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g982sd (2)

110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79 1. 서론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2008년 기준 식품과 외식산업을 합하여 매출 기준 약 120조원 규모이며 농림어업 분야를 포함한다면 165조원 규모로 매우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특히 면류의 시 장규모는 2조원(2006)을 넘어서 꾸준한 성장세에 있음. 국내의 식품산업은 1960-70년대 제분공 업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식품가공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제 교류의 확대로 식생활의 서구화 및 먹거리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됨. 특히 육가공식품 과 낙농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 1990년대 이후 맛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건강기능성, 안전성 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 부분이 강조된 식품의 개발이 활발해짐. 외식산업의 경우 1970년대 태동기를 거처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 로 외국의 외식브랜드와 선진 운영기법이 도입되면서 급격히 발전하였음. 국내 외식산업의 매출규 모는 지난 1990년 약 18조원에서 2004년 연 48조원으로 2.5배 이상 성장하였고, 2006년에는 50조원을 돌파하였음 (한국외식정보 2009). 외식 빈도는 문화권, 경제적 수준, 개인에 따라 차이 가 있으나, 현대 생활에서 외식은 생활의 一部로 자리잡았음. 과거에는 음식을 섭취하는 장소를 기준으로 가정 내에서 음식을 먹으면 내식, 가정 밖에서 음식 을 먹으면 외식으로 구분하였으나, 최근에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테이크 아웃하여 가정에서 섭취하 는 경우나 가정식사대용식 (home meal replacement), 출장연회, 가정배달서비스 등의 새로운 외 식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음 (윤지현 등 2008).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서 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

Upload: joseph-lee-stanfield

Post on 14-Feb-2016

242 views

Category:

Documents


2 download

DESCRIPTION

RIG982SD (2)

TRANSCRIPT

Page 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79

1. 서론

우리나라 식품산업은 2008년 기준 식품과 외식산업을 합하여 매출 기준 약 120조원 규모이며

농림어업 분야를 포함한다면 165조원 규모로 매우 거 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특히 면류의 시

장규모는 2조원(2006)을 넘어서 꾸준한 성장세에 있음. 국내의 식품산업은 1960-70년 제분공

업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식품가공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1980년 에 급속한 경제 성장과 국제

교류의 확 로 식생활의 서구화 및 먹거리 품질에 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 됨. 특히 육가공식품

과 낙농식품에 한 수요가 급증함. 1990년 이후 맛에 한 관심뿐 아니라 건강기능성, 안전성

등에 한 소비자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 부분이 강조된 식품의 개발이 활발해짐.

외식산업의 경우 1970년 태동기를 거처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을 계기

로 외국의 외식브랜드와 선진 운 기법이 도입되면서 급격히 발전하 음. 국내 외식산업의 매출규

모는 지난 1990년 약 18조원에서 2004년 연 48조원으로 2.5배 이상 성장하 고, 2006년에는

50조원을 돌파하 음 (한국외식정보 2009). 외식 빈도는 문화권, 경제적 수준, 개인에 따라 차이

가 있으나, 현 생활에서 외식은 생활의 一部로 자리잡았음.

과거에는 음식을 섭취하는 장소를 기준으로 가정 내에서 음식을 먹으면 내식, 가정 밖에서 음식

을 먹으면 외식으로 구분하 으나, 최근에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테이크 아웃하여 가정에서 섭취하

는 경우나 가정식사 용식 (home meal replacement), 출장연회, 가정배달서비스 등의 새로운 외

식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음 (윤지현 등 2008).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정 서 진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Page 2: RIG982SD (2)

38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서 조리된 음식을 먹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외식이라 할 수 있고, 외식은 다시 상업적 외식과

급식으로 구분됨 (그림 1).

그림 1. 현대적 의미의 내식과 외식 (출처: 윤지현 등 2008)

통계자료에 따르면 도시가구 한 가구당 월평균 식료품비 가운데 외식비 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율

은 지난 1982년 6%에서 2009년 50.6%로 크게 증가하 음. 즉 도시가구의 경우 식료품비 지출

중 절반 이상을 외식에 소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측됨 (통계청 2010).

그림 2. 도시가구 당 월평균 식료품비와 외식비 지출비 (출처: 통계청 2010)

이러한 식품소비행동의 변화는 식품제조 및 유통산업에도 향을 미치고 있음. 슈퍼마켓 등 유

통업체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원재료 판매공간을 축소하는 반면 완전조리식품을 판

매하는 공간을 확 하고 있으며, 편의점에서도 완전조리식품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함.

Page 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81

미국 유통업체들이 최근에는 Home Meal Replacement라는 표현 신 “retailer meal

solution/prepared meal solution”이라고 표현함 (Kuhn 2009). 최근 경제 위기 이후 미국의 트

렌드 분석에 따르면 외식 횟수를 줄이고 가정조리식 빈도를 증가하려는 소비자가 증가한다고 함.

그러나 소비자들은 레스토랑 품질 수준의 음식에 익숙해 졌으나 조리기술은 부족하여 고품질의 음

식을 가정에서 조리하여 소비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제품에 한 요구도가 높음 (Sloan

2009).

음식이 레스토랑에서 제공되든, 유통업체 또는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지에 관계없이 신선하고

고품질의 조리 음식에 한 소비자의 기 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미국의 조리개발센터(Center

for Culinary Development)의 조리트렌드 맵핑 보고서에 따르면 “레스토랑급 품질”과 “조리사에

의한 조리”는 표적인 키워드임 (Kuhn 2009).

오늘과 같이 격심한 경쟁 환경에서 음식을 생산, 판매하는 모든 기업들이 유지되거나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객을 만족시키고 경쟁업체와 차별화를 시킬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메뉴 상품 개발이 절

적으로 필요함. 메뉴의 트렌드를 선도한다고 할 수 있는 스타 쉐프들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외식업체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음식, 맛, 풍미, 형태 등을 실험하게 하여 식품제조산업의

조리개발의 속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새로운 음식 트렌드의 척도로 인식되고

있음 (Sloan 2010).

우리나라의 경우 면류 관련 식품 및 외식산업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산업 관련 통계 인프

라, 인력 양성 시스템의 부족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들의 욕구 및 성향에 한 자료가 부족

함. 국내의 소비자 외식 행동 및 메뉴 트렌드에 한 정보는 일부 산업지 등의 제한적으로 소개되

고 있음. 따라서 외식 및 식품기업들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식문화를 반 하고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외식 행동 및 메뉴 트렌드에

한 체계적인 분석 및 미래 상품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예측 자료가 요구됨.

2. 연구방법

2.1. 연구의 목적

현재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 및 외식 소비 패턴과 메뉴 트렌드를 분석하고 향후 식품 및 외식

산업에서 신제품 개발 아이템 도출을 위한 자료를 제공

Page 4: RIG982SD (2)

38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단계 구분 내용

1단계Inventory

Building

- 다양한 정보원천에 근거한 1차적인 키워드 도출

: 국내자료 및 해외자료에 한 수집 및 정리

- 소비자트렌드, 외식트렌드 두 가지 차원에서의 키워드 도출

2단계 Dissolving

- 1단계에서 제시된 키워드의 함축적 의미(가치) 파악

: 사회적/심리적/문화적 등 다차원적 원인 및 의미 규명

- 키워드들 간 관련성 파악을 위한 준비단계

- 연구자 간 cross-check을 통한 최종 의미 규명

국내 식품 신제품 및 외식 상품 아이템 등의 단/중기적인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조사 기법

확립

식문화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선정(최근의 식품 및 외식 시장의 신제품 동향,

히트 상품의 경향, 정부 정책,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의 식품/외식산업 관련 과제 분석, 해외 시

장 트렌드 분석, 사회 환경적 요인 분석, 식품 기술 트렌드 분석, 소비자 인식 조사 등)

2.2. 연구방법

2.2.1. 트렌드 분석을 위한 2차 자료 분석

기본적으로 외식메뉴 트렌드 파악을 위해서 1차 자료가 아닌 2차 자료를 주요 분석 상으로

활용. 이를 위해 연구자 회의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며, 연구자 회의를 제외한 개

별적인 연구방법과 내용에 해 다음과 같이 정리 (표 1). 아래의 방법으로 우리나라 소비자들

의 소비 행동에 향을 미치는 트렌드를 분석하 음.

다음 단계로 외국의 표적인 외식관련 컨설팅 기업 및 전문 분야 저널에 발표된 자료를 이용

하여 글로벌 외식 소비 행동과 메뉴 트렌드를 분석하 음.

국내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 트렌드, 글로벌 외식소비 행동 및 메뉴 트렌드, 국내 농식품 산업

트렌드를 종합하여, 향후 2-5년간의 국내 외식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과 메뉴 트렌드를 결정하

음.

표 1. 연구 방법

Page 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83

단계 구분 내용

3단계 Re-arranging

- 키워드들에 한 1차 분류작업

- 2단계에서 추출된 가치를 중심으로 개별 키워드들 간 인과관계 및

상관관계, 시간적 선후 등을 고려하여 관련성 파악

- 키워드 지도(keyword map) 작성(키워들 간 관계성 규명)

: 동조범위 및 지속기간 기준으로 구분

(microtrend → fad → trend → megatrend)

∙ microtrend: 단기간 동안 소수의 작은 변화

∙ fad: microtrend보다 동조의 범위가 넓고 지속기간이 긴 일종의

유행

∙ trend: 단순한 유행을 넘어 1-5년까지 지속

∙ megatrend: 사회 다수의 구성원이 동조하며 10년 이상

지속되는 경향

4단계 Categorizing

- 키워드들에 한 최종 분류작업

- 3단계의 결과에 토 를 두고 키워드를 압축적으로 분류/유형화하여

10-15개 키워드 선택될 때까지 진행

5단계 Verifying

- 4단계에서 추출된 키워드에 한 타당성 및 발생가능성에 해

역으로 증거 규명

- 5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수집 및 정리된 자료들과 키워들 간

Matching을 통해 최종 보고서 작성

- 기본적으로 귀납적으로 진행되나, 5단계에서 연역적으로 진행

2.2.2. 트렌드 분석을 위한 정부 정책 분석

2012년 식품산업 관련 정부에서 공모한 과제 주제 분석

2.2.3. 주요 음료 및 식품 가공품 트렌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

가공식품 분류의 기준은 가공식품의 종류 중 최근 광고 등의 향으로 소비경향에 변화가 있

는 제품군들에 하여 조사를 하고자 하 고 이에 따라 가공식품군을 선별함

최종 선택된 조사 품목은 봉지라면, 차음료, 건강기능음료, 커피, 주류, 장류 및 조미료이었음.

Page 6: RIG982SD (2)

38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소비자 조사에 사용 된 주요 가공식품의 제품 선정은 형마트(이마트 인터넷 쇼핑몰, 홈플러

스 인터넷쇼핑몰, 롯데마트 인터넷쇼핑몰) 세 곳에서 각 가공식품의 분류 별 판매순위가 높은

제품을 조사하여 선정함(사용 된 제품은 부록의 설문지 참조).

소비자 조사에 사용 된 조사용어는 제품에 한 선호도를 볼 수 있는 항목 (좋아함/자주먹

음)을 기준으로 하고 제품의 최신경향을 볼 수 있도록 문항의 카테고리를 이미지(브랜드, 프

리미엄, 광고모델, 디자인, 품질), 구매환경(원조, 트렌디, 광고내용, 경제적인가격, 마트행사,

접근성), 기타(건강지향적,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맛 등으로 나누어 용어를 개발함.

맛에 한 항목은 가공식품분류 별 제품의 특성을 살려 용어를 개발하 고, 설문 시 제품에

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문의 제품명과 함께 제품사진을 첨부함.

소비자 조사 설문 진행은 소비자가 평가를 원하는 가공식품의 분류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하

여 선택한 가공식품에 해서만 평가하도록 하고, 설문지 배부함.

소비자는 선택에 따라 최소 1종류의 가공식품에서 최 6종류의 가공식품에 해 설문을 하 음.

설문지의 응답은 선택한 가공식품의 제품에 해 ‘좋아함/자주먹음’ 중 해당 하는 곳에 표시하

도록 하 다(중복응답 가능). 이 때 둘 중 한 문항에라도 응답을 한 제품에 해서만 좋아하거

나 자주먹게 되는 이유(선호요인)를 고르도록 함.

각 가공식품의 식품군에 따라 200명을 상으로 조사하여 각각 라면 178부, 차음료 164부,

건강음료 153부, 커피 169부, 주류 177부, 장류 및 조미료 166부의 설문지를 회수함.

설문에 응답한 소비자는 총 486명으로 남성 147명(30.2%), 여성 339명(69.6%) 이었고, 각

연령 별로는 10 20명(4.1%), 20 254명(52.2%), 30 58명(11.9%), 40 72명

(14.8%), 50 69명(14.2%), 60 이상 12명(2.5%)가 참여함.

통계분석은 제품의 특성들에 해 좋아함/자주먹음의 이유(선호요인; 다중응 답)를 선별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함.

각 제품 별 표시 된 특성을 빈도분석(합계)으로 총합을 구하 고, 가공식품 분류 별 총 설문

소비자에 한 비율로 나타냄.

빈도분석 결과 10%이상의 항목에 해서 표시하 으며,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라 선호특성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하여 표시함.

Page 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85

구분 키워드

사회문화

· 거 해지는 SNS 문화· 디지털 디스토피아· 디지털 디플레이션· 웨저 · 현 인의 질병· 우먼파워· 웰빙· 매크로바이오틱· 미디어의 노예· 미디어의 노예

· 고령화· 싱글문화· 혼자 먹는 점심· 스케이케이션· 휴식· 향수(레트로)· 스스로 하는 소비자· 착한 기업(사회적 기업)· 외모 지상주의· 성형수술(뷰티벨트)

경제

· 경제적 불확실성· 스펙 신드롬· 삼포세· 출 인생· 휴먼 리세션· 99%(세상을 바꾸려는 노력)· 하메족· 에코소비(가치 소비)· 트레이딩 업앤다운(소비 양극화)· 노브랜드 현상· 럭셔리 푸어· 롱테일 전략· 초식남· 연령압축

· 뉴 시니어(실버 부머)· 다운 에이징· 멀티해비테이션(세컨드 하우스)· 중년의 위기· 착한 소비· 발전한 기부문화· 카 셰어링· 한류3.0· 한식· 스낵 컬쳐· 다이렉트 서비스· 디저트 문화· 제3의 공간· 슬로 쇼핑· 셀렉트숍

3. 결과 및 고찰

3.1. 우리나라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트렌드

외식소비 행동은 전반적인 소비행동에 향을 미치는 트렌드에 향을 받음.

외식소비 행동과 메뉴 트렌드 분석의 첫 단계는 이러한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었음. 사회문

화, 경제, 환경, 기술, 정책의 다섯 가지 분야별로 표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 내용과 판단 근

거를 제시하 음.

표 2에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에 향을 미치는 중장기 트렌드 별로 표 키워드를

제시하 고, 세부 자료는 부록으로 제시하 음.

표 2.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소비 행동에 향을 미치는 중장기 트렌드

Page 8: RIG982SD (2)

38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구분 키워드

환경

· 에너지 위기· 에너지 수확· 지구 살리기· 시티 팜

· 에코 소비(for 지구)· 느림· 미래형 식품 공장

정책

· 스마트 워크· 보건의료· 김장훈법

· 꿈의 한식당· 항거불능· 스마트 시티

· 디지털 교과서· 로봇 러닝· 폴리슈머

· 뉴 노멀(자본주의 4.0)· 마불사· 역 골디락스

· 스마트 그리드· 로컬 푸드· 그린카· 신재생 에너지 의무할당제도·

· 연료 전지· 체 에너지 개발· 시험관 고기· 에너지 제로 하우스

기술 · 전자종이· 로봇· 무선 커넥팅

· 의료 혁명· 스마팅 기술

3.2. 글로벌 외식 소비 행동 트렌드

우리나라의 외식소비 행동은 최근 글로벌해지고 있음. 현재 미국은 식품과 외식소비 행동이 글

로벌 식품소비 행동을 주도하고 있으므로 본 과제에서는 미국의 외식 소비 행동 트렌드를 중

점적으로 분석하 음.

2009년 이후 소개된 미국인들의 식품 및 외식 소비 행동을 종합해 보면 경기 침체, 건강에

한 관심 증가, 인구구조 변화가 가장 중요한 메가트렌드로 나타남. 이의 향으로 경제적이면

서 가치를 향상시키는 식품 및 외식 소비, 건강식에 한 이용 증가, 베이비부버와 Y-세 를

주 표적으로 다양화된 마케팅 노력이 나타남.

다음에 식품과 외식관련 트렌드 분석 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미국인들의 외식소비 행동 트렌

드를 정리하 음.

Page 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87

3.2.1. 외식이 감소하고 가정에서 요리하는 빈도가 높아짐

경제위기와 경제적 상황의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외식 보다 가정에서 조리하는 비율이 지속적으

로 높아지고 있음.

지난 20년 동안 외식이 생활화되면서 소비자들은 레스토랑 수준의 음식의 맛과 품질에 길들어

져서 가정에서도 같은 수준의 음식을 원하지만, 조리 기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음. 원재료로

만 요리하는 사람의 비율이 낮음.

1990년 경제침체 시기에는 조리음식, 냉동음식의 이용이 증가하 으나, 2009년 경제위기에

는 식재료로 직접 조리하고 한 끼에 여러 메뉴를 조합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 조리를 도와주

는 편의 식품에 관심 증가 (양념소스 등)

점심 식사로 가정에서 준비해온 도시락을 이용하는 비율이 증가

조리 기술 없이 레스토랑 수준의 음식을 가정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solutions이 등

장: 식품가공기업이 품질이 향상된 완전조리 식품을 선보이고, 레스토랑 브랜드와 전략적 제휴

3.2.2. 다른 문화의 음식과 전통음식에 대한 요구가 함께 공존

글로벌화로 에스닉 음식 (ethnic foods)에 한 높은 관심은 지속될 트렌드가 될 것임.

최근에는 이런 경향과 함께 전통적인 미국음식, 지역의 향토음식에 한 요구가 같이 높아질

것임. 원래 그 로의 전통 음식 보다는 여기에 최근의 음식 트렌드를 반 해 약간의 변화를 도

입한 음식이 각광 받을 것으로 예상됨.

레스토랑들은 “Best Of” cuisine 이라는 명칭을 위해 미국 각지의 음식을 찾아 제공할 것으로

예상

3.2.3. 건강과 건강식에 대한 관심 증가

건강(health), 양(nutrition)은 오늘날의 외식 소비 트렌드 중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는

키워드임. 외식 시 고객들은 항상 건강과 양을 고려함.

그러나 항상 고객들이 건강에 좋은 메뉴만을 주문하지는 않음. 따라서 레스토랑 역시 건강식과

함께 고객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메뉴를 모두 제공하여 고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함.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켜주는 메뉴와 함께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 사이에 균형이 나타날

것임.

Page 10: RIG982SD (2)

38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3.2.4. 경제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위한 작은 사치

경기 침체로 불필요한 음식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지만, 약간의 사치는 즐김.

전반적인 식생활에서 경제성이 중요한 고려사항이지만, 식생활의 일부에서 고급 식품(gourmet

foods), 특별한 음식(specialty foods)에 한 갈구는 지속될 것임.

개인별로 사치품의 종류는 다양하며 (고급 육류 ~ 기호식품), 다양한 풍미의 디저트, 사탕류,

주류 (wine)가 표적인 사치식품이 될 것임.

건강과 탐닉 사이의 균형을 넘어서 프리미엄과 가치(value)를 전달해야 할 것임.

3.2.5. 사회의 다양화로 음식에 대한 요구도가 다양해짐

인종적, 경제적 상황, 연령 등에서 사회가 더욱 다양화됨.

다양한 인구집단의 외식에 한 요구 역시 다양해지면서 식품산업 및 외식산업에서도 시장 세

분화 전략을 도입한 제품의 개발과 마케팅이 강조되고 있음.

고령화로 노인과 베이비부머들 (건강에 한 관심이 높음)과 어린이들이 가장 매력적인 시장이

될 것임.

1) 식품안전에 대한 불신 증가, 국내산과 가공을 최소화한 식품 선호

국제적인 식품안전사고 (중국의 멜라민 분유 파동, 유럽의 병원성 장균)가 지속적으로 발생.

글로벌화되는 식품의 생산공급시스템에 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높아지면서 특히 수입 식품에

한 불신이 높음 (특히 중국, 동남아시아, 멕시코).

비위생적인 식품 취급, 수입식품의 안전, 식중독 미생물, 살균되지 않은 식품, 수입 식품,

GMO 식품에 한 불신 증가로 식품 구매 방식의 변화.

지역에서 재배한 식품을 가장 안전한 식품으로 보는 소비자 증가하면서 가까운 지역 (같은 주)

에서 생산된 농작물, 축산물을 활용하는 메뉴가 인기를 끌 것임. 

식품첨가물 등에 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공을 최소화한 식품이 소

비자가 가장 원하는 음식임.

피하고자 하는 3가지 재료군: 농약 등 살충제, 항생제, GMO, 유전자 조합된 육류제품, 식품

첨가물 및 보존제, 알레르기 유발 물질

유기농식품의 소비는 감소 추세: 가공되지 않은(non-processed), 진짜의 (real), 원조의

(authentic), 손으로 만든 (handcrafted) 등이 유기농과 동일시 하는 경향이 나타남.

Page 1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89

QSR이 표준화된 효율성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지만, 향후 시간이 더 투자되는 조리방법을 추

구할 것임. 고객들이 효율성 이상의 외식경험을 원하면서 수제(handmade), 가정식(home

style)의 표현이 레스토랑 메뉴에 등장할 것임.

자체 농장을 가지고 여기서 생산되는 재료만 사용해서 최소한의 조리를 통해 가정식과 같은

음식을 제공하는 레스토랑이 소비자들의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레스토랑이 될 것임.

2)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고객들은 자신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자신의 요구가 충족되기를 희망함.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여 충족시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고객에게 식사 경험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맞춤형 주문 시스템은 계속될 것이고 메뉴 디자인에서 유연성이 더 요구됨.

식품안전에 한 불신으로 음식에 한 투명성이 더욱 요구됨. 원산지표시, 양소함량 표시

등 소비자가 자신이 먹는 음식에 해 알고자 하는 정보를 적절히 제공해 주어야 할 것임.

3) 의료비용 상승과 고령화로 의약품 대신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고자 함

만성 질환 등 질병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나 처방약 가격 상승, 의약품에 한 안전성 문제로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미국인들이 증가.

합성품 신, 자연적인 기능성 식품과 whole food nutrition이 향후 10년간 가장 강력한 건강

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측.

체중조절, 콜레스테롤 저하, 소화, 면역력 강화, 사기능 강화, 혈압 저하, 혈당 조절, 기억력

관리를 위한 기능성 식품 인기

글루텐 프리 제품 매출 증가하고 있고, 미용과 아티에이징 음료 인기가 예상됨

아동 건강에 한 관심 증가: 천연의 예방적, 기능성 식품의 요구도 증가

레스토랑에서도 건강 메뉴 증가할 것임.

4) 탄산음료의 시대가 가고, 기능성 음료, 차의 시대가 도래

탄산음료 소비감소 하는 반면 생수(이국적인 지역의 생수, 특별한 포장), 기능성 음료 (에너지

음료, 스포츠 음료), 차 (홍차, 녹차, 루이보스) 소비 증가할 것임.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차 음료(허브 티)도 인기를 끌 것이며, 저당주스, 천연재료로만 만든

(예: 펩시 Natural) 등장.

5) 통신 및 과학기술의 발달로 가정에서 여가를 보내면서 여가와 어울리는 음식 요구

Page 12: RIG982SD (2)

39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스마트폰, 홈 엔터테인먼트의 발달, 엔터테인먼트 비용 상승로 여가를 가정에서 보내는 비율이

증가 (가정에서의 오락, 뒷 마당에서의 고기 파티가 주된 여가활동이 되면서 관련 제품 소비도

증가).

홈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할 수 있는 음식 (간식류, 테이크아웃 음식, 조리식품)에 한 요구도

가 높아짐. 생일파티 등 기념일에는 specialty/gourmet food 소비.

레스토랑 업계는 케이터링 서비스 증가를 기 .

6) 이동 식당

Oh! My Gogi 레스토랑은 멕시코 음식에 한식 flavor를 더한 메뉴 (불고기 타코, 김치 퀘사딜

라 등)로 성공을 거둠. 이 브랜드의 가장 큰 특징은 점포가 트럭으로 되어 있고 이동한다는 점

임. 고객을 찾아갈 수 있고 유연성을 갖춘 매장으로 인식됨.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위치를 알리면 그 장소로 고객들이 찾아 오게 함.

성공적인 이동 식당의 모델이 되면서 기존의 레스토랑 브랜드도 트럭을 이용한 이동 점포를

도입하고 있음.

표 3. Food Technology에 발표된 2009년 이후 Top 10 식품소비행동

2009-2010 2011-2012

Cooking again Demographically directed

Homeward bound Still cooking

Gourmetization The appeal of Americana

The new pacesetters Foodie focused

Little luxuries Get real

Scared straight The new nutrients

Changing shades of green Specialty treats

Me M.D. Three squares

Thirsting for more Prescriptive eating

Form follows function Home ritual

Page 1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91

발표기관 주요 트렌드

Mintel Menu

Insights

Healthy by Association

Automated Menus

Transparency

Indigenous Ingredients

Exemptions to the Rules

Technomic

Action in adult beverage

Beyond bricks and mortar

Farmers as celebrities

Social media and technology: evolutionary spurt

Korean and beyond

Frugality fatigue

How low can you go?

Carefully calibrated brand action

Back to our roots

New competition from C-stores

Healthful versus indulgent: the little angel says on thing, the

little devil another

Andrew Freeman

& Co

다양한 파이: 맛, 조리법, 크기 등

소규모 레스토랑: 프렌차이즈가 아닌 가족끼리 혹은 동업 형태

전문점: 한 가지 메뉴를 전문으로 다양한 형태로 제공

적은 일인분량: 양이 적어 저렴하고 이동하면서 먹을 수 있음

마케팅 101: 새로운 홀 디자인

간단한 메뉴판: 조리법을 길게 설명하는 신, 한 가지 중요 재료만 강조

가루의 이용: 소스 신 파우더 이용

장작 구이: 채소 직화 구이, 장작 위에서 육류를 천천히 구이

고급 핫도그: 핫도구 토핑과 소스가 고급화되면서 핫도그가

업그레이드

채식주의자의 증가: 육류가 없는 요일, 채소로만 만든 메뉴

채소 튀김: 채소 요리의 맛이 향상

자극적이지 않은 풍미

고급화된 정크푸드

다양한 풍미를 지닌 팝시클

다양한 형태의 요거트

스웨덴의 향: 북부유럽의 식재료와 조리 트렌드

레스토랑에서 직접 구운 빵

돼지고기 삼겹살 신 염소와 양 삼겹살

표 4. 2011년 미국의 외식소비 트렌드

Page 14: RIG982SD (2)

39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 2012년 미국의 외식소비 트렌드

발표기관 주요 트렌드

Mintel Menu

Insights

American Regionalism

Double-Sided Menus

Consumer Control

Slow It Down

Importing Ideas

Technomic

Consumers Seek a Twist on the Familiar

Commodities Costs Drive Rustic Fare Made In-House

The Next Steps in Local Sourcing

Social Networking Influence Accelerates

Customers Want More Information

Operators Try to Resist Discounting

Brands Expand Through Flexible Formats

Andrew Freeman

& Company

다양한 감자 요리: 다양한 커팅, 질감, 소스 등

샌드위치: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부터 고급 레스토랑까지 특별한

샌드위치 메뉴 제공

국수: 특별한 장식, 수타 등 흥미로운 국수 음식

타이 음식: 이국적인 맛을 도전하는 사람들 사이에 인기

3100 풍미: 새롭고 신기한 맛과 향의 아이스크림

채소를 활용한 디저트

스토리가 있는 메뉴

서비스의 최소화

조리산업의 성장: 전문가에서 취미반 까지 조리관련 산업 성장

고급 레스토랑과 패스트케쥬얼 레스토랑 간의 구분이 불분명해짐

인도의 거리 음식: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이동 식당 등에서 인도

음식의 인기

하루 종일 아침식사: 아침식사 메뉴가 점심, 저녁, 야식 메뉴로 확장

다양하고 이국적인 고추

건강에 한 관심

향을 내기 위해 새로운 잎사귀 사용: 솔잎, 유칼립투스 등

예술과 자연의 한 부분으로의 음식

액체 음식

헝가리 음식: 러시아 음식에서 동구권 음식으로

Page 1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93

3.3. 미국의 메뉴 트렌드

미국 외식업계의 가장 큰 단체인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은 American Culinary

Federation의 회원과 전문조리사 1500명 이상을 상으로 다음 해에 향을 미칠 메뉴 트렌

드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 있음.

소비자의 식품과 외식소비 행동을 함께 고려하여 메뉴 트렌드를 파악 가능.

3.3.1. 그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산물을 이용한 메뉴 (local foods),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을

고려한 메뉴

그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산물을 이용한 메뉴: 수입 식품의 안전성에 한 불안감으로 인해 지

난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외식 메뉴에서 가장 핫 트레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메뉴: 2010년, 2011년 3위에서 2012년 5위로 낮아졌으나 지속적으로

상위에 랭크되고 있음.

푸드 마일(식품이 생산된 곳에서 일반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이동거리)를 단축하기 위

한 노력.

수입농산물에 한 안전성, 신선도, 이동까지 배출되는 온실가스 등은 소비자의 새로운 관심사

로 떠오르고 있으며 가능한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는 것이 식품의 안전성이

높으면서 수송에 따른 환경오염을 경감한다는 주장이 최근 유럽 소비자나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음.

3.3.2. Hyper-local

2010년 6위, 2011년 5위, 2012년 4위로 지속적으로 상승.

단순히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산물의 이용 보다 더 발전된 개념.

레스토랑 직 농장에서 수확한 농작물, 레스토랑 내 정육시설에서 가공된 육류 제품을 활용한

메뉴.

3.3.3. 어린이를 위한 건강식

2010 – 6위, 2011년 4, 2012년 3위로 계속해서 중요한 요소임.

Page 16: RIG982SD (2)

39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국가적으로 유아 청소년기 건강이 성인기로 이어짐을 강조.

자녀가 있는 가정의 외식 시 아동들이 식당 결정권을 가지거나 중요한 고려사항임.

3.3.4. 무 글루텐/알레르기 조절 메뉴

2010년 9위, 2011년 8위, 2012년 7위로 높아짐.

식품첨가물에 한 우려와 식품알레르기의 유병률이 높아지면서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글

루텐이 없는 메뉴에 한 요구도가 높아짐.

글루텐은 부분의 사람에게는 아무 향이 없고 일부 소비자에게만 알레르기를 유발하지만,

일반인들까지 무 글루텐(gluten-free) 음식이 더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오인하면서 글루텐이

없는 메뉴의 인기가 높아질 것임.

3.3.5. Sustainable seafoods

2010년 10위, 2011년 7위에서 2012년 9위로 낮아짐.

건강을 위해 해산물 섭취가 증가하고 있는데, 해산물의 채취와 양식에서도 지속가능성을 고려

한 식재료를 활용한 메뉴.

3.3.6. 새로운 육류 부위를 활용한 메뉴

2010년 19위, 2011년 17위, 2012년 11위로 높아짐.

entree 에서 표적인 트렌드.

기존의 커팅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부위를 이용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풍미 있는

메뉴하거나 조리를 최소화하는 메뉴로 개발. 고객들에게는 새로움과 가치라는 두 가지 이득을

제공.

3.3.7. Mini meals: 양이 적은 메뉴의 인기

식사 시간을 따로 분리하기 어려운 라이프 스타일이 유지되면서 한 끼 식사가 여러 장소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짐.

Page 1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95

예를 들어 아침식사는 집에서 직장으로 출발하기 전 커피 한잔, 직장에 가는 길에 테이크 아웃

식사 (맥 머핀, 비스킷 등), 회사에 도착해 후식 등으로 한 끼 식사가 여러 시간과 장소에서

이루어짐. 한 식사를 구성하는 각각의 음식 양은 점점 작아지는 추세임.

3.3.8. 소량 생산 주류

수입산, 혹은 량 생산되어 유통되는 와인과 맥주 보다 그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 레스토랑에

서 직접 만든 맥주 (micro-brewery)가 인기를 끌고 있음.

레스토랑의 새로운 수입원이 되고 있음.

3.3.9. 유기농산물에 대한 인기 급락

2010년 12위, 2011년 14위, 2012년 26위로 지속적으로 하락.

단순히 유기농이라는 광고 보다는 “천연 그 로”, “손으로 직접 만든”, “레스토랑에서 직접 만

든”이라는 claim이 더 효과적일 것임.

Page 18: RIG982SD (2)

39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미

국의

메뉴

트렌

드변

화6.

2010

2011

2012

1Loc

ally

grow

npr

oduc

eLoc

ally

sourc

edm

eats

and

seaf

ood

Loc

ally

sourc

edm

eats

and

them

e

2Loc

ally

sourc

edm

eats

and

seaf

ood

Loc

ally

grow

npr

oduc

eLoc

ally

grow

npr

oduce

sesaercniDc

M(slae

ms'dik

luf

htlaeH

ytilibaniats

uS

ytilibaniats

uS

3

com

mitm

ent

toa

mor

ehea

lthfu

l

men

u

4Bite-

size

/min

ide

sser

tsN

utri

tion

ally

bala

nce

dch

ildr

en's

dish

es

Hyp

er-

loca

l

5Loc

ally

prod

uce

dw

ine

and

beer

Hyp

er-

loca

l(e

.g.

rest

aura

nt

gard

ens,

doyo

ur

own

butc

her

ing)

Sust

ainab

ility

asa

culinar

yth

eme

6N

utr

itio

nal

lyba

lanc

edch

ildr

en's

dish

es

Childr

en's

nutr

itio

nChildr

en's

nutr

itio

nas

acu

linar

y

them

e

7H

alf-

port

ions/

smal

ler

port

ion

for

a

smal

ler

pric

e

Sust

ainab

lese

afoo

dG

lute

n-

free

/foo

dal

lerg

y-co

nsc

ious

item

s

·M

enus

frie

ndl

ier

todi

ner

son

rest

rict

eddi

ets

8Fa

rm-

/est

ate-

bran

ded

ingr

edie

nts

Glu

ten-

free

/foo

dal

lerg

yco

nsc

ious

Loc

ally

prod

uced

win

ean

dbe

er

·Loc

avor

em

ovem

ent

hea

dsto

the

bar

9G

lute

n-

free

/foo

d-al

lerg

y-co

nsc

ious

Sim

plic

ity/

back

toba

sics

Sust

ainab

lese

afoo

d

10Sust

ainab

lese

afoo

dFar

m/e

stat

e-br

ande

din

gred

ients

Whol

egr

ain

item

sin

kid

'sm

eals

Page 1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97

2010

2011

2012

11Sup

erfr

uits(

e.g.

acai

,goj

i

berr

y,m

ango

stee

n,

purs

lane)

Mic

ro-

dist

ille

d/ar

tisa

nliqu

orN

ewly

fabr

icat

edcu

tsof

mea

t,su

ch

asth

epo

rkfl

atir

onan

dth

ebe

ef

petit

tende

r

ided

narb-etatse/

mraFreeb

dna

eni

wdecudorp

-yllacoL

ecudorpci

nagrO

21te

ms

13Culinar

yco

ckta

ils

(e.g

.sav

ory,

fres

hin

gred

ient

s)

Hal

f-po

rtio

ns/

smal

ler

port

ion

for

a

smal

ler

pric

e

Food

truc

ks/

stre

etfo

od

stiripsnasitr

Aecudorp

cinagr

Oro

uqilnasitra/dellitsid

-orciM

41

maerceci

nasitra/edam

-esuo

Hhtlae

h/noitirtu

Nhtlae

h/noitirt

uN

51 16Sim

plic

ity/

back

toba

sics

Culinar

yco

ckta

ils(

e.g.

savo

ry,f

resh

ingr

edie

nts

)

Hea

lth/n

utr

itio

nas

acu

linar

y

them

e

17R

egio

nal

ethnic

cuis

ine

New

lyfa

bric

ated

cuts

ofm

eat

(e.g

Den

ver

stea

k,p

ork

flat

iron

,pet

ite

Ten

der)

Non

-tr

aditio

nal

fish

18N

on-

trad

itio

nal

fish

(e.g

.bra

nzi

no,

Arc

tic

char

,bar

ram

undi

)

표Fru

it/v

ege

childr

en's

side

item

s표

Fru

it/v

ege

kid

'ssi

deitem

s

19N

ewly

fabr

icat

edcu

tsof

mea

t

(e.g

.Den

ver

stea

k,

pork

flat

iron

,

Pet

ite

Ten

der)

Eth

nic

-in

spir

edbr

eakfa

stitem

s

(e.g

,Asi

an-

flav

ored

syru

ps,c

hor

izo

scra

mbl

edeg

gs,c

ocon

utm

ilk

panca

kes

Childr

en's

min

i-m

eals

(i.e

.sm

alle

rve

rsio

ns

ofad

ult

men

u

item

s)

20표

sliatkcocyra

nilu

Csesee

hcnasitr

As

metiedis

s'nerdli

hcegev/ti

urF

Page 20: RIG982SD (2)

39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애

피타

이저

류의

핫트

랜드

추이

7.

2010

2011

2012

deripsni

-doofteerts/ci

nht

Ee

hcuobes

um

A1

appe

tize

rs(e

.g.tem

pura

,ta

quito

s,ka

bobs

,hu

mm

us)

표Veg

e/V

eget

aria

nap

peti

zers

2M

ini-

burg

ers/

slid

ers

Am

use

bouch

e/bi

te-

size

hor

sd'

oeuv

reEth

nic

/str

eet

food

-in

spir

edap

peti

zers

(e.g

.tem

pura

,ta

quitos

,ka

bobs

,hu

mm

us)

3A

ppet

izer

com

bos/

plat

ters

War

map

peti

zer

sala

dsChar

cute

rie

plat

es/s

ampl

ers h

ezis-etib/e

hcuob-es

um

Asrettalp/sob

mocrezitepp

Asdalas

reziteppA

4or

sd'

oeuv

re

5Asi

anap

petize

rs(e

.g.t

empu

ra,

spri

ngro

lls/e

ggro

lls,

sata

y,du

mpl

ings

)D

um

plin

gs/d

imsu

mW

arm

appe

tize

rsa

lads

표사

이드

디쉬

류의

핫트

렌드

추이

8.

2010

2011

2012

atsap/seldoon

taeh

w-

noN

ecirneddibrof/

kcalB

aoni

uQ

1(e

.g.

quin

oa,

rice

,bu

ckw

hea

t)

2표

ecirkcal

Bao

niu

Qs

egevdesiar

B

aoni

uQ

ecirde

Recir

dliw/

nwor

B3

표4

Ste

amed

/gri

lled

/roa

sted

vege

s표

ecirde

Rsel

kcipege

V

ecir,nod

u,abos.g.e(seldoon

naisA

smeti

taeh

wkcuB

5noo

dles

)표

Veg

epi

ckle

s

Page 2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399

표디

저트

류의

핫트

렌드

추이

9.

2010

2011

2012

1Bite-

size

/min

ide

sser

tsA

rtis

an/h

ouse

-m

ade

ice

crea

mA

rtis

an/h

ouse

-m

ade

ice

crea

m

2A

rtis

an/h

ouse

-m

ade

ice

crea

mBite-

size

/min

ide

sser

tsBite-

size

/min

ide

sser

ts

3D

esse

rtfl

ights

/com

bos

Des

sert

flig

hts

/com

bos

Sav

ory

dess

erts

ssalcdetcurts

noceD

stressedyrova

S4

icde

sser

tsD

econ

stru

cted

clas

sic

dess

erts

sobmoc/st

hgilftresse

Dstressed

yrovaS

tebros/otaleG

5

표주

요리

의핫

트렌

드추

이10

.

2010

2011

2012

1Loc

ally

sourc

edm

eats

and

seaf

ood

Loc

ally

sourc

edm

eats

and

seaf

ood

Loc

ally

sourc

edm

eats

and

seaf

ood

2H

alf-

port

ions/

smal

ler

port

ion

for

a

smal

ler

pric

e

Sust

ainab

lese

afoo

dSust

ainab

lese

afoo

d

3Sust

ainab

lese

afoo

dH

alf-

port

ions/

smal

ler

port

ion

for

a

smal

ler

pric

e

New

lyfa

bric

ated

cuts

ofm

eat

(e.g

.

Den

ver

stea

k,

pork

flat

iron

,Pet

ite

Ten

der)

4N

on-

trad

itio

nal

cuts

ofm

eat

(e.g

Den

ver

stea

k,

pork

flat

iron

,

Pet

ite

Ten

der)

New

lyfa

bric

ated

cuts

ofm

eat

(e.g

.D

enve

rst

eak,

ork

flat

iron

,

Pet

ite

Ten

der)

Non

-tr

aditio

nal

fish

(e.g

.bra

nzin

o,Arc

tic

char

,ba

rram

undi

)

5New

lyfa

bricat

edcu

tsof

mea

t(e

.g,

Den

ver

stea

k,po

rkfla

tiron

,Pe

tite

Tend

er)

Non

-tr

aditio

nal

fish

(e.g

.bra

nzin

o,Arc

tic

char

,ba

rram

undi

)

Hal

f-po

rtio

ns/

smal

ler

port

ion

size

s

Page 22: RIG982SD (2)

40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아

침식

사브

런치

메뉴

의트

렌드

추이

11.

/

2010

2011

2012

1Eth

nic-

insp

ired

brea

kfas

titem

s(e

.g.A

sian

-flav

ored

syru

ps,c

horizo

scra

mbl

edeg

gs,

coco

nut

milk

panc

akes

Eth

nic-

insp

ired

brea

kfas

titem

s(e

.g.A

sian

-flav

ored

syru

ps,c

horizo

scra

mbl

edeg

gs,

coco

nut

milk

panc

akes

)

Eth

nic-

insp

ired

brea

kfas

titem

s(e

.g.A

sian

-flav

ored

syru

ps,c

horizo

scra

mbl

edeg

gs,

coco

nut

milk

panc

akes

2Tra

diti

onal

ethnic

brea

kfa

stitem

s(e

.g.h

uev

osra

nch

eros

,sh

aksh

uka,

ashta

,Ja

panes

e)

Tra

diti

onal

ethnic

brea

kfa

stitem

s(e

.g,h

uev

osra

ncher

os,

shak

shuka,

ashta

,ja

panes

e)

Tra

diti

onal

ethnic

brea

kfa

stitem

s(e

.g.h

uev

osra

nch

eros

,sh

aksh

uka

,as

hta

,Ja

panes

e)

3Fre

shfr

uit

brea

kfa

stitem

sFre

shfr

uit

brea

kfa

stitem

sFre

shfr

uit

brea

kfa

stitem

s

4Sea

food

brea

kfa

stitem

s(e

.g.s

mok

edsa

lmon

,oys

ter,

crab

cake

)se

hcn

urbexif

xirP

sehcn

urbexif

xirP

smeti

tsafkaerb

doofaeS

seh c

nurb

exifxi r

P5

(e.g

.sm

oked

salm

on,

oyst

ers,

crab

cake

)Fre

nch

toas

t/st

uff

edFre

nch

toas

t

표어

린이

식사

메뉴

의핫

트렌

드추

이12

.

2010

2011

2012

1N

utrition

ally

bala

nced

child

ren'

sdi

shes

Nut

rition

ally

bala

nced

child

ren'

sdi

shes

Hea

lthfu

lkid

s'm

eals

2표

Fru

it/v

ege

childr

en's

side

item

s표

Fru

it/v

ege

childr

en's

side

item

sW

hole

grai

nitem

sin

kids

'm

eals

3"K

idcu

isin

e"/g

ourm

etch

ildre

n's

dish

es"K

idcu

isin

e"/g

ourm

etch

ildre

n's

dish

es표

Fru

it/v

ege

child

ren'

ssi

deitem

s

4Childr

en's

entr

esa

lads

 "M

ini

mea

ls"

(e.g

.sm

alle

rve

rsio

ns

ofad

ult

men

uitem

s)"M

ini

mea

ls"

(e.g

.sm

alle

rve

rsio

ns

ofad

ult

men

uitem

s)

5Eth

nic

-in

spir

edch

ildr

en's

dish

esChildr

en's

entr

esa

lads

 O

ven-

bake

ditem

sin

kid

s'm

eals

(e.g

.ba

ked

chic

ken

finge

rs,

oven

-ba

ked

frie

s)

Page 2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01

표채

소류

의핫

트렌

드추

이13

.

2010

2011

2012

1Loc

ally

grow

npr

oduc

eLoc

ally

grow

npr

oduc

eLoc

ally

grow

npr

oduc

e

2Supe

rfru

its

(e.g

.aca

i,go

jibe

rry,

man

gost

een,p

urs

lane)

ecudorp

cinagr

Oecudorp

cinagr

O

,yrrebijog

,iaca.g.e(sti

urfrepu

Secudorp

cinagr

O3

man

-go

stee

n,

purs

lane)

Supe

rfru

its

(e.g

.ac

ai,

goji

berr

y,

man

gost

een)

4Exo

tic

fruit

(e.g

.duri

an,p

assi

on

fruit,

drag

onfr

uit,

paw

paw

,gu

ava)

nogard,

natub

mar.g.e(sti

urfcitox

Es

naebmoolrie

H

fruit,

paw

paw

,gu

ava)

5표

Mic

ro-

vege

s/m

icro

-gr

eens

Exo

tic

fruits

(e.g

.duri

an,

pass

ion

fruit,

drag

onfr

uit,

paw

paw

,gu

ava)

Hei

rloo

map

ples

표에

스틱

음식

과풍

미트

렌드

추이

14.

2010

2011

2012

1R

egio

nal

ethnic

cuis

ine

Reg

ional

ethnic

cuis

ine

Eth

nic

fusi

oncu

isin

e

enisi

ucnaivure

Pe

nisiuc

noisuf

cin

htE

noisuf

cin

htE

2 3N

orth

Afr

ican

/Mag

hre

bSou

thea

stA

sian

cuis

ine

(e.g

.Thai

,

Vie

tnam

ese,

Burm

ese,

Mal

aysi

an)

Reg

ional

ethnic

cuis

ine

enisi

ucnabu

Ce

nisiuc

naivureP

onita

Love

uN/

nacirem

Ani ta

L4 5

Sou

thea

stA

sian

(e.g

.Thai

,

Vie

tnam

ese,

Burm

ese,

Mal

aysi

an

Lat

inA

mer

ican

/Nuev

oLat

ino

cuis

ine

Sou

thea

stA

sian

cuis

ine

(e.g

.Thai

,Vie

tnam

ese,

Mal

aysi

an)

Page 24: RIG982SD (2)

40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기

타식

품식

재료

트렌

드추

이15

./

2010

2011

2012

nocabytlaiceps/

nasitrA

seseehc

nasitrA

seseehc

lanasitr

A1

,ocserfose

uq.g.e(sesee

hcci

nht

Ecilrag

kcalB

2

panee

r,le

bneh

,hal

loum

i)

Art

isan

chee

se

3A

nci

ent

gran

s

(e.g

.kam

ut,

spel

t,am

aran

th)

Art

isan

/spe

cial

tyba

con

Anci

ent

grai

ns

(e.g

.khor

asan

whea

t,

spel

t,am

aran

th)

4Fla

tbre

ads(

e.g.

naa

n,

papa

dum

,

lava

sh,

pita

,to

rtilla

)

Anci

ent

grai

ns

(e.g

.kam

ut,

spel

t,am

aran

th)

Gre

ekyo

gurt

oseuq.g.e(

eseehc

enisi

ucci

nht

Ecilrag

kcalB

ecnesse/p

urysre

wolF

5

fres

co,

panee

r,le

bneh

,hal

loum

i)

표조

리방

법의

핫트

렌드

추이

16.

2010

2011

2012

gnil

kciP

edivs

uoS

gnizeerf/g

nillihc

negortin

diuqi

L1

gnitne

mreFg

nisiarB

gnisiar

B2

edivs

uoS

gnizeerf/g

nillihc

negortin

diuqi

Lediv

suo

S3

gnizeerf/g

nillihc

negortin

diuqi

Lg

nilkci

Pg

niko

mS

4

gni

hcaop-li

Og

niko

mS

tifnoc/g

nihcaop

-liO

5

Page 2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03

표조

리주

제의

핫트

렌드

추이

17.

2010

2011

2012

gnicr

uoslacol

-repyH

ytilibaniats

uS

ytilibaniats

uS

1

(e.g

.res

taura

nt

gard

ens)

2Fa

rm/e

stat

e-br

ande

din

gred

ients

Hyp

er-

loca

l(e.

g.re

stau

rant

gard

ens,

doyo

ur

own

butc

her

ing)

Sust

ainab

ility

3G

lute

n-

free

/foo

dal

lerg

yco

nsc

ious

Childr

en's

nut

riti

onChildr

en's

nutr

itio

n

of/eerf-

netul

Gs

uoicsnoc

ygrelladoof/eerf

-netul

Ghtlae

h/noitirt

uN

4od

alle

rgy

consc

ious

5Sim

plic

ity/

back

toba

sics

Sim

plic

ity/

back

toba

sics

Farm

/est

ate-

bran

ded

ingr

edie

nts

표비

알코

올음

료의

핫트

렌드

추이

18.

2010

2011

2012

1Spe

cial

tyic

edte

a(e

.g.T

hai

-st

yle,

Sou

ther

n/s

wee

t,fl

avor

ed)

Spe

cial

tyic

edte

a(e

.g.T

hai

-st

yle,

Sou

ther

n/s

wee

t,fl

avor

ed)

Hou

se-

mad

eso

ftdr

inks/

soda

/pop

,elyts-ia

hT.g.e(

aetdeci

ytlaicepS

eeffocci

nagrO

eeffocci

nagrO

2

Sou

ther

n/s

wee

t,fl

avor

ed)

edano

meleda

m-es

uoh/te

mruo

Gacserf

aug

Aacserf

aug

A3

eeffocci

nagrO

edano

meleda

m-es

uoH

aetneer

G4 5

Fla

vore

d/en

han

ced

wat

erFla

vore

d/en

han

ced

wat

erD

airy

-fr

eem

ilk

(e.g

.soy

,ri

ce)

Page 26: RIG982SD (2)

40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알

코올

음료

와칵

테일

의핫

트렌

드추

이19

.

2010

2011

2012

1Loc

ally

-pr

oduc

edw

ine

and

beer

Mic

ro-

dist

ille

d/ar

tisa

nliqu

orLoc

ally

-pr

oduc

edw

ine

and

beer

2Culinar

yco

ckta

ils

(e.g

.sav

ory,

fres

h

ingr

edie

nts

)

Loc

ally

-pr

oduc

edw

ine

and

beer

Mic

ro-

dist

ille

d/ar

tisa

nsp

irits

3M

icro

-di

stille

d/ar

tisa

nliqu

orCulinar

yco

ckta

ils

(e.g

.sav

ory,

fres

h

ingr

edie

nts)

Culinar

yco

ckta

ils

(e.g

.sav

ory,

fres

h

ingr

edie

nts

,her

b-in

fuse

d)

4O

rgan

icw

ine/

beer

/liq

uor

Food

-be

erpa

irin

gs/b

eer

dinner

sFo

od-

beer

pai

rings

/bee

rdi

nner

s

5Fo

od-

beer

pair

ings

Bar

chef

s/m

ixol

ogis

tsO

nsi

teba

rrel

-ag

eddr

inks

Page 2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05

3.4. 서부 유럽의 외식산업 동향

서부 유럽의 식품 트렌드는 미국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 유럽 외식 소비자들 역시 고객 가치

(value)와 편의성을 추구하고, 경기가 회복된 이후에야 외식소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

경제 위기로 외식 소비가 감소되면서 레스토랑들은 브랜드 차별화를 강조하고 있음.

표적인 레스토랑 체인을 중심으로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 프랑스 레스토랑 규모는 2010년

7% 성장하 음. Sushi Shop는 2013년까지 프랑스에서 50개 이상의 매장을 오픈할 계획임.

도미노 피자는 독일 시장에 재진입을 하 고, 독일 외식 브랜드 Vapiano는 유럽에서 가장 빠

르게 성장하고 있는 레스토랑 체인임. Sausalitos 역시 전 유럽에 걸쳐 제 일위 캐주얼 레스

토랑이 되기 위해 성장하고 있음.

차별화 전략으로 환경에 한 관심 증가. 스타벅스는 2015년까지 컵을 100% 재활용 혹은 재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그린 목표를 시작하 고, 소덱소는 프랑스에서 학교의 급식배달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전환하고 있음. Lavazza는 지속가능한 커피 블렌드를 개발하기 위해 브라질의

세 커피 생산자와 협력하고 있으며, 맥도날드 프랑스는 환경에 미치는 향 감소를 테스트하

기 위해 시험적으로 저녁 시간 배달을 3곳에서 12곳의 업장으로 확 함. 독일의 Skelaff는 한

번 사용한 음료 포장을 수집하는 벤딩머신을 론칭함.

건강음식을 전문으로 하는 패스트 캐주얼 레스토랑이 증가. (Extreme Pita, Energy

Kitchen, Roti Mediterranean, Pita Pit 등). 건강한 음식에 한 요구에 반 하여 음료, 간

식에서도 건강식의 인기가 상승. 스무디, 건강 디저트 레스토랑, 샐러드 체인이 등장함 (Mixt

Greens, Salad Story (Poland), BioWay Cafey(Poland)).

서부 유럽 ( 국, 프랑스, 독일)의 외식 소비자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외식기업들은 매스 로컬

라이제이션 (mass localization)을 추진하고 있음. 즉, 메뉴를 지역이나 국가, 인구 집단의

segment에 따라 맞춤형으로 변형하고 있음. 특히 소비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도와주는 제품

이 인기를 끄는데, 푸드 트럭, 팝업 레스토랑이 성공적인 예임. 미국의 패스트 캐주얼 콘셉튼

가 유럽에서 성공하고 있음. 즉, 레스토랑 또는 테이크 아웃를 위해 시간 별로 차별화된 향

미와 양을 조합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음.

최근 등장하는 유럽 레스토랑 브랜드는 전 세계적인 민속음식의 인기를 반 하여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성공을 거두고 있음. 유럽의 오래된 전통 있는 레스토랑들은 다양한 전략을 이용해

현 화를 꽤하고 있음.

Page 28: RIG982SD (2)

40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특히 비만이 증가하면서 양 정보에 한 투명함, 건강 메뉴의 증가는 법적으로도 요구되고

있음. 예를 들어 덴마크는 전 세계에서 최초로 기업에 지방세 (fat tax)를 부가하는 법안을 통

과하 고, 국에서는 어린이를 상으로 하는 패스트푸드 광고를 금지한 바 있음.

3.5. 영국의 외식/메뉴 트렌드

2012년 국의 외식메뉴 트렌드를 “natural and subtle”로 표될 수 있음. 레스토랑이 건강

한 식생활에 한 사회적 책임이 있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채소를 이용한 메뉴가

증가하고 있고, 조리의 열처리 과정이 양소를 손상시킨다는 인식으로 인해 열처리를 하지 않

거나 낮은 온도로 조리하는 음식이 건강한 음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육류와 생선류의 가격

이 상승하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됨. 다음 표에는 2012년 국의 메뉴 트렌드가 제시되었음.

표 20. 국의 2012년 외식/메뉴 트렌드

조리의 감소 (Less cooking)

가열 처리를 적게/저온 조리 (less heat and lower temperature)

채소를 더 많이 사용 (more vege표s on plates)

자연의 감 (inspiration from nature)

식재료 구하기 (foraging/wild harvest)

현 적 채식 식당의 증가 (an increase in modern vegetarian restaurants)

분자조리의 퇴보 (a regress of molecular cooking styles)

레스토랑 소유 농장에서 생산된 식재료 (chefs and restaurateurs owning farms and growing their own ingredients)

지역 산물의 사용 (more use of local foods)

메뉴에 열량 표시 (calories displayed on menus)

Page 2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07

< 국의 대표적인 국수 전문 브랜드>

Pho: 표적인 베트남 국수전문 체인 레스토랑으로 국 전국으로 확장 계획에 있음.

Tonkotsu: Tsuru Sishi에서 최근 Soho's Dean 거리에 오픈한 라면 전문점

Shoryu Ramen: Japan Centre Group이 운 . 후쿠오카 하카타 지역의 전통적인 톤코슈 라

면을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 된장과 간장으로 맛을 된 일본의 전통 라면.

Bone Daddies: 런던 소호에 위치한 라면 전문점. Zuma London과 Nobu Dallas 최고 주방

장 출신인 Ross Shonhan이 오픈.

YO! Sushi: 초밥 체인 레스토랑. 최근 수석 조리사 Mike Lewis에 의해 창조된 독특한 라면

메뉴를 론칭

The Noodle House: UAE에 본사를 둔 레스토랑으로 최근 국에 진출. 동남아시아 거리 음

식을 주제로 하는 체인레스토랑으로 국 내 27개의 점포를 출점할 계획임. 국수를 표 음식

으로 하지만, 딤섬, 타이 커리, 치킨 탕수육 등 아시아권 음식을 판매.

3.6. 중부 및 동부 유럽의 외식산업 동향

Euromonitor International의 정의에 따라 중부와 동부 유럽을 헝가리, 폴란드, 우크라이나,

체코, 러시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로 정하 음. 이 중 가장 표적인 외식시장은

러시아, 헝가리, 폴란드, 우크라이나, 체코임.

중부와 동부 유럽은 2008년 세계경제 위기의 향을 많이 받았고, 국제 유가의 변동에 크게

향을 받는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음. 중부와 동부 유럽의 외식산업 규모는 480억 달러에 이

름. 서부 유럽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판단됨.

표 21. 중부와 남부 유럽의 외식산업 시장 규모의 추이와 예측

(2010년 환률 기준, 단위: 미국 달러)

년도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규모 50,453.4 48,468.8 43,380.6 49,526.7 51,024.1 52,871.2 55,056.6

Page 30: RIG982SD (2)

40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외식산업을 구성하는 표적인 업태는 크게 일반 레스토랑 (full-service restaurants), 카페/

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으로 구분되고, 각각이 전체 외식시장의 1/3을 차지함. 미국의 외식시

장과 비교할 때, 카페/바의 선호도가 높은 것이 특징임.

이 지역의 외식 소비 행동은 서부 유럽과 유사함. 단 품질, 고급 카페/바, 패스트푸드에 한

선호가 매우 높게 나타남. 특히 고급 커피에 한 서호도가 매우 높으나 그 만큼의 고가를 지

불할 만한 경제적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함. 패스트푸드 시장의 점유율은 미국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지만, 경제가 회복되면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국가별로 외식시장의 규모는 다양함. 가장 규모가 큰 러시아 시장은 2005-2010년 동안

10.2% 감소하 지만, 반등하여 2010-2015년 기간에는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2005-2010년 기간 동안 성장을 보인 국가는 폴란드가 유일하 음 (0.6%).

러시아의 프리미엄 외식 분야는 성장 가능성이 높아 중소 규모의 식품 수입업자들 (와인, 고급

육류, 고급 해산물 제품)에게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실제 미국 농무성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외식시장에서 이용하는 부분의 농산식품 (80% 이상)이 수입된다고 알려짐. 또한 러시아 패

스트푸드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고, 편의성, 가치를 더한 제품, 매장의 확 로 러시아 시장

에서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3.6.1. 대표적인 외식 트렌드

외식소비의 감소

중부와 동부 유럽이 세계적 경제 침체로부터 천천히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소비자들은 소

비에 더 신중을 기울일 것임. 이로 인해 외식 신 가정에서 식사를 더 자주 하고 외식은 가

족 모임, 특별 행사로 제한할 것으로 보임.

커피숍의 증가

이 지역 외식소비자들의 카페와 바 이용은 계속해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됨. 저렴한 커피와 고

급 커피 등 다양한 커피 제품을 제공하는 카페와 바 모두 성장할 것이고, 향후에는 고급 커피

제품에 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가까운 기간 내에 커피 시장은 곧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보임.

더 몸에 좋은 음식

경기가 회복되고, 소득이 증가되면서 소비자들은 건강에 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특히 체

코 외식소비자들은 이미 더 건강에 좋은 음식, 유기농 식품에 해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

음. 이에 따라 마요네즈를 적게 사용한 샌드위치, 튀긴 칩 신 샐러드를 사이드 메뉴로 제공

하는 등 건강메뉴가 인기를 끌고 있음.

Page 3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09

인구 감소

이 지역에서도 인구 감소는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고 적어도 앞으로 5년 동안은 현재 수준 이

상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됨. 인구 감소와 노동 가능인력의 감소는 외식시장의 성장에 위

협 요인이 될 것임.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노인 외식소비 시장에서는 일반 레스토랑

(full-service restaurant)이 가장 인기를 끌 것임.

관광산업의 의존 증가

중부 및 동부 유럽의 경제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 체코와 헝가리는 지난

2년간 국내 관광과 외래 관광 시장이 모두 감소하 고, 외식산업의 매출에도 향을 미쳤음.

경기 회복과 함께 관광객의 증가가 기 됨.

새로운 아이디어로 고객 유치

경기 침체에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외식업체에서 다양한 사업 아이디어를 적용하고 있음.

‘위기 메뉴 (crisis menu)’ 라고 불리는 점심 메뉴나 할인 메뉴나 고객의 관심을 끌기 위한 쿠

폰 등이 인기가 있음.

경기 침체

이 지역은 한 국가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불확실성은 인근 지역에 도미노 현상으로 확 되고

있음. 경기 침체에 소비 행동이 쉽게 향을 받는 취약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음.

3.7. 캐나다의 메뉴 트렌드

캐나다 레스토랑 협회에서는 2010년 이후 매년 300명 이상의 전문 조리사를 상으로 설문조

사를 실시하여 그 다음 해에 가장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되는 메뉴를 선정하고 있음. 2011년

과 2012년 외식산업의 트렌드는 미국의 외식산업 트렌드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Page 32: RIG982SD (2)

41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22. 캐나다 레스토랑협회의 메뉴 트렌드 조사 결과

2011: Top 10 Hot Trends 2012: Top 10 Hot Trends 2012: Top 10 Up and Comers

지역 산물을 이용한

음식/향토 음식

지역 산물을 이용한

음식/향토 음식아프리카 음식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 흑마늘

양/건강무글루텐음식/식품

알레르기에 한 관심무글루텐 맥주

유기농 농장 브랜드 식재료 적미 (red rice)

단순함/기본에 충실 단순함/기본에 충실 페루 음식

무글루텐음식/식품

알레르기에 한 관심

양/건강 (저지방, 저나트륨,

항산화 양소, 섬유소 등)채소 세비쉐 (Ceviche)

직접 제조한 맥주민속음식/길거리음식 같은

애피타이저micro-distilled/artisan 주류

고급 치즈 (Artisanal cheese) 푸드 트럭/길거리음식 염소

한입크기/미니 디저트고급 치즈 (Artisanal

cheese)

기타 가금류 애피타이저 (오리,

매추리 등)

퀴노아(Quinoa) 한입크기/미니 디저트 특별한 풍미의 아이스크림

3.8. 국내 농산업 트렌드

외식산업에서 이용하는 자원 중 가장 중요한 자원 중의 하나가 식재료임. 식재료는 종류가 많

고 시기별에 따라 품질, 가격의 변동이 심한 것이 특징임.

식재료비가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외식업체의 운 수익에서 중요한 역할

을 차지. 또한 식재료의 수급 상황은 메뉴 상품의 개발에도 향을 미칠 수 있음.

외식산업에 식재료를 공급해 주는 농산업의 역할이 중요하고 농산업의 최근 트렌드를 검토해

봄으로써 외식산업 메뉴 상품 개발에 기회와 위기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음.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되는 RDA 인터로방 자료를 활용하 음.

Page 3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11

표 23. 우리나라 농산업 트렌드

2011 2012

1 FTA : 갈등과 도전 FTA의 위기

2 Agribusiness : 農事에서 農社로 건강에 한 갈망

3 Smart Farm : 농업과 소셜 네트워크의 만남 치유를 위한 농업

4 Transition : 젊어지는 농촌 변화하는 농촌 공간

5 Safety : 안전한 먹을거리 새로운 애그리비즈니스

6 Link : 생산자와 소비자의 만남 다문화

7 Origin : 복고열풍 세분화되는 스마트소비

8 Waste : 농업 부산물의 새로운 가치 기후변화에 한 도전

3.9. 중단기 우리나라 외식 소비 행동과 메뉴 트렌드

3.9.1. 적게, 적게, 더 적게

웰빙, 건강에 한 관심은 향후 10년 이상 외식산업에 향을 미칠 중요한 메가 트렌드가 될

것임.

최근 웰빙의 개념이 발전하면서 그 내용이 다양해지고 있음. 건강식의 개념이 무엇인가를 많이

넣는 데에서 나쁜 것이 들어 있지 않은 개념으로 변화. 첨가물을 넣지 않은 식품, 가공을 최소

화한 식품, 조리를 적게 한 음식이 가장 자연스럽고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 인식.

매크로바이오틱: 주로 현미를 중심으로 한 정제되지 않은 곡물과 채소, 해산물, 콩류 등 제철

음식을 통째로 먹는 식생활 방법

3.9.2. 로컬 푸드, 국내산 식재료 사용을 홍보하는 레스토랑

중국산 식재료에 한 불신뿐만 아니라 2011년 일본의 지진 이후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오

염에 한 불안, 식품안전 문제를 다루는 언론 매체가 증가하면서 식품안전에 한 불안감은

매우 높은 상황임.

국내산 식재료만을 사용한다는 점이 외식업계에서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임.

특정 지역의 농가와의 직거래, 레스토랑 직 농장(밭 등)의 운 이 가속화 될 것임.

Page 34: RIG982SD (2)

41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3.9.3. FTA, 메뉴 상품 개발의 기회

미국, EU 등과 FTA 타결되면서 보다 다양한 식재료를 싼 가격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됨.

과거 소비자들에게 고급 음식, 비싼 음식이라 인식되던 메뉴를 저렴한 식재료를 이용한 메뉴

상품으로 개발.

3.9.4. 한식세계화, 전통음식 및 향토음식의 재발견

정부의 한식세계화 사업과 더불어 한류 문화에 한 향으로 전통 식문화에 한 관심과 자

부심이 높아짐.

최근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향토 음식을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 (예: 음식 축제, 체험 프로

그램)이 본격화 되면서 향토 음식이 재발견되고 있음. 특히 지역 특산물의 홍보 수단으로서 향

토 음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시 에 맞게 변형한 향토음식의 개발.

미국에서 한국음식을 널리 알린 브렌드인 Oh! Gogi는 기존의 점포 신 트럭을 통해 이동하

는 것이 특징으로, 한국 flavor를 이용하나 전체적인 형태는 멕시코 음식을 표 메뉴로 함.

외국에서 성공한 한식을 이용한 브랜드가 국내로 역수입 가능.

3.9.5. 가정에서 즐기는 레스토랑 음식

맞벌이 가정의 증가, 소규모 가구의 증가, 시간의 부족으로 가정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가

감소하고 있으나, 외식 비용이 경제적 제한점임.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레스토랑 브랜드가 슈퍼마켓, 홈쇼핑 등을 통해 레스토랑 메뉴를 편의식

형태 (home meal replacement: HMR)로 판매하고 있음.

조리기술과 시간이 부족한 소비자들은 소포장된 형태의 HMR 음식의 주된 소비자가 될 것임.

3.9.6. 국내에서 즐기는 세계 맛 기행

에스닉 푸드를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추세임.

기존의 에스닉 푸드가 인도, 베트남 등에 국한되어 있었던 것에 비해, 터키, 헝가리, 멕시코, 남

미 국가 등으로 범위가 확 되고 이를 한식과 접목한 퓨전 에스닉 레스토랑도 인기를 끌 것임.

Page 3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13

에스닉 푸드 레스토랑의 경우 식재료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여 원가 부담이 있었으나, 기

후 온난화로 국내에서 아열 작물 재배가 즐어나면서 식재료의 수급과 원가 부담이 감소될 것

임. 특히 농촌에 거주하는 동남아 출신 결혼 이주자들이 성공적인 다문화농업을 보여주고 있음.

3.9.7. 건강관리를 위한 나의 전문 조리사

비만, 사증후근, 당뇨, 고혈압, 암 등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음식

에 한 관심이 증가.

부분의 만성 질환의 관리에서 식생활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가정 내에서 조리하는 사람이

없거나 조리기술 부족, 한 사람만을 위한 식사준비의 번거로움 등으로 질환과 개인적 건강상태

에 따라 맞춤형 배달 식사를 제공하는 사업의 성장이 기 됨.

이미 이유식 시장(예: 베베쿡- 아기의 성장단계별로 단계화된 이유식을 가정으로 배달 서비스)은

상당한 규모로 성장하 고, 다이어트 식사 배달 서비스, 치료식 배달 서비스도 성장하고 있음.

3.9.8. 기존의 상식을 뛰어넘는 메뉴 상품

꼬꼬면, 나가사끼 우동 등은 라면은 빨간 국물이어야 한다는 고정 개념을 깨면서 라면 시장 규

모를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되었음.

같은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기존에 제공되던 방식, 조리 방식에 약간의 사고전환으로 새로운 메

뉴 상품의 개발이 가능. 해외 시장의 메뉴 상품에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을 것임.

3.9.9. 음식 즐기기, 요리 즐기기

음식을 먹는 것이 생존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여가 활동이 되고 있음. 맛있는 음식, 특

별한 음식을 먹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음식을 먹고 음식에 해 배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여행도 등장.

또한 과거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생활을 위한 방법이었으나 시간 부족 등으로 가정에서 조리

하는 비율이 감소함. 그 신 요리가 취미 활동이 되고 있음.

상에 따라 다양한 조리 관련 프로그램이 증가하고 있고, 요리에 한 깊은 조예와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이 증가. 가정에서의 조리 횟수가 감소하는 반면, 주방 기기에 한 투자는 더욱 증가.

고급화된 고객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메뉴 개발.

Page 36: RIG982SD (2)

41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3.9.10. 스마트 폰, 인터넷, SNS,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소비자들이 레스토랑을 선택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인터넷과 SNS임. 소비자들은 레스

토랑의 광고 보다는 지인들의 의견을 더욱 신뢰함. 따라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홍

보, 예약, 소셜 커머스 등을 이용한 마케팅이 증가할 것임.

같은 매체를 통해 레스토랑에 한 나쁜 소문 역시 빠르게 전달될 우려가 있음. 최근의 채선당

의 임산부 폭행 사건에서 나타났듯이 사건의 진위 여부에 관계 없이 해당 업체와 브랜드는 큰

타격을 입게 되고, 프렌차이즈의 경우 그 피해가 더욱 클 수 있음. 고객 한명 한명이 자신만의

중매체를 갖고 있는 것과 같으므로 고객 MOW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

Oh! My Gogi는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트럭의 이동 장소를 알리고, 고객들은 이 정보를

통해 이동 레스토랑을 찾아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새로운 점포 운 을 가능케 함.

3.10. 식품업계의 신제품으로 본 식품업계 트렌드

3.10.1. 여성과 어린이, 남성를 위한 세분시장 공략

시장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틈새시장 창출

캡사이신을 강화한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다이어트 기능을 강조한 여성전용 김치 출시. ‘미인의

선택’( 상 종가집)

어린이들의 취향에 맞는 맛과 재미있는 디자인으로 기존제품과 차별화한 ‘키즈’ 전용 식품. ‘맛

있는 녹즙 스쿨’(풀무원녹즙), ‘토마스와 홍삼친구’(보령약품), ‘닥터크로렐라 키즈’( 상), 스마

트캡을 도입한 어린이 전용생수 ‘아이시스 주니어 워터’(롯데칠성음료)

남성소비자를 겨냥한 ‘ 단한 나초’(오리온), 직장생활의 스트레스 해소를 내건 전자렌지용 떡

볶이 제품인 화볶이(CJ 제일제당) 등도 인기

3.10.2. 제품 속성의 컨셉을 다양화

기존 제품의 식음 방식을 차별화하여 색다른 제품 출시. 역발상 전략으로 히트상품 추구

경제 불황과 더불어 조리가 간편하면서도 외식분위기를 낼 수 있는 이색 면요리출시 봇물. ‘나

가사끼 짬뽕’(삼양), ‘꼬꼬면’(팔도), ‘후루룩 칼국수’(농심), ‘기스면’(오뚜기) 등의 하얀국물 라

Page 3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15

면, ‘쌀국수 짬뽕’(농심)

두부: 요리용에서 간식, 식사 용으로 다양화. 생식용 두부시장 확 . ‘소이데이’(풀무원), ‘모

닝두부’(CJ 제일제당)

‘마시는’ 유산균 음료 시장이 ‘떠먹는’ 유산균 제품 시장으로 체. ‘떠먹는 불가리스’(남양유

업), ‘프리미엄 슈퍼 100’(한국 야쿠르트)

여름 메뉴로 개발된 ‘가쓰오 냉우동’(CJ 제일제당), ‘떠먹는 케익’(뚜레쥬르)

장은 메주로 담근다는 편견을 깬 ‘참깨간장’( 상 청정원)

3.10.3. 프리미엄 제품 출시 붐

식품 안전에 한 불신으로 주머니는 가벼워졌지만, 양보다는 질을 추구. 저렴한 상품구입을

줄이는 신 제 로 된 것을 구입하자는 가치지향적 소비행태 확산

프리미엄의 주된 속성은 웰빙과 건강 또는 기존 제품에 기능성 강화

면류: ‘착한 칼로리면’(청정원), ‘제일제면소’(CJ), ‘삶지 않고 바로 먹는 냉면’(풀무원)

커피: 원두커피 혹은 블랙커피의 유행. 본연의 맛과 향을 추구. ‘일리 이씨모’(한국코카콜라),

‘카페라떼 아이스블랙’(매일유업), ‘카누’(동서식품)

탄산수: 소비자들은 평범한 물과 다른 탄산수에 주목. 탄산수의 건강 기능성 강조 ‘디아망’(퓨리스)

우유: ‘상하목장’(매일우유), 유리병을 사용한 ‘제주청정우유’(자연이담), ‘건국 헬스플러스’(건국

우유), 천연식물 추출물 첨가로 해당 계절에만 한정 생산하는 ‘자연의 선물’(서울우유)

과자: ‘닥터유’(오리온), 슈퍼푸드를 원료로한 ‘슈퍼푸드클럽’(해태제과), 국내산 순쌀을 사용한

‘마더스 핑거’(롯데제과), 예술과 그린소비를 접목시킨 ‘에코아트’(크라운제과)

3.10.4. 건강에 좋은 특정 식품을 테마로 한 제품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진 전통 재료를 상품화하여 출시. ‘복분자와 산수유’(풀무원 녹즙),

‘블루베리, 석류, 흑마늘, 헛개음료’ (풀무원 식품), ‘헛개열매차’(티젠), ‘아이시안 블루베리 &

비타민 A’(CJ 뉴트라), ‘물처럼 마시는 홍삼수’(농심)

콩을 이용한 제품출시 증가. ‘소이 그린뷰티’( 상웰라이프), ‘든든한 콩’(웅진식품), ‘땅콩 로켓 아이스

크림’(베스킨라빈스 31), ‘국산콩두부로 만든 새콤달콤 유부 초밥’(풀무원), ‘살아있는 아침’( 상 FNF)

과일을 이용한 제품출시 증가. 합성 첨가제를 넣지 않은 무첨가제 제품 출시. ‘트로피카나 1/2

칼로리’(롯데칠성음료), ‘과일숙성햄’(한성기업), ‘자연의 주스’(정식품)

Page 38: RIG982SD (2)

41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국내산 쌀을 이용한 제품 증가. ‘별이별미’(크라운제과), ‘엄마가 米는 쌀식빵’(파리바게뜨), ‘우

리쌀 컵수프’(청정원), ‘막걸리 칵테일’(비비고), ‘우리쌀 프레이크’(씨알 푸드)

천일염: 미네랄이 풍부한 천일염 상품화 바람. 호텔 레스토랑에서도 천일염 사용을 세일즈 포

인트로 사용. ‘해표 함초로 만든 자연소금’(사조해표), ‘신안바다 천일염’(샘표식품), ‘섬들채 해

조소금’(태평소금)

생수시장의 경우 미네랄 함유량 또는 원수의 신선함, 브랜드 이미지 등에 마케팅 중심을 두었

으나 최근 자연친화적 용기에 초점을 둔 마케팅이 성공. ‘순수’(코카콜라)

3.10.5. 실속구매, 소포장, 소용량 제품

핵가족화, 출산율저하 등의 사회현상을 반 . 싱글, 소가족 소비시장의 성장 예상. 경제침체

및 건강을 위한 小食 추세와도 일치. 3개들이 팡찌니(샤니), 2인 용량에 맞춘 1L짜리 큐팩(OB

맥주), 두부 한모를 4등분하여 개별 포장한 ‘신선한 네모’(풀무원), ‘6쪽 식빵’(삼립식품)

편의성 추구 추세를 반 한 1회분 개별 포장이 인기. ‘맛선생 국물내기 티백’(청정원), ‘리얼비

타민 MVP’(풀무원), 1회분 27g을 개별 포장한 ‘시리얼 콤보팩’(농심 캘로그), ‘산들애 스

틱’(CJ 제일제당)

3.11. 식품 관련 정부기관에서 공모/선정한 과제 경향

3.11.1. 취약계층 (고령화, 아동, 암 환자 등)을 위한 편이식 개발

우리사회의 다양한 취약계층을 타겟으로 하는 연구에 한 지원 증 (표 24). 특히 고령화 사

회에 비하여 노인을 위한, 노인에 한 괴제 공모가 농기평, 농진청, 식약청, 보산진 모두에

서 공고됨. 이외에도 아동 비만 및 식생활 관리 그리고 암환자를 위한 특수 양식에 한 공

모가 특징적인 경향이었음.

3.11.2. 나트륨 저감화

2012년 한해 동안 나트륨 저감화에 한 정부 지원 및 관심이 매우 높아짐. 나트륨 저감화에

한 요구는 식품 산업 및 양정책 2-track 으로 접근하고 있음. 전세계 경향 정부차원에서

Page 3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17

주관기관 2012년 공모과제 명

농기평

1) 기획과제

-회복기 암환자의 양관리를 위한 특수 양식품 개발

-기능성 전통발효식품유래 발효미생물의 유전체 정보를 활용한 인체

- 사성 질환예방 식품신소재 개발

-기호성 증진 저칼로리 식품소재 및 이를 활용한 제품 개발

-상온 유통용 고품질 가공식품을 위한 차세 멸균기술 개발

-즉석섭취·편의식품용 냉장·냉동 곡류가공식품 제조 기술 및 제품 개발

-육우 송아지 고기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가공제품 및 조리법 개발

-소화율 향상 및 연하장애 개선을 위한 고령친화형 식품 가공기술 개발

-가공공정 개선에 의한 나트륨 저감화 방법 개발

-고품질 장기 숙성 증류주의 제조 및 숙성 기술 개발

-농산물 가공 부산물 및 비상품성 농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포장 소재화

-생산성 향상을 위한 김치 제조 공정용 가공 플랜트 기반기술 개발

-외식 산업용 온도감응형-온도조절형 용기 및 식기 개발

-신선편의식품의 스마트 안전유통 관리기술 개발

나트륨 저감화에 한 정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국내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3.11.3 기능성 식품 및 유기농 식품 개발

유기농 및 기능성 식품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크고 이에 한 수요 잠재력이 여전히 높은 편

임. 특히 농업에서는 기능성 식자원 개발과 유기농 재배가 고수익창출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

에 이에 한 연구는 중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임.

3.11.4. 기후변화와 식품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끼치는 향에 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에서 기후변

화에 응할 수 있는 농업 생태계 변화 및 식품 산업 변화를 적극적으로 예측하려는 시도가

강화되고 있음.

표 24. 2012년 정부에서 공모, 선정한 식품 관련 과제

Page 40: RIG982SD (2)

41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주관기관 2012년 공모과제 명

농기평

2) 자유 응모과제 분야

-식품산업 현장형 고효율 검출 및 제어기술

-식품의 원산지 및 위․변조 판별기술

-식품소재의 기능성 증진 핵심기술 ④ 질병예방․건강증진용 식품개발

-융합기술 활용 기능성식품 기반 구축기술 ⑥ 식품바이오 신소재 개발기술

-식품 체소재 개발기술

-저탄소 / 고효율/ 융복합 식품가공기술

-전통식품 원천기술 및 응용제품 개발

-생물전환 및 발효핵심 기술

-기능성 /지능형 친환경 포장기술

-식품기계 개발기술 조리기기 및 산업용 식기 개발기술

-고효율 표준화 물류 시스템기술

-스마트 식품유통시스템기술

-수출용 한식 식재료 및 한식 HMR 개발기술

3) 수출전략기술개발사업

-글로벌 브랜드 육성을 위한 멜론 수출전략기술 개발

-농식품 중 방사능 현장 신속 분석기술 및 장비 개발

-수출입 농산물 검역의 메틸브로마이드(MeBr) 체 친환경 기술 개발 및 적용

-신선편이농산물의 수출시장개척을 위한 선도유지 기술 및 유통체계 확립 연구

-열처리 돈육가공품의 수출전략 기술개발

4) 한식세계화용역연구사업

- 한식 우수성‧기능성 연구

- 김치의 기능성 메커니즘 규명연구

- 산채나물을 활용한 전통요리의 기능성 규명연구

- 전통 장류의 사증후군 개선 효과에 한 인체 적용시험

- 전통발효식초 기능성 규명연구

- 한식우수성·기능성 연구사업 중장기계획 및 기술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5) 한식 현지화 지원사업

-한식의 할랄(Halal)인증을 위한 제품․메뉴 개발

-해외 진출용 상품․메뉴,비즈니스 모델 개발

Page 4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19

주관기관 2012년 공모과제 명

농기평

6) 농기평 2012년 하반기 기획과제-해외 진출용 약과류의 상품 및 유통기술 개발 -우리 의 제빵품질 향상기술 및 기능성 신제품 개발 -훈련용 전투식량 개선 및 레저관광 수요증가에 응한 아웃도어용 식품 개발

농진청

1) 내외부-도시녹화공간의 환경가치평가 및 환경성능 프로그램 개발-도시농업을 통한 농업소득 향상 현장실증-농업생태계 기후변화 노출 시스템 취약성, 적응능력 지표개발-특수미 하이아미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 및 평가-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조절 기전구명 및 질환조절 천연소재 탐색 연구-콜라겐 분해물의 인체 골건강 증진 임상효과 구명-조골 및 지방세포 분화능 동시조절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발효더덕 추출물을 이용한 인지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개발-부추속 식물자원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육모/양모제 개발-국내 기능성 농식품의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등록지원 연구 -란 유래 유용물질의 신속 분리 및 고부가가치 활용 기술개발-국산 지치와 황기를 이용한 관절건강개선 건강기능 식품 기능성원료 개발-노루궁뎅이버섯의 임상연구를 통한 인지능력개선 소재 개발-새싹보리 고지혈증 타깃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원료 개발을 통한 식의약 소재 개발-팥속 자원의 당뇨성 질환개선 임상적 효능 및 안전성 평가-과실류 신선도 유지를 위한 나노기술 이용 코팅제 및 포장소재 개발-지구온난화에 응한 탄소절감형 축산물 유통기술 개발-쌀 고추장의 맛 평가 및 지표 개발-서류(감자․고구마)의 가공 적성 구명 및 제품 개발-쌀과 특산 식재료 가공기술 개발 및 저장․유통기한 설정 연구-과일을 이용한 2배 식초의 품질 고급화기술 개발

2) 외부공모-녹색치유농업의 해외 실태 및 국내도입 전략개발-다양한 유기농 채소 재배 관련 기술-농식품자원 유래 기능성 색소의 소재화 기술 개발-식미용 기능성소재 수입 체를 위한 국내 천연자원 품질 표준화-강황 잎 이용 신수요 창출을 위한 기능성 신소재 실용화 연구-별미밥의 조리·제조공정 편이화 연구-쌀중심 한국형 미각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정서함양 효과 분석-쌀을 활용한 초록고추장 제조 및 상품화기술 개발-보리를 이용한 발효주 및 증류식소주 제조기술 개발-떡 굳음방지기술 이용 증진방안 및 메카니즘 구명

Page 42: RIG982SD (2)

42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주관기관 2012년 공모과제 명

농진청

3) 추가공모

-장수풍뎅이 식품등록을 위한 원료특성 분석 및 인체 위해성 평가

-팥속 자원의 당뇨성 질환 개선 임상적 효능 및 안전성 평가

-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국내외 농업 생산성 변화 예측 및 경제적 향 평가

-유기채소류의 기능성 향상에 미치는 원인구명 연구

-잡곡발효음료의 품질개선 및 산업화 연구

-파보일드 라이스 제조 및 이용성 증 기술 개발

-농가형 약선리큐르의 보건 기능 구명

식약청

-소변 검사법을 이용한 나트륨 섭취 현황 조사 및 건강 향 연구

-생애주기별 맞춤형 양정보 및 식생활가이드 개발 연구

-노인 상 식품안전· 양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열량저 양 식품의 TV 광고 제한과 어린이 비만의 관계에 한 연구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알레르기성 평가 연구

-식품용 나노소재의 분류 체계화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저나트륨식 적응 연구

-전국 초등학생 어린이의 식생활 양관리 수준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보건산업

진흥원

-고령친화 우수제품 지정제도 운 및 우수사업자 지정 시범 운

-고령친화산업 관련 전문인력 교육 개발 및 운 지원

-소금 섭취량 저감화사업

- 양관리서비스 산업육성 기반조성 등

3.12. 소비자 조사를 활용한 주요 가공식품의 선호도 및 선호요인 조사

3.12.1. 라면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농심라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라면 브랜드는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오징어짬뽕> 무

파마>사리곰탕면>후루룩칼국수>진짜진짜라면>감자면>뚝배기설 탕 순이었음.

신라면을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요인은 얼큰함, 친숙함, 원조, 브랜드 이미지, 품질, 맛 등이었

음, 너구리는 품질이 가장 우위에 있었으며 원조, 브랜드 이미지, 친숙함, 질좋은 면 등이 주요

요인임. 안성탕면은 브랜드 이미지, 친숙함, 부담 없는 맛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으며 오징어

짬뽕은 새로운 맛에 대한 호기심이 가장 높은 빈도로 꼽힘(Table 25-1, 25-2, 25-3).

Page 4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21

높이 선호되는 제품들에 해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신라면의 경

우 좋아한다고 인식할 때 보다 자주 먹는다고 인식하는 경우 그 요인은 경제적인 가격, 맛의

친숙함, 익숙함, 국물 맛 등인 것으로 조사됨. 너구리의 경우 자주 먹는 소비자의 경우 전반적

인 맛의 조화가 너구리를 좋아하는 소비자에 비해 중요한 요인으로 꼽힘. 안성탕면을 자주 먹

는 이유로는 품질, 가격, 중독성 있는 맛 등의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Table 26-1).

각 라면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신라면, 뚝배기

설 탕, 후루룩칼국수, 안성탕면 등이 지수가 낮게 나타남. 지수가 낮을수록 좋아하는 비율에

비해 자주 먹는 즉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이 높은 것을 의미함. 신라면의 경우 좋아하면서 자주

먹는 빈도도 높다는 것은 구매나 실제 섭취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진짜진짜라면이나 감자면과

같이 본 지수가 높은 경우 제품에 한 좋은 인식은 있으나 섭취나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것

을 의미함 (Table 27).

Page 44: RIG982SD (2)

42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25-1. 농심 라면제품의 선택 요인(n=178, %)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오징어 짬뽕

좋아함 (59.6)

자주먹음 (31.5)

좋아함 (46.6)

자주먹음 (16.3)

좋아함 (33.7)

자주먹음 (12.9)

좋아함 (33.1)

자주먹음 (10.7)

얼큰함 (43.8)

맛의 친숙함, 익숙함

(42.7)

원조 (41.6)

브랜드 이미지 (39.9)

품질이 좋음 (30.3)

맛이 좋음 (30.3)

접근성 (26.4)

전반적인 맛 의 조화

(24.7)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21.9)

국물이 좋다 (21.9)

면과 국물의 어울림

(19.1)

중독성 있는 맛 (14.6)

진한 맛 (12.9)

개운함 (12.4)

건강지향적 (11.2)

경제적인 가격 (10.1)

마트 행사상품 (10.1)

품질이 좋음 (24.2)

원조 (23.0)

브랜드 이미지 (21.3)

맛의 친숙함, 익숙함

(21.3)

면이 좋다 (20.8)

국물이 좋다 (18.5)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6.9)

얼큰함 (15.7)

접근성 (14.6)

맛이 좋음 (14.6)

전반적인 맛의 조화

(14.0)

면과 국물의 어울림

(13.5)

브랜드 이미지 (20.8)

맛의 친숙함, 익숙함

(19.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6.3)

원조 (12.9)

경제적인 가격 (12.4)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0.7)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5.2)

얼큰함 (15.2)

접근성 (14.6)

브랜드 이미지 (14.0)

품질이 좋음 (13.5)

개성 있는 맛 (11.8)

맛의 친숙함, 익숙함

(11.2)

국물이 좋다 (11.2)

맛이 좋음 (10.1)

표 25-2. 농심 라면제품의 선택 요인(n=178, %)

무파마 사리곰탕면

좋아함 (19.1)

자주먹음 (5.1)

좋아함 (17.4)

자주먹음 (5.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1.8) 품질이 좋음 (11.2)

Page 4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23

표 25-3. 농심 라면제품의 선택 요인(n=178, %)

후루룩칼국수 진짜진짜 라면 감자면 뚝배기 설렁탕

좋아함 (9.0)

자주먹음 (3.9)

좋아함 (8.4)

자주먹음 (1.7)

좋아함 (4.5)

자주먹음 (0.6)

좋아함 (2.2)

자주먹음 (1.1)

표 26-1. 농심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신라면 너구리 안성탕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06 56 83 29 60 23

브랜드 이미지 53.8 50.0 38.6 27.6 53.3 47.8

프리미엄 이미지 8.5 10.7 6.0 13.8 8.3 13.0

광고모델 7.5 7.1 4.8 13.8 3.3 4.3

포장 디자인 4.7 3.6 4.8 3.4 5.0 0.0

품질이 좋음 44.3 50.0 47.0 48.3 23.3 34.8 원조 60.4 55.4 44.6 41.4 36.7 39.1

트렌디 5.7 7.1 10.8 20.7 5.0 13.0

광고내용 3.8 0.0 7.2 6.9 11.7 13.0

경제적인 가격 10.4 25.0 3.6 13.8 26.7 43.5 마트 행사상품 13.2 21.4 8.4 13.8 13.3 17.4

접근성 34.9 41.1 30.1 17.2 23.3 13.0

건강지향적 16.0 8.9 10.8 17.2 15.0 13.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28.3 26.8 31.3 24.1 28.3 21.7

전반적인 맛의 조화 40.6 33.9 25.3 44.8 18.3 21.7

맛의 친숙함, 익숙함 56.6 69.6 41.0 48.3 50.0 56.5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3 12.5 15.7 17.2 41.7 47.8

개성 있는 맛 10.4 7.1 15.7 17.2 10.0 4.3

중독성 있는 맛 20.8 26.8 18.1 20.7 5.0 17.4 진한 맛 18.9 14.3 10.8 20.7 16.7 30.4 순한 맛 1.9 0.0 15.7 24.1 21.7 21.7

얼큰함 58.5 66.1 30.1 41.4 8.3 21.7

개운함 16.0 19.6 15.7 17.2 10.0 21.7

담백한 맛 1.9 0.0 13.3 10.3 15.0 17.4

면이 좋다 12.3 10.7 42.2 31.0 13.3 21.7

국물이 좋다 29.2 46.4 34.9 41.4 18.3 30.4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6.6 5.4 13.3 10.3 1.7 8.7

면과 국물의 어울림 27.4 33.9 26.5 20.7 23.3 26.1

맛이 좋음 44.3 50.0 30.1 27.6 26.7 39.1

Page 46: RIG982SD (2)

42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26-2. 농심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오징어짬뽕 무파마 사리곰탕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59 19 34 9 31 9

브랜드 이미지 37.3 36.8 26.5 33.3 22.6 11.1

프리미엄 이미지 11.9 5.3 20.6 0.0 6.5 11.1

광고모델 3.4 0.0 5.9 0.0 0.0 0.0

포장 디자인 8.5 21.1 5.9 0.0 12.9 11.1

품질이 좋음 33.9 31.6 32.4 22.2 51.6 77.8

원조 20.3 15.8 2.9 22.2 22.6 55.6

트렌디 10.2 31.6 20.6 11.1 16.1 11.1

광고내용 11.9 5.3 23.5 0.0 9.7 22.2

경제적인 가격 3.4 5.3 2.9 0.0 9.7 0.0

마트 행사상품 16.9 21.1 11.8 33.3 6.5 0.0

접근성 37.3 31.6 26.5 0.0 25.8 22.2

건강지향적 8.5 5.3 2.9 11.1 35.5 33.3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9.0 26.3 58.8 22.2 29.0 11.1

전반적인 맛의 조화 20.3 31.6 14.7 33.3 25.8 44.4

맛의 친숙함, 익숙함 28.8 42.1 17.6 22.2 22.6 55.6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5.3 26.3 8.8 11.1 29.0 33.3

개성 있는 맛 32.2 15.8 35.3 44.4 19.4 22.2

중독성 있는 맛 16.9 21.1 2.9 22.2 12.9 22.2

진한 맛 20.3 15.8 5.9 0.0 12.9 22.2

순한 맛 3.4 10.5 0.0 0.0 19.4 22.2

얼큰함 37.3 42.1 29.4 44.4 0.0 0.0

개운함 10.2 5.3 20.6 0.0 3.2 0.0

담백한 맛 6.8 10.5 14.7 11.1 29.0 33.3

면이 좋다 5.1 10.5 5.9 33.3 6.5 11.1

국물이 좋다 25.4 31.6 29.4 44.4 29.0 22.2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16.9 31.6 5.9 11.1 0.0 0.0

면과 국물의 어울림 15.3 31.6 11.8 22.2 16.1 22.2

맛이 좋음 22.0 47.4 32.4 22.2 25.8 22.2

Page 4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25

표 26-3. 농심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후루룩칼국수 진짜진짜라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6 7 15 3

브랜드 이미지 31.3 28.6 40.0 0.0

프리미엄 이미지 18.8 14.3 26.7 0.0

광고모델 6.3 0.0 13.3 0.0

포장 디자인 18.8 14.3 0.0 0.0

품질이 좋음 18.8 42.9 13.3 0.0

원조 0.0 14.3 0.0 33.3

트렌디 31.3 28.6 20.0 0.0

광고내용 25.0 0.0 60.0 33.3

경제적인 가격 6.3 0.0 13.3 0.0

마트 행사상품 6.3 28.6 0.0 33.3

접근성 12.5 14.3 6.7 0.0

건강지향적 12.5 14.3 6.7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68.8 57.1 66.7 66.7

전반적인 맛의 조화 31.3 28.6 26.7 33.3

맛의 친숙함, 익숙함 18.8 57.1 6.7 33.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8.8 28.6 20.0 0.0

개성 있는 맛 37.5 14.3 20.0 33.3

중독성 있는 맛 12.5 14.3 6.7 0.0

진한 맛 18.8 14.3 6.7 33.3

순한 맛 0.0 14.3 6.7 0.0

얼큰함 6.3 14.3 20.0 0.0

개운함 12.5 57.1 0.0 33.3

담백한 맛 25.0 42.9 0.0 0.0

면이 좋다 6.3 14.3 13.3 0.0

국물이 좋다 18.8 42.9 6.7 0.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6.3 14.3 6.7 0.0

면과 국물의 어울림 31.3 28.6 20.0 66.7

맛이 좋음 25.0 28.6 26.7 33.3

Page 48: RIG982SD (2)

42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27. 농심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신라면 106 56 1.9

뚝배기 설 탕 4 2 2.0

후루룩칼국수 16 7 2.3

안성탕면 60 23 2.6

너구리 83 29 2.9

오징어 짬뽕 59 19 3.1

사리곰탕면 31 9 3.4

무파마 34 9 3.8

진짜진짜 라면 15 3 5.0

감자면 8 1 8.0

2) 오뚜기 라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라면 브랜드는 진라면> 기스면> 참깨라면> 열라면> 김치라

면> 오동통면 순이었음.

진라면을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주요 요인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원조, 순한 맛 등이 인자로

꼽혔으며 2011년에 출시된 기스면은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음.

(Table 28-1, 28-2).

높이 선호되는 제품들에 해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좋아한다고 응

답할 때에 비해 자주 먹는 경우 품질이 좋다는 의견이 상 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기스면과 참깨

라면의 경우 개성 있는 맛과 중독성 있는 맛이 자주 먹는 요인으로 꼽힘. (Table 29-1, 29-2).

오뚜기 라면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진라면, 김

치라면, 스낵면, 참깨라면 등이 지수가 낮게 나타남.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수가 낮을수록

좋아하는 비율에 비해 자주 먹는 즉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이 높은 것을 의미함. 농심라면에 비

해 선호되는 제품의 수는 적으나 좋아함/자주먹음 비율의 낮은 제품이 많아 자주 먹는 빈도가

상 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됨. 기스면은 소비자가 좋아하는 빈도는 높으나 타제품에 비해 잦

은 섭취로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조사됨 (Table 30).

Page 4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27

표 28-1. 오뚜기 라면제품의 선택 요인(n=178, %)

진라면 기스면

좋아함 (28.7)

자주먹음 (15.7)

좋아함 (16.3)

자주먹음 (4.5)

브랜드 이미지 (15.2)

원조 (13.5)

순한 맛 (13.5)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2.4)

품질이 좋음 (11.8)

맛이 좋음 (11.8)

맛의 친숙함, 익숙함 (10.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0.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1.8)

표 28-2. 오뚜기 라면제품의 선택 요인(n=178, %)

참깨라면 열라면 김치라면 오동통면

좋아함 (12.4)

자주먹음 (5.6)

좋아함 (11.2)

자주먹음 (3.9)

좋아함 (9.6)

자주먹음 (5.1)

좋아함 (9.6)

자주먹음 (2.8)

Page 50: RIG982SD (2)

42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29-1. 오뚜기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진라면 기스면 참깨라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51 28 29 8 22 10

브랜드 이미지 45.1 28.6 27.6 25 31.8 10.0

프리미엄 이미지 5.9 3.6 10.3 12.5 4.5 0.0

광고모델 5.9 0.0 31.0 37.5 0.0 0.0

포장 디자인 7.8 7.1 6.9 0 18.2 10.0

품질이 좋음 25.5 39.3 20.7 62.5 45.5 80.0

원조 35.3 42.9 10.3 25 18.2 20.0

트렌디 13.7 10.7 20.7 12.5 36.4 60.0

광고내용 7.8 7.1 31.0 37.5 9.1 0.0

경제적인 가격 25.5 25.0 3.4 0 9.1 0.0

마트 행사상품 13.7 17.9 17.2 25 9.1 0.0

접근성 13.7 10.7 17.2 12.5 31.8 30.0

건강지향적 19.6 14.3 17.2 25 18.2 1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1.4 28.6 62.1 75 40.9 4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13.7 28.6 20.7 25 31.8 5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31.4 35.7 3.4 12.5 4.5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9.4 28.6 13.8 0 13.6 40.0

개성 있는 맛 7.8 3.6 20.7 37.5 45.5 60.0

중독성 있는 맛 3.9 3.6 20.7 37.5 27.3 50.0

진한 맛 15.7 21.4 3.4 0 18.2 30.0

순한 맛 33.3 39.3 13.8 0 18.2 30.0

얼큰함 13.7 10.7 27.6 37.5 9.1 0.0

개운함 15.7 14.3 24.1 37.5 18.2 20.0

담백한 맛 5.9 7.1 20.7 37.5 40.9 50.0

면이 좋다 5.9 0.0 13.8 12.5 18.2 20.0

국물이 좋다 13.7 14.3 17.2 62.5 31.8 20.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2.0 0.0 3.4 12.5 22.7 10.0

면과 국물의 어울림 13.7 10.7 13.8 12.5 22.7 20.0

맛이 좋음 37.3 35.7 24.1 37.5 40.9 60.0

Page 5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29

표 29-2. 오뚜기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열라면 김치라면 오동통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20 7 17 9 17 5

브랜드 이미지 45.0 57.1 29.4 0.0 35.3 40.0

프리미엄 이미지 5.0 0.0 0.0 11.1 17.6 20.0

광고모델 15.0 28.6 0.0 0.0 5.9 0.0

포장 디자인 5.0 14.3 0.0 11.1 11.8 0.0

품질이 좋음 20.0 28.6 52.9 44.4 23.5 20.0

원조 30.0 28.6 35.3 11.1 5.9 0.0

트렌디 10.0 0.0 5.9 0.0 41.2 20.0

광고내용 25.0 14.3 5.9 0.0 11.8 20.0

경제적인 가격 10.0 14.3 23.5 33.3 17.6 40.0

마트 행사상품 10.0 71.4 23.5 33.3 5.9 0.0

접근성 20.0 28.6 11.8 22.2 17.6 0.0

건강지향적 5.0 14.3 29.4 0.0 11.8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70.0 57.1 35.3 22.2 70.6 6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0.0 42.9 17.6 44.4 5.9 2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10.0 42.9 35.3 22.2 11.8 2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5.0 14.3 17.6 44.4 17.6 0.0

개성 있는 맛 25.0 14.3 17.6 11.1 23.5 0.0

중독성 있는 맛 10.0 0.0 11.8 0.0 5.9 20.0

진한 맛 25.0 14.3 0.0 11.1 5.9 0.0

순한 맛 0.0 0.0 5.9 11.1 5.9 0.0

얼큰함 50.0 85.7 17.6 11.1 17.6 0.0

개운함 20.0 57.1 11.8 22.2 11.8 0.0

담백한 맛 0.0 0.0 11.8 22.2 5.9 20.0

면이 좋다 20.0 14.3 5.9 0.0 35.3 40.0

국물이 좋다 20.0 14.3 5.9 11.1 11.8 0.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5.0 0.0 0.0 11.1 0.0 20.0

면과 국물의 어울림 5.0 0.0 0.0 0.0 11.8 40.0

맛이 좋음 25.0 28.6 11.8 33.3 17.6 40.0

Page 52: RIG982SD (2)

43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0. 오뚜기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진라면 51 28 1.8

김치라면 17 9 1.9

스낵면 2 1 2.0

참깨라면 22 10 2.2

열라면 20 7 2.9

오동통면 17 5 3.4

기스면 29 8 3.6

3) 삼양 라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삼양 라면 브랜드는 삼양라면> 나가사끼 짬뽕> 간짬뽕> 수

타면> 관령 쇠고기면> 맛있는 라면>된장라면>바지락칼국수>돈라면 순이었음.

삼양라면을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주요 요인으로는 브랜드 이미지, 원조, 맛의 친숙함 등이 인

자로 꼽혔으며 2011년에 출시된 기스면과 함께 하얀국물 라면으로 출시된 나가사끼 짬뽕은 새

로운 맛에 한 호기심, 트렌디, 개성 있는 맛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음. (Table 31-1,

31-2, 31-3).

높이 선호되는 제품에 해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삼양라면을 좋

아하는 요인은 원조, 건강지향적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자주 먹는 요인

은 마트 행사상품, 접근성인 것으로 조사됨. 나가사끼 짬뽕을 좋아하는 요인은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인 반면 자주 먹는 이유로는 품질, 맛 등의 요인이 더 주요하 음 (Table 32-1,

32-2).

삼양 라면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바지락 칼국

수, 삼양라면, 맛있는 라면 등이 지수가 낮게 나타남 (Table 33).

Page 5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31

표 31-1.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8, %)

삼양라면 나가사끼 짬뽕 간짬뽕

좋아함 (28.7)

자주먹음 (20.2)

좋아함 (24.7)

자주먹음 (8.4)

좋아함 (14.6)

자주먹음 (4.5)

브랜드 이미지 (26.4)

원조 (26.4)

맛의 친숙함, 익숙함 (21.3)

전반적인 맛의 조화 (14.6)

맛이 좋음 (14.6)

품질이 좋음 (10.7)

경제적인 가격 (10.7)

접근성 (10.7)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0.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9.1)

트렌디 (12.9)

개성 있는 맛 (11.2)

맛이 좋음 (10.7)

국물이 좋다 (10.1)

면과 국물의 어울림 (10.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1.2)

표 31-2.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8, %)

수타면 대관령 쇠고기면 맛있는 라면

좋아함 (10.1)

자주먹음 (2.8)

좋아함 (7.3)

자주먹음 (1.7)

좋아함 (6.2)

자주먹음 (3.4)

표 31-3.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8, %)

된장라면 바지락 칼국수 돈라면

좋아함 (2.8)

자주먹음 (1.1)

좋아함 (1.7)

자주먹음 (2.2)

좋아함 (1.7)

자주먹음 (0.6)

Page 54: RIG982SD (2)

43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2-1.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삼양라면 나가사끼짬뽕 간짬뽕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51 36 44 15 26 8

브랜드 이미지 64.7 63.9 29.5 13.3 19.2 25

프리미엄 이미지 5.9 8.3 29.5 33.3 19.2 0

광고모델 7.8 0.0 13.6 20.0 0.0 0

포장 디자인 2.0 5.6 11.4 6.7 11.5 12.5

품질이 좋음 25.5 25.0 29.5 46.7 46.2 37.5

원조 70.6 58.3 4.5 6.7 7.7 0

트렌디 5.9 0.0 50.0 46.7 46.2 62.5

광고내용 2.0 5.6 31.8 20.0 7.7 0

경제적인 가격 23.5 27.8 2.3 0.0 7.7 12.5

마트 행사상품 9.8 22.2 6.8 13.3 15.4 12.5

접근성 19.6 33.3 11.4 6.7 19.2 12.5

건강지향적 27.5 13.9 11.4 13.3 0.0 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23.5 25.0 70.5 46.7 61.5 62.5

전반적인 맛의 조화 41.2 33.3 29.5 46.7 15.4 12.5

맛의 친숙함, 익숙함 54.9 47.2 4.5 13.3 7.7 12.5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1.6 27.8 15.9 26.7 15.4 0

개성 있는 맛 0.0 5.6 40.9 33.3 50.0 37.5

중독성 있는 맛 11.8 8.3 25.0 40.0 42.3 37.5

진한 맛 19.6 13.9 13.6 13.3 19.2 0

순한 맛 11.8 13.9 0.0 0.0 0.0 0

얼큰함 7.8 13.9 31.8 53.3 30.8 25

개운함 11.8 8.3 27.3 40.0 0.0 0

담백한 맛 15.7 5.6 18.2 46.7 0.0 0

면이 좋다 9.8 13.9 13.6 26.7 7.7 12.5

국물이 좋다 15.7 19.4 34.1 60.0 3.8 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0.0 2.8 9.1 6.7 11.5 25

면과 국물의 어울림 17.6 19.4 36.4 53.3 7.7 12.5

맛이 좋음 37.3 36.1 38.6 66.7 42.3 50

Page 5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33

표 32-2.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수타면 대관령 쇠고기면 맛있는라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8 5 13 1 11 6

브랜드 이미지 33.3 0.0 30.8 100.0 27.3 66.7

프리미엄 이미지 33.3 0.0 30.8 0.0 27.3 16.7

광고모델 0.0 0.0 0.0 0.0 0.0 16.7

포장 디자인 11.1 20.0 15.4 0.0 0.0 16.7

품질이 좋음 22.2 0.0 15.4 0.0 54.5 16.7

원조 22.2 40.0 15.4 100.0 9.1 0.0

트렌디 16.7 20.0 7.7 0.0 36.4 33.3

광고내용 11.1 0.0 15.4 0.0 0.0 16.7

경제적인 가격 5.6 0.0 15.4 0.0 9.1 16.7

마트 행사상품 22.2 40.0 23.1 0.0 18.2 50.0

접근성 27.8 0.0 23.1 0.0 27.3 16.7

건강지향적 16.7 20.0 7.7 0.0 18.2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55.6 0.0 53.8 0.0 54.5 5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2.2 0.0 15.4 0.0 18.2 33.3

맛의 친숙함, 익숙함 11.1 40.0 15.4 100.0 27.3 16.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2.2 0.0 7.7 100.0 36.4 16.7

개성 있는 맛 16.7 0.0 7.7 0.0 9.1 16.7

중독성 있는 맛 11.1 20.0 15.4 0.0 18.2 0.0

진한 맛 11.1 0.0 15.4 0.0 0.0 16.7

순한 맛 5.6 0.0 7.7 0.0 18.2 0.0

얼큰함 11.1 20.0 7.7 0.0 0.0 16.7

개운함 11.1 20.0 23.1 100.0 18.2 33.3

담백한 맛 5.6 0.0 15.4 0.0 18.2 33.3

면이 좋다 16.7 40.0 7.7 0.0 9.1 16.7

국물이 좋다 16.7 20.0 15.4 0.0 9.1 0.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0.0 0.0 7.7 0.0 9.1 0.0

면과 국물의 어울림 5.6 0.0 7.7 0.0 36.4 16.7

맛이 좋음 11.1 20.0 23.1 0.0 18.2 0.0

Page 56: RIG982SD (2)

43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3. 삼양라면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바지락 칼국수 3 4 0.8

삼양라면 51 36 1.4

맛있는 라면 11 6 1.8

된장라면 5 2 2.5

나가사끼 짬뽕 44 15 2.9

돈라면 3 1 3.0

간짬뽕 26 8 3.3

수타면 18 5 3.6

관령 쇠고기면 13 3 4.3

관령 김치라면 0 1 -

4) 팔도 라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팔도 라면 브랜드는 꼬꼬면> 틈새라면 빨개떡> 일품 해물라

면> 남자라면> 앵그리 꼬꼬면 순이었음. 팔도라면 제품은 비빔면 제품의 매출이 크지만 본 조

사에서는 국물 봉지면만 조사하여 포함되지 않았음.

하얀국물 라면의 유행을 주도했던 꼬꼬면을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주요 요인으로는 새로운 맛

에 한 호기심, 트렌디, 얼큰함 등 인자로 꼽혔음 (Table 34-1, 34-2, 34-3).

가장 선호되었던 꼬꼬면 제품에 해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꼬꼬

면을 좋아하는 요인은 트렌디하고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요인이 컸으며 자주 먹는 요인으

로는 포장디자인, 품질, 광고내용, 개운함 등의 응답이 상 적으로 높았음 (Table 35).

팔도 라면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남자라면은

지수가 낮은 반면 꼬꼬면의 경우 좋아하는 빈도에 비해 자주먹는 비율이 상 적으로 낮은 것

으로 분석됨 (Table 36).

4개 업체의 라면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농심, 오뚜기, 삼양의 경우 가장 선호되거나 자주먹는

제품의 경우 원조, 친숙함 등이 요인이 지배적이었음. 하얀 국물 돌풍을 일으킨 꼬꼬면, 나가

사끼 짬뽕, 기스면 등은 새로운 맛에 대한 호기심 요인이 컸으며 제품에 해 선호하는 인식에

비해 자주 섭취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특징적이었음.

Page 5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35

표 34-1. 팔도 라면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8, %)

꼬꼬면

좋아함 (24.7)

자주먹음 (6.2)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9.7)

트렌디 (11.8)

얼큰함 (11.2)

표 34-2. 팔도 라면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8, %)

틈새라면 빨개떡 일품 해물라면 남자라면 앵그리 꼬꼬면

좋아함 (9.6)

자주먹음 (0.6)

좋아함 (9.0)

자주먹음 (3.4)

좋아함 (3.9)

자주먹음 (2.2)

좋아함 (2.2)

자주먹음 (0.6)

Page 58: RIG982SD (2)

43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5. 팔도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8, %)

제품명 꼬꼬면 틈새라면 빨개떡 일품 해물라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4 11 17 1 16 6

브랜드 이미지 27.3 18.2 11.8 100.0 25.0 66.7

프리미엄 이미지 20.5 9.1 29.4 0.0 37.5 33.3

광고모델 20.5 36.4 11.8 0.0 6.3 0.0

포장 디자인 9.1 0.0 17.6 0.0 12.5 0.0

품질이 좋음 22.7 36.4 17.6 0.0 18.8 16.7

원조 11.4 0.0 5.9 100.0 12.5 16.7

트렌디 40.9 27.3 35.3 0.0 12.5 16.7

광고내용 20.5 45.5 5.9 0.0 25.0 33.3

경제적인 가격 2.3 9.1 5.9 0.0 12.5 0.0

마트 행사상품 11.4 0.0 17.6 0.0 12.5 16.7

접근성 9.1 18.2 23.5 0.0 18.8 33.3

건강지향적 11.4 9.1 0.0 0.0 12.5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65.9 54.5 82.4 100.0 43.8 83.3

전반적인 맛의 조화 13.6 27.3 0.0 0.0 6.3 16.7

맛의 친숙함, 익숙함 9.1 0.0 11.8 0.0 6.3 16.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5.9 18.2 5.9 0.0 6.3 16.7

개성 있는 맛 27.3 18.2 29.4 0.0 25.0 0.0

중독성 있는 맛 9.1 18.2 29.4 0.0 0.0 0.0

진한 맛 18.2 9.1 17.6 0.0 6.3 0.0

순한 맛 6.8 0.0 0.0 0.0 6.3 0.0

얼큰함 36.4 45.5 52.9 100.0 31.3 66.7

개운함 15.9 36.4 0.0 0.0 18.8 16.7

담백한 맛 29.5 18.2 0.0 100.0 6.3 16.7

면이 좋다 2.3 0.0 5.9 0.0 6.3 0.0

국물이 좋다 13.6 18.2 17.6 0.0 6.3 50.0

건더기(후레이크)가 좋다 0.0 0.0 0.0 0.0 18.8 16.7

면과 국물의 어울림 18.2 9.1 0.0 0.0 0.0 0.0

맛이 좋음 27.3 18.2 11.8 0.0 18.8 0.0

Page 5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37

표 36. 팔도 라면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남자라면 7 4 1.8

일품 해물라면 16 6 2.7

꼬꼬면 44 11 4.0

앵그리 꼬꼬면 4 1 4.0

틈새라면 빨개떡 17 1 17.0

3.12.2. 차음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혼합곡물차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혼합곡물차 브랜드는 광동 옥수수수염차> 웅진하늘보리> 동

아오츠카 블랙빈테라피> 롯데 옥수수수염차> 웅진 맑은땅옥수수> 광동 발아보리차> 홈플러스

검은콩차> 홈플러스 옥수수차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음료로 조사된 광동 옥수수수염차의 선택 요인으로는 갈증해소, 브

랜드이미지, 건강지향적, 깔끔함, 접근성 등의 응답비율이 높았음. 웅진 하늘보리의 선택요인

은 부담 없는 맛, 맛의 친숙함, 갈증해소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 으며 동아오츠카의 블랙빈테

라피 제품은 여성을 위한 제품, 건강지향적, 포장디자인 요소가 주요 요인으로 꼽힘 (Table

37-1, 37-2).

가장 선호되었던 광동 옥수수수염차의 경우 좋아하는 이유로는 광고내용 때문이라는 응답이 상

적으로 높은 반면 자주 먹는 요인은 품질, 갈증해소가 주요했음. 웅진 하늘보리의 경우 자주

먹는 요인으로는 갈증해소와 깔끔함이 주요요인이었음. 블랙빈테라피 제품은 여성, 건강 등의

요인이 자주 먹는 주요 요인으로 꼽혀 제품의 컨셉이 주요 섭취 요인으로 나타남 (Table

38-1. 38-2).

혼합곡류차의 경우 제품에 대해 좋아한다는 인식에 작용하는 요인은 외형적인 특성이 상 적으

로 많으나 실제 자주 먹는 요인으로는 맛, 품질이 주요한 것으로 조사됨.

혼합곡류차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라면에 비

해 음료가 상 적으로 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즉 라면에 비해 자주 먹는 빈도가 상 적으

로 높은 편임. 광동 제품의 경우 좋아함/자주먹음의 비율이 상 적으로 낮아 좋아하면서 이것

이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됨 (Table 39).

Page 60: RIG982SD (2)

43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7-1. 차류 혼합곡물차제품의 선택 요인(n=164, %)

광동 옥수수수염차 웅진 하늘보리동아 오츠카

블랙빈테라피

롯데 오늘의 차

옥수수수염차

좋아함 (64.6)

자주먹음 (39.0)

좋아함 (43.9)

자주먹음 (15.9)

좋아함 (26.2)

자주먹음 (7.3)

좋아함 (11.0)

자주먹음 (1.2)

갈증해소 (45.7)

브랜드 이미지 (43.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43.3)

건강지향적 (40.9)

맛의 친숙함, 익숙함

(39.0)

깔끔함 (33.5)

접근성 (31.1)

여성을 위한 제품

(27.4)

광고 내용 (26.8)

전반적인 맛의 조화

(25.0)

맛이 좋음 (25.0)

품질이 좋음 (22.6)

원조 (22.0)

광고 모델 (20.7)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19.5)

제품 성분 (17.1)

트렌디 (14.0)

프리미엄 이미지 (12.2)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31.7)

맛의 친숙함, 익숙함

(28.0)

갈증해소 (26.8)

브랜드 이미지 (26.2)

건강지향적 (25.6)

깔끔함 (20.1)

접근성 (19.5)

품질이 좋음 (15.9)

제품 성분 (15.2)

전반적인 맛의 조화

(14.0)

맛이 좋음 (14.0)

여성을 위한 제품

(12.8)

경제적인 가격 (11.6)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11.6)

여성을 위한 제품

(17.1)

건강지향적 (16.5)

포장 디자인 (11.6)

갈증해소 (11.6)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6)

개성 있는 맛 (10.4)

표 37-2. 차류 혼합곡물차제품의 선택 요인(n=164, %)

웅진 맑은땅 옥수수 광동 발아보리차 홈플러스 검은콩차 홈플러스 옥수수차

좋아함 (4.3)

자주먹음 (1.8)

좋아함 (3.0)

자주먹음 (2.4)

좋아함 (2.4)

자주먹음 (0.0)

좋아함 (1.2)

자주먹음 (0.0)

Page 6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39

표 38-1. 차류 혼합곡물차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4, %)

제품명 광동 옥수수수염차 웅진 하늘보리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06 64 72 26

브랜드 이미지 57.5 51.6 51.39 42.31

프리미엄 이미지 17.0 18.8 9.72 3.85

광고 모델 30.2 23.4 4.17 3.85

포장 디자인 9.4 7.8 16.67 3.85

품질이 좋음 27.4 39.1 31.94 38.46

원조 25.5 31.3 15.28 15.38

트렌디 17.9 21.9 9.72 15.38

광고 내용(효과) 39.6 26.6 13.89 7.69

경제적인 가격 12.3 20.3 20.83 26.92

제품 성분 22.6 26.6 33.33 34.62

접근성 39.6 40.6 40.28 46.15

여성을 위한 제품 38.7 34.4 26.39 26.92

남성을 위한 제품 0.0 0.0 2.78 7.69

건강지향적 54.7 56.3 51.39 57.69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8 4.7 5.56 0.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50.9 53.1 56.94 65.38

갈증해소 56.6 67.2 51.39 69.23

기분전환 12.3 10.9 4.17 7.69

전반적인 맛의 조화 33.0 37.5 27.78 34.62

개성 있는 맛 9.4 10.9 5.56 3.85

중독성 있는 맛 12.3 12.5 6.94 11.54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27.4 23.4 25.00 23.08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55.7 51.6 65.28 57.69

청량감 11.3 10.9 6.94 7.69

깔끔함 46.2 53.1 38.89 53.85

맛이 좋음 35.8 39.1 31.94 38.46

Page 62: RIG982SD (2)

44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38-2. 차류 혼합곡물차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4, %)

제품명 동아 오츠카 블랙빈테라피롯데 오늘의 차

옥수수수염차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3 12 18 2

브랜드 이미지 27.9 25.0 44.4 0.0

프리미엄 이미지 25.6 25.0 0.0 0.0

광고 모델 20.9 16.7 5.6 0.0

포장 디자인 39.5 50.0 38.9 50.0

품질이 좋음 11.6 16.7 16.7 50.0

원조 4.7 16.7 5.6 0.0

트렌디 27.9 33.3 38.9 0.0

광고 내용(효과) 34.9 25.0 16.7 0.0

경제적인 가격 2.3 16.7 5.6 50.0

제품 성분 20.9 33.3 22.2 0.0

접근성 11.6 33.3 33.3 50.0

여성을 위한 제품 58.1 83.3 33.3 100.0

남성을 위한 제품 0.0 0.0 0.0 0.0

건강지향적 53.5 75.0 61.1 5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20.9 8.3 22.2 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4.7 16.7 33.3 50.0

갈증해소 41.9 41.7 44.4 0.0

기분전환 16.3 16.7 5.6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16.3 25.0 27.8 0.0

개성 있는 맛 37.2 41.7 5.6 0.0

중독성 있는 맛 11.6 16.7 11.1 0.0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9.3 16.7 22.2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41.9 25.0 50.0 0.0

청량감 7.0 8.3 5.6 0.0

깔끔함 32.6 50.0 22.2 50.0

맛이 좋음 25.6 41.7 11.1 50.0

Page 6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41

표 39. 차류 혼합곡물차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광동 발아보리차 5 4 1.3

광동 옥수수수염차 106 64 1.7

웅진 맑은땅 옥수수 7 3 2.3

웅진 하늘보리 72 26 2.8

동아 오츠카

블랙빈테라피43 12 3.6

롯데 오늘의 차

옥수수수염차18 2 9.0

홈플러스 검은콩차 4 0 -

홈플러스 옥수수차 2 0 -

2) 차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차음료 브랜드는 남양17차> 롯데 내몸에 흐를 류> 동원 보

성녹차> 동아오츠카 두 번째 우려낸 녹차만 담았다> 칠성 티트리마테차> 농심 오이오차 녹차>

홈플러스 녹차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음료로 조사된 남양 17차의 경우 건강지향, 브랜드, 갈증해소, 무

난한 맛, 깔끔함, 여성 등이 주요 요인 조사됨. 롯데 내 몸에 흐를 류의 경우 부담 없는 맛,

여성, 갈증해소, 건강지향적 등이 주요 요인으로, 동원 보성녹차는 부담 없는 맛에 한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음 (Table 40-1, 41-2).

가장 선호되었던 남양 17차의 경우 자주 먹는 이유로 광고모델에 대한 응답이 높은 것이 특징

적이었음. 다른 제품들에 비해 17차를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먹는 요인이 매우 유사한 것이 또

다른 특징임. 이에 비해 롯데 내 몸에 흐를 류의 경우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이 약

간 상이하 음. 자주 먹는 주요요인은 품질, 경제적 가격, 접근성, 여성, 맛의 친숙함, 갈증요

인이 꼽힘(Table 41-1. 41-2).

차음료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홈플러스 녹차,

남양 17차, 롯데 내 몸에 흐를 류의 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이들 제품은 제품에 한 선

호도가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됨 (Table 42).

Page 64: RIG982SD (2)

44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0-1. 차류 차음료제품의 선택 요인(n=164, %)

남양 17차 롯데 내 몸에 흐를 류 동원 보성녹차동아오츠카 두번째

우려낸 녹차만 담았다

좋아함 (58.5)

자주먹음 (38.4)

좋아함 (24.4)

자주먹음 (14.0)

좋아함 (15.9)

자주먹음 (7.9)

좋아함 (14.6)

자주먹음 (6.1)

건강지향적 (44.5)

브랜드 이미지 (43.9)

갈증해소 (40.2)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40.2)

깔끔함 (36.6)

여성을 위한 제품

(34.1)

맛의 친숙함, 익숙함

(31.7)

전반적인 맛의 조화

(26.2)

광고 모델 (25.6)

접근성 (25.6)

제품 성분 (22.0)

맛이 좋음 (21.3)

광고 내용 (20.7)

원조 (20.1)

트렌디 (18.3)

프리미엄 이미지 (17.7)

품질이 좋음 (14.6)

경제적인 가격 (11.6)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8.9)

여성을 위한 제품

(14.0)

갈증해소 (14.0)

건강지향적 (13.4)

깔끔함 (13.4)

맛의 친숙함, 익숙함

(12.2)

브랜드 이미지 (10.4)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0)

갈증해소 (13.4)

표 40-2. 차류 차음료제품의 선택 요인(n=164, %)

칠성 티트리마테차 농심 오이오차 녹차 홈플러스 녹차

좋아함 (7.3)

자주먹음 (3.0)

좋아함 (4.3)

자주먹음 (0.6)

좋아함 (2.4)

자주먹음 (1.8)

Page 6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43

표 41-1. 차류 차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4, %)

제품명 남양 17차 롯데 내몸에 흐를 류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96 63 40 23

브랜드 이미지 67.7 68.3 37.5 34.8

프리미엄 이미지 29.2 23.8 10.0 13.0

광고 모델 33.3 47.6 12.5 4.3

포장 디자인 13.5 17.5 30.0 39.1

품질이 좋음 22.9 28.6 25.0 43.5

원조 29.2 31.7 5.0 4.3

트렌디 27.1 27.0 10.0 8.7

광고 내용(효과) 31.3 30.2 35.0 26.1

경제적인 가격 16.7 23.8 30.0 47.8

제품 성분 34.4 31.7 27.5 30.4

접근성 36.5 46.0 22.5 39.1

여성을 위한 제품 50.0 54.0 45.0 60.9

남성을 위한 제품 0.0 0.0 0.0 0.0

건강지향적 66.7 61.9 52.5 47.8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7.3 7.9 17.5 17.4

맛의 친숙함, 익숙함 47.9 54.0 42.5 56.5

갈증해소 59.4 68.3 42.5 56.5

기분전환 11.5 9.5 15.0 13.0

전반적인 맛의 조화 40.6 42.9 22.5 17.4

개성 있는 맛 10.4 9.5 17.5 17.4

중독성 있는 맛 7.3 6.3 10.0 13.0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15.6 17.5 12.5 13.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57.3 57.1 62.5 69.6

청량감 12.5 19.0 12.5 13.0

깔끔함 56.3 57.1 47.5 56.5

맛이 좋음 34.4 44.4 25.0 34.8

Page 66: RIG982SD (2)

44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1-2. 차류 차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4, %)

제품명 동원 보성녹차동아오츠카 두번째 우려낸

녹차만 담았다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26 13 24 10

브랜드 이미지 50.0 53.8 33.3 40.0

프리미엄 이미지 11.5 0.0 12.5 0.0

광고 모델 0.0 0.0 0.0 0.0

포장 디자인 7.7 23.1 29.2 20.0

품질이 좋음 50.0 30.8 8.3 10.0

원조 42.3 38.5 4.2 0.0

트렌디 7.7 7.7 8.3 0.0

광고 내용(효과) 3.8 0.0 16.7 10.0

경제적인 가격 11.5 23.1 16.7 10.0

제품 성분 38.5 30.8 25.0 20.0

접근성 38.5 30.8 33.3 30.0

여성을 위한 제품 15.4 15.4 16.7 30.0

남성을 위한 제품 3.8 7.7 0.0 0.0

건강지향적 61.5 53.8 41.7 2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0.0 0.0 0.0 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42.3 53.8 41.7 20.0

갈증해소 46.2 46.2 62.5 80.0

기분전환 7.7 15.4 0.0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19.2 15.4 45.8 20.0

개성 있는 맛 3.8 7.7 4.2 30.0

중독성 있는 맛 3.8 7.7 0.0 0.0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19.2 38.5 25.0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61.5 46.2 54.2 30.0

청량감 15.4 15.4 8.3 0.0

깔끔함 38.5 23.1 29.2 40.0

맛이 좋음 23.1 38.5 16.7 20.0

Page 6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45

표 42. 차류 차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홈플러스 녹차 4 3 1.3

남양 17차 96 63 1.5

롯데 내몸에 흐를 류 40 23 1.7

동원 보성녹차 26 13 2.0

동아오츠카 두번째

우려낸 녹차만 담았다24 10 2.4

칠성 티트리마테차 12 5 2.4

농심 오이오차 녹차 7 1 7.0

3.12.3. 건강기능음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헛개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헛개음료 브랜드는 CJ 컨디션 헛개수> 광동 힘찬하루 헛개

차> 해태 몸에 좋은 막 기 헛개차> 정관장 헛개홍삼수> 롯데 오늘의 차 아침 헛개수> 웅진

홍삼 헛개수 순이었음.

헛개차의 경우 아직 시장 점유율이 크지 않아 응답율이 낮음. 표성 있는 선호, 자주 먹는 요

인을 단정 짓기는 어려움. 다만 아래와 같은 경향을 보임.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음료로 CJ 컨디션 헛개수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와 갈증해소가 주

요 선호요인임. 광동 힘찬하루 헛개차의 경우 품질, 깔끔함 등이 주요 선호 요인임. (Table

43-1, 43-2, 44-1).

헛개음료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비교적 지수

가 높음. 제품은 좋아하나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음 (Table 45).

Page 68: RIG982SD (2)

44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3-1. 건강음료 헛개차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CJ 컨디션 헛개수 광동 힘찬하루 헛개차해태 몸에

좋은 막대기 헛개차

좋아함 (19.6)

자주먹음 (2.6)

좋아함 (11.1)

자주먹음 (2.6)

좋아함 (6.5)

자주먹음 (2.6)

브랜드 이미지 (12.4)

갈증해소 (10.5)

표 43-2. 건강음료 헛개차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정관장 헛개홍삼수롯데 오늘의차

아침 헛개수웅진 홍삼 헛개수

좋아함 (4.6)

자주먹음 (1.3)

좋아함 (3.3)

자주먹음 (0.7)

좋아함 (3.3)

자주먹음 (0.7)

Page 6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47

표 44. 건강음료 헛개차제품의 좋아함/자주먹는다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53, %)

제품명 CJ 컨디션 헛개수 광동 힘찬하루 헛개차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30 4 17 4

브랜드 이미지 63.3 75.0 41.2 25.0

프리미엄 이미지 13.3 25.0 11.8 0.0

광고 모델 10.0 25.0 0.0 0.0

포장 디자인 23.3 0.0 11.8 50.0

품질이 좋음 13.3 25.0 47.1 75.0

원조 6.7 25.0 11.8 0.0

트렌디 26.7 50.0 11.8 0.0

광고 내용(효과) 26.7 0.0 5.9 0.0

경제적인 가격 6.7 0.0 11.8 50.0

제품 성분 33.3 25.0 35.3 0.0

접근성 46.7 50.0 23.5 50.0

여성을 위한 제품 6.7 25.0 5.9 25.0

남성을 위한 제품 10.0 50.0 35.3 50.0

건강지향적 50.0 50.0 47.1 5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0.0 50.0 17.6 0.0

맛의 친숙함, 익숙함 6.7 25.0 17.6 50.0

갈증해소 53.3 75.0 41.2 25.0

기분전환 3.3 0.0 5.9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0.0 25.0 17.6 0.0

개성 있는 맛 23.3 0.0 23.5 0.0

중독성 있는 맛 10.0 0.0 5.9 0.0

원재료 맛에 가까운 맛 6.7 0.0 5.9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40.0 50.0 29.4 50.0

청량감 6.7 0.0 23.5 0.0

깔끔함 43.3 75.0 35.3 75.0

맛이 좋음 10.0 50.0 23.5 0.0

Page 70: RIG982SD (2)

44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5.건강음료 헛개차제품의 좋아함/자주먹는다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해태 몸에 좋은

막 기 헛개차10 4 2.5

정관장 헛개홍삼수 7 2 3.5

광동 힘찬하루 헛개차 17 4 4.3

롯데 오늘의차 아침

헛개수5 1 5.0

CJ 컨디션 헛개수 30 4 7.5

웅진 홍삼 헛개수 4 0 -

2) 기능성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차음료 브랜드는 광동 비타500> 동아제약 박카스> 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 롯데 핫식스> 롯데 비타민 워터> 롯데 비타 파워> CJ 이너비 잇뷰티> 동

서 레드불 에너지 드링크> 코카콜라 번 인텐스> 천호 남자한테 참 좋은 마시는 산수유진액 순

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음료로 조사된 광동 비타500의 경우 피로회복, 브랜드 이미지, 에

너지 보충, 부담 없는 맛, 접근성, 맛, 품질 등이 주요 요인 조사됨. 동아제약 박카스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 피로회복, 원조, 자양강장, 에너지 보충 등이 주요 요인으로, 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는 브랜드 이미지, 부담 없는 맛, 갈증해소, 접근성, 트렌디에 한 응답비율이 가

장 높았음. 롯데 핫식스는 각성효과, 롯데 비타워터는 트렌디가 주요 요인이었음 (Table

46-1, 46-2).

가장 선호되었던 광동 비타500의 경우 품질, 시장점유율, 부담 없는 맛 등이 높은 것이 자주

섭취하는 주요 요인임. 박카스의 경우 경제적인 가격, 접근성이 선호 정도보다는 빈번한 섭취

에 주요 요인임. 비타민 워터의 경우 프리미엄 이미지, 접근성, 에너지 보충, 친숙함 등이 주

요 빈번 섭취요인이었음 (Table 47-1. 47-2).

건강음료 제품에 해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핫식스와 글

라소 비타민 워터가 지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남 (Table 48).

Page 7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49

표 46-1.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광동 비타500 동아제약 박카스 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

좋아함 (59.5)

자주먹음 (26.1)

좋아함 (44.4)

자주먹음 (19.0)

좋아함 (37.9)

자주먹음 (20.9)

피로회복 (40.5)

브랜드 이미지 (39.2)

에너지 보충 (26.1)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4.8)

접근성 (23.5)

맛이 좋음 (22.9)

품질이 좋음 (21.6)

제품 성분 (21.6)

친숙함, 익숙함 (19.6)

광고 모델 (18.3)

원조 (18.3)

경제적인 가격 (18.3)

개성 있는 맛 (18.3)

갈증해소 (15.0)

중독성 있는 맛 (14.4)

기분전환 (13.7)

광고 내용 (13.1)

시장점유율 (13.1)

자양강장 (12.4)

전반적인 맛의 조화 (12.4)

건강증진 (11.8)

청량감 (10.5)

브랜드 이미지 (38.6)

피로회복 (38.6)

원조 (30.7)

자양강장 (22.2)

에너지 보충 (20.3)

중독성 있는 맛 (19.0)

맛이 좋음 (18.3)

접근성 (17.6)

경제적인 가격 (15.7)

친숙함, 익숙함 (15.0)

개성 있는 맛 (15.0)

품질이 좋음 (13.7)

시장점유율 (13.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3.7)

광고 내용 (13.1)

청량감 (12.4)

제품 성분 (10.5)

각성효과 (10.5)

브랜드 이미지 (28.8)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6.1)

갈증해소 (24.8)

접근성 (20.3)

트렌디 (17.6)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7.6)

개성 있는 맛 (17.6)

용기 디자인 (17.0)

프리미엄이미지 (16.3)

에너지 보충 (16.3)

여성을 위한 제품 (13.7)

품질이 좋음 (13.1)

제품 성분 (13.1)

기분전환 (13.1)

시장점유율 (12.4)

원조 (11.8)

친숙함, 익숙함 (11.1)

Page 72: RIG982SD (2)

45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6-2.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롯데 핫식스 롯데 비타민 워터

좋아함 (23.5)

자주먹음 (15.7)

좋아함 (22.9)

자주먹음 (10.5)

브랜드 이미지 (19.0)

각성효과 (19.0)

피로회복 (15.0)

개성 있는 맛 (15.0)

광고 내용 (12.4)

접근성 (11.8)

경제적인 가격 (11.1)

에너지 보충 (11.1)

제품 성분 (10.5)

갈증해소 (14.4)

브랜드 이미지 (12.4)

트렌디 (11.1)

접근성 (10.5)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0.5)

표 46-3.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롯데 비타 파워 CJ 이너비 잇뷰티동서 레드불

에너지 드링크

좋아함 (12.4)

자주먹음 (4.6)

좋아함 (8.5)

자주먹음 (2.0)

좋아함 (7.8)

자주먹음 (3.3)

표 46-4.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53, %)

코카콜라 번 인텐스천호 남자한테 참 좋은 마시는

산수유진액

좋아함 (3.9)

자주먹음 (3.3)

좋아함 (3.3)

자주먹음 (1.3)

Page 7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51

표 47-1.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53, %)

제품명 광동 비타500 동아제약 박카스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91 40 68 29 58 32

브랜드 이미지 53.8 47.5 70.6 75.9 65.5 59.4

프리미엄이미지 12.1 7.5 17.6 27.6 34.5 46.9

광고 모델 29.7 10.0 8.8 13.8 5.2 6.3

용기 디자인 8.8 7.5 7.4 3.4 36.2 43.8

품질이 좋음 26.4 45.0 26.5 34.5 29.3 25.0

원조 24.2 22.5 55.9 62.1 27.6 31.3

트렌디 11.0 5.0 5.9 20.7 41.4 34.4

광고 내용(효과) 16.5 22.5 25.0 34.5 17.2 15.6

경제적인 가격 26.4 22.5 27.9 44.8 6.9 12.5

제품 성분 30.8 30.0 22.1 20.7 27.6 37.5

시장점유율 15.4 27.5 26.5 31.0 31.0 28.1

접근성 30.8 37.5 32.4 48.3 37.9 59.4

여성을 위한 제품 12.1 17.5 8.8 10.3 32.8 34.4

남성을 위한 제품 6.6 10.0 8.8 6.9 3.4 6.3

건강증진 16.5 17.5 19.1 27.6 13.8 15.6

에너지 보충 35.2 32.5 41.2 37.9 29.3 43.8

피로회복 53.8 62.5 73.5 72.4 20.7 18.8

자양강장 18.7 17.5 45.6 51.7 1.7 0.0

각성효과 5.5 7.5 17.6 27.6 1.7 0.0

체중조절 0.0 0.0 0.0 0.0 3.4 6.3

피부미용 3.3 0.0 0.0 0.0 15.5 15.6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2.2 5.0 2.9 6.9 39.7 34.4

친숙함, 익숙함 27.5 32.5 27.9 34.5 20.7 37.5

갈증해소 20.9 32.5 16.2 27.6 55.2 56.3

기분전환 20.9 22.5 20.6 24.1 29.3 40.6

전반적인 맛의 조화 17.6 20.0 20.6 27.6 19.0 15.6

개성 있는 맛 25.3 15.0 30.9 34.5 41.4 31.3

중독성 있는 맛 22.0 20.0 35.3 41.4 19.0 28.1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30.8 42.5 25.0 34.5 53.4 62.5

청량감 12.1 22.5 23.5 31.0 8.6 15.6

맛이 좋음 36.3 32.5 38.2 37.9 22.4 28.1

Page 74: RIG982SD (2)

45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7-2.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53, %)

제품명 롯데 핫식스 롯데 비타민 워터 롯데 비타파워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36 24 35 16 19 7

브랜드 이미지 58.3 45.8 42.9 56.3 42.1 0.0

프리미엄이미지 13.9 12.5 20.0 12.5 5.3 0.0

광고 모델 22.2 16.7 8.6 0.0 5.3 14.3

용기 디자인 16.7 20.8 22.9 18.8 21.1 14.3

품질이 좋음 19.4 25.0 25.7 25.0 26.3 28.6

원조 16.7 12.5 2.9 0.0 10.5 14.3

트렌디 25.0 37.5 42.9 50.0 21.1 28.6

광고 내용(효과) 38.9 37.5 5.7 0.0 5.3 14.3

경제적인 가격 33.3 41.7 0.0 12.5 21.1 28.6

제품 성분 25.0 41.7 28.6 31.3 26.3 14.3

시장점유율 19.4 29.2 20.0 25.0 0.0 0.0

접근성 27.8 50.0 40.0 56.3 26.3 14.3

여성을 위한 제품 2.8 4.2 25.7 37.5 10.5 14.3

남성을 위한 제품 5.6 16.7 8.6 6.3 10.5 0.0

건강증진 2.8 4.2 5.7 6.3 10.5 0.0

에너지 보충 33.3 37.5 28.6 18.8 21.1 42.9

피로회복 47.2 58.3 28.6 31.3 63.2 42.9

자양강장 22.2 29.2 5.7 12.5 10.5 0.0

각성효과 52.8 66.7 2.9 6.3 0.0 0.0

체중조절 0.0 0.0 8.6 12.5 5.3 0.0

피부미용 0.0 0.0 17.1 25.0 5.3 28.6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1.1 16.7 20.0 25.0 10.5 0.0

친숙함, 익숙함 5.6 12.5 11.4 18.8 5.3 0.0

갈증해소 11.1 4.2 54.3 68.8 5.3 14.3

기분전환 13.9 12.5 28.6 43.8 10.5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5.6 12.5 17.1 25.0 5.3 28.6

개성 있는 맛 44.4 50.0 34.3 18.8 47.4 14.3

중독성 있는 맛 13.9 25.0 8.6 12.5 5.3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1 20.8 40.0 37.5 5.3 14.3

청량감 30.6 33.3 8.6 12.5 10.5 28.6

맛이 좋음 19.4 16.7 17.1 31.3 21.1 0.0

Page 7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53

표 48. 건강음료 기능성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롯데 핫식스 36 24 1.5

코카콜라 글라소

비타민워터58 32 1.8

롯데 비타민 워터 35 16 2.2

광동 비타500 91 40 2.3

동아제약 박카스 68 29 2.3

동서 레드불 에너지

드링크12 5 2.4

롯데 비타파워 19 7 2.7

CJ 이너비 잇뷰티 13 3 4.3

3.12.3. 커피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커피믹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커피믹스 브랜드는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 남양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맥심 아라비카 믹스> 네스카페 수프리모> 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 마

일드모카> 남양 프렌치카페 아라비카 골드라벨> 맥심 웰빙 1/2 모카믹스> 롯데 칸타타 마일드

골드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커피믹스제품으로 조사된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의 경우

친숙함, 브랜드 이미지, 원조, 커피향, 접근성 등이 주요 요인 조사됨. 남양 프렌치카페 카페

믹스의 경우 첨가물, 광고내용, 브랜드 이미지, 광고모델 등이 주요 요인으로 조사됨 (Table

49-1, 49-2, 49-3).

가장 선호되었던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와 원조 요인이 자주

섭취하는 주요 요인이며 이외의 선택요인은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를 선호하는 요인과 유사함.

남양제품의 경우 자주 먹는 요인으로는 품질, 건강지향, 맛의 조화 등 건강과 맛요인이 주요하

음 (Table 50-1. 50-2).

커피 믹스 제품 중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맥심 모카골드와 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의 비율이 낮아 선호와 섭취빈도 비율이 상 적으로 유사한 반면 남양 프렌치카페

는 본 비율이 높아 선호 인식은 높으나 상 적으로 섭취빈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됨 (Table 51).

Page 76: RIG982SD (2)

45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49-1. 커피 믹스제품의 선택 요인(n=169, %)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 남양 프렌치카페 카페믹스

좋아함(43.2)

자주먹음(33.1)

좋아함(25.4)

자주먹음(11.8)

친숙함, 익숙함(44.4)

브랜드 이미지(37.9) 원조(30.8)

커피향(25.4)

접근성(24.3)

기분전환(23.7)

전반적인 맛의 조화(23.7)

맛이 좋음(23.1)

품질이 좋음(20.7)

단맛(19.5)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19.5)

부드러움(19.5)

경제적인 가격(18.3)

시장점유율(18.3)

각성효과(16.0)

풍부한 향미(12.4)

자기만족(11.2)

첨가물의 유/무

(ex. 프림, 우유 등)(18.3)

광고 내용(효과)(16.6)

브랜드 이미지(15.4)

광고 모델(14.8)

부드러움(14.2)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13.0)

자기만족(12.4)

프리미엄 이미지(11.8)

기분전환(11.2)

맛이 좋음(10.7)

전반적인 맛의 조화(10.1)

표 49-2. 커피 믹스제품의 선택 요인(n=169, %)

맥심 아라비카 믹스 네스카페 수프리모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 마일드모카

좋아함(14.2)

자주먹음(3.6)

좋아함(13.6)

자주먹음(6.5)

좋아함(10.1)

자주먹는다(6.5)

표 49-3. 커피 믹스제품의 선택 요인(n=169, %)

남양 프렌치카페

아라비카 골드라벨맥심 웰빙 1/2 모카믹스 롯데 칸타타 마일드골드

좋아함(8.3)

자주먹는다(1.8)

좋아함(7.1)

자주먹음(0.6)

좋아함(5.3)

자주먹음(1.2)

Page 7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55

표 50-1. 커피 믹스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9, %)

제품명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

남양 프렌치카페

카페믹스맥심 아라비카 믹스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73 56 43 20 24 6

브랜드 이미지 56.2 69.6 53.5 40.0 37.5 0.0

프리미엄 이미지 17.8 7.1 41.9 50.0 16.7 33.3

광고 모델 11.0 3.6 46.5 50.0 16.7 0.0

용기 디자인 6.8 0.0 2.3 0.0 0.0 0.0

품질이 좋음 39.7 33.9 18.6 30.0 45.8 50.0

원조 45.2 57.1 4.7 0.0 16.7 0.0

트렌디 11.0 5.4 27.9 30.0 20.8 16.7

광고 내용(효과) 8.2 5.4 58.1 55.0 20.8 0.0

경제적인 가격 30.1 33.9 7.0 5.0 0.0 33.3

첨가물의 유/무

(ex. 프림, 우유 등)11.0 5.4 53.5 75.0 33.3 16.7

시장점유율 27.4 37.5 11.6 20.0 16.7 0.0

접근성 38.4 46.4 30.2 20.0 8.3 33.3

건강지향적 1.4 0.0 25.6 40.0 12.5 0.0

열량 5.5 0.0 4.7 0.0 0.0 16.7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4 1.8 44.2 45.0 25.0 16.7

친숙함, 익숙함 68.5 76.8 18.6 10.0 29.2 16.7

갈증해소 1.4 1.8 7.0 5.0 8.3 0.0

각성효과 26.0 28.6 14.0 15.0 16.7 33.3

자기만족 21.9 19.6 39.5 45.0 25.0 16.7

기분전환 45.2 39.3 44.2 30.0 25.0 16.7

전반적인 맛의 조화 37.0 44.6 32.6 50.0 25.0 0.0

커피향 45.2 37.5 34.9 25.0 41.7 66.7

단맛 35.6 32.1 20.9 35.0 0.0 0.0

쓴맛 5.5 1.8 7.0 0.0 8.3 0.0

풍부한 향미 20.5 25.0 20.9 30.0 16.7 0.0

개성 있는 맛 5.5 0.0 2.3 0.0 0.0 0.0

중독성 있는 맛 15.1 17.9 4.7 10.0 0.0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8.8 37.5 25.6 40.0 12.5 16.7

깔끔한 뒷맛 5.5 3.6 27.9 30.0 16.7 16.7

부드러움 34.2 33.9 46.5 50.0 37.5 16.7

맛이 좋음 39.7 42.9 39.5 40.0 20.8 16.7

Page 78: RIG982SD (2)

45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0-2. 커피 믹스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9, %)

제품명 네스카페 수프리모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

마일드모카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23 11 17 11

브랜드 이미지 43.5 45.5 47.1 54.5

프리미엄 이미지 39.1 54.5 11.8 9.1

광고 모델 4.3 0.0 5.9 0.0

용기 디자인 13.0 0.0 0.0 0.0

품질이 좋음 39.1 72.7 23.5 36.4

원조 13.0 27.3 23.5 54.5

트렌디 17.4 27.3 23.5 0.0

광고 내용(효과) 30.4 9.1 17.6 0.0

경제적인 가격 4.3 9.1 29.4 36.4

첨가물의 유/무

(ex. 프림, 우유 등)13.0 9.1 0.0 9.1

시장점유율 8.7 9.1 29.4 18.2

접근성 17.4 27.3 11.8 27.3

건강지향적 17.4 27.3 0.0 9.1

열량 0.0 0.0 17.6 9.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4.3 18.2 11.8 9.1

친숙함, 익숙함 8.7 18.2 41.2 54.5

갈증해소 4.3 9.1 0.0 0.0

각성효과 8.7 9.1 29.4 27.3

자기만족 39.1 45.5 11.8 0.0

기분전환 43.5 54.5 29.4 36.4

전반적인 맛의 조화 30.4 36.4 23.5 27.3

커피향 47.8 54.5 29.4 36.4

단맛 4.3 0.0 41.2 18.2

쓴맛 13.0 9.1 0.0 9.1

풍부한 향미 39.1 36.4 0.0 0.0

개성 있는 맛 13.0 9.1 0.0 0.0

중독성 있는 맛 0.0 0.0 0.0 9.1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7.4 9.1 29.4 36.4

깔끔한 뒷맛 17.4 18.2 0.0 0.0

부드러움 8.7 9.1 5.9 9.1

맛이 좋음 21.7 45.5 35.3 45.5

Page 7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57

표 51. 커피 믹스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맥심 모카골드

마일드 커피믹스73 56 1.3

네슬레 테이스터스

초이스 마일드모카17 11 1.5

네스카페 수프리모 23 11 2.1

남양 프렌치카페

카페믹스43 20 2.2

맥심

아라비카 믹스24 6 4.0

롯데 칸타타

마일드골드9 2 4.5

남양 프렌치카페

아라비카 골드라벨14 3 4.7

맥심 웰빙 1/2

모카믹스12 1 12.0

2) 커피 블랙믹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커피 블랙믹스 브랜드는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 맥심 아라

비카100> 부드러운 블랙믹스> 맥심 노슈가 아라비카> 남양 프렌치카페> 골드라벨 블랙> 맥심

오리지널 부드러운 블랙믹스 순이었음.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가 압도적임.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 제품의 경우 원두에 가까운 풍미, 광고모델,

기분전환, 커피향, 트렌디 등이 주요 요인 조사됨 (Table 52-1, 52-2).

가장 선호되었던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의 경우 품질, 열량, 각성효과가 자주 섭취하는 주요 요

인이며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은 좋아하는 주요 요인이었음 (Table 53).

커피 블랙믹스 제품 중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와 맥심 오리지널 부드러운 블랙믹스의 비율이 낮아 선호와 섭취빈도 비율이 상 적

으로 유사하 음 (Table 54).

Page 80: RIG982SD (2)

45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2-1. 커피 블랙믹스제품의 선택 요인(n=169, %)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

좋아함(24.9)

자주먹음(20.7)

원두에 가까운 풍미(18.9)

광고 모델(16.6)

기분전환(15.4)

커피향(15.4)

트렌디(14.8)

브랜드 이미지(13.6)

프리미엄 이미지(13.0)

광고 내용(효과)(13.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12.4)

품질이 좋음(11.8)

자기만족(10.7)

깔끔한 뒷맛(10.7)

표 52-2 커피 블랙믹스제품의 선택 요인(n=169, %)

맥심 아라비카100

부드러운 블랙믹스맥심 노슈가 아라비카

남양 프렌치카페

골드라벨 블랙

맥심 오리지널

부드러운 블랙믹스

좋아함(10.7)

자주먹음1.2)

좋아함(5.9)

자주먹음(1.8)

좋아함(5.3)

자주먹음(1.2)

좋아함(6.5)

자주먹음(4.1)

Page 8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59

표 53. 커피 블랙믹스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9, %)

제품명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맥심 아라비카100

부드러운 블랙믹스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2 35 18 2

브랜드 이미지 45.2 45.7 16.7 0.0

프리미엄 이미지 45.2 40.0 27.8 0.0

광고 모델 50.0 51.4 11.1 50.0

용기 디자인 26.2 28.6 5.6 0.0

품질이 좋음 38.1 51.4 16.7 50.0

원조 9.5 11.4 22.2 0.0

트렌디 50.0 48.6 22.2 0.0

경제적인 가격 21.4 14.3 11.1 0.0

시장점유율 9.5 11.4 11.1 0.0

접근성 19.0 20.0 5.6 0.0

광고 내용(효과) 35.7 45.7 16.7 50.0

건강지향적 11.9 11.4 11.1 0.0

열량 21.4 34.3 22.2 5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40.5 28.6 27.8 0.0

친숙함, 익숙함 14.3 17.1 27.8 0.0

갈증해소 9.5 5.7 0.0 0.0

각성효과 16.7 28.6 0.0 0.0

자기만족 35.7 40.0 0.0 0.0

기분전환 47.6 51.4 16.7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3.8 28.6 0.0 0.0

커피향 50.0 54.3 22.2 100.0

원두에 가까운 풍미 61.9 60.0 27.8 0.0

단맛 2.4 0.0 11.1 0.0

쓴맛 4.8 5.7 5.6 50.0

풍부한 향미 26.2 22.9 5.6 0.0

개성 있는 맛 4.8 5.7 5.6 0.0

중독성 있는 맛 4.8 5.7 0.0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6.2 37.1 5.6 0.0

깔끔한 뒷맛 40.5 40.0 16.7 0.0

부드러움 14.3 14.3 11.1 0.0

맛이 좋음 28.6 28.6 5.6 0.0

Page 82: RIG982SD (2)

46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4. 커피 블랙믹스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동서 카누 아메리카노 42 35 1.2

맥심 오리지널

부드러운 블랙믹스11 7 1.6

맥심 노슈가 아라비카 10 3 3.3

남양 프렌치카페

골드라벨 블랙9 2 4.5

맥심 아라비카100

부드러운 블랙믹스18 2 9.0

3) 커피유음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먹는 커피유음료 브랜드는 스타벅스> 카페라떼> TOP> 도토루>

아카페라> 칸타타> 프렌체카페> 할리스> 카페베네> 바바> 기타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스타벅스 제품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 기분전환, 접근성, 자기만

족, 프리미엄 등이 주요 원인임. 카페라떼는 친숙함, 접근성, 브랜드, 맛의 조화가 주요 요인

이었고 TOP는 브랜드 이미지와 접근성, 도토루는 접근성, 부드러움이 주요 요인으로 조사됨

(Table 55-1, 55-2, 55-3). 커피유음료의 경우 접근성이 선호하는 주요 요인으로 공통적으

로 꼽히는 것이 특징적임.

가장 선호되었던 스타벅스 커피유음료를 자주 마시는 이유로는 품질, 친숙함, 커피향, 개성 있

는 맛 등이었으며 카페라떼의 경우 결제적인 가격, 전반적인 맛의 조화, 맛 좋음 등이 자주 섭

취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나 스타벅스와 커페라떼의 시장 위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됨. TOP

제품의 경우 프리미엄 이미지, 광고, 전반적인 맛의 조화가 본제품을 선호하는 주요 요인이었

음 (Table 56-1).

커피 유음료 제품 중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카페라떼, 칸타

타, 프렌치카페, 아카페라, TOP 등이 그 지수가 낮아 선호와 섭취빈도 비율이 상 적으로 유

사하 음 (Table 57). 가장 선호되었던 스타벅스 유음료는 선호하는 수준에 비해 섭취하는 빈

도는 낮아 선호도가 섭취로 잘 이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됨.

Page 8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61

표 55-1. 커피 유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69, %)

스타벅스 카페라떼 TOP 도토루

좋아함(32.5)

자주먹음(8.3)

좋아함(24.9)

자주먹음(20.1)

좋아함(24.3)

자주먹음(13.0)

좋아함(23.7)

자주먹음(9.5)

브랜드 이미지(22.5)

기분전환(15.4)

접근성(13.6)

자기만족(13.6)

프리미엄 이미지(13.0)

맛이 좋음(12.4)

커피향(11.8)

친숙함, 익숙함(11.8)

트렌디(11.2)

품질이 좋음(10.7)

원조(10.7)

부드러움(10.1)

친숙함, 익숙함(22.5)

접근성(17.8)

브랜드 이미지(16.0)

전반적인 맛의

조화(14.8)

시장점유율(13.6)

기분전환(13.0)

품질이 좋음(12.4)

자기만족(12.4)

단맛(11.2)

부드러움(11.2)

맛이 좋음(11.2)

경제적인 가격(10.7)

커피향(10.1)

브랜드 이미지(14.2)

접근성(13.0)

광고 모델(12.4)

커피향(11.2)

접근성(13.0)

부드러움(13.0)

단맛(12.4)

기분전환(11.8)

브랜드 이미지(10.7)

용기 디자인(10.7)

자기만족(10.1)

커피향(10.1)

표 55-2. 커피 유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69, %)

아카페라 칸타타 프렌체카페

좋아함(19.5)

자주먹음(10.7)

좋아함(17.2)

자주먹음(11.8)

좋아함(16.6)

자주먹음(10.1)

접근성(11.2)

친숙함, 익숙함(10.1)

단맛(10.1)

브랜드 이미지(13.0)

접근성(13.0)

자기만족(10.1)

접근성(14.2)

전반적인 맛의 조화(10.1)

표 55-3. 커피 유음료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69, %)

할리스 카페베네 바바 기타

좋아함(7.7)

자주먹음(1.8)

좋아함(7.0)

자주먹음(3.5)

좋아함(4.7)

자주먹음(1.2)

좋아함(1.8)

자주먹음(3.6)

Page 84: RIG982SD (2)

46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6-1. 커피 유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9, %)

제품명 스타벅스 카페라떼 TOP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55 14 42 34 41 22

브랜드 이미지 63.6 71.4 42.9 38.2 39.0 40.9

프리미엄 이미지 36.4 42.9 9.5 5.9 22.0 9.1

광고 모델 3.6 14.3 4.8 0.0 36.6 36.4

용기 디자인 10.9 14.3 21.4 14.7 17.1 13.6

품질이 좋음 30.9 42.9 40.5 41.2 24.4 22.7

원조 25.5 35.7 19.0 26.5 4.9 13.6

트렌디 34.5 21.4 7.1 2.9 26.8 36.4

경제적인 가격 7.3 0.0 26.2 38.2 9.8 18.2

시장점유율 16.4 14.3 38.1 38.2 19.5 27.3

접근성 40.0 50.0 47.6 50.0 36.6 40.9

광고 내용(효과) 5.5 14.3 4.8 2.9 29.3 13.6

건강지향적 1.8 0.0 0.0 0.0 0.0 0.0

열량 3.6 7.1 0.0 0.0 0.0 4.5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9.1 7.1 7.1 2.9 14.6 18.2

친숙함, 익숙함 32.7 42.9 54.8 64.7 31.7 31.8

갈증해소 7.3 0.0 14.3 20.6 7.3 13.6

각성효과 16.4 7.1 19.0 17.6 22.0 9.1

자기만족 38.2 28.6 38.1 44.1 29.3 31.8

기분전환 41.8 50.0 45.2 38.2 36.6 31.8

전반적인 맛의 조화 27.3 21.4 40.5 52.9 26.8 13.6

커피향 32.7 50.0 26.2 17.6 31.7 31.8

단맛 23.6 14.3 31.0 35.3 17.1 18.2

쓴맛 3.6 14.3 2.4 0.0 7.3 18.2

풍부한 향미 23.6 21.4 9.5 11.8 12.2 4.5

개성 있는 맛 10.9 21.4 9.5 5.9 2.4 4.5

중독성 있는 맛 12.7 0.0 9.5 20.6 4.9 4.5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0.9 21.4 21.4 20.6 26.8 22.7

깔끔한 뒷맛 3.6 7.1 11.9 11.8 24.4 36.4

부드러움 27.3 21.4 33.3 38.2 14.6 4.5

맛이 좋음 34.5 35.7 33.3 50.0 29.3 18.2

Page 8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63

표 56-2. 커피 유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9, %)

제품명 도토루 아카페라 칸타타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0 16 33 18 29 20

브랜드 이미지 40.0 31.3 36.4 33.3 44.8 45.0

프리미엄 이미지 12.5 12.5 27.3 16.7 6.9 5.0

광고 모델 15.0 18.8 18.2 16.7 17.2 15.0

용기 디자인 37.5 43.8 33.3 50.0 17.2 25.0

품질이 좋음 32.5 25.0 21.2 16.7 31.0 15.0

원조 10.0 6.3 3.0 16.7 10.3 15.0

트렌디 22.5 18.8 27.3 11.1 27.6 10.0

경제적인 가격 20.0 31.3 21.2 38.9 3.4 5.0

시장점유율 7.5 12.5 27.3 11.1 10.3 15.0

접근성 42.5 37.5 42.4 61.1 41.4 50.0

광고 내용(효과) 17.5 12.5 12.1 11.1 20.7 20.0

건강지향적 5.0 0.0 0.0 0.0 0.0 0.0

열량 0.0 0.0 6.1 5.6 3.4 5.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0.0 25.0 24.2 16.7 13.8 10.0

친숙함, 익숙함 30.0 18.8 33.3 61.1 41.4 30.0

갈증해소 7.5 6.3 18.2 22.2 17.2 35.0

각성효과 12.5 12.5 9.1 5.6 20.7 15.0

자기만족 35.0 25.0 30.3 22.2 41.4 35.0

기분전환 45.0 37.5 33.3 33.3 31.0 35.0

전반적인 맛의 조화 37.5 18.8 33.3 22.2 27.6 30.0

커피향 37.5 25.0 24.2 11.1 41.4 40.0

단맛 35.0 50.0 36.4 38.9 31.0 20.0

쓴맛 2.5 0.0 0.0 0.0 6.9 15.0

풍부한 향미 17.5 18.8 6.1 11.1 24.1 25.0

개성 있는 맛 10.0 12.5 12.1 16.7 3.4 5.0

중독성 있는 맛 10.0 6.3 9.1 16.7 10.3 1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5.0 18.8 30.3 22.2 20.7 15.0

깔끔한 뒷맛 15.0 18.8 9.1 11.1 13.8 25.0

부드러움 47.5 50.0 21.2 27.8 24.1 20.0

맛이 좋음 32.5 43.8 27.3 33.3 31.0 25.0

Page 86: RIG982SD (2)

46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7. 커피 유음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카페라떼 42 34 1.2

칸타타 29 20 1.5

프렌치카페 28 17 1.6

아카페라 33 18 1.8

TOP 41 22 1.9

카페베네 12 6 2.0

도토루 40 16 2.5

스타벅스 55 14 3.9

바바 8 2 4.0

할리스 13 3 4.3

3.12.5. 주류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맥주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마시는 맥주 브랜드는 OB Cass Fresh> 하이트진로 Hite> 하이

트진로 Max> 하이트진로 드라이피니쉬 d> OB Cass Light> OB Cafri> OB Golden Lager>

하이트 진로S 기타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OB Cass Fresh, 하이트진로 Hite, 하이트진로 Max 제품의 경우

친숙함, 브랜드, 갈증해소가 공통적인 선호 요인인 것으로 조사됨, 이들 제품 중 하이트 진로

Hite는 부담 없는 맛이 특징적인 요인이었음 (Table 58-1, 58-2).

가장 선호되었던 OB Cass Fresh의 경우 자주 섭취하는 요인으로 품질, 친숙함, 맛 등이 꼽혔

으며 하이트진로 Hite의 경우 맛의 조화, 목넘김, 하이트진로 Max는 경제적인 가격, 광고내

용, 기분전환, 부담 없는 맛 등이 주요하 음 (Table 59-1).

맥주 제품 중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OB Cass Fresh, 하

이트진로 Hite, 하이트진로 드라이피니쉬 d, OB Cass Light 등이 그 지수가 낮아 선호와 섭

취빈도 비율이 상 적으로 유사하 음 (Table 60). 맥주제품은 전반적으로 본 지수가 다른

제품군에 비해 낮음.

Page 8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65

표 58-1. 주류 맥주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OB Cass Fresh 하이트진로 Hite 하이트진로 Max하이트진로

드라이피니쉬 d

좋아함 (37.3)

자주먹음 (27.7)

좋아함 (35.6)

자주먹음 (25.4)

좋아함 (32.2)

자주먹음 (16.4)

좋아함 (16.9)

자주먹음 (10.2)

친숙함, 익숙함 (28.2)

브랜드 이미지 (25.4)

갈증해소 (22.0)

기분전환 (16.9)

품질이 좋음 (16.4)

탄산감 (15.3)

맛이 좋음 (14.7)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4.1)

접근성 (13.0)

전반적인 맛의 조화

(12.4)

목넘김 (12.4)

원조 (11.9)

친숙함, 익숙함 (26.6)

브랜드 이미지 (26.0)

갈증해소 (20.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9.2)

접근성 (18.6)

전반적인 맛의 조화

(15.3)

품질이 좋음 (14.1)

원조 (13.0)

기분전환 (13.0)

시장점유율 (12.4)

탄산감 (10.7)

목넘김 (10.2)

브랜드 이미지 (15.8)

친숙함, 익숙함 (14.1)

갈증해소 (13.0)

품질이 좋음 (12.4)

기분전환 (12.4)

접근성 (11.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3)

표 58-2. 주류 맥주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OB Cass Light OB Cafri OB Golden Lager 하이트 진로S

좋아함 (15.3)

자주먹음 (9.0)

좋아함 (15.3)

자주먹음 (7.3)

좋아함 (13.0)

자주먹음 (5.6)

좋아함 (3.4)

자주먹음 (0.6)

Page 88: RIG982SD (2)

46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59-1. 주류 맥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 OB Cass Fresh 하이트진로 Hite 하이트진로 Max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66 49 63 45 57 29

브랜드 이미지 51.5 53.1 54.0 42.2 43.9 44.8

프리미엄 이미지 7.6 2.0 3.2 2.2 19.3 10.3

광고모델 10.6 12.2 15.9 13.3 12.3 20.7

병/포장 디자인 6.1 6.1 4.8 2.2 8.8 10.3

품질이 좋음 31.8 42.9 30.2 33.3 31.6 37.9

원조 27.3 22.4 31.7 24.4 7.0 0.0

트렌디 12.1 22.4 14.3 17.8 26.3 27.6

경제적인 가격 15.2 12.2 14.3 17.8 12.3 24.1

마트 행사상품 9.1 10.2 7.9 8.9 8.8 10.3

시장점유율 16.7 18.4 23.8 24.4 12.3 10.3

접근성 25.8 26.5 30.2 40.0 29.8 27.6

광고내용(효과) 9.1 16.3 12.7 13.3 12.3 27.6

지인의 추천(권유) 16.7 16.3 11.1 6.7 17.5 6.9

곁들임 안주와의 어울림 19.7 24.5 11.1 15.6 12.3 10.3

건강지향적 1.5 0.0 1.6 2.2 1.8 3.4

열량 3.0 2.0 0.0 2.2 3.5 6.9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6.1 2.0 6.3 0.0 15.8 6.9

친숙함, 익숙함 51.5 63.3 54.0 55.6 38.6 37.9

갈증해소 45.5 46.9 36.5 42.2 33.3 34.5

기분전환 31.8 40.8 27.0 26.7 31.6 44.8

전반적인 맛의 조화 25.8 26.5 23.8 42.2 22.8 20.7

개성 있는 맛 12.1 12.2 12.7 4.4 19.3 27.6

중독성있는 맛 6.1 10.2 3.2 11.1 7.0 6.9

드라이한 맛 12.1 8.2 6.3 4.4 7.0 3.4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7.3 30.6 31.7 48.9 29.8 41.4

쓴맛 3.0 2.0 3.2 6.7 5.3 0.0

탄산감 31.8 36.7 22.2 20.0 12.3 10.3

목넘김 25.8 28.6 17.5 33.3 21.1 13.8

깔끔한 뒷맛 19.7 22.4 15.9 4.4 15.8 13.8

풍부함 6.1 4.1 3.2 2.2 22.8 17.2

가벼움 6.1 12.2 11.1 11.1 5.3 0.0

청량감 16.7 18.4 11.1 13.3 8.8 6.9

맛이 좋음 28.8 46.9 20.6 24.4 22.8 31.0

Page 8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67

표 59-2. 주류 맥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하이트진로

드라이피니쉬 dOB Cass Light OB Golden Lager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30 18 27 16 23 10

브랜드 이미지 23.3 33.3 51.9 56.3 47.8 20.0

프리미엄 이미지 26.7 27.8 18.5 6.3 13.0 30.0

광고모델 10.0 5.6 18.5 12.5 0.0 10.0

병/포장 디자인 13.3 16.7 7.4 12.5 0.0 0.0

품질이 좋음 36.7 27.8 22.2 31.3 30.4 30.0

원조 3.3 0.0 22.2 31.3 39.1 40.0

트렌디 23.3 22.2 25.9 25.0 8.7 10.0

경제적인 가격 16.7 22.2 11.1 6.3 0.0 20.0

마트 행사상품 3.3 0.0 3.7 0.0 8.7 0.0

시장점유율 3.3 5.6 11.1 6.3 4.3 0.0

접근성 13.3 16.7 22.2 18.8 17.4 10.0

광고내용(효과) 13.3 11.1 25.9 31.3 4.3 0.0

지인의 추천(권유) 20.0 16.7 3.7 6.3 0.0 10.0

곁들임 안주와의 어울림 23.3 27.8 18.5 31.3 8.7 0.0

건강지향적 3.3 0.0 11.1 12.5 0.0 0.0

열량 6.7 22.2 22.2 18.8 0.0 1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40.0 27.8 7.4 18.8 21.7 20.0

친숙함, 익숙함 10.0 16.7 29.6 43.8 34.8 20.0

갈증해소 26.7 22.2 37.0 31.3 26.1 40.0

기분전환 26.7 33.3 48.1 43.8 17.4 1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0.0 11.1 25.9 25.0 26.1 20.0

개성 있는 맛 13.3 11.1 18.5 31.3 21.7 20.0

중독성있는 맛 20.0 27.8 3.7 6.3 0.0 10.0

드라이한 맛 36.7 38.9 14.8 18.8 4.3 1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6.7 16.7 22.2 18.8 26.1 20.0

쓴맛 3.3 11.1 0.0 0.0 4.3 0.0

탄산감 20.0 27.8 37.0 43.8 0.0 0.0

목넘김 26.7 27.8 18.5 25.0 13.0 20.0

깔끔한 뒷맛 30.0 27.8 25.9 25.0 0.0 0.0

풍부함 3.3 5.6 7.4 12.5 17.4 20.0

가벼움 6.7 0.0 18.5 18.8 4.3 10.0

청량감 13.3 16.7 7.4 12.5 8.7 10.0

맛이 좋음 30.0 33.3 18.5 25.0 21.7 30.0

Page 90: RIG982SD (2)

46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0. 주류 맥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OB Cass Fresh 66 49 1.3

하이트진로 Hite 63 45 1.4

하이트진로

드라이피니쉬 d30 18 1.7

OB Cass Light 27 16 1.7

하이트진로 Max 57 29 2.0

OB Cafri 27 13 2.1

OB Golden Lager 23 10 2.3

2) 소주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마시는 소주 브랜드는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 롯데 처음처럼>

하이트진로 참이슬Classic> 롯데 순한 처음처럼> 롯데 진한 처음처럼> 롯데 산(山)> 국순당 참

순> 기타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의 경우원조와 경제적인 가격이 본제품을

선호하는 주요요인이었음. 롯데 처음처럼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 시장점유율, 기분전환, 가벼

움이 자주 섭취하는 요인임. 롯데 처음처럼은 브랜드와 알코올 도수가 선호 요인이었음. 하이

트진로 참이슬Classic 제품의 경우 브랜드와 원조의 이미지가 강하여 참이슬이 원조의 이미지

가 강한 것으로 조사됨 (Table 61-1, 61-2).

가장 선호되었던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의 경우 좋아하는 요인으로 원조, 경제적인 요인이

주요했으며 처음처름의 경우 브랜드, 시장점유율, 기분전환, 가벼움 등이 자주 섭취하는 요인

으로, 하이트진로 참이슬Classic의 경우 알코올 도수와 기분전환이 자주 섭취하는 요인으로 꼽

힘 (Table 62).

맥주 제품 중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가 그 지수가 가장 낮아 선호와 섭취빈도 비율이 상 적으로 유사하 음 (Table 63).

Page 9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69

표 61-1. 주류 소주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 롯데 처음처럼 하이트진로 참이슬Classic

좋아함 (37.3)

자주먹음 (34.5)

좋아함 (24.9)

자주먹음 (14.1)

좋아함 (21.5)

자주먹음 (9.0)

친숙함, 익숙함 (41.2)

브랜드 이미지 (31.1)

원조 (26.0)

품질이 좋음 (21.5)

알코올 도수 (18.6)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8.1)

기분전환 (17.5)

전반적인 맛의 조화 (17.5)

시장점유율 (16.9)

접근성 (14.1)

곁들임 안주와의 어울림 (14.1)

경제적인 가격 (12.4)

알코올 향 (12.4)

목넘김 (12.4)

깔끔한 뒷맛 (10.7)

맛이 좋음 (10.2)

브랜드 이미지 (16.9)

알코올 도수 (13.6)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1.3)

친숙함, 익숙함 (10.7)

접근성 (10.2)

브랜드 이미지 (13.0)

원조 (12.4)

친숙함, 익숙함 (12.4)

표 61-2. 주류 소주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롯데 순한 처음처럼 롯데 진한 처음처럼 롯데 산(山) 국순당 참순

좋아함 (14.1)

자주먹음 (2.8)

좋아함 (6.8)

자주먹음 (0.0)

좋아함 (4.5)

자주먹음 (0.0)

좋아함 (3.4)

자주먹음 (0.6)

Page 92: RIG982SD (2)

47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2-1. 주류 소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 롯데 처음처럼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66 61 44 25

브랜드 이미지 56.1 50.8 43.2 68.0

광고모델 10.6 11.5 20.5 12.0

병/포장 디자인 6.1 3.3 4.5 4.0

품질이 좋음 34.8 36.1 27.3 28.0

원조 50.0 36.1 20.5 24.0

트렌디 10.6 11.5 25.0 12.0

경제적인 가격 25.8 14.8 9.1 16.0

마트 행사상품 3.0 1.6 9.1 16.0

시장점유율 27.3 32.8 9.1 28.0

접근성 25.8 26.2 29.5 44.0

광고내용(효과) 4.5 6.6 11.4 8.0

지인의 추천(권유) 7.6 13.1 15.9 12.0

곁들임 안주와의 어울림 22.7 29.5 6.8 4.0

알코올 도수 30.3 36.1 43.2 44.0

친숙함, 익숙함 66.7 70.5 31.8 44.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0.0 0.0 9.1 4.0

갈증해소 4.5 3.3 4.5 0.0

기분전환 33.3 37.7 15.9 28.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7.3 32.8 20.5 20.0

개성 있는 맛 3.0 1.6 6.8 0.0

중독성 있는 맛 12.1 13.1 4.5 4.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7.3 36.1 34.1 40.0

알코올 향 21.2 21.3 11.4 20.0

목넘김 25.8 18.0 9.1 8.0

깔끔한 뒷맛 16.7 21.3 13.6 8.0

묵직함 1.5 1.6 0.0 0.0

가벼움 13.6 6.6 11.4 24.0

청량감 6.1 4.9 11.4 8.0

숙취 정도 3.0 8.2 6.8 8.0

쓴맛 10.6 11.5 6.8 16.0

단맛 9.1 8.2 2.3 12.0

감칠맛 6.1 6.6 4.5 8.0

맛이 좋음 18.2 21.3 15.9 20.0

Page 9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71

표 62-2. 주류 소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 하이트진로 참이슬 Classic 롯데 순한 처음처럼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38 16 25 5

브랜드 이미지 50.0 43.8 20.0 40.0

광고모델 7.9 12.5 20.0 0.0

병/포장 디자인 5.3 0.0 8.0 20.0

품질이 좋음 34.2 25.0 36.0 60.0

원조 52.6 37.5 4.0 0.0

트렌디 7.9 6.3 28.0 20.0

경제적인 가격 10.5 6.3 8.0 20.0

마트 행사상품 2.6 0.0 4.0 0.0

시장점유율 7.9 18.8 4.0 20.0

접근성 21.1 31.3 20.0 20.0

광고내용(효과) 0.0 0.0 12.0 20.0

지인의 추천(권유) 0.0 12.5 8.0 0.0

곁들임 안주와의 어울림 18.4 6.3 4.0 20.0

알코올 도수 31.6 43.8 36.0 60.0

친숙함, 익숙함 52.6 31.3 32.0 2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5.3 0.0 12.0 20.0

갈증해소 5.3 12.5 4.0 0.0

기분전환 28.9 43.8 20.0 2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10.5 18.8 8.0 0.0

개성 있는 맛 26.3 18.8 4.0 0.0

중독성 있는 맛 13.2 18.8 0.0 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10.5 12.5 28.0 40.0

알코올 향 18.4 31.3 16.0 20.0

목넘김 15.8 12.5 12.0 0.0

깔끔한 뒷맛 18.4 37.5 12.0 20.0

묵직함 5.3 0.0 0.0 0.0

가벼움 5.3 6.3 20.0 20.0

청량감 5.3 6.3 0.0 0.0

숙취 정도 10.5 12.5 0.0 0.0

쓴맛 18.4 18.8 4.0 0.0

단맛 0.0 0.0 4.0 0.0

감칠맛 0.0 0.0 0.0 0.0

맛이 좋음 23.7 25.0 8.0 0.0

Page 94: RIG982SD (2)

47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3. 주류 소주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 먹음(n)좋아함/자주 먹음

Ratio

하이트진로 참이슬

Fresh66 61 1.1

롯데 처음처럼 44 25 1.8

하이트진로 참이슬

Classic38 16 2.4

롯데 순한 처음처럼 25 5 5.0

3) 막걸리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자주 마시는 막걸리 브랜드는 서울 장수 막걸리> 국순당 생 막걸리>

국순당 우국생 막걸리> 포천 이동 막걸리> 배상면주가 느린마을 막걸리> 배상면주가 포막걸

리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서울장수막걸리의 경우 그 선호 요인으로는 친숙함, 원조, 브랜드

이미지, 부담 없는, 전반적인 맛의 조화가 꼽혔음 (Table 64-1, 64-2).

서울장수막걸리의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원조, 친숙함, 부담 없는

맛이 자주 먹는 주요 요인으로 꼽힘 (Table 65-1, 65-2). 국순당 생 막걸리의 경우 자주 먹

는 요인은 품질, 시장점유율, 인지도, 신선한 맛 등이 비중이 높게 선택됨.

막걸리의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산하 을 때 맥주나 소주에 비해 좋아

하는 빈도와 비교했을 때 자주 섭취하는 빈도가 상 적으로 낮아 막걸리에 한 호감도는 있

으나 이에 비해 섭취빈도 수준은 낮은 것으로 분석됨(Table 66).

Page 9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73

표 64-1. 주류 막걸리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서울 장수 막걸리 국순당 생 막걸리 국순당 우국생 막걸리

좋아함 (42.9)

자주 먹음 (14.7)

좋아함 (17.5)

자주 먹음 (6.2)

좋아함 (17.5)

자주 먹음 (4.0)

친숙함, 익숙함 (30.5)

원조 (24.9)

브랜드 이미지 (24.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20.9)

전반적인 맛의 조화 (19.2)

품질이 좋음 (16.4)

맛좋음 (15.3)

인지도 (14.1)

구수한 맛 (11.9)

접근성 (11.3)

발효취 (10.7)

단맛 (10.7)

표 64-2. 주류 막걸리제품의 식품선택 요인(n=177, %)

포천 이동 막걸리 배상면주가 느린마을 막걸리 배상면주가 대포막걸리

좋아함 (11.3)

자주 먹음 (2.8)

좋아함 (6.2)

자주 먹음 (1.1)

좋아함 (5.6)

자주 먹음 (0.0)

Page 96: RIG982SD (2)

47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5-1. 주류 막걸리제품의 좋아함/자주 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 서울 장수 막걸리 국순당 생 막걸리 국순당 우국생 막걸리

유형 좋아함 자주 먹음 좋아함 자주 먹음 좋아함 자주 먹음

n 76 26 31 11 31 7

브랜드 이미지 50.0 53.8 38.7 45.5 38.7 85.7

프리미엄 이미지 5.3 0.0 16.1 9.1 35.5 28.6

용기 디자인 3.9 7.7 9.7 9.1 9.7 14.3

품질이 좋음 32.9 30.8 38.7 63.6 25.8 28.6

원조 47.4 61.5 12.9 27.3 6.5 14.3

트렌디 6.6 7.7 16.1 18.2 29.0 42.9

경제적인 가격 15.8 15.4 19.4 9.1 22.6 14.3

마트 행사상품 5.3 0.0 12.9 9.1 12.9 14.3

시장점유율 19.7 19.2 9.7 27.3 6.5 14.3

접근성 23.7 19.2 25.8 36.4 19.4 14.3

인지도 28.9 26.9 22.6 36.4 19.4 14.3

건강지향적 13.2 7.7 12.9 9.1 0.0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3.9 0.0 22.6 27.3 25.8 42.9

친숙함, 익숙함 59.2 73.1 41.9 18.2 32.3 28.6

갈증해소 17.1 3.8 16.1 18.2 19.4 42.9

기분전환 18.4 7.7 29.0 36.4 38.7 42.9

양조(제조) 지역 6.6 0.0 3.2 9.1 6.5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42.1 34.6 45.2 45.5 32.3 57.1

개성 있는 맛 7.9 0.0 29.0 27.3 12.9 14.3

중독성 있는 맛 11.8 7.7 9.7 18.2 3.2 14.3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39.5 50.0 45.2 36.4 35.5 57.1

신선한 맛 13.2 0.0 25.8 36.4 19.4 42.9

발효취(누룩향) 23.7 23.1 12.9 18.2 16.1 0.0

과일향 2.6 0.0 3.2 9.1 0.0 0.0

단맛 22.4 30.8 35.5 27.3 32.3 42.9

구수한 맛 26.3 26.9 22.6 45.5 25.8 28.6

탄산감 19.7 15.4 16.1 27.3 19.4 28.6

청량감 11.8 11.5 12.9 36.4 9.7 57.1

묵직함 3.9 3.8 0.0 9.1 0.0 0.0

가벼움 2.6 0.0 12.9 0.0 6.5 14.3

목넘김 18.4 15.4 22.6 36.4 0.0 0.0

깔끔한 뒷맛 10.5 7.7 25.8 36.4 19.4 42.9

탁한 정도 19.7 15.4 6.5 9.1 6.5 0.0

맛좋음 35.5 23.1 32.3 27.3 32.3 57.1

Page 9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75

표 65-2. 주류 막걸리제품의 좋아함/자주 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77, %)

제품명 포천 이동 막걸리배상면주가

느린마을 막걸리

유형 좋아함 자주 먹음 좋아함 자주 먹음

n 20 5 11 2

브랜드 이미지 40.0 0.0 27.3 0.0

프리미엄 이미지 5.0 0.0 45.5 100.0 용기 디자인 0.0 20.0 18.2 0.0

품질이 좋음 40.0 40.0 36.4 50.0 원조 30.0 0.0 9.1 0.0

트렌디 15.0 0.0 27.3 0.0

경제적인 가격 5.0 40.0 18.2 0.0

마트 행사상품 10.0 0.0 0.0 0.0

시장점유율 0.0 0.0 9.1 0.0

접근성 15.0 0.0 0.0 0.0

인지도 25.0 40.0 9.1 0.0

건강지향적 5.0 20.0 18.2 0.0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0.0 20.0 27.3 0.0

친숙함, 익숙함 50.0 20.0 45.5 0.0

갈증해소 15.0 20.0 9.1 0.0

기분전환 15.0 20.0 9.1 0.0

양조(제조) 지역 25.0 40.0 9.1 0.0

전반적인 맛의 조화 20.0 0.0 27.3 0.0

개성 있는 맛 15.0 0.0 9.1 0.0

중독성 있는 맛 0.0 20.0 0.0 50.0 무난한 맛/부담 없는 맛 30.0 20.0 27.3 50.0

신선한 맛 15.0 40.0 27.3 50.0 발효취(누룩향) 20.0 0.0 27.3 0.0

과일향 0.0 0.0 0.0 50.0 단맛 5.0 20.0 0.0 0.0

구수한 맛 25.0 40.0 18.2 0.0

탄산감 10.0 0.0 0.0 0.0

청량감 0.0 0.0 0.0 0.0

묵직함 0.0 0.0 18.2 0.0

가벼움 0.0 0.0 9.1 0.0

목넘김 10.0 20.0 0.0 0.0

깔끔한 뒷맛 5.0 0.0 0.0 0.0

탁한 정도 5.0 20.0 0.0 0.0

맛좋음 30.0 20.0 36.4 50.0

Page 98: RIG982SD (2)

47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6. 주류 막걸리제품의 좋아함/자주 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 먹음(n)좋아함/자주 먹음

Ratio

국순당 생 막걸리 31 11 2.8

서울 장수 막걸리 76 26 2.9

포천 이동 막걸리 20 5 4.0

국순당

우국생 막걸리31 7 4.4

배상면주가

느린마을 막걸리11 2 5.5

3.12.6. 간장 및 조미료에 대한 소비자 인식

1) 간장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섭취하는 양조 혹은 진간장 브랜드는 샘표 진간장 금 F3> 샘표 양조간

장 501> 샘표 진간장 금S> 샘표 양조간장 701> 몽고 송표 프라임 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양

조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진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저염진간장> 샘표 저염간장 미네랄> 해찬

들 32도 숙성양조간장> 해찬들 남해 다시마 진간장> 해찬들 32도 숙성양조진간장 순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샘표 진간장 금 F3, 샘표 양조간장 501, 샘표 진간장 금S는 선택

요인으로 친숙함, 품질 좋음, 원조가 가장 비중있는 요인으로 꼽힘 (Table 67-1, 67-2,

67-3).

가장 선호되는 간장들의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을 비교하 을 때 샘표 진간장 금 F3

은 본제품을 좋아한다고 인식하는 소비자가 제품의 브랜드 이미지, 전체적인 맛 향상, 감칠맛

향상 등의 이유로 좋아한다고 응답함. 샘표 양조간장 501의 경우 본제품을 좋아한다고 인식하

는 소비자가 인지도, 건강지향적, 주재료의 맛을 잘 살리는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힘. 샘표 진

간장 금S 자주 먹는 요인으로 품질, 친숙함, 사용편리성, 전체적인 맛의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조사됨(Table 68-1, 68-2).

간장의 경우 조미의 기능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

산하 을 때 지수가 1 이하 즉, 좋아하는 빈도보다 자주 먹는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됨.

본 지수가 1 미만인 제품은 청정원 자연숙성 진간장, 샘표 양조간장 501, 샘표 진간장 금 F3,

청정원 자연숙성 양조간장으로 조사됨 (Table 69).

Page 9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77

표 67-1. 장류 간장제품의 선택 요인(n=166, %)

샘표 진간장 금 F3 샘표 양조간장 501 샘표 진간장 금S 샘표 양조간장 701

좋아함 (24.1)

자주먹음 (27.7)

좋아함 (23.5)

자주먹음 (27.7)

좋아함 (16.9)

자주먹음 (16.9)

좋아함 (15.1)

자주먹음 (12.0)

친숙함/익숙함 (28.9)

품질이 좋음 (22.9)

맛 좋음 (19.3)

원조 (18.1)

브랜드 이미지 (15.7)

맛내기 쉬움 (15.7)

감칠맛 향상 (15.1)

사용 편리성 (12.7)

인지도 (12.0)

경제적인 가격 (11.4)

시장점유율 (11.4)

전체적인 맛의 향상

(10.2)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10.2)

친숙함/익숙함 (27.7)

품질이 좋음 (25.9)

브랜드 이미지 (21.7)

원조 (20.5)

맛 좋음 (16.3)

인지도 (14.5)

시장점유율 (12.0)

접근성 (12.0)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12.0)

전체적인 맛의 향상

(10.8)

맛내기 쉬움 (10.2)

친숙함/익숙함 (21.1)

품질이 좋음 (18.1)

원조 (15.1)

맛 좋음 (13.9)

인지도 (12.7)

브랜드 이미지 (11.4)

품질이 좋음 (13.9)

표 67-2. 장류 간장제품의 선택 요인(n=166, %)

몽고 송표 프라임

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양조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진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저염진간장

좋아함 (11.4)

자주먹음 (7.8)

좋아함 (7.2)

자주먹음 (7.8)

좋아함 (5.4)

자주먹음 (10.8)

좋아함 (5.4)

자주먹음 (2.4)

표 67-3. 장류 간장제품의 선택 요인(n=166, %)

샘표 저염간장 미네랄해찬들 32도

숙성양조간장

해찬들 남해 다시마

진간장

해찬들 32도

숙성양조진간장

좋아함 (4.8)

자주먹음 (2.4)

좋아함 (3.0)

자주먹음 (2.4)

좋아함 (1.8)

자주먹음 (0.0)

좋아함 (0.0)

자주먹음 (1.2)

Page 100: RIG982SD (2)

47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8-1. 장류 간장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6, %)

제품명 샘표 진간장 금 F3 샘표 양조간장 501 샘표 진간장 금S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0 46 39 46 28 28

브랜드 이미지 45.0 34.8 51.3 52.2 42.9 39.3

프리미엄 이미지 15.0 15.2 17.9 10.9 10.7 14.3

광고모델 2.5 2.2 0.0 2.2 7.1 3.6

품질이 좋음 65.0 63.0 64.1 65.2 57.1 67.9

원조 52.5 45.7 53.8 52.2 46.4 57.1

트렌디 5.0 2.2 7.7 4.3 10.7 3.6

경제적인 가격 30.0 30.4 17.9 17.4 25.0 32.1

시장점유율 35.0 32.6 35.9 30.4 25.0 14.3

접근성 27.5 23.9 33.3 32.6 35.7 28.6

인지도 40.0 34.8 46.2 32.6 53.6 42.9

마트 행사상품 15.0 17.4 23.1 26.1 14.3 21.4

광고내용(효과) 15.0 10.9 0.0 4.3 7.1 7.1

제품 제조 방법 20.0 10.9 20.5 28.3 7.1 7.1

건강지향적 7.5 4.3 25.6 13.0 14.3 7.1

제품 성분 12.5 10.9 10.3 10.9 14.3 10.7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5.0 13.0 5.1 8.7 10.7 7.1 친숙함, 익숙함 82.5 76.1 64.1 73.9 67.9 82.1

사용 편리성 37.5 37.0 28.2 23.9 14.3 32.1

천연재료의 사용 7.5 4.3 2.6 4.3 7.1 7.1

전체적인 맛의 향상(증가) 35.0 21.7 33.3 26.1 10.7 32.1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35.0 32.6 30.8 28.3 25.0 17.9

주재료의 맛을 살림 27.5 26.1 33.3 19.6 17.9 28.6

맛내기 쉬움 45.0 43.5 25.6 26.1 32.1 28.6

감칠맛 향상 50.0 34.8 20.5 10.9 25.0 28.6

구수한 맛 증진 15.0 15.2 7.7 6.5 10.7 21.4

깊은 맛 27.5 26.1 17.9 19.6 21.4 17.9

묵직함 2.5 6.5 0.0 0.0 3.6 3.6

풍부한 맛 27.5 19.6 23.1 15.2 14.3 25.0

깔끔한 맛 22.5 23.9 12.8 23.9 10.7 17.9

음식의 색을 깨끗하게 냄 20.0 19.6 15.4 10.9 7.1 17.9

맛 좋음 57.5 52.2 41.0 43.5 50.0 57.1

Page 101: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79

표 68-2. 장류 간장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6, %)

제품명 샘표 양조간장 701 몽고 송표 프라임 간장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25 20 19 13

브랜드 이미지 40.0 35.0 36.8 30.8

프리미엄 이미지 20.0 10.0 15.8 15.4

광고모델 12.0 5.0 5.3 0.0

품질이 좋음 64.0 75.0 47.4 84.6

원조 20.0 50.0 52.6 69.2

트렌디 8.0 15.0 15.8 15.4

경제적인 가격 12.0 20.0 10.5 15.4

시장점유율 36.0 20.0 5.3 0.0

접근성 16.0 20.0 0.0 7.7

인지도 36.0 45.0 36.8 46.2

마트 행사상품 20.0 15.0 10.5 7.7

광고내용(효과) 8.0 10.0 0.0 0.0

제품 제조 방법 20.0 25.0 26.3 46.2

건강지향적 24.0 20.0 42.1 38.5

제품 성분 28.0 35.0 10.5 30.8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6.0 5.0 10.5 0.0

친숙함, 익숙함 40.0 50.0 47.4 69.2

사용 편리성 16.0 25.0 10.5 15.4

천연재료의 사용 8.0 5.0 26.3 23.1

전체적인 맛의 향상(증가) 12.0 20.0 42.1 46.2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28.0 20.0 26.3 46.2

주재료의 맛을 살림 12.0 15.0 15.8 30.8

맛내기 쉬움 40.0 35.0 10.5 23.1

감칠맛 향상 8.0 15.0 26.3 23.1

구수한 맛 증진 12.0 5.0 10.5 7.7

깊은 맛 16.0 10.0 15.8 23.1

묵직함 8.0 10.0 0.0 0.0

풍부한 맛 8.0 10.0 21.1 23.1

깔끔한 맛 12.0 10.0 21.1 23.1

음식의 색을 깨끗하게 냄 16.0 5.0 21.1 15.4

맛 좋음 32.0 45.0 42.1 53.8

Page 102: RIG982SD (2)

480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68-3. 장류 간장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6, %)

제품명 청정원 자연숙성 양조간장 청정원 자연숙성 진간장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2 13 9 18

브랜드 이미지 58.3 76.9 44.4 61.1

프리미엄 이미지 8.3 15.4 22.2 11.1

광고모델 8.3 7.7 0.0 0.0

품질이 좋음 83.3 53.8 55.6 38.9

원조 16.7 15.4 0.0 22.2

트렌디 25.0 15.4 11.1 11.1

경제적인 가격 33.3 46.2 11.1 22.2

시장점유율 25.0 30.8 11.1 5.6

접근성 8.3 23.1 22.2 22.2

인지도 25.0 38.5 55.6 27.8

마트 행사상품 25.0 30.8 0.0 16.7

광고내용(효과) 33.3 23.1 44.4 33.3

제품 제조 방법 8.3 0.0 44.4 11.1

건강지향적 33.3 15.4 11.1 11.1

제품 성분 0.0 15.4 0.0 5.6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6.7 15.4 22.2 22.2

친숙함, 익숙함 33.3 46.2 44.4 44.4

사용 편리성 33.3 46.2 11.1 33.3

천연재료의 사용 25.0 15.4 33.3 11.1

전체적인 맛의 향상(증가) 33.3 23.1 22.2 22.2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41.7 38.5 11.1 11.1

주재료의 맛을 살림 8.3 7.7 0.0 5.6

맛내기 쉬움 25.0 15.4 33.3 33.3

감칠맛 향상 33.3 38.5 22.2 27.8

구수한 맛 증진 0.0 0.0 0.0 0.0

깊은 맛 8.3 7.7 0.0 11.1

묵직함 0.0 0.0 0.0 0.0

풍부한 맛 0.0 0.0 0.0 5.6

깔끔한 맛 25.0 23.1 22.2 27.8

음식의 색을 깨끗하게 냄 25.0 23.1 11.1 5.6

맛 좋음 25.0 23.1 44.4 38.9

Page 103: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81

표 69. 장류 간장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 좋아함/자주먹음

청정원 자연숙성 진간장 9 18 0.5

샘표 양조간장 501 39 46 0.8

샘표 진간장 금 F3 40 46 0.9

청정원 자연숙성

양조간장12 13 0.9

샘표 진간장 금S 28 28 1.0

샘표 참숯으로

두 번 거른 양조간장2 2 1.0

청정원 햇살담은

조림간장2 2 1.0

샘표 양조간장 701 25 20 1.3

해찬들 32도

숙성양조간장5 4 1.3

몽고 송표 프라임 간장 19 13 1.5

샘표 맑은 조선 간장 3 2 1.5

샘표 저염간장 미네랄 8 4 2.0

청정원 자연숙성

저염진간장9 4 2.3

해찬들 남해 다시마

진간장3 0 -

해찬들 32도

숙성양조진간장0 2 -

2) 조미료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들이 좋아하거나 섭취하는 조미료 브랜드는 CJ 백설 다시다> 청정원 맛선생> 미원> 샘

표 연두> 한라 참치액기스 순이었음. 몇몇 경우 소비자가 집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다는 응답

이 있어 본 조사에서 조사된 제품들의 응답률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음.

가장 선호하거나 자주 먹는 CJ 다시다의 선택 요인으로 친숙함, 브랜드, 원조, 맛내기 쉬움

등이 가장 비중있는 요인으로 꼽힘 (Table 70-1, 70-2).

Page 104: RIG982SD (2)

482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가장 선호되는 CJ 백설 다시다의 경우 좋아하는 요인과 자주 먹는 요인이 매우 유사하 음.

반면 청정원 맛선생의 경우 자주 사용하는 경우보다 좋아한다고 응답한 경우 그 요인으로 트

렌디,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천연재료의 사용, 음식맛을 깔끔하게 하는 등의 응답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Table 71-1, 71-2).

간장의 경우 조미의 기능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빈도와 자주 먹는 빈도의 비율을 계

산하 을 때 지수가 낮은 수준임. 본 지수가 1 미만인 제품은 CJ 백설다시다 이었으며 청정

원 맛선생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됨 (Table 72).

표 70-1. 장류 조미료제품의 선택 요인(n=166, %)

CJ 백설 다시다

좋아함 (27.1)

자주먹음 (30.1)

친숙함, 익숙함 (36.1)

브랜드 이미지 (27.7)

원조 (26.5)

맛내기 쉬움 (26.5)

전체적인 맛의 향상 (16.3)

접근성 (13.3)

인지도 (13.3)

맛 좋음 (12.7)

시장점유율 (10.8)

감칠맛 향상 (10.8)

주재료의 맛을 살림 (10.2)

표 70-2. 장류 조미료제품의 선택 요인(n=166, %)

청정원 맛선생 미원 샘표 연두 한라 참치액기스

좋아함 (11.4)

자주먹음 (6.6)

좋아함 (9.0)

자주먹음 (5.4)

좋아함 (7.8)

자주먹음 (5.4)

좋아함 (3.0)

자주먹음 (2.4)

Page 105: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83

표 71-1. 장류 조미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6, %)

제품명 CJ 백설 다시다 청정원 맛선생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45 50 19 11

브랜드 이미지 64.4 64.0 57.9 54.5

프리미엄 이미지 13.3 12.0 42.1 36.4

제품의 컨셉 13.3 20.0 15.8 9.1

광고모델 8.9 8.0 21.1 9.1

포장 디자인 4.4 4.0 21.1 9.1

원조 62.2 58.0 10.5 27.3

트렌디 11.1 6.0 31.6 0.0

경제적인 가격 13.3 14.0 10.5 18.2

시장점유율 31.1 24.0 15.8 9.1

접근성 31.1 32.0 21.1 18.2

인지도 35.6 32.0 42.1 36.4

마트 행사상품 8.9 4.0 10.5 9.1

광고내용(효과) 8.9 8.0 52.6 45.5

건강지향적 6.7 4.0 52.6 45.5

제품 성분 13.3 20.0 15.8 9.1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6.7 10.0 36.8 18.2

친숙함, 익숙함 80.0 82.0 10.5 36.4

포장 유형(사용 편리성) 13.3 8.0 15.8 0.0

천연재료의 사용 11.1 10.0 68.4 54.5

전체적인 맛의 향상(증가) 44.4 40.0 57.9 45.5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8.9 6.0 42.1 18.2

주재료의 맛을 살림 24.4 26.0 36.8 36.4

맛내기 쉬움 62.2 60.0 36.8 27.3

감칠맛 향상 31.1 30.0 26.3 18.2

구수한 맛 증진 8.9 8.0 5.3 9.1

깊은 맛 17.8 14.0 15.8 9.1

풍부한 맛 20.0 18.0 10.5 18.2

깔끔한 맛 8.9 6.0 21.1 9.1

천연의 맛 구현 4.4 2.0 36.8 36.4

음식의 색을 깨끗하게 냄 4.4 6.0 0.0 0.0

맛 좋음 28.9 34.0 52.6 36.4

Page 106: RIG982SD (2)

484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표 71-2. 장류 조미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에 따른 식품선택 요인 비교(n=166, %)

제품명 미원 샘표 연두

유형 좋아함 자주먹음 좋아함 자주먹음

n 15 9 13 9

브랜드 이미지 40.0 33.3 23.1 22.2

프리미엄 이미지 13.3 33.3 53.8 55.6

제품의 컨셉 13.3 11.1 23.1 22.2

광고모델 6.7 11.1 15.4 0.0

포장 디자인 6.7 0.0 23.1 11.1

원조 60.0 77.8 7.7 11.1

트렌디 13.3 0.0 15.4 11.1

경제적인 가격 20.0 22.2 7.7 0.0

시장점유율 20.0 22.2 0.0 0.0

접근성 33.3 33.3 7.7 0.0

인지도 13.3 22.2 23.1 11.1

마트 행사상품 6.7 0.0 23.1 33.3

광고내용(효과) 0.0 11.1 15.4 22.2

건강지향적 6.7 11.1 53.8 66.7

제품 성분 6.7 11.1 30.8 44.4

새로운 맛에 한 호기심 13.3 11.1 53.8 33.3

친숙함, 익숙함 53.3 66.7 30.8 11.1

포장 유형(사용 편리성) 6.7 11.1 30.8 33.3

천연재료의 사용 13.3 11.1 46.2 44.4

전체적인 맛의 향상(증가) 20.0 33.3 69.2 88.9

음식의 맛을 깔끔하게 함 13.3 11.1 38.5 44.4

주재료의 맛을 살림 20.0 22.2 53.8 55.6

맛내기 쉬움 66.7 66.7 61.5 66.7

감칠맛 향상 40.0 44.4 61.5 66.7

구수한 맛 증진 6.7 11.1 15.4 22.2

깊은 맛 13.3 11.1 23.1 22.2

풍부한 맛 20.0 22.2 46.2 44.4

깔끔한 맛 6.7 11.1 23.1 33.3

천연의 맛 구현 0.0 0.0 23.1 22.2

음식의 색을 깨끗하게 냄 6.7 0.0 15.4 22.2

맛 좋음 13.3 44.4 61.5 66.7

Page 107: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85

표 72. 장류 조미료제품의 좋아함/자주먹음 Ratio

제품명 좋아함(n) 자주먹음(n)좋아함/자주먹음

Ratio

CJ 백설 다시다 45 50 0.9

한라 참치액기스 5 4 1.3

샘표 연두 13 9 1.4

미원 15 9 1.7

청정원 맛선생 19 11 1.7

4. 연구결과 활용계획, 성과 및 향후 계획

4.1. 식문화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여

국내 식품 신제품 및 외식 상품 아이템 등의 단/중기적인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조사 기법

확립

식문화 트렌드를 읽을 수 있는 지표 개발 및 프레임 워크 개발

4.2. 식품 및 외식산업 연구에 대한 실무적 기여

국내외 맛트렌드 분석을 통해 신제품 출시 및 신사업 기회 발굴

맛트렌드 분석을 통한 식품 기술 발전 방향 탐색

소비자의 외식행동 및 메뉴 트렌드 분석 결과는 외식기업 뿐 아니라 식품기업에서 고객의 욕

구를 충족시키는 제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

Page 108: RIG982SD (2)

486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5. 요약

현재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 및 외식 소비패턴과 메뉴 트렌드를 분석하고 단/중기적인 트렌드

를 읽을 수 있는 지표자료를 개발하고자 함.

여러 외식관련 컨설팅 및 전문분야 저널 등의 외식 소비와 메뉴 트렌드를 분석하여 트렌드 분

석용 정부정책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가공품 트렌드에 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함. 소

비자 인식조사에 사용 된 가공품목은 봉지라면, 차음료, 건강기능음료, 커피, 주류, 장류 및

조미료가 선정됨.

우리나라의 소비행동에 향을 미치는 트렌드로는 크게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정책적인 부분이 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 분야 내에서 여러 가지 키워드를 통하

여 그 트렌드를 알아볼 수 있었음.

미국의 외식·식품소비 행동은 글로벌 식품소비행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우리나라는

글로벌한 외식소비행동을 보여주고 있음. 미국의 식품·외식소비 행동의 경향은 외식이 감소하

고 내식의 빈도가 높아져가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와 (전통)음식, 건강에 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식·직접 조리 등의 식품(메뉴)가 각광받고 있음.

서부유럽의 경우 미국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소비자에 한 가치와 편의를 중요시 하는 것

으로 분석됨. 중·동부 유럽의 경우 서부유럽과 마찬가지로 미국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아

직 경제적 수준이 낮아 고급의 이미지에 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경제회복이 일어나게

되면 좀 더 건강식과 고급 외식 등에 한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국의 경우 건강에 한 관심이 지 하여 채소를 이용한 메뉴가 증가하고, 비 열처리 또는 저

온조리 메뉴나 지역 산물(local foods, owning ingredients)을 이용한 메뉴가 각광받고 있음.

캐나다는 레스토랑 협회에서 주관하여 300명 이상의 전문 조리사들이 매년 가장 인기를 끌 메

뉴를 선정하여 외식메뉴의 트렌드를 선정하고 있음.

국내의 경우 소비자들이 건강에 한 관심과 웰빙에 한 개념이 발전해나가며 이와 관련 된

식재료 및 메뉴에 한 선정 조건이 까다로워지고 있음. 통신과 매체의 발달이 급격해짐에 따

라 광고나 관련정보(인터넷 등)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외식이나 식품에

한 잘못 된 정보의 제공 등 부정적인 향이 함께 나타나고 있음. 최근 국내의 식품분야에서

는 기존에 판매 되고 있는 제품에 한 발상의 전환으로 개발 된 제품이 소비자에게 새로움을

선사하며 유행을 주도하게 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함. 프리미엄의 이미지 또한 소비자들을 사로

잡는 하나의 컨셉으로써 작용하여 이를 건강과 함께 접목시켜 다양한 형태의 식품이 개발·출

시되고 있는 추세임.

Page 109: RIG982SD (2)

한국형 식문화 트렌드 분석 지표 개발 487

식품 트렌드의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비자를 상으로 가공식품에 한 선호요인을 설문을

이용하여 조사함. 분석 된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좋아하는 제품과 자주 먹는 제품의

선호요인이 상이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소비자들이 좋아하는 경우에는 해당 식품의 트

렌드나 이미지(브랜드, 프리미엄, 용기 등), 광고 등의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 반면, 자주 섭

취하는 경우 소비자들은 맛이나 품질 등을 더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됨.

6. 참고문헌

1) 2012 메가트렌드 인 코리아. 한국트렌드연구소. 중요한 현재. 2011

2) 월간식품저널. 2009~2011년

3) 월간식품산업

4) 식음료신문

5) 통계청. Kostat.go.kr

6) 트렌드 인 비즈니스. 글로벌 아이디어스 뱅크. 쌤앤파커스. 2008

7) 한국식품정보원. www.foodi.co.kr

8) 한국외식정보. 2009-2011. 한국외식연감. 한국외식정보(주), 2009

9) 한국외식산업총람2011. 한국식품산업연구원, 한국식품산업연구원, 2010

10) 김난도, 이준 , 김정은, 이향은, 권혜진, 김서 , 전미 . 트렌드 코리아 2009-2012. 미래

의창.

Page 110: RIG982SD (2)

488 2012년 기초연구과제총서

11) 김민주, 이마스. 앞으로 3년, 한민국 트렌드. 한스미디어. 2007

12) 김민주, 이재구, 김정원, 이정아. 2012 트렌드키워드. 미래의창. 2011

13) 김상훈. 앞으로 3년 세계 트렌드. 비즈트렌드 연구회. 한스미디어. 2010

14) 김용섭. 트렌드 히치하이킹. 김 사. 2010

15) 서일윤. 한민국 마이크로 트렌드. 토네이도미디어그룹. 2009

16) 윤지현, 주나미, 윤지 , 류시현, 배현주. 급식경 . 파워북. 2008

17) 조지 오초아, 멜린다 코리, 당신의 미래를 바꾸는 NEXT TREND. 한국경제신문. 2005

18) Food Technologists. 2003-2012

19)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What's Hot in 2011.

http://www.restaurant.org/pdfs/research/whats_hot_2011.pdf

20) Kuhn ME. Fresh ideas for mealtime. Food Technology 63(2):36-44, 2009

21) Sloan AE. Top 10 food trend. Food Technology 63(4): 22-24, 27-28, 31-32,

35-36, 39-40, 42. 2009

22) Sloan AE. What's on the menu post-recession? Food Technology 64(10):29-30, 32,

35-38, 40-4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