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age 15: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5 -

제2장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자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고 있고 경부와 어깨에 통증이 있는

지체장애인에게 연구 목적과 방법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자발적으로 본 실험에 참

여를 동의한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장애인 보호작업장

2곳이었으며, 감자떡을 만드는 작업을 하는 곳과 명태를 펴서 명태포로 만드는 작

업을 하는 곳이다. 지체장애인이 아닌 장애인,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상지 사용이

어려운 경우 스스로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인의 경우에는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연

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1)

나이(세) 키(cm) 몸무게(kg)

56.5±3.2a 157.6±2.2 58.2±4.0 a

평균±표준편차

Page 16: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6 -

2.2 실험 기기 및 도구

2.2.1 경부 심부 굴곡근(deep flexor)의 근력과 지구력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과 지구력은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그림 1)를 사용

하여 평가 하였다(Jull, 1994).

2.2.2 경부 축회전(axial rotation) 가동범위

경부 회전 가동 범위는 네발기기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머리 중간

에 흰색의 테이프를 부착한 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최대로 축회전 했

을 때의 자세를 촬영한 후 이차원 영상분석 시스템(SIMI°Twinner pro)을 사용하

여 축회전 각도를 측정하였다(Yoo et al. 2009). 중립자세에서 시작하여 좌, 우

방향으로 대상자가 최대한 축회전을 할 수 있을 때까지의 각도를 측정하였다.

그림 1.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pressure biofeedback unit)

Page 17: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7 -

2.2.3 시각 상사 척도(visual analog scale)

10점 수준의 시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을 사용하여 운동 전과

후의 통증의 정도를 평가하였다(Bijur et al. 2001). 통증 정도는 운동 전과 후에

평가하였으며 0(통증 없음)부터 10(최대 통증)까지 표시된 도표에 통증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2.2.4 경부기능장애지수

경부기능장애지수는 경부 통증 환자에 대하여 장애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통증 강도, 개인적 관리, 들기, 책 읽기, 두통, 집중력, 일하기, 운전하기, 수면,

여가활동의 1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의 수행 정도에 따라 통증이

없는 상태를 1점에서 통증으로 인한 최악의 상태를 5점까지 부여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장애가 심한 것이고, 낮을수록 기능장애가 적은 것을 의미한다

(Ackelma et al. 2002).

Page 18: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8 -

2. 3 측정 방법

2.3.1 경부 심부 굴곡근(deep flexor)의 근력과 지구력

경부 심부 굴곡근 최대 근력 측정은 측정 시 대상자는 바로 누운 자세에서 요

추 전만 굴곡을 없애기 위해 양하지의 고관절과 슬관절을 굴곡시킨 상태를 유지

하도록 하였다. 머리를 중립으로 유지하고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를 경부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후두하 공간에서 약 20 mmHg로 압력이 높아질 때까지 팽창시켰

다. 두경부 굴곡 동작은 턱을 당기면서 경부 아래에 위치한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

구를 최대로 눌러 최대 수축력을 압력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표면 근육

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하고 실시하였다. 2분 휴식 후 최대 수축력의 유지시간을

초시계로 측정하였다. 다시 2분 휴식 후 최대 수축력의 50%의 유지시간을 초시

계로 측정하였다. 최대 수축력과 최대 수축력 유지시간, 최대수축력 50%의 유지

시간을 총 3회 측정하였고 평균을 측정값으로 이용하였다.

2.3.2 경부 축회전(axial rotation) 가동범위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측정은 앉은 자세와 네발기기 자세에서 측정하였다. 앉

은 자세에서 측정을 할 때에는 의자 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하였다. 측정 시

기준이 되는 중립 자세는 긴장을 풀고 편안하게 앉은 자세를 유지하며, 의자에 기

대지 않도록 하였다. 경부를 중립자세에서 우측과 좌측으로 통증이 없을 때까지

대상자가 최대로 경추를 축회전하도록 하였고, 마지막 운동 범위에서 카메라로 촬

Page 19: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9 -

영하였다. 네발기기 자세에서 측정을 할 때에는 대상자 전면에 카메라를 고정하여

촬영하였다. 측정된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이차원 영상분석 시스템에서 축회전 각

도를 측정하였다.

Page 20: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0 -

2.4 실험 방법

2.4.1 실험설계

연구 대상자들에게는 경부 운동을 주 5회, 일 2회 물리치료사와 함께 실시하였

다. 8주간 경부 운동을 실시한 후 사후 검사를 하여 변화 유무를 확인하였다.

2.4.2 경부 운동 프로그램

8가지의 경부 자가 운동을 연구자가 대상자들이 운동이 익숙해질 때까지 교육

을 실시하였다. 8가지 운동을 완전히 수행하였을 때를 1세트라고 하고, 총 2세트

를 수행하였다. 세트 당 5분의 휴식시간을 주었으며 속도는 천천히 하였다(표 2).

Page 21: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1 -

표 2. 경부 운동 프로그램

자세 운동 방법

바로 누운

자세(supine

position)

경부 심부 굴곡

운동

(neck deep flexor

exercise)

바로 누운 자세에서 목 밑에 수건을 받치고,

목과 머리를 일직선 상에 두고 턱을 아래로

당긴다. 10 초간 유지한다.

견관절 외전과 굴

(shoulder

abduction and

flexion)

바닥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팔꿈치를 90도

굴곡시켜 바닥에 붙이고 어깨 관절을 외전한

다. 어깨 관절의 외회전을 유지하면서 굴곡한

다. 마지막 범위에서 10초간 유지한다.

엎드려 누운

자세(prone

position)

중부, 하부 승모근,

능형근 근력증진

운동

베개에 엎드린 자세에서 팔이 몸통에 대하여

Y, L, T 자가 되도록 들어 올려 각 자세의

마지막 범위에서 10 초간 유지한다.

네발기기

자세

(quadruped

position)

경부 축 회전

(neck axial

rotation)

네발기기 자세에서 목과 머리를 일직선상에

둔 상태에서 고개를 좌우로 천천히 축회전한

다. 각 운동 방향 끝에서 10초간 유지한다.

네발기기 자세에서 골반과 상체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목과 머리를 일직선상에 둔 상태에

서 고개를 좌우로 천천히 축회전한다. 각 운

동 방향 끝에서 10초간 유지한다.

앉은 자세

(sitting

position)

경부 심부 굴곡

운동

(neck deep flexor

exercise)

벽에 기대어 앉아 목과 머리를 일직선 상에

두고 턱을 벽쪽으로 당긴다. 이 때

표면근육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

범위에서 10 초간 유지한다.

경부 축 회전

(neck axial

앉은 자세에서 목과 머리를 일직선 상에 두고

좌우로 천천히 축회전한다. 각 운동 방향 끝

Page 22: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2 -

rotation) 에서 10초간 유지한다

선 자세

(standing

position)

벽에 서서

팔 들어 올리기

(arm up at wall)

벽에 기대어 서서 팔꿈치를 굴곡 시킨 상태에

서 어깨 관절을 외전한다. 팔과 허리가 벽에

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마지막 범위에

서 10초간 유지한다.

벽에 서서

팔을 든 상태에서

경부 축회전

벽에 기대어 서서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린 후

고개를 천천히 좌우로 축회전 시킨다. 이때

허리는 벽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한다. 각

운동 방향 끝에서 10초간 유지한다.

Page 23: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3 -

2.5 통계 방법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경부 안정화 운동이고, 종속 변수는 경부 심부 굴곡근 근

력 및 지구력,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시각 상사 척도, 경부장애지수이다. 각 측정

은 운동 전과 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짝 비교 t-검정(paired t-

test)을 이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a=0.05로 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한 상용 통계프로그램인 윈도우용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Page 24: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4 -

제3장 결과

3.1 운동 전과 후의 경부 심부 굴곡근 근력 및 지구력 비교

3.1.1 경부 심부 굴곡근의 최대근력 비교

경부 운동을 실시하기 전에 근력은 14.90 mmHg이었고, 운동 후에는 18.55

mmHg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표 3).

표 3. 최대근력 비교 (단위: mmHg)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최대근력 14.90±5.39 a 18.55±6.39 8.39 0.00 a

평균±표준편차

3.1.2 최대근력 유지시간 비교

최대근력 유지시간은 운동 전에 23.17초이었고, 운동 후에는 29.33초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표 4).

표 4. 최대근력 유지시간 비교 (단위: sec)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시간 23.17±11.74 a 29.33±12.11 5.15 0.00 a

평균±표준편차

Page 25: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5 -

3.1.3 최대근력 50% 유지시간 비교

최대근력 50% 유지시간은 운동 전에 63.45초이었고, 운동 후에는 85.20초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표 5).

표 5. 최대근력 50% 유지시간 비교 (단위: sec)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시간 63.45±20.44 a 85.20±27.14 3.74 0.00 a

평균±표준편차

Page 26: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6 -

3.2 운동 전과 후의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비교

경부 회전 가동 범위는 자세와 회전 방향에 따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네발기

기 자세에서 경부 우측 회전은 운동 전에 54.01°이었고, 운동 후에도 60.22°로 운

동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네발

기기 자세에서 경부 좌측 회전은 운동 전에 55.63°이었고, 운동 후에는 62.15°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앉은 자세에서 경부 우측 회전

은 운동 전에 41.83°이었고, 운동 후에는 63.57°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

가하였다(p<0.05). 앉은 자세에서 경부 좌측 회전은 운동 전에 32.19°이었고, 운

동 후에는 60.48°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표 6).

표 6. 경부 축회전 가동범위 비교 (단위: °)

자세 좌우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네발기기

자세

우측 54.01±9.46 a 60.22±12.66 1.85 0.09

좌측 55.63±13.16 62.15±12.58 2.9 0.01

앉은 자

우측 41.83±14.29 63.57±10.53 4.87 0.00

좌측 32.19±15.88 60.48±10.45 5.33 0.00 a

평균±표준편차

Page 27: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7 -

3.3 운동 전과 후의 경부 통증 비교

경부에 대한 시각 사상 척도의 평균점수는 운동 전에는 5.72점이었고, 운동 후

에는 2.36점으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표 7).

표 7. 통증 비교 (단위: 점)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통증 5.72±2.33 a 2.36±0.92 5.83 0.00 a

평균±표준편차

Page 28: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8 -

3.4 운동 전과 후의 경부 경부기능장애지수 비교

경부기능장애지수는 운동 전에 27.36점이었고, 운동 후에는 17.63점으로 운동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표 8).

표 8. 경부기능장애지수 비교 (단위: 점)

운동 전 운동 후 t-값 p

경부장애지수 27.36±6.18 a 17.63±3.44 8.94 0.00 a

평균±표준편차

Page 29: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19 -

제4장 고찰

최근 경부의 통증과 장애를 경감시키고, 경추의 자세 조절과 중립자세 유지를

위한 경부 심부 굴곡근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Jull et al. 2005). 특히 전

방 머리 자세로 인한 경추 부위의 근육과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의 증가는 직업관

련성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Szeto et al. 2002). 지금까지의 경

부 심부 굴곡근에 대한 연구는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아직까지 지체 장애

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 근

로자에게 경부 심부 굴곡근을 강화시키고,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부 자가 운동을 총 8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여 경부 심부 굴

곡근의 최대근력과 최대근력 유지시간 및 최대근력 50% 유지시간, 경부 회전 가

동범위를 운동 전과 운동 후의 결과를 가지고 비교하였다.

경부 심부 굴곡근의 최대근력은 평균이 운동 전에는 14.90 mmHg이었는데 운

동 후에는 18.55 mmHg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05). 최대근력 유지시간도

운동 전에는 23.17초이었는데 운동 후에는 29.33초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p<0.05), 최대근력 50%에서 유지시간은 평균이 운동 전 63.45초에서 운동 후

85.20초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

만성 경부 통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 강화 운동이 경

부 근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Chiu et al. 2005) 이는 만

성 경부 통증 환자들이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이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과 지구력 강화 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경부의 안정화로 인해

통증이 감소되고 경부의 기능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만성 경부 통증 환

Page 30: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0 -

자를 대상으로 경부 심부 굴곡근의 근력강화 운동을 시행한 선행연구에서 최대근

력이 67%, 지구력은 77%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O’Leary et al. 2007), 보

존적 치료 후에는 69%에서 85%까지 경부 통증 환자의 기능이 개선되었다고 보

고하였다(Cassidy et al. 1992). 본 연구에서는 근력이 80%, 지구력이 79% 증가

하여 선행 연구와 그 결과가 일치한다.

경부 회전 가동범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네발기기 자세에서 우측 회전에서

는 운동 전에 54.01°이었는데 운동 후에는 60.22°로 평균은 증가하였으나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하지만 네발기기 자세에서 좌측으로 경부

를 축회전하였을 때는 평균이 운동 전에는 55.63°이었는데 운동 후에는 62.15°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앉은 자세에서 우측으로 경부를 축회전하였을 때는 평균이

운동 전에는 41.83°이었는데 운동 후에는 63.57°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앉은

자세에서 좌측으로 경부를 축회전하였을 때는 평균이 운동 전에는 32.19°이었는

데 운동 후에는 60.48°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선행 연구에 의하면 경

부통증을 가진 사람들의 굴곡과 신전의 경추 가동범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볼 수 있고(Alaranta et al. 1994; DallAlba et al. 2001; Hagen et al. 1997;

Jordan et al. 1997), 경추부 근력강화 운동을 실시한 후 통증과 가동범위에 효과

적이라고 보고하였다(김명준, 2000; 최명호, 2002; Highland et al, 1992). 또한

경부 통증이 있는 환자에게서 경부 관절의 가동범위에 유의하게 회복되는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Cowell & Philips. 2002).

환축관절(atlantoaxial joint)는 두개골의 회전 시에 축으로 이용되고, 경부에서

일어나는 회전 중 50%가 이 부위에서 일어난다. 이 관절의 중요한 움직임이 축회

전인데, 환축관절의 축회전의 제한으로 경부의 통증뿐 아니라 팔에서 손으로 내려

Page 31: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1 -

오는 저림감이나 마비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Caillitet et al. 1991). 경추를 축회

전할 때에는 경장근(longus colli), 두장근(longus capitis), 전두직근(rectus

capitis anterior), 경판상근(splenius cervicis),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등이

작용하며, 사각근(scalenus),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상승모근(upper

trapezius), 경반극근(semispinalis cervicis) 등이 신장된다(Florence et al.

2001). 이들 근육이 수축과 긴장으로 과도하게 신장되고 과부하를 받게 된다고

하였으며 두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지속적인 자세교정 운동이 두경부 통

증의 치료와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Travel et al. 1999). 16명의 경부 통

증 환자에 대해서 다양한 도수치료법을 적용하여 우측회전과 좌측회전의 가동범

위가 7.6~18.9%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고(Suter et al. 2002), 105명의 경추 통

증을 동반한 환자를 대상으로 경추에 근력강화 운동을 적용한 그룹에서 각 움직

임 방향에서 평균 8~12도의 증가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Whittingham et al.

2001). 사무기계 작업근로자에게 오른쪽 팔과 손에 자각적 근육통 호소가 많았던

것은 작업량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지속적인 상지 거상 작업자중 13명에

게서 오른쪽 어깨에 동통 및 운동 제한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Cho et al. 1989).

본 연구에서는 모든 실험 대상자의 우세 손이 오른쪽이었기 때문에 오른쪽 상지

를 왼쪽보다 많이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통증 및 운동 제한이 왼쪽과 비교

하여 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부 통증은 운동 전에는 5.72점이었는데 운동 후에는 2.36점으로 유의한 감

소가 있었다(p<0.05). 만성경부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경부의 통증이

6.3점에서 3.5점으로 감소한 결과와 일치한다(Jull et al. 2004). 또한 만성경부통

증 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두개 경부 굴곡 운동군과 경부굴곡 운동 프로그램으로

Page 32: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2 -

나누어 시행한 결과 경부의 통증이 두개 경부 굴곡 운동군은 3.6점에서 2.7점으

로 경부 굴곡 운동군은 4.7점에서 3.5점으로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여

(Falla et al. 2006)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통증이 감소한 이유로는 경부 근력

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많은 연구에서 경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서 경추부의 굴근과 신근의 근력과 지구력 능력이 유의하게 감소한다고 보고하였

다(Alaranta et al. 1994; DallAlba et al. 2001; Hagen et al. 1997; Jordan et al.

1997). 만성 경부 통증 환자에게 경부근육의 운동 치료 후 유의한 근력 증가 와

경부통증 감소를 보고하였다(Jordan et al. 1997; Ylinen et al. 2004), 특히, 운동

프로그램 중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환자의 목 아래에 수건을 말아 받쳐 준 후 턱

을 아래쪽을 당기는 동작인 두개 경부 굴곡 운동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경부

굴곡 운동 프로그램에 비하여 경부의 자세 조절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고 경부

의 통증에 있어서도 더 효과적일 수 있다(Falla et al. 2006).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는 경부기능장애지수가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경부기능장애지수는 10개의 항목으로 경부 통증의 신체적 장애의 평

가를 위한 도구이며 경부 손상에 대한 장애 측정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성이 입

증되었다(신원섭 et al. 2008). Kjellman 등(2002)은 만성경부통증 환자에게 일

반적인 운동요법과 경부 McKenzie운동 후 경부기능장애지수의 점수가 유의게 감

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보호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지체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수가

적어 일반화하여 확대 해석하는 것에 제한점이 있다.

향후에 장애인보호작업장에서 경부 자가 운동의 장기적인 효과를 알아보는 연

구가 필요할 것이다.

Page 33: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3 -

제5장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경부 통증이 있는 지체장애인 근로자에게 경부 자가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통증, 근력과 지구력, 가동범위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

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통증, 경부기능장애지수, 근력과 지구력에

서 효과가 있었다(p<0.05). 가동범위는 네발기기 자세에서 측정한 좌측 경부 축

회전, 앉은 자세에서 측정한 우측 경부 축회전과 좌측 경부 축회전에서 효과가 있

었다(p<0.05). 그러나 네발기기 자세에서 측정한 우측 경부 축회전은 운동 전과

후에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경부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지체 장애인 근로자의 경부 통증을

감소시키고, 근력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Page 34: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4 -

참고문헌

김명준. 2000. “Medex 운동치료 프로그램이 경추 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체육과학학과 운동처방전공.

김미현, 박상범, 장덕찬, 안승택, 김태호. 2006. “근로장애인의 장애유형 및 직무별

신체능력과 체력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김태희. 2006. “만다라미술치료가 지체장애인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청구논문. 대구대학교 보건 재활과학대학원 미술치료 전공.

최명호. 2002. “경추 신전근 손상 환자들의 근력강화 운동이 통증. 관절가동범위.

근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려대학교.

Ackelman BH, and Lindgren U.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modified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J Rehabil Med. 34: 284–287.

Ahlgren C, Waling K, and Kadi F. 2001. "Effects on physical performance and

pain from three dynamic training programs for women with work-related

trapezius myalgia". J Rehabil Med. 33: 162–169.

Page 35: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5 -

Andersen LL, Kjær M, and Andersen CH. 2008. “Muscle activation during

selected strength exercises in women with chronic neck muscle pain”.

Phys Ther. 88: 703–711.

Ariens GA, van Mechelen W, Bongers PM, Bouter LM, and Wal G. 2000.

"Physical risk factors for neck pain".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6(1):

7-19.

Bijur Pm Silver W, and Gallangher J. 2001. "Reliability of the visual analog

scale for measurement of acute pain". Acad Emerg Med. 8(12): 1153-

1157.

Berg HE, Berggren G. and Tesch PA. 1994. "Dynamic neck strength training

effect on pain and function". Arch Phy Med Rehabil. 75: 661-665.

Bongers PM, Ijmker S, van den Heuvel S, Blatter BM. 2006. “Epidemiology

of work related neck and upper limb problems: Psychosocial and personal

risk factors (part I)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rom a bio behavioural

perspective (part II)”. J Occup Rehabil. 16(3): 279-302.

Page 36: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6 -

Boyd-Clark LC, Briggs CA, and Galea MP. 2002. "muscle spindle distribution

morphology, and density in longus colli and multifidus muscle of the

cervical spine". Spine. 27(7): 694-701.

Bronfort G, Evans R, Nelson B Aker PD, Goldsmith CH, and Vernon H. 2001.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xercise and spinal manip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26(7): 788-799.

Cassidy JD, Lopes AA, and Yong-Hing K. 1992. “The immediate effect of

manipulation versus mobilization on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cervical spin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anip Physiol Ther.

15(6): 570-575

Chiu TT, Lam TH, and Hedley AJ. 2005.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icacy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30(1):

E1-E7.

Cho KH, Park CY, Lee SH. 1989. "Cervicobrachial disorders of female

international telephone operators: Muscle tenderness and neurological

tests". Kor J Occup Med. 1(2): 1-159

Page 37: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7 -

Côté P, Carroll LJ, and Cassidy JD. 2000. "The Saskatchewan Health and

Back Pain Survey: The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Saskatchewan adults". Can J Pub Health. 2000. 91(6):

459-464.

Cowell IM, and Phillips DR. 2002. "Effectiveness of manipulative

phys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 neurogenic cervicobrachial pain

syndrome: a single case study". Manual Ther. 7(1): 31–38.

Dall'Alba PT, Sterling MM, Treleaven JM, and Edwards SL. 2001. "Cervical

range of motion discriminates between asymptomatic persons and those

with whiplash". Spine. 26: 2090-2094.

Falla D, Jull G, Hodges P, and Vicenzino B. 2006. "An endurance-strength

training regime is effective in reducing myoelectric manifestations of

cervical flexor muscle fatigue in females with chronic neck pain" Clin

Neurophysiol. 117: 828–837.

Falla D, Jull G, Russell T, Vicenzino B, and Hodges P. 2007. "Effect of neck

exercise on sitting pos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Phys Ther.

87(4): 408-417.

Page 38: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8 -

Florence PK, Elizabeth KM, Patricia GP. 2001. "Muscle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Four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7

Hagberg M, and Wegman DH. 1987. "Prevalence rates and odds ratios of

shoulder-neck diseases in different occupational". Br J Ind Med. 44: 602-

610.

Highland TR, Dreisinger TE, Vie LL, and Russell GS. 1992. "Changes in

isometric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of the isolated cervical spine after

eight weeks of clinical rehabilitation". Spine. 17(65): 577-582.

Hoving JL, Vet, HC, Koes, BW, Mameren H, Devillée WL, Windt DA,

Assendelft WJ, Pool JJ, Scholten RJ, Korthals-de Bos IB, and Bouter LM.

2002. "Manual therapy, physical therapy, or continued care by the general

practitioner for patients with neck pain: Long-term results from a

pragmatic randomized clinical trial". Clin J Pain. 22: 370-377.

Jull G. 2000. "Deep cervical neck flexor dysfunction in whiplash". J

Musculoskeletal pain. 8: 143-154.

Jull G, Kristjansson E, and Dall'Alba P. 2004. "Impairment in the cervical

Page 39: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29 -

flexors: A comparison of whiplash and insidious onset neck pain patients".

Manual Ther. 9: 89-94.

Jung MY, Park CY, Koo JW, and Roh YM. 2003. "Stress related factors of

physically disabled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Kor J Occup

Environ Med. 15(1): 12-25.

Kjellman G, and Öberg B. 2002.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general exercise, McKenzie treatment and a control group in patients with

neck pain". J Rehabil Med. 34(4): 183-190.

Lee HY. 2006. “Effects of a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self efficacy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abilities”. J Kor Acad Nurs. 36(3): 484-492

Mionr MA, and Hewett JE. 1995. “Physical fitness and work capacity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Res. 8(3): 146-154.

McKenzie R. 1992. "Treat your own neck". Orthopedic Physical Therapy

Product. 11.

Page 40: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0 -

O’Leary S, Falla D, Jull G, and Vicenzino B. 2007. "Muscle specificity in

tests of cervical flexor muscle performance". J Electromyogr Kinesiol. 17:

35–40.

Shin WS, Lee EW, and Jung KS. 2008. " Reliability of the neck pain and

disability scale in neck pain patients". Phys Ther Kor. 15(1): 77-85.

Suter EM, and McMorland G. 2002. “Decrease in elbow flexor inhibition

after cervical spine manipul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Clin

Biomech. 17: 541-544

Szeto GP, Straker L, and Raine S. 2002. "A field comparison of neck and

shoulder postures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Appl

Ergon. 33(1) 75-84.

Taimela S, Takala EP, Asklöf T, and Seppälä K. 2000. "Activ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A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 Spine. 25(8):

1021-1027.

Travel JG, Simons DG. 1999. “Myofa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Second Edition”. Williams & Wilkins. 261-267

Page 41: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1 -

Viljanen M, Malamivaara A, Uitti J, Rinne M, Palmroos P, and Laippala P.

2003.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training, relaxationtraining, or

ordinary activity for chronic neck pa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327(7413): 475.

Wang WTJ, Olson SL, Campbel AH, Hanten WP, and Gleeson PB. 2003

"Effectiveness of physical therapy for patients with neck pain: An

individualized approach using a clinical decision-making algorithm". Am J

Phys Med Rehabil. 82(3): 203-218.

Whittingham W, and Nilsson, N. 2001, “Active range of motion in the

cervical spine increses after spinal manipilation(Toggle Recoil)”. J Manip

Physiol Ther. 24: 552-555.

Ylinen J, and Takala EP. 2003. "Active neck muscle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in women". JAMA. 289(19): 2509-2516.

Yoo WG, and An DH.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e cervical

range of motion and changes in head and neck posture after continuous

VDT work". Ind Health. 47: 183-188.

Page 42: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2 -

부록 1

경부 운동 프로그램

자세 운동 방법

바로 누운

자세

(supine

position)

경부 심부 굴곡 운동

(neck deep flexor

exercise)

견관절 외전과 굴곡

(shoulder

abduction and

flexion)

엎드려 누

운 자세

(prone

position)

중, 하부 승모근과

능형근 근력 증진

운동

네발기기자

(Quadrupe

d

경부 축 회전

(neck axial

rotation)

Page 43: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3 -

position)

앉은 자세

(sitting

position)

경부 심부 굴곡 운동

(neck deep flexor

exercise)

경부 축 회전

(neck axial

rotation)

선 자세

(standing

position)

벽에 서서 팔 들어

올리기(arm up at

wall)

Page 44: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4 -

벽에 서서 팔을 든

상태에서 경부 축회

Page 45: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5 -

ABSTRACT

Effects of Neck Self Exercise on Neck Pain,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of Physically Disabled Workers

Hyun-sook Kwak

Dept. of Ergonomic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Environment

Yonsei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neck self exercise on neck

pain, range of motion, and muscle strength of physically disabled workers in

sheltered workplace. Eleven physically disabled workers who had work

related chronic neck pain were recruited from sheltered workplace for this

study. Strength and endurance of neck deep flexor, neck axial rotation range

of motion, pain, and neck disability index were measured.

Exercises were performed by 2 times a day, one time of 10 minutes, 5

times per week for 8 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ach

Page 46: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전공 곽 현 숙 · 자리 인권을 위하여 애쓰시는 장애인보호작업장 해오름 식품과 반석 관계자들과

- 36 -

independent variable before and after 8 week exercise program. Neck pain,

neck disability index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 week exercise

program. Strength and endurance of deep flexors and neck axial rota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8 weak exercis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eck self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for disabled workers with work related chronic neck pain.

Key Words: Neck pain, Neck deep flexor, Neck self exercise, Physically

disabled wor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