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analysis

12
세세세세세 세세세세세세세세 세세세 User Analysis : Gamer Test 세 4 Keys to fun 세세 세세세세 세세 세세 2013-2 세세세세세세세세

Upload: boohs

Post on 28-Nov-2014

24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2013-2 디지털미디어특강 2번째 과제

TRANSCRIPT

Page 1: User analysis

세종대학교 디지털컨텐츠학과 부해선

User Analysis: Gamer Test 와 4 Keys to fun 으로 알아보는 유형 분석

2013-2 디지털미디어특강

Page 2: User analysis

1. Bartle Test of Gamer Psychology

1. 아무도 풀지 못한 문제를 푼다2. 어디든 갈 수 있는 사람3. 새로운 지역을 탐방하는 것4. 아무도 모르는 것을 아는 것5. 친구들보다 더 많은 비밀을 아는 것 6. 적들을 격파하는 것7. 친구 없는 것8. 복수를 계획한다 9. 잘 만들어진 시나리오10. 두려워하는 사람이 되는 것11. 내 개인 집 , 수많은 돈 12. 최근의 가십을 아는 것13. 터번 쓴 친구랑 얘기하기14. 개성15. 대형 몬스터를 죽이는 것

16.게임에서 가장 무서운 사람이 되는 것17.다른 플레이어보다 데미지를 10% 더 얻는 것18.다른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기술19.친구랑 1:1 로 대결 20. 얼마나 많은 플레이어를 죽였는가를 자랑하는 것21. MMORPG 의 롤플레잉 퀄리티22. 탐험할 지역의 수 23. 나와 친구들을 즐겁게 해줄 사람24. 약점을 찾을 때 까지 여러 무기와 마법을 써본다25. 몬스터가 따라오지 못할 곳에 숨는다26. 지식 27. 그가 나를 공격하기 전에 먼저 공격한다28. 새로운 지역을 탐방한다29. 작은 규모의 싸움30. 당신은 먹이를 찾아야 한다

▶ 나의 문항 선택 답안 목록

Page 3: User analysis

1. Bartle Test of Gamer Psychology

▶ 테스트 결과

EXPLORER ( 모험가 ) 성향이 가장 컸다 . 하지만 KILLER 성향도 높은 퍼센테이지를 차지하고 있다 . SOCIALIZER 성향이 47% 로 그 다음을 차지 하였고 , ACHIEVER 성향이 13% 로 가장 낮았다 .

Page 4: User analysis

20

20

20

40

예상

73

67

47

13

테스트결과

Explorers

Killers

Socialites

Achievers

초반의 예상과는 정반대로 Achievers 성향이 제일 낮았다

1. Bartle Test of Gamer Psychology

▶ 예상 vs 테스트 결과

Page 5: User analysis

1. Bartle Test of Gamer Psychology

▶WHY ?

강의시간에 했던 나의 생활 패턴에 대한 이해는 충분했다고 생각한다 .

하지만 4 가지 유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한다 .

Achiever 유형을 단순히 무언가를 만들고 거기에 성취감을 느끼는 유형으로만

이해하였다 .

Page 6: User analysis

•Hard fun : 어려운 무언가에 도전해서 성공하고 그것에 성취감을 느끼는 재미 • Easy fun : 과정에서 느끼는 재미• Serious fun : 실제 세계와는 다른 것을 느끼는 재미 • People fun : 친구들과 함께 하는 재미

2. 4 Keys to Fun

▶ 재미의 4 가지 Key

Page 7: User analysis

2. 4 Keys to Fun

▶ 나의 App & Game 사용 내용 분석

→ Hard Fun

굉장히 어려운 수 백 개의 퀴즈를 풀어나가며 스토리가 진행되는 게임이다 . 여러 가지 퀴즈를 하나하나 맞춰가며 앞으로 진행해나가고 , 결말 스토리를 볼 때 성취감이 매우 컸다 .

Nintendo 게임 < 레이튼 교수와 이상한 마을 >

Page 8: User analysis

2. 4 Keys to Fun

▶ 나의 App & Game 사용 내용 분석

→ Serious Fun

현실세계와 같은 자신의 집을 꾸미고 가족을 꾸리며 마을의 캐릭터들과 친해지며 직업도 갖고 취미도 하고 캐릭터의 삶을 진행해 나가는 게임 .

현실에서 못 해봤던 다양한 일들 ( 일탈 ,

화려한 집 꾸미기 등 ) 을 보내며 대리만족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

<The SIMS 시리즈 >

Page 9: User analysis

2. 4 Keys to Fun

▶ 나의 App & Game 사용 내용 분석

→ People Fun

이러한 메신저나 SN 서비스 들은 나 홀로 하면 소용이 없는 , 사람들과 소통하며 , 사람들의 반응에 재미를 느끼는 서비스이다 .

< 카카오톡 > <Twitter>

Page 10: User analysis

3. 다른 사람의 4 Keys to Fun

▶Player 1 (70 점 )

Killer Achiever Explorer So-

cialites

본인 판단 80% 70% 20% 50%

나의 평가 70% 10% 30% 70%

본인의 생활 패턴을 아주 현실적으로 잘 알고 있다 . 하지만 마지막 4 Key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 카카오톡을 쉬지 않고 하는 것으로 봐선 So-

cialites 성향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 또한 게임은 롤만 하는 것으로 보아 Killer 성향도 비슷하게 약 70%.

→ Socialites, Killer & people fun 제공

Page 11: User analysis

3. 다른 사람의 4 Keys to Fun

▶Player 2 (80 점 )

Killer Achiever Explorer So-

cialites

본인 판단 30% 66% 30% 75%

나의 평가 20% 30% 50% 90%

일단 현존하는 SNS 는 거의 다 하는 것 같다 . 굉장히 다양한 SN 서비스를 이용한다 . ( 트위터 , 카카오톡 , 인스타그램 , foursquare, path,

카카오스토리 , 페이스북 ). 플레이어는 이런 서비스의 사용시간이 짧다고 말하지만 , 이것저것 하는 개수만 봐도 그렇고 , 매일 아침 저녁으로 확인을 한다고 하니 Socialites 성향이 굉장히 높다고 보여진다 .

→ Socialites & people fun 제공

Page 12: User analysis

3. 다른 사람의 4 Keys to Fun

▶Player 3 (90 점 )

Killer Achiever Explorer So-

cialites

본인 판단 10% 60% 20% 10%

나의 평가 10% 80% 20% 20%

자신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며 이것들은 대부분 자신의 건강을 위한 것이거나 , 진행하고 있는 업무 완료에 관한 사용이다 . 따라서 Achiever 성향이 매우 크다 . 다른 게임은 전혀 하지 않으며 SN 서비스도 이용하지 않는다 .

→ Achiever & hard fun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