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

30
1 시간 내용 진행 10:30 여는 말 임상혁 (발암물질국민행동 공 동대표) 10:32 위험한 플라스틱 PVC를 소개합니다. 동영상 10:37 PVC없는 마을 만들기·학 교 만들기 소개 -캠페인 취지 -활동계획 김신범 (노동환경건강 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 친구 문구점을 만들겠습니다. 전국 문구점살리기 연합회 10:47 어린이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설문 조사 결과 발표 최인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분석팀 장) 앙~대요 학용품&학습준 비물 목록 발표 -학용품 유해물질 리스트 선정 -대안 방법 소개 11:02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발표 정설경 (아이쿱 서울생협 이사장) 11:15 퍼포먼스 전시 : 앙~대요 학용품 학습준비 물 VS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대안 용품 참여자 전원 보도자료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서울시 중랑구 면목3.8동 568-1 녹색병원 7층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내 Tel. 02-490-22280 / Fax. 02-490-2099 / [email protected] 담당 : 김민선(010-2338-9040), 박수미(010-2261-6636) 2014년 5월 20일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일시 : 2014년 5월 20일 오전 10시 30분 장소 :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 주최 : 아이건강국민연대·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후원 : 서울특별시 사회- 김민선(아이건강국민연대 사무국장)

Upload: others

Post on 09-Sep-2019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

시 간 내 용 진 행

10 3 0 여 는 말 임 상 혁 (발 암 물 질 국 민 행 동 공

동 대 표 )

10 3 2 위 험 한 플 라 스 틱 PV C 를 소 개 합 니 다 동 영 상

10 3 7 PV C 없 는 마 을 만 들 기 middot학

교 만 들 기 소 개

-캠 페 인 취 지

-활 동 계 획

김 신 범 (노 동 환 경 건 강 연 구 소

화 학 물 질 센 터 실 장 )

친 구 문 구 점 을 만 들 겠 습 니 다 전 국 문 구 점 살 리 기 연 합 회

10 4 7 어 린 이 학 용 품 유 해 성 인 식 도 설 문 조 사 결 과 발 표 최 인 자

(노 동 환 경 건 강 연 구 소 분 석 팀

장 )앙 ~ 대 요 학 용 품 amp 학 습 준

비 물 목 록 발 표

-학 용 품 유 해 물 질 리 스 트 선 정

-대 안 방 법 소 개

11 0 2 초 등 학 교 에 다 니 는 우 리 아 이 튼 튼 하 고 건 강 한 생 활 수 칙

발 표

정 설 경

(아 이 쿱 서 울 생 협 이 사 장 )

11 1 5 퍼 포 먼 스 전 시 앙 ~ 대 요 학 용 품 학 습 준 비

물 V S 안 심 하 고 사 용 하 세 요 대 안

용 품

참 여 자 전 원

보도자료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서울시 중랑구 면목38동 568-1 녹색병원 7층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내

Tel 02-490-22280 Fax 02-490-2099 nocancerkrgmailcom

담당 김민선(010-2338-9040) 박수미(010-2261-6636)

2014년 5월 20일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bull 일시 2014년 5월 20일 오전 10시 30분

bull 장소 환경재단 레이첼카슨홀

bull 주최 아이건강국민연대middot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bull 후원 서울특별시

사 회 - 김 민 선 (아 이 건 강 국 민 연 대 사 무 국 장 )

2

lt주요 내용gt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와 ldquoPVC 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

고 어린이가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 불안 느껴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 대상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부모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리콜 명령 33건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가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

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 3차례로 33개 제품이었다 어린이용 장신구나 놀이기구 등 완구에

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등 학

용품에서도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어린이에게 위험한 PVC 플라스틱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운 장점을 가지

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생

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정제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로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거나 발달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PVC를 줄이고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시민들과 함께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진

행한다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

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포 인테

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3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 발표

ldquo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rdquo 발표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기준치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

은 제품을 선정하여 구매 선택의 대안을 제시하는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와 학

교와 학교 주변에서 주의해야할 생활 수칙도 함께 발표한다

lt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참여단체gt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연합 문화연대 발암물질없는군산만들기시민행동 발암물질없는울산만들기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을위한청년한의사회) 아이건강국민연대 iCOOP서울지역생협협의회(강서middot구로middot금천한우물middot서울middot양천) 에코생협 여성환경연대 전국금속노동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초록교육연대 한살림 한국진보연대 환경과 생명을 생각하는 교사 모임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4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PVC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

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진행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

와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고 어린이의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에 불안 느껴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안전관리 미흡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는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3차례로 33개 제품이 포함되어있다 3월에는 어린이

놀이기구 3개 제품에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4월

에는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물놀이 기구 등 18개 제품에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

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5월에도 완구 어린이용 장신구

등 12개 어린이용 공산품이 같은 이유로 리콜 조치가 내려졌다

완구의 경우 2011년 제품안전기본법 시행 후 2013년 까지 제품의 부적합률이 10에

달하며 일반 공산품의 평균부적합률 107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어

린이용품이 일반 공산품에 비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상황은 아닌 것이다

5

발달장애 학습장애 성조숙증 발암위험 까지 위험한 PVC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

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으로 생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

정제나 안료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일 뿐 아니라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발달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PVC는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장난감 학용품 등에도 활용되어 더 주의해야하는 재

질이지만 그 위험에 비해 PVC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자 및 제조자의 인식이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2012년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사용하는 학용품과 완구류

제품 을 수거하여 PVC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 중 26가 PVC 재질로 밝혀졌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건강국민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어린이의 주 활

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시민들과 함께 PVC로부터 안전한 학교와 마을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한다 lt첨부 2(25쪽)gt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

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

포 인테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

lt주요 내용gt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와 ldquoPVC 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

고 어린이가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 불안 느껴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 대상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부모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리콜 명령 33건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가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

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 3차례로 33개 제품이었다 어린이용 장신구나 놀이기구 등 완구에

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등 학

용품에서도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어린이에게 위험한 PVC 플라스틱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운 장점을 가지

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생

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정제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로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거나 발달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PVC를 줄이고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시민들과 함께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진

행한다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

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포 인테

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3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 발표

ldquo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rdquo 발표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기준치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

은 제품을 선정하여 구매 선택의 대안을 제시하는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와 학

교와 학교 주변에서 주의해야할 생활 수칙도 함께 발표한다

lt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참여단체gt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연합 문화연대 발암물질없는군산만들기시민행동 발암물질없는울산만들기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을위한청년한의사회) 아이건강국민연대 iCOOP서울지역생협협의회(강서middot구로middot금천한우물middot서울middot양천) 에코생협 여성환경연대 전국금속노동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초록교육연대 한살림 한국진보연대 환경과 생명을 생각하는 교사 모임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4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PVC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

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진행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

와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고 어린이의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에 불안 느껴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안전관리 미흡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는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3차례로 33개 제품이 포함되어있다 3월에는 어린이

놀이기구 3개 제품에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4월

에는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물놀이 기구 등 18개 제품에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

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5월에도 완구 어린이용 장신구

등 12개 어린이용 공산품이 같은 이유로 리콜 조치가 내려졌다

완구의 경우 2011년 제품안전기본법 시행 후 2013년 까지 제품의 부적합률이 10에

달하며 일반 공산품의 평균부적합률 107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어

린이용품이 일반 공산품에 비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상황은 아닌 것이다

5

발달장애 학습장애 성조숙증 발암위험 까지 위험한 PVC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

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으로 생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

정제나 안료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일 뿐 아니라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발달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PVC는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장난감 학용품 등에도 활용되어 더 주의해야하는 재

질이지만 그 위험에 비해 PVC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자 및 제조자의 인식이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2012년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사용하는 학용품과 완구류

제품 을 수거하여 PVC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 중 26가 PVC 재질로 밝혀졌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건강국민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어린이의 주 활

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시민들과 함께 PVC로부터 안전한 학교와 마을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한다 lt첨부 2(25쪽)gt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

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

포 인테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3: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3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 발표

ldquo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rdquo 발표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기준치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

은 제품을 선정하여 구매 선택의 대안을 제시하는 ldquo앙~대요 학용품rdquo 학습준비물 가이드와 학

교와 학교 주변에서 주의해야할 생활 수칙도 함께 발표한다

lt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참여단체gt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연합 문화연대 발암물질없는군산만들기시민행동 발암물질없는울산만들기 보건의료단체연합(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노동건강연대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참의료실현을위한청년한의사회) 아이건강국민연대 iCOOP서울지역생협협의회(강서middot구로middot금천한우물middot서울middot양천) 에코생협 여성환경연대 전국금속노동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초록교육연대 한살림 한국진보연대 환경과 생명을 생각하는 교사 모임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4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PVC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

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진행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

와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고 어린이의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에 불안 느껴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안전관리 미흡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는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3차례로 33개 제품이 포함되어있다 3월에는 어린이

놀이기구 3개 제품에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4월

에는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물놀이 기구 등 18개 제품에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

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5월에도 완구 어린이용 장신구

등 12개 어린이용 공산품이 같은 이유로 리콜 조치가 내려졌다

완구의 경우 2011년 제품안전기본법 시행 후 2013년 까지 제품의 부적합률이 10에

달하며 일반 공산품의 평균부적합률 107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어

린이용품이 일반 공산품에 비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상황은 아닌 것이다

5

발달장애 학습장애 성조숙증 발암위험 까지 위험한 PVC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

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으로 생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

정제나 안료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일 뿐 아니라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발달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PVC는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장난감 학용품 등에도 활용되어 더 주의해야하는 재

질이지만 그 위험에 비해 PVC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자 및 제조자의 인식이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2012년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사용하는 학용품과 완구류

제품 을 수거하여 PVC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 중 26가 PVC 재질로 밝혀졌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건강국민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어린이의 주 활

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시민들과 함께 PVC로부터 안전한 학교와 마을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한다 lt첨부 2(25쪽)gt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

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

포 인테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4: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4

안전한 학용품 구매와 PVC없는 환경을 위한 캠페인 선포식

어린이 환경에서 PVC를 없애주세요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

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진행한다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

와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 두 가지 활동을 통해 어린이의 주 활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나가고 어린이의 안전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발표

학부모 25는 학용품에 불안 느껴

어린이 용품 유해성분 관련 안전관리 미흡

학부모의 불안은 괜한 우려는 아니다 2014년에 들어서 5월까지 어린이 용품과 관련된

산업통상자원부의 리콜명령은 총3차례로 33개 제품이 포함되어있다 3월에는 어린이

놀이기구 3개 제품에서 납 수은 카드뮴 크롬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조치되었고 4월

에는 필통 책가방 샤프 지우개 물놀이 기구 등 18개 제품에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

트와 중금속 등이 초과 검출되어 리콜 명령을 내렸다 5월에도 완구 어린이용 장신구

등 12개 어린이용 공산품이 같은 이유로 리콜 조치가 내려졌다

완구의 경우 2011년 제품안전기본법 시행 후 2013년 까지 제품의 부적합률이 10에

달하며 일반 공산품의 평균부적합률 107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어

린이용품이 일반 공산품에 비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는 상황은 아닌 것이다

5

발달장애 학습장애 성조숙증 발암위험 까지 위험한 PVC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

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으로 생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

정제나 안료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일 뿐 아니라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발달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PVC는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장난감 학용품 등에도 활용되어 더 주의해야하는 재

질이지만 그 위험에 비해 PVC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자 및 제조자의 인식이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2012년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사용하는 학용품과 완구류

제품 을 수거하여 PVC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 중 26가 PVC 재질로 밝혀졌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건강국민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어린이의 주 활

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시민들과 함께 PVC로부터 안전한 학교와 마을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한다 lt첨부 2(25쪽)gt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

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

포 인테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5: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5

발달장애 학습장애 성조숙증 발암위험 까지 위험한 PVC

기준 초과로 리콜명령을 받은 프탈레이트와 중금속 등의 성분은 주로 PVC 플라스틱

제품의 제조 과정 중에 사용된다 PVC는 다른 플라스틱에 비해 가격이 싸고 제조가 쉬

운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지만 독성이 강해 사용에 유의해야 한다

딱딱한 PVC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가소제 프탈레이트는 가장 대표적인 환경호르몬

으로 생식독성 뿐 아니라 아토피 학습 및 행동장애를 유발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안

정제나 안료로 사용하는 납 등의 중금속은 발암물질일 뿐 아니라 신경장애를 유발해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발달장애도 일으킬 수 있다

PVC는 어린이가 주로 사용하는 장난감 학용품 등에도 활용되어 더 주의해야하는 재

질이지만 그 위험에 비해 PVC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자 및 제조자의 인식이 아직 부족

한 실정이다 2012년부터 서울시내 초등학교 학생들이 직접 사용하는 학용품과 완구류

제품 을 수거하여 PVC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 중 26가 PVC 재질로 밝혀졌다

PVC FREE 캠페인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

아이건강국민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은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lsquoPVC 없는 어린이 안전 환경 만들기rsquo 캠페인을 시작한다 이 캠페인은 어린이의 주 활

동 공간에서 유해한 플라스틱 PVC를 줄여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

으로 하며 시민들과 함께 PVC로부터 안전한 학교와 마을을 만들어나가기 위한 다양

한 활동을 진행한다 lt첨부 2(25쪽)gt

ld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dquo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생활 속

유해화학물질 및 PVC 위험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여 어린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

이고 학습준비물 구매 시 주의 할 사항을 정리한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다

또한 PVC가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마을의 문구점 지물

포 인테리어점 등에 전달하고 이 녹색제품의 판매 협약을 통해 ldquo친구가게rdquo를 만들어

가는 등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지역 주민과 함께 ldquoPVC 없는 마을

만들기rdquo도 함께 진행한다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6: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6

lsquo안전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 발표

앙~대요 학용품 amp 학습준비물

어린이 학용품과 학습준비물 중 유해물질의 기준치 초과가 빈번한 제품이나 PVC가

함유될 가능성이 높은 필통 줄넘기 실내화 지우개 가방 접착제 점토 유성매직 유

성물감 등 10가지 제품을 선정하고 소비자가 보다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대

안을 제안하는 구매 가이드도 발표한다 lt첨부3(27쪽)gt

구매 선택에 있어서 주의를 요하는 ldquo앙~대요 학습준비물rdquo 목록에 포함된 제품의 경

우 상품의 재질을 정확히 확인하여 다른 재질의 대안 제품을 구입하거나 올바른 재질

이 표기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의 경우 구입을 삼가는 것이 좋다 또한 학습준비물 자

체뿐 아니라 보관하는 케이스의 경우도 PVC 재질인 경우가 많아 신중히 살펴보고 구

입해야한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우리 아이

튼튼하고 건강한 생활 수칙

우리 아이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다 학교와 학교 주변에서 유

해한 물질로부터 어린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 어린이가 함께 할 수 있

는 생활 수칙도 발표한다 lt첨부4(29쪽)gt

학교 주변에서 판매하는 기호 식품이나 문구 완구 등에도 중금속과 환경호르몬 식품

첨가물 등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런 제품들은 주로 등하교시 아이들이 직접 구

매하게 되고 아이들의 경우 제품의 성분보다는 디자인 위주로 상품을 구입하는 만큼

학부모와 교사의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 주변 문방구 등 판매 업체의 노력도 중

요하다

학교 내부도 마찬가지이다 학교에서 직접 구입한 체육용 매트 줄넘기 고무판 등 학

습준비물과 수업소모품의 경우 아이들은 비치된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학교

와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7: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7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

노동환경건강연구소

Ⅰ 조사배경

983790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국민행동(발암물질 국민행동)은 2011년 마트 캠페인 lsquo마트야

환경호르몬과 납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rsquo 2012년부터 시작된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

기rsquo 캠페인 등 어린이 환경과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대

안을 제시하고 있다

983790 그동안 완구류 문구류 등의 어린이 용품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진 프

탈레이트 납과 카드뮴 등의 중금속이 함유된 어린이 용품이 여전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어린이가 실제로 사용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983790 특히 학용품은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해야 하는 제품들이므로 건강하고 안전한

제품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학교에서 지급되는 학습준비물

에 대해서도 안전한 제품을 구입하기 위한 구매 가이드가 없는 실정이다

983790 따라서 학용품을 주로 구매하는 학부모와 실제로 사용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

품의 구매 행태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개선사항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 조사방법

1) 기간 2014년 4월

2) 지역 서울지역

3) 대상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 및 학부모 136명

4) 방법 lsquo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rsquo을 학부모용과 어린이용으로 작성한 것을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일괄 배포한 후 작성된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5) 설문내용 설문지는 2012년 환경정의에서 조사한 lsquo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rsquo를 참조

하여 일부분을 수정한 후에 사용하였다1)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8: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8

Ⅲ 결과

1 학부모의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조사대상 학부모의 일반적 특징

- 설문에 참여한 136명의 학부모 중 40대가 728(9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35(32

명) 50대 이상이 29(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을 묻는 질문에는 저학년(1-3학년)이 603(82명) 고학년(4-6학년)이

390(53명)였다

- 자녀의 성별을 묻는 질문에는 남학생이 456(62명) 여학생이 500(68명) 그리고 무응답

이 44(6명)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연령    

30대 32 235

40대 99 728

50대 이상 4 29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의 학년

   

저학년 82 603

고학년 53 390

무응답 1 07

합계 136 1000자녀 성별

   

남자 62 456

여자 68 500

무응답 6 44

합계 136 1000

표 3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누가 구입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588(80명)으

로 가장 많았고 학교에서 학습 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184(25명) 어린

이가 직접 구입한다가 140(19명) 그리고 기타가 66(9명) 순이었다

- 기타 의견으로는 학부모와 어린이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구입 주체가 달라지는 지는 확인한 결과 저학년 학부모는 학부모가 구입1) 환경정의(2012) 어린이 학용품 구매 선호도 조사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9: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9

하는 경우가 780(6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 학부모는 학교에서 학습준비물로 지급하여 거의 구입하지 않는다가 321(17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자녀의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lt005) 그러나 자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즉 저학년일 경우에는 학부모가 구입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고학년에는 학교에서 지급하는

학습준비물로 인해 학용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습준비물에 대한 안

전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합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학부모 64 780 16 302   00 80 588

2어린이 7 85 12 226   00 19 140

3 학교에서 지급 8 98 17 321   00 25 184

4 기타 3 37 6 113   00 9 66

무응답  - 00 2 38 1 1000 3 22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4 학용품의 구입 주체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 학용품 구입시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품질 618(84명) 가격 199(27명) 디자인 및

캐릭터 118(16명)으로 나타났다

- 두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가격 368(50명) 디자인 및 캐릭터 221(30명) 품질

184(25명) 순으로 나타났다

- 세 번째로 고려하는 것은 디자인 368(50명) 가격 235(32명) 브랜드140(19명) 순으

로 나타났다

- 즉 학부모가 학용품 구입시에는 품질과 가격을 디자인 및 캐릭터 또는 브랜드 보다 우선적

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0: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27 199 50 368 32 235

2 디자인(캐릭터 포함) 16 118 30 221 50 368

3 품질 84 618 25 184 14 103

4 브랜드 5 37 15 110 19 140

5 주변 권유  -  00  - 00 4 29

무응답 4 29 16 118 17 125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학용품을 구입하는 장소로는 대형마트 368(50명) 동네문방구 331(45명) 문구체인점

206(28명) 온라인 쇼핑몰 44(6명) 무응답 37(5명) 그리고 다이소 등 저가상점

15(2명) 순으로 나타났다

- 2 순위로는 문구체인점 309(42명) 동네문방구 287(39명) 대형마트 250(34명) 무

응답 96(13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44(6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15(2명) 순으로 나

타났다 3 순위로는 동네문방구 279(38명) 대형마트 228(31명) 다이소 등 저가상점

147(20명) 문구체인점 125(17명) 온라인 쇼핑몰 110(15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68 34 250 31 228

2 문구체인점 28 206 42 309 17 125

3 동네문방구 45 331 39 287 38 279

4 온라인 쇼핑몰 6 44 2 15 15 110

5 저가상점(다이소 등) 2 15 6 44 20 147

무응답 5 37 13 96 15 110

합계 136 1000 136 1000 136 1000

표 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확인여부

-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

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

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났다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1: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1

- 학용품을 포함한 어린이 용품은 기술표준원의 lsquo자율안전확인표시대상rsquo으로 유해화학물질 등

일정한 기준에 합격한 제품에 대하여 KC 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KC 마크는 어린이 용

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표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학부모는

안전마크를 반드시 고려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안전마크의 확인 여부

3)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 사용 중 불만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581(79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된

다가 154(21명) 무응답이 96(13명) 기타 74(10명) 가격이 비싸다는 의견이 66(9

명)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만 없음도 103(14명)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

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가 각각 588(48명) 585(31명) 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

영향이 걱정된다가 각각 146(12명) 170(9명) 순으로 많아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gt005)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2: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2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져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함

48 585 31 585  -   79 581

2제품의 유해물질로 인한 건강영향이 걱정됨

12 146 9 170  -   21 154

3가격이 비쌈 6 73 3 57  -   9 66

4기타 9 110 1 19  -   10 74

5불만 없음 7 85 7 132  -   14 103

무응답  -   2 38 1 1000 13 96

합계 82 1000 53 1000 1 1000 136 1000

표 7 학용품 사용시 불만사항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

한 반면에 250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였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676 무응답은 07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 학부모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녀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본 결과 저학년에서는 36(3명)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

고 응답한 반면에 고학년 학부모는 115(6명)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3: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3

그림 2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어서가 889(8명) 정부가 관리를 잘해서가 111(1명)로 응답하였

  빈도(N) 비율()

1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특별히 문제된 적이 없음 8 889

2 정부를 관리를 잘함 1 111

3 기업에서 관리를 잘함    

4 기타    

합계 9 1000 

표 8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방송 등의 대중

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되서가 551(27명)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

해서가 306(15명) 과장광고를 믿지 못해서가 82(4명) 기타 41(2명) 그리고 학용품으

로 인해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4: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4

  빈도(N) 비율()

1 학용품으로 인한 피해를 본적이 있음 1 20

2 방송 등의 대중매체에서 학용품 유해성 문제가 종종 방송됨 27 551

3 정부의 규제나 관리를 믿지 못함 15 306

4 과장광고를 믿지 못함 4 82

5 기타 2 41

합계 49 1000 

표 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

③ 학용품 사용 중 가장 걱정되는 점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가장 걱정되는 점을 중복응답으로 묻는 질문에는 제품 사용시 냄새가

호흡을 통해 해로운 물질이 들어갈 것을 우려한다는 응답이 443(89명)이 가장 많았다 다음

으로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잘 묻는다가 308(62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29(46명) 걱정되는 부분이 없다가 20(4명)으로 나타났다

  

저학년  고학년  무응답  전체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사용 중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

42 316 19 288 1 500 62 308

2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

33 248 13 197   00 46 229

3 제품 사용 시 냄새 56 421 32 485 1 500 89 443

4 걱정되는 부분 없음 2 15 2 30   00 4 20

합계 133 1000 66 1000 2 1000 201 1000

표 10 학용품 사용 중 걱정되는 점

4)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필요성

①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접하는 지를 묻는 질문에 조사대상의 294는 자주 접하거나 매우 자

주 접한다고 응답하였고 264는 거의 접하지 못하였거나 전혀 접해 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

여 유해성 정보를 얻는 빈도는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통은 434 무응답은 07

로 나타났다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5: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5

그림 3 학용품 유해성 정보의 습득 정도

② 정보의 필요성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③ 학용품 유해성 정보 획득방법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는 TV 라디오가 500(68명)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228(31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6: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6

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 125(17명) 순이었다 제품 라벨 66(9명) 신문과 잡지 44(6

명) 주변 지인 15(2명) 강의 및 교육 07(1명) 등의 소수 의견도 있었다

- 제품이나 포장에 표기되는 라벨의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 라벨

을 활용한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빈도(N) 비율()

1 TV 라디오 68 500

2 신문 잡지 6 44

3 인터넷 등의 온라인 17 125

4 강의 교육 1 07

5 제품의 라벨 9 66

6 주변 지인 2 15

7 기타 31 228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1 학용품 유해성 정보를 얻는 방법

④ 제품 표시 및 기능의 신뢰도

- KC 마크 친환경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에 대한 표시 및 기능을 얼마나 신뢰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KC 마크는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603 보통 370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

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5로 신뢰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 친환경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507 보통 397 그리고 신뢰하지 않거나 전

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74로 나타났다

- 무독성으로 표기된 제품은 신뢰하거나 매우 신뢰한다가 382 보통 493 그리고 신뢰하

지 않거나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가 103로 KC 마크나 친환경 제품 보다는 신뢰한다는 비율

이 낮았다

- 학부모들은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독성 제품 중 KC 마크 친환경 제품 그리고 무

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7: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7

그림 5 제품의 표시 및 기능에 대한 신뢰도

⑤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 해소방안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는 551(75명)가 정부

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다 다음으로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 무응답 15(2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169(23명)는 보기에서 언급된 예시들이 모두 필요한 방안이라고 응답하였다

  빈도(N) 비율()

1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 75 551

2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21 154

3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7 51

4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8 59

5 기타 23 169

무응답 2 15

합계 136 1000

표 12 학용품 유해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2 어린이의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조사 결과

1) 일반적 특징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8: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8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156명의 어린이 중 남학생은 481(75명) 여학생은

519(81명)이었다

  남자  여자  합계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S초등학교 48 516 45 484 93 596

A초등학교 27 429 36 571 63 404

합계 75 481 81 519 156 1000

표 13 조사대상 어린이의 일반적 특징

2) 학용품의 구매행태

① 학용품의 구입 주체

- 학용품을 주로 구입하는 사람은 스스로 구입하는 경우가 353(55명)으로 가장 많았고 부

모님이 구입한다가 224(35명) 기타가 173(27명) 무응답이 83(13명) 순으로 나타났다

- 기타 응답으로는 어린이와 학부모가 함께 구입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빈도(N) 비율()

1 부모님 구입 35 224

2 스스로 구입 55 353

3 학교에서 지급하여 거의 사지 않음 26 167

4 기타 27 173

무응답 13 83

합계 156 1000

표 14 학용품의 구입 주체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19: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19

②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어린이는 학용품 구입시 가장 우선적으로 가격 673(105명) 품질 269(42명) 모양과 캐릭터 38(6명) 순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과 남학생 사이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gt005)- 두 번째 고려 사항은 품질 506(79명) 가격 237(37명) 모양과 캐릭터 186(29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 번째로 고려 사항은 상표와 브랜드 365(57명) 모양과 캐릭터 301(47명) 품질 192(30명) 순으로 나타났다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가격 105 673 37 237 11 71

2 모양 캐릭터 6 38 29 186 47 301

3 품질 42 269 79 506 30 192

4 상표 브랜드 1 06 9 58 57 365

5 친구가 사는 제품 1 06 1 06 9 58

무응답 1 06 1 06 2 13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5 학용품 구입시 고려사항

③ 학용품 구입 장소

- 어린이가 학용품을 구매하는 1 순위 장소는 동네문방구 346(54명) 대형마트 321(50

명) 문구체인점 256(40명) 저가상점 58(9명)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 07(1명) 순으로

나타났다

- 2순위 장소는 문구체인점 359(56명) 동네문방구 288(45명) 저가상점 186(29명)

대형마트 103(16명) 온라인 쇼핑몰 45(7명) 순으로 나타났다

- 비교적 학교 주변에서 학용품을 구입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0: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0

1순위  2순위  3순위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빈도(N) 비율()

1 대형마트 50 321 16 103 33 212

2 문구체인점 40 256 56 359 20 128

3 동네문방구 54 346 45 288 32 205

4 온라인쇼핑물 1 06 7 45 14 90

5 저가상점 9 58 29 186 50 321

무응답 2 13 3 19 7 45

합계 156 1000 156 1000 156 1000

표 16 학용품 구입장소

④ 안전마크 인식여부

- 학용품에 표시되어 있는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조

사대상의 440(68명)은 들어본 적 있다고 응답하였고 480(75명)은 들어본 적 없다고 응답

하였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6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도

3)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

① 학용품에 대한 불만

- 학용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한 불만을 묻는 질문에는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진다 그리고 불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1: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1

만이 없다가 각각 308(48명)로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가 122(19

명) 건강에 해로운 물질을 걱정한다가 96(15명) 무응답 135(21명)으로 나타나 어린이는

학용품에 대한 큰 불만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빈도(N) 비율()

1 쉽게 고장이 나거나 망가짐 48 308

2 건강에 해로운 물질 걱정 15 96

3 가격이 비쌈 19 122

4 기타 5 32

5 불만 없음 48 308

무응답 21 135

합계 156 1000

표 17 학용품에 대한 불만

②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lsquo보통이다rsquo라는 의견이 647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의

186는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어린이는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7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 학용품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응답)에는 현재 잘 사용하고

있어서 939(31명) 기업이 잘 만들어서 61(2명)라고 응답하였다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2: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2

  빈도(N) 비율()

1 현재 잘 사용하고 있음 31 939

2 정부에서 잘 관리함 0  

3 기업이 잘 만들었음 2 61

4 기타 0

합계 33 1000

표 18 학용품이 안전한 이유

-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한 대상에게 그 이유를 묻는 질문(중복 응답)에는 TV 신문

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를 다룬 방송을 본적이 있어서가 500(12명)이 가장 많았다 사

용중 피해를 본 적이 있어서가 292(7명) 인터넷 등의 온라인을 통해 들은 적 있음이

125(3명) 부모님 및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어서가 83(2명)으

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사용 중 피해 본 적이 있음 7 292

2 TV 신문을 통해 학용품 유해성 문제 방송 12 500

3 부모님 선생님이 학용품 유해성에 대한 설명을 해준 적 있음 2 83

4 인터넷 등의 온라인 통해 들었음 3 125

5 기타 0 00

합계 24 1000

표 19 학용품이 안전하지 않은 이유

③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 학용품 사용시 걱정되는 점을 묻는 질문에는 제품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난다가 378(59명)

으로 가장 많았다 제품 사용시 냄새를 우려한다가 321(50명)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하다

가 263(41명) 그리고 걱정이 없다가 256(40명)으로 나타났다

  빈도(N) 비율()

1 제품 색상이 피부에 잘 묻어남 59 378

2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함 41 263

3 제품 사용시 냄새 50 321

4 걱정 없음 40 256

합계 156 1000

표 20 학용품 사용시 애로사항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3: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3

Ⅳ 결론 및 제언

- 서울시 소재 2개 초등학교 5~6학년 초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학용품 유해성

인식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학부모들이 학용품을 구입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점은 품질gt 가격gt 디자인 및 캐릭터 순

으로 나타났고 학용품은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gt 동네문방구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에 어린이는 학용품 구매시 가격gt품질gt디자인 및 캐릭터 순으로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동네문방구gt 대형마트gt 문구체인점에서 주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와 어린이가 학용

품 구매시 고려사항과 구매장소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학용품이 안전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학부모는 조사대상의 66만이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

다고 응답한 반면에 250가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여 학용품 안전성에 대한 불

안감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린이에게 학용품의 안전성을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의

186가 안전하거나 매우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96는 불안하거나 매우 불안하다고 응답하

여 학부모와는 상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학용품의 안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 의견이 많아 정부 및 제조사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는 제품 사용시 냄새(443)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08)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경우 위험(229) 순으로 걱정하는 부분을 꼽았으며 어린이는 제품의 색상이 피부에

묻어남(378) 제품 사용시 냄새(321) 사용 중 입으로 들어갈 위험(263) 순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부모의 331는 학용품 구매시 KC마크를 확인하지 않는다고 하였고 안전마크를 확인하

고 표시된 제품만 구입한다는 147로 KC마크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이는 KC 마크를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가 440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학용품 안전성 및

유해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학부모들은 학용품 구매시 KC마크 친환경 마크 무독성 제품 순으로 신뢰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러나 학용품 구매시 KC 마크와 같은 안전마크를 확인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507(69명)이 안전마크를 확인하지만 표시가 없는 제품도 구매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또한 확인하지 않는다가 331(45명) 안전마크 표시를 확인하고 표시된 제품만 구매한다는

147(20명) 순으로 나타나서 실제 구매과정에서 KC 마크가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

로 보인다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4: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4

- 학용품 유해성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905가 필요하거나 매우 필요하다고 응

답하여 학부모가 학용품의 유해성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된다

- 학용품의 유해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551(75명)가 정부의 강력한

규제 및 관리를 꼽았고 기업의 자발적인 관리 154(21명) 시민단체의 감시활동 강화

59(8명) 학부모 스스로의 노력 51(7명)로 나타나 정부의 규제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 소

비자의 감시활동 등 전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5: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5

1 배경

1) PVC 플라스틱은 EVA 재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대체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저가라

는 이유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정부의 강력한 저감 정책과 함께 시민들의 생

활 속 저감운동이 필요함

2) 해외에서는 PVC 없는 학교 PVC 없는 병원 등을 넘어서 PVC 없는 도시까지 추진

된 사례가 있음

3) 우리 주변의 PVC 플라스틱이 꼭 필요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공유하고 우리 아이

들에게 보다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는 운동이 필요

2 추진 내용

1) PVC 없는 마을 만들기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어린이가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인 시민 활동가들과 함께 자신의 마을 주민들

과 PVC 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인식할 수 있는 활동을 하거나 캠페인을 전개

- 안전 제품 구매 여건 마련

장판이나 벽지 문구류 완구류 등 PVC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어온 제품군에 대하여

환경호르몬이 사용되지 않은 안전한 녹색제품들의 목록을 작성하고 이 목록을 이용해

마을의 지물포나 인테리어점 문구점 등 주요 유통업자들을 만나 녹색제품을 우선 추천

해주고 가게에 녹색제품을 들여놓는 lsquo친구가게rsquo를 지정함 마을의 친구가게 지도를 작성

하여 어린이집 학교 아파트 부녀회 등에 전달하여 안전한 제품을 우선 구매하는 마을

문화를 조성함

- 친구문구점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유해물질 기준을 마련하고 생산유통자들은 안전한 제품

을 판매할 수 있도록 여건 마련 지우개 필통 등 실현가능한 품목부터 친구문구점을

통해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비자들과 협력관계 구축

- 생활 속의 PVC 문제 연구

가정과 어린이집 학교 키즈까페 등 어린이 생활공간의 PVC 플라스틱에 대한 진단과

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PVC 플라스틱을 없애나가는 방안 모색

- 출판을 통한 운동 확산

ldquo유해물질 없는 마을 만들기 엄마들의 분투기(가제)rdquo 출판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PVC

Free 운동에 동의하고 동참하도록 확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6: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6

2) PVC 없는 학교 만들기

- PVC없는 학교 만들기

서울 시내 초등학교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 대상으로 한 생활 속 유해 물질 교육을

진행함 학교에 비치되어 있는 학습준비물과 미술middot체육 교구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앞으로는 안전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안내 PVC 제품의 목록 제작하여 가정과 학

교에 PVC 없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홍보하고 대안 용품 만들기 등 실천 방법을 공유

캠페인을 진행한 초등학교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지속적인 약속의 의미로 ldquoPVC없는 학

교 만들기rdquo 협약 진행

- 어린이 안전 생활 수칙 안전한 학습준비물 구입 매뉴얼 제작 발표

어린이의 튼튼하고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lsquo생활수칙 가이드rsquo와 교사들을 위한 lsquo안전

한 학습준비물 구매 가이드rsquo를 제작 가정과 학교에서 실제 활용 할 수 있도록 배포

- 인식 개선을 위한 활동

초등학교 주변에서 어린이 교사 학부모님과 함께 학교 주변의 PVC 플라스틱의 유해

성을 인식할 수 있는 캠페인을 전개하여 학교 주변의 환경 개선 유도

- 제도 개선 방안 모색

학생 교사 학부모와 함께 캠페인 사례 및 성과 발표를 통해 녹색제품 생산middot사용에

대한 제도개선 모색 토론회 진행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7: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7

1 배경

- 어린이 용품의 유해성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뚜렷한

해결방안이나 대안은 미흡한 실정임

-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학용품 및 학습준비물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

용빈도가 높고 안전한 대안제품이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어린이 및 학부모

그리고 학교에서 안전한 학용품이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함

- 최근 환경부에서 lsquo착한 학용품 구매 가이드rsquo를 발표하여 소비자가 학용품 구매시 필

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책가방 노트 지우개 필통 클립 파일 등 일부 항목만

포함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2 목록작성을 위한 자료

- 2012~2013년 lsquoPVC 없는 학교 만들기rsquo 캠페인에 참가한 5개 학교에서 어린이용품

및 학습준비물 401개에 대한 유해성 조사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가구류 식기류 내장재 음악교구 및 체육교구 그리고

구분이 모호한 것은 기타로 구분하였음 기타에는 가방 실내화 실내화 주머니 핸드폰

케이스 등이 포함

- 401개 제품은 문구류 완구류 및 가구류 순으로 많았다

구분 제품(개) 빈도()

기타 113 282

문구류 106 264

완구류 44 110

가구류 39 97

식기류 39 97

음악교구 28 70

내장재 21 52

체육교구 11 27

총합계 401 1000

표 1 조사대상 제품현황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8: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8

- 2013년 학습준비물 실태조사결과(김상희 의원실 2013)

3 선택기준

983803PVC 재질(프탈레이트 함유가 의심)

983803납 카드뮴 등의 유해금속 함유

983803사용빈도가 높거나

983803문구류를 포함한 학용품 위주

983803학습준비물 목록에 포함

29

30

Page 29: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29

30

Page 30: 보도자료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7/01/20170105_120002.pdf · 2  아이 건강 국민 연대와 발암물질 없는 사회 만들기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