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32
- 1 - 시범사업 운영모니터 분석 결과 2018. 12.13 김선업(고려대 한국사회연구소)

Upload: others

Post on 22-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 -

� � � � � � � � � � �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2018.� 12.13

김선업(고려대�한국사회연구소)

Page 2: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 -

운영�모니터링�개요� �

목적

1.�사업�계획의�수행에�대한�점검

2.�마을부엌�사업의�정착을�위한�개선점�도출

3.�마을부엌�사업의�정체성�정립과�향후�활동�방향의�모색�

방법

1.�모니터링�요원의�프로그램�참여를�통한�관찰

2.�참여자의�사전�사후�평가� :�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

3.�운영자와�참여자에�대한� FGI

내용

1.�프로그램�준비와�진행�과정� � � � � � � � � � � � � � � � 2.�프로그램�내용� � � � � � � � � � � � � � � 3.�프로그램�효과와�성과

Page 3: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3 -

I.� 참여� 관찰� 모니터링�

1.� 관찰을� 통한� 모니터링의� 영역과� 항목�

-� 6개� 영역� 총� 16개� 항목으로� 구성� � :� � 정량� 분석과� 정성� 분석으로� 평가�

영역 항목

1.� 운영자�활동�

1-1.� 운영자(운영진)는�프로그램을�전반적으로�잘�준비했는가?

1-2.� 운영자(운영진)는�프로그램�진행에�열정적으로�임하고�있는가?

1-3.� 운영자는�참여자와�잘�소통하고�있는가?

2.� 프로그램�진행�요인

2-1.� 프로그램은�계획된�시간에�진행되고�있는가?

2-2.� 프로그램은�계획한�내용대로�진행되고�있는가?

2-3.� 프로그램의�내용은�참여자에게�적합한가?

3.� 참여자�관련�요인

3-1.� 참여자�인원은�충분한가?

3-2.� 참여자는�적합한가?

3-3.� 참여자는�프로그램에�흥미를�가지고�있는가?

3-4.� 참여자들�간�관계가�증진되고�있는가?

3-5.� 전반적으로�참여자들은�프로그램에�대해서�만족하고�있는가?

4.� 홍보4-1.� 계획한�홍보방안은�시행되었는가?

4-2.� 홍보방안은�효과적이었는가?

5.� 공간/시설/장비�관련�요인5-1.� 프로그램을�시행하는�공간은�충분한가?

5-2.� 프로그램�관련�시설과�장비는�충분한가?

6.�기타� 6-1.� 지역사회의�여러�자원들이�효과적으로�활용되고�있는가?

Page 4: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4 -

1.�운영자�활동�및�프로그램�진행

-� 운영� 관련� 평가는� 운영자� 열정이� 13점� 만점에� 12점으로� 가장� 높고,� 다음오로� 내용� 적합도가� 11점으로� 다음으로� 높음(○� :�

중족(1점)� △� :� 보통(0점)� ×� :� 미흡(-1점)).�

-� 가장� 낮은� 점수는� 계획된� 시간의� 진행� 6점이며,� 참여자와의� 소통� 항목과� 계획된� 내용대로� 진행이� 7점으로� 다음으로� 낮음.�

-� 프로그램� 진행� 영역에� 비해서� 운영자� 준비와� 활동의� 평가가� 더� 우수함.�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애초� 계획이� 수정되고� 대상

자� 사정으로� 인한� 시간변경과� 지연에서� 비롯.� 모둠별로는� 계획된� 시간의� 프로그램� 진행� 항목을� 제외하고� 지역� 모둠의� 평가가�

가장� 높음.

모둠� 열린�식당 농촌� 지역� 계 사

수�평가범주 ○ △ × ○ △ × ○ △ × ○ △ ×

1-1 운영자(운영진)는�프로그램을�전반적으로�잘�준비했는가? 4 4 5 9 4 13

1-2운영자(운영진)는�프로그램�진행에�열정적으로�

임하고�있는가?4 3 1 5 12 1 13

1-3 운영자는�참여자와�잘�소통하고�있는가? 1 2 1 3 1 5 9 2 2 13

2-1 프로그램은�계획된�시간에�진행되고�있는가? 1 2 1 4 2 3 7 5 1 13

2-2 프로그램은�계획한�내용대로�진행되고�있는가? 4 3 1 5 8 4 1 13

2-3 프로그램의�내용은�참여자에게�적합한가? 3 1 3 1 5 11 2 13

Page 5: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5 -

2.� 참여자� 관련� 요인

-� 참여자� 관련� 요인의� 평가는� 중립� 평가가� 상대적으로� 많음.� 항목별로는� 참여자의� 흥미도� 평가가� 7점으로� 가장� 높고� 참여자들

간� 관계� 증진� 항목이� 2점으로� 가장� 낮음.

평가� 해석에서� 참여자의� 참여� 빈도에� 차이가� 있으며� � 항목� 특성� 상� 외부� 관찰에� 한계가� 있음을� 고려해야� 함.�

-� 새로운�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범� 사업에서� 참여자� 모집� 과정의� 일부� 어려움을� 보여줌.�

-� 모둠별로는� 프로그램� 만족도와� 대상의� 적합성에서� 지역� 모둠에서� 평가가� 가장� 좋음�

모둠 열린�식당 농촌 지역 계 사

수�평가범주 ○ △ × ○ △ × ○ △ × ○ △ ×

3-1 참여자�인원은�충분한가? 2 2 3 1 5 5 8 13

3-2 참여자의�적합한�대상인가? 4 4 5 5 8 13

3-3 참여자는�프로그램에�흥미가�있는가? 2 2 1 2 1 5 8 4 1 13

3-4 참여자들간�관계가�증진되고�있는가? 1 2 1 4 2 3 3 9 1 13

3-5 전반적으로�참여자들은�프로그램에�대해서�만족하고�있는가? 2 2 2 2 5 4 9 13

Page 6: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6 -

3.� 홍보/시설/� 장비� 관련� 요인

-� 홍보와� 프로그램� 공간� 시설� 영역에서� 홍보의� 효과성을� 제외하고� 긍정적임,� 공간과� 시설/설비� 및� 지역사회� 자원의�

효과적� 활용에서� 사전� 준비가� 치밀하였음을� 의미.�

-� 홍보의� 효과성에� 관해서는� 특히� 지역� 모둠에서� 개선점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함.� 이는� 아동� 청소년� 청년을� 대상으

로� 하는� 홍보의� 어려움을� 보여주고� 있음.�

모둠� 열린�식당 농촌� 지역 계 사

수� �평가�범주� ○ △ × ○ △ × ○ △ × ○ △ ×

4-1 홍보는�계획대로�시행되었는가? 4 2 2 5 11 2 13

4-2 홍보방안은�효과적인가? 2 2 3 1 5 2 10 1 13

5-1 공간은�충분한가?� 4 4 5 13 13

5-2 관련�시설과�설비는�충분한가?� 2 1 1 4 5 11 1 1 13

6-1 지역사회의�여러�자원들이�효과적으로�활용되고�있는가? 3 1 2 1 5 11 2 13

Page 7: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7 -

II.�참여자�평가

-� 시범사업에� 참여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면접� 조사� 실시.� 일부� 개방형� 설문을� 포함.� �

-� 대부분� 모둠은�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 조사였으며.� 일부� 모듈은� 사전에� 참여와� 관련한� 문항을� 사전� 조사하고�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여,� 사전과� 사후로� 분리하여� 실시하였음.�

구분� 조사항목�

1.�인구사회학적�특성 성.�연령.�직업.�가구�형태�

2.�참여�양상�

2-1.�마을부엌�참여�경험

2-2.�마을부엌에�대한�인지도

2-3.�사업의�인지�경로(정보원)

2-4.�참여�동반형태� 2-4-1.�동반여부�

� � � � � � � � � � � � � � � � � 2-4-2.�동반자와의�관계�

� � � � � � � � � � � � � � � � � 2-4-3.�사는�곳과�마을부엌�장소

2-5.�참여�동기�

2-6.�프로그램�참여�수준� 2-6-1.�참여빈도�

� � � � � � � � � � � � � � � � � � � � � � 2-6-2.�참여의�적극성�

3.�프로그램�준비와�운영�평가 전반적�평가와�세부�항목별�평가�

4.�프로그램�내용�평가� 전반적�평가와�세부�항목별�평가�

5.� 프로그램� 효과� 평가� :� 참여�

이전과�비교세부�항목별�평가�

6.�향후�방향� 6-1.�지역사회�마을부엌�사업�확대의�필요성�

6-2.�마을부엌의�지속과�확대에�가장�필요한�사항�

모둠�소분류 대분류

사례�수 비율% 사례�수� 비율%

농촌 9 8.8 9 8.8

조리� 관악 33 32.4

61 59.8은평 20 19.6

강서 8 7.8

지역 아동 5 4.9

12 11.8

청년 7 6.9

열린식당 20 19.6 20 19.6

계 102 100.0 102 100.0

Page 8: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8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성별로는� 여성의� 참여자가� 80%를� 넘고� 있으며� 남자� 참여자의� 비율은� 전체의� 1/7에� 약간� 미치지� 못함.� 연형별로는� 40대,� 50

대의� 순으로� 많으며.� 30대� 이하� 참여자는� 30%를� 약간� 넘고� 있음(31.7%).� 10대� 참여자는� 지역� 아동� 모둠� 참여자들임.� 성별� 연

령별� 분포에서� 남성� 참여자는� 20.30대인� 반면.� 50대� 이상의� 참여가� 저조.

-� 1인� 가구의� 비율은� 23%임.� 지역� 청년(50.0%)과� 열린� 식당(45.0%)에서� 단독� 가구� 참여자가� 많았음.� 이들� 모둠에서� 미혼� 청

년의� 참여가� 많았기� 때문임.� 연령별로� 30대와� 65세� 이상� 고령자� 층에서� 1인� 가구� 참여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30대�

64.3%.� 65세� 이상� 62.5%).� 성별로는� 1인� 가구층의� 비율이�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난� 점이� 주목됨(1인� 가구� 비율� 남성�

43.5%.� 여성� 19.0%).�

연령별� 남 녀� 계

10대� 0.0 5.9 5.0

20대 31.2 9.4 12.9

30대 43.8 8.2 13.8

40대 12.5 37.7 33.7

50~64세 12.5 29.4 26.7

65세�이상� 0.0 9.4 7.9

계� 15.7(16) 84.3(85) 100.0(101)

직업별� 사례�수 비율

초등학생 3 3.0

중학생� 2 2.0

대학생 7 6.9

직장인 34 33.7

주부 42 41.6

무직 6 5.9

취준생/아르바이트 1 1.0

기타 6 5.9

계� 101 100.0

Page 9: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9 -

2.� 참여� 특성�

2-1.� 마을부엌� 참여� 경험

-� 전체의� 3/4� 정도(74.3%)는� 마을부엌에� 처음� 참여하고� 있음.� 새롭게� 대상을� 타케팅한� 프로그램에서� 처음� 참여자의� 비율이� 높다는� 사실

에� 주목해야� 함.� 이는� 마을부엌� 참여의� 잠재적� 수요가� 적지� 않다는� 사실을� 의미함� 모듈별로� 참여� 경험은� 큰� 차이는� 아니지만.� 조리� 은

평에서� 참여� 경험자� 비율이� 45.0%로� 가장� 높고.� 열린� 식당의� 경험자� 비율도� 평균에� 비해� 높음(31.6%).�

반면� 지역� 아동은� 모두� 처음� 참여자이며.� 조리� 강서와� 지역� 청년� 모듈도� 처음� 참여자� 비율이� 70%를� 상회하여� 침여� 경험자에� 비해서� 비

율이� 높음.� 처음� 참여자� 비율이� 높은� 모듈들은� 청년� 등� 대상자를� 새롭게� 설정한� 프로그램들임.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처음�참여 77.8 78.8 55.0 87.5 100.0 85.7 68.4 74.3

참여�경험있음� 22.2 21.2 46.0 14.3 0.0 14.3 31.6 25.7

계 100.0(9) 100.0(33) 100.0(20) 100.0(8) 100.0(5) 100.0(7) 100.0(19) 100.0(101)

-� 연령별로는� 40대(특히� 40대� 여성)가� 참여자� 구성비가�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기존� 참여율도� 가장� 높은� 집단으로� 나타나고�

있음.� 직업별로는� 초� 중� 고등학생은� 모두� 처음� 참여하였으며.� 주부와� 직장인의� 참여� 경험자�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주

부� 73.8%.� 직장인� 75.8%).� 직장인의� 마을부엌� 참여에� 대한� 수요가� 적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음.�

Page 10: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0 -

2-2.� 마을부엌에� 대한� 인지도

-� 마을� 부엌을� 이번에� 처음� 알게� 된� 참여자가� 거의� 반� 정도(47.6%)에� 이르고� 있음.� 1/4(26.7%)정도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참

여자들임.�

-� 모둠별로는� 지역� 아동의� 학생� 참여자에서� 처음� 알게� 되었다는� 비율이� 가장� 높고(70.0%),� 조리� 은평� 모듈에서� 이미� 잘� 알고�

있는� 경험자� 참여율이� 가장� 높음(53.8%).�

Page 11: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1 -

2-3.� 사업의� 인지� 경로(정보원)

-� 사업의� 인지경로로는� “지인.� 주민.� 친구로부터� 듣고”의� 입소문이나� 인간관계를� 통한� 인지가� 반� 정도로� 가장� 대표적인� 경로임

(48.0%).� 마을부엌을� 운영하사는� 분을� 통해서가� 다음으로� 많음(31.0%).� 반면� sns를� 통해서.� 아파트나� 게시판이나� 주민센터를�

통한� 인지는� 소수에� 그침.�

-� 모듈별로는� 지역청년� 모듈은� SNS를� 통해서� 인지한� 비율이� 가장� 높음(50%).� 그� 외� 모듈에서는� 지인이나� 친구로부터� 인지한�

비율이� 가장� 높음.� 연령별로는� 30대(23.1%).� � 직업별로는� 직장인에서� SNS를� 통한� 인지�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또한� 참여경

험별로는� 처음� 참여자에서� SNS를� 통한� 인지� 비율(6.8%)이� 약간� 높음.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SNS 0.0 0.0 0.0 12.5 0.0 50.0 5.3 5.0

구청이나�기관�홈패이지� 0.0 3.0 0.0 0.0 0.0 0.0 0.0 1.0

주민센터� 0.0 3.0 0.0 0.0 20.0 0.0 0.0 2.0

아파트�게시판 0.0 0.0 0.0 0.0 0.0 16.7 0.0 1.0

지인�주민�친구 55.6 63.6 60.0 37.5 80.0 0.0 15.8 48.0

마을부엌�운영자�로부터�직접 44.4 27.3 35.0 37.5 0.0 16.7 36.8 31.0

기타� 0.0 3.0 5.0 12.5 0.0 16.7 42/1 12.0

계 100.0(9) 100.0(33) 100.0(20) 100.0(8) 100.0(5) 100.0(6) 100.0(19) 100.0(100)

Page 12: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2 -

2-4-1.� 동반여부�

-� 혼자� 참여한� 경우가� 거의� 반수이며.� 둘이� 참여와� 세� 명� 이상의� 참여가� 각각� 1/4정도임.

2-4-2.� 사는� 곳과� 마을부엌� 장소�

-� 현재� 사는� 곳과� 참여한� 마을부엌과의� 지역적� 관련성을� 알아� 본� 결과.� 같은� 동� 주민이� 43.4%.� 같은� 구� 주민이� 73.4%로� 약�

3/4정도는� 지역적으로� 구� 범위에서� 참여하고� 있음.�

-� 모둠별로는� 조리� 은평.� 지역� 아동.� 조리� 관악에서� 같은� 동� 참여자가� 많으며.� 지역� 청년은� 구� 바깥� 지역� 참여자가� 42.9%에�

이르고� 있어� 참여자의� 지역적� 범위가� 가장� 넓은� 모둠임.� 한편� 참여� 지역� 범위에� 따른� 마을부엌� 정보원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

인.� 주민.� 친구로부터� 직접� 듣고� 참여한� 참여자일수록� 마을부엌과� 같은� 동에� 거주하는� 참여자가� 많으며� 구� 바깥� 지역� 참여자

는� SNS를� 통해서� 알게� 되거나.� 운영자로부터� 직접� 알게� 된� 경우가� 많음�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같은�동 50.0 58.1 92.9 14.3 66.7 14.3 9.9 43.4

동�다름�같은�구 0.0 32.3 7.1 71.4 33.3 42.9 26.3 30.1

구�다름�같은�시 0.0 9.7 0.0 0.0 0.0 28.6 52.6 18.1

다른�시도� 50.0 0.0 0.0 14.3 0.0 14.3 21.1 8.4

계 100.0(9) 100.0(30) 100.0(19) 100.0(8) 100.0(5) 100.0(3) 100.0(6) 100.0(80)

Page 13: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3 -

2-5.� 참여� 동기�

-� 마을부엌에� 참여하게� 된� 동기로는� 이웃과� 친해지기� 위해서(29.8%)� 이웃과� 협력하여� 자원을� 절약하려고(16.3%)의� 이웃과의�

교류� 및� 협력의� 동기가� 46.1%로� 식사준비에� 필요한� 기술의� 습득(19.8%)�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 습득(11.9%)� 자신의� 식생

활� 문제해결(8.9%)의� 40.6%의� 식생활� 향상의� 동기에� 비해서� 다소� 많다.�

-� 모둠별� 참여동기를� 살펴보면,� 조리� 관악이나� 조리� 은평과� 같이� 기존의� 마을부엌� 활동을� 중심으로� 시범� 사업이� 이루어진� 경

우에는� 이웃과의� 교류나� 협력을� 지적하는� 의견이� 많은데� 비해서.� 지역� 아동과� 청년은� 식생활� 향상의� 동기가� 많았음.� 조리� 강

서와� 열린� 식당에서는� 이웃과의� 관계와� 식생활� 향상에� 대한� 동기가� 골고루� 있음.�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이웃과�친해지기�위해서 11.1 57.6 20.0 25.0 0.0 0.0 21.1 29.8

이웃과�협력을�통한�지원�절약 11.1 24.2 35.0 0.0 0.0 14.3 0.0 16.3

식품과�영양에�관한�지식습득 44.4 0.0 5.0 25.0 60.0 0.0 10.5 11.9

요리법�등�식사관련�지식습득� 0.0 6.1 15.0 37.5 40.0 14.3 47.4 19.8

자신의�식생활�문제�해결� 11.1 0.0 5.0 12.5 0.0 71.4 5.3 8.9

주민봉사� 0.0 12.1 10.0 0.0 0.0 0.0 5.3 6.9

기타� 22.2 0.0 10.0 0.0 0.0 0.0 10.5 5.9

계 100.0(9) 100.0(33) 100.0(20) 100.0(8) 100.0(5) 100.0(7) 100.0(19) 100.0(101)

Page 14: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4 -

-� 연령별로� 10대와� 20대에서는�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 습득과� 식사� 준비에� 필요한� 기술� 습득의� 동기가� 높으며.� 30대에서는�

자신의� 식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높음(42.9%).� 65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이웃과� 친해지기� 위한� 관계� 증진의�

동기가� 압도적이며(62.4%)� 40� 50대� 층에서도� 이웃과� 친해지기� 위한� 동기가� 가장� 많음.�

� � 가구형태별로는� 1인� 가구에서� 이웃과� 친해지기� 위해서의� 동기(34.8%)와� 식생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30.4%)의� 동기가� 비

슷한데� 두� 가지� 동기� 모두� 비� 일인가구에� 비해서� 높음.� 전자의� 동기는� 주로� 나이가� 많은� 고령층에서� 후자의� 동기는� 젊은� 1인�

가구에서� 나타나고� 있음.�

2-6. 프로그램 참여 정도

2-6-1. 참여빈도

- 1회 참여자 28.8%. 2회 참여자 15.0%. 3회 참여자 56.2%. 4회 이상 참여자 35.0%로 3회 이상 상대적으로 장기 참여자가 51.6%에 이르고 있음.

- 모둠별 참여 빈도를 살펴보면, 농촌과 조리 관악 모둠에서 1회 참여자가 많고, 조리 강서와 조리 은평에서 3회 이상 참여자의 비율이 크게 높음. 지역 청년은 4회 참여자가 100%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중도에 참가를 그만 둔 참여자들이 평가 응답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임. 열린 식당 모둠은 참여 빈도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

Page 15: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5 -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1회� 55.6 53.3 10.5 0.0 0.0 0.0 0.0 28.8

2회 0.0 33.3 0.0 0.0 0.0 0.0 33.3 15.0

3회 33.3 13.3 15.8 12.5 80.0 0.0 33,3 21.2

4회�이상� � 11.1 0.0 73.7 87.5 20.0 100.0 33.3 35.0

계 100.0(9) 100.0(30) 100.0(19) 100.0(8) 100.0(5) 100.0(3) 100.0(6) 100.0(80)

-� 성별로는� 남성은� 여성에� 비해서� 1회� 참여자� 비율이� 높고(남성� 44.4%,� 여성� 26.8%),� 4회� 이상� 참여자� 비율이� 크게� 떨어짐

(남성� 11.1%.� 여성� 38.0%).� 연령별로는� 40대와� 30대에서� 4회� 이상� 지속� 참여자� 비율이� 높지만(40대� 51.6%,� 30대� 43.9%),� 1

회� 참여자의� 비율이� 높은� 연령층도� 30대이며� 40대~64세� 연령층도� 1회� 참여자� 비율이� 높음(30대� 42,9%,� 50대~64세� 34.8%).�

-� 동반형태별로는� 혼자� 참여한� 참여자보다� 동반� 참여자에서� 4회� 이상� 참여자의� 비율이� 약간� 높으며(혼자� 참여� 26.3%,� 다른�

한명과� 함께� 참여� 38.5%.� 다른� 두명� 이상과� 함께� 참여� 41.4%)� 처음� 참여자에서� 1회� 참여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처음�

참여자� 37.5%,� 참여� 경험자� 8.7%)� 3회� 이상의� 지속� 참여자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처음� 참여자� 46.5^,� 참여� 경험자� 78.3%)� 나

타나� 처음� 참여한� 참여자가�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운� 요인이� 더욱� 크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됨.�

-� 직업별로는� 직장인은� 1회� 참여자(41.7%)와� 4회� 아상� 지속� 참여자� 비율(35.7%)이� 모두� 높아,� 참여� 빈도에서� 양극화� 양상을�

보여줌,� 초등학생� 중학생� 대학생은� 3회� 이상� 참여자� 비율이� 높고,� 주부는� 참여빈도가� 범주별로� 고루� 분포함.�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에� 비해서� 비� 1인� 가구에서� 4회� 이상� 참여자� 비율이� 높음(1인� 가구� 40.0%,� 비� 1인� 가구� 61.3%)�

Page 16: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6 -

2-6-2. 참여의 적극성

-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했는가에 대해서는 매우 적극 30.5%.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 39.0%로 참여자의 70% 정도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스스로 평가.

- 모둠별로는 지역 강서, 지역 청년에서 적극 참여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조리 은평. 조리 관악, 농촌에서 소극적 참여자의 비율이 높음. 이는 이들 모둠의 참여자가 다른 모둠보다 많았기 때문에 참여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보임. 또한 새로운 대상이나 주제를 다룬 모듈의 참여자가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한 양상으로 해석할 수 있음.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 전체

매우�적극� 0.0 32.3 25.0 62.5 40.0 33.3 33.3 30.5

비교적�적극 77.8. 41.8 35.0 37.5 20.0 33.3 0.0 39.0

보통 11.1 8.7 30.0 0.0 40.0 33.3 66.7 20.7

소극적 11.1 16.1 10.0 0.0 0.0 0.0 0.0 9.8

계 100.0(9) 100.0(31) 100.0(20) 100.0(8) 100.0(5) 100.0(3) 100.0(6) 100.0(82)

Page 17: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7 -

-�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의� 고령자� 층에서� 적극적으로� 참여자의� 비율이� 가장� 높고.� 40대에서� 소극적� 참여자의� 비율이� 타� 연령

층에� 비해� 다소� 많음.� 직업별로는� 학생에서� 적극적� 참여비율이� 높은� 반면,� 직장인에서� 소극적� 참여의� 비율이� 높음.�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매우� 적극� 참여자와� 소극적� 참여자의� 비율이� 모두� 높음.�

-� 처음� 참여자는� 참여� 경험자에� 비해서� 적극� 참여� 비율에서는� 차이가� 없으나(처음� 참여� 31.0%,� 참여� 경험자� 30.4%),� 소극� 참

여자의� 비율이� 다소� 높음(처음� 참여자� 12.1%,� 참여� 경험자� 4.3%).� 또한� 참여� 빈도가� 1회에� 그친� 참여자에서� 소극� 참여의� 비

율이� 높고(30.4%),� 적극� 참여자의� 비율이� 낮음(0.0%).� 그러나� 참여� 빈도가� 2회� 이상인� 참여자의� 경우에는� 참여� 빈도가� 증가에�

따른� 참여� 적극성의� 증가는� 나타나지� 않음.� 한편.� 동반� 형태에� 따른� 참여의� 적극성의� 차이는� 없음.�

Page 18: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8 -

3.� 프로그램� 준비와� 운영� 평가�

-� 프로그램의� 준비와� 운영과� 관련한� 10개� 항목과� 준비와� 운영에� 관한� 전반적� 평가의� 12개�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 프로그램�

홍보와� 안내를� 모든� 항목에서� 만족비율이� 70%를� 넘고� 있어� 프로그램� 준비와� 운영에� 대해서� 높은� 만족도를� 보여줌.�

-� 전반적인� 평가에서는� 프로그램� 준비에� 대해서는� 82.1%.�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서는� 83.3%가� 만족하고� 있음.� 프로그램� 운영�

항목별로는� 특히� 프로그램� 운영자의� 열의(만족비율� 90.5%.� 평균� 4.40).� 프로그램� 운영자(운영진)의� 능력과� 전문성(만족비율�

81.0%.� 평균� 4.20)를� 높게� 평가하고� 있음.� 반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여준� 항목은� 프로그램� 홍보와� 안내의� 항목으로� 만족� 비

율은� 69.0%임(만족도� 평균� 3.92).� -� 또한� 식자재� 등� 프로그램� 재료(만족도� 83.3%).� 프로그램� 내용� 전달(84.5%)이나� 실습자� 참

여유도(81.0%)에� 비해서� 실습조리� 시설(72.5%)과� 실습� 공간� 크기(73.5%)의� 시설과� 설비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 모둠별로� 프로그램� 준비와� 운영의� 항목에� 대한� 평가를� 비교해� 보면.� 큰� 차이는� 없음.� 세부� 차이로는� 전반적� 평가에서� 조리�

강서.� 지역아동의� 만족도가� 특히� 높음.�

-� 항목별로는� 프로그램� 홍보와� 안내에서는� 지역� 청년과� 열린� 식당.� 프로그램� 운영자� 규모는� 조리� 은평.� 조리설비와� 식자재.� 공

간� 크기에서� 조리� 관악.� 프로그램� 시간에서는� 지역� 청년� 모둠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음.� 프로그램� 설비와�

시설의� 항목에서� 조리� 관악의� 만족도가� 타� 모둠에� 비해서� 떨어지고� 있는� 것은� 타� 모둠에� 비해서� 첨여자가� 많은� 데서� 주로� 기

인하는� 것으로� 보임.� 또한� 지역� 청년에서� 시간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직장인� 참여자가� 대부분인� 관계로� 시

간을� 제� 때� 맞추기� 어려운� 상황에서� 나타난� 결과로� 판단됨.

Page 19: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19 -

농촌�조리�

관악�

조리

은평

조리�

강서

지역

아동

지역

청년

열린

식당�

전체

평균

만족

비율

1.�프로그램에�대한�홍보와�안내� 3.78 3.73 4.10 4.37 4.60 3.33 3.67 3.91 69.0

2.�프로그램�운영자(운영진)의�능력과�전문성 4.00 3.91 4.40 4.63 5.00 5.00 3.83 4.20 81.0

3.�프로그램�운영자(운영진)의�열의 4.00 4.18 4.60 4.75 5.00 5.00 4.33 4.40 90.5

4.�프로그램�운영자(운영진)의�인원�규모 4.22 4.00 3.95 4.88 4.80 4.00 4.50 4.18 79.5

5.�실습�조리�설비와�조리�시설 4.22 3.58 4.00 4.25 5.00 4.33 4.17 3.96 72.5

6.�식자재�등� �프로그램�재료 4.33 3.88 4.30 4.50 5.00 5.00 4.33 4.23 83.3

7.�실습�공간�크기� 4.11 3.53 3.90 4.00 5.00 4.33 4.50 3.92 73.5

8.�프로그램�진행�시간� (행사�지속시간) 4.00 3.91 4.20 4.63 5.00 3.67 4.67 4.17 79.9

9.�프로그램�내용의�효과적인�전달 4.11 3.85 4.35 4.50 5.00 4.33 4.17 4.17 84.5

10.�참여자의�프로그램� (실습과정�등)�참여�유도 3.89 3.70 4.30 4.76 4.80 4.67 5.00 4.15 81.0

11.�프로그램�준비�상태에�대한�전반적�평가 4.00 3.88 4.30 4.75 5.00 4.33 4.50 4.20 82.1

12.�프로그램�진행에�대한�전반적�평가 4.11 4.11 4.35 4.75 5.00 4.33 4.67 4.23 83.3

사례�수(전체� 84)� 9 33 20 8 5 3 6

-� 참여자� 특성에� 따른� 평가의� 차이를� 전반적인� 평가� 항목으로� 비교해� 보면.� 남성과� 여성의� 성별� 평가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연

령별로는� 10대와� 20대의� 평가가� 고령층에� 비해서� 상대적� 만족도가� 더� 높음(10대� 5.0,� 20대� 4.71,� 30대� 4.14,� 40대� 4.13,� 50

대~64세� 4.29,� 65세� 이상� 3.50).� 직업별로도� 초� 중� 대학생� 직장인이� 주부에� 비해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줌(초� 중등학생� 5.0,�

대학생� 4.67,� 직장인� 4.25,� 주부� 4.11).� 한편� 참여형태별�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참여� 경험.� 동반형태.� 참여동기별� 만족도의�

차이는� 거의� 없음.�

Page 20: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0 -

4.� 프로그램� 내용� 평가�

-�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평가에서는� 전반적� 평가에서� 83.0%가� 긍정적이라고� 응답해.� 매우� 높은� 평가결과를� 보여줌.� 항목별� 평

가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지역주민의� 실정을� 반영했다는� 항목이� 다른� 내용� 항목에� 비해서� 부정적� 평가가� 약간� 많음.�

-� 모둠별로는� 내용의� 전반적� 평가에서는� 조리� 강서.� 지역� 아동.� 조리� 은형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조리� 관악의� 만족도

가� 낮음.� 항목별로도� 모든� 항목에서� 두� 모둠의� 평가가� 가장� 높음.� 열린� 식당� 모둠은� 항목별� 평가에서는� 타� 모둠에� 비해서� 대

체로� 낮은� 평가를� 내리고� 있으나� 전체� 만족도는� 낮지� 않음.�

농촌�조리�

관악�

조리

은평

조리�

강서

지역

아동

지역

청년

열린�

식당

전체

평균동의율

1.�마을부엌의�목적과� �취지에�적합한�내용이다� 4.22 3.85 4.45 4.88 4.80 4.33 4.00 4.21 85.7

2.�이해하기�쉽게�구성되었다� � 4.33 3.85 4.30 4.88 5.00 4.67 4.50 4.25 85.7

3.�지역�주민(혹은�대상자)의�요구와�실정을�잘�반영하였다 4.00 3.82 4.40 4.50 4.80 4.00 3.83 4.11 84.5

4.�참여자들이�배운�내용(요리�등)을�쉽게�따라할�수�있다 4.22 3.82 4.25 4.75 4.80 4.67 3.67 4.13 78.6

5.�전반적으로�볼�때�내용이�만족스럽다 4.00 3.82 4.45 4.75 4.80 4.67 4.12 4.19 82.0

사례�수(전체� 84)� 9 33 20 8 5 3 6 84

Page 21: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1 -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는� 전반적인� 내용� 만족도에서� 남성의� 만족도가� 높고(남성� 4.33,� 여성� 4.17)� 10대의� 만족도가�

높고� 고령층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음(10대� 4.80,� 20대� 4.43,� 30대� 4.14,� 40대� 4.19,� 50대~64세� 4.46,� 65세� 이상� 3.00).� 직

업별로는� 초중� 대학생의� 만족도가� 높고� 직장인과� 주부의� 만족도가� 낮음(초등학생� 4.67,� 중학생� 5.00,� 대학생� 4.33,� 직장인�

4.25,주부� 4.38).� �

-� 참여경험이나� 동반형태에� 따른� 전반적인� 내용� 만족도는� 거의� 차이� 없음.� 참여� 빈도별로는� 1.2회� 참여자에� 비해서� 2회� 이상�

참여자의� 만족도가� 높음.� 특히� 4회� 이상� 참여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음(1회� 4.09,� 2회� 3.84,� 3회� 4.34,� 4회� 이상� 4.54).� 참여�

적극성에서는� 매우� 적극참여자의� 만족도가� 소득� 참여자에� 비해서� 높음(매우� 적극� 참여� 4.48,� 비교적� 적극� 참여� 4.16,� 보통� 참

여� 4.18,� 소극� 참여� 3.50).� 참여� 동기에서는� 이웃과� 교류나� 봉사.� 자원� 절약을� 위해서� 참여한� 참여자에� 비해서�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거나� 요리준비� 등� 식사준비에� 필요한� 기술� 습득을� 위해서� 참여한� 참여자의� 만족도가� 약간� 높음.�

Page 22: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2 -

5.� 프로그램� 효과� 평가� :� 참여� 이전과� 비교�

-� 모든� 항목에서� 효과가� 있었다는� 평가가� 그렇지� 않다는� 응답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많음.� 특히� “참여한� 지역� 주민들과� 연대감

(동질감)을� 느끼게� 되었다”(85.5%).� “마을부엌이� 지역사회� 식사�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고� 느꼈다”(82.1%).�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이� 커졌다”(79.8%)의� 지역사회와의� 유대와�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가�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

식습득(69.0%)이나� 요리� 능력과� 향상의� 식생활에� 기여한� 효과(67.9%)에� 비해서� 긍정적� 평가가� 더� 높음.�

농촌�조리�

관악�

조리

은평

조리�

강서

지역

아동

지역

청년

열린

식당�

전체

평균동의율

1.�식품과�영양에�대한�새로운�지식을�습득했다 3.56 3.58 4.15 4.25 4.80 4.33 3.67 3.88 69.0

2.�요리�능력이�향상되었다 3.44 3.58 4.25 4.25 4.40 4.00 2.83 3.80 67.9

3.� (본인�및�가족의)�식생활�개선이�필요하다고�느꼈다 3.78 3.58 4.15 4.25 4.80 4.33 3.50 3.89 70.2

4.�지역사회�식사�문제�해결에�기여할�수�있다고�느꼈다 4.11 3.85 4.30 4.38 4.80 4.33 3.67 4.09 82.1

5.�참여한�지역�주민들과�연대감(동질감)을�느끼게�되었다 3.89 3.88 4.35 4.50 4.80 5.00 4.00 4.16 85.5

6.�지역사회에�대한�소속감이�커졌다 3.67 3.79 4.30 4.50 4.80 4.33 4.00 4.06 79.8

7.�기회가�된다면�앞으로도�프로그램에�계속�참여하고�싶다� 4.11 3.85 4.30 4.88 4.80 4.67 4.50 3.21 82.1

사례�수� 9 33 20 8 5 3 6 84

Page 23: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3 -

-� 모둠별로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지역� 아동� 모둠의� 성과에� 대한� 평가가� 가장� 긍정적임.� 다음으로� 지역� 청년.� 지역� 강서.� 지역�

은평� 모둠에서� 긍정적� 평가가� 높음.� 대부분�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조리� 관악� 모둠의�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요리� 능력� 향

상에서는� 특히� 열린� 식당에서� 낮은� 평가를� 보여줌.� “기회가� 된다면� 앞으로도� 마을� 부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는� 향후� 참

여� 의사에서는� 조리� 강서.� 지역� 아동.� 열린식당의� 순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

-�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향후� 참여의사애� 대한� 태도를� 비교하면,� 10대� 20대에서� 참여의사가� 높은� 반면.� 65세� 이상

의� 고령자층에서� 상대적으로� 낮음(10대� 4.80,� 20대� 4.43,� 40대� 4.29,� 50대~64세� 4.41,� 65세� 이상� 3.75).� 직업별로는� 주부에� 비

해서� 학생과� 직장인의� 참여의사가�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 참여� 형태별� 향후� 참여의사를� 비교하면,� 기존� 참여여부와� 관계없이� 향후� 참여의사는� 비슷하지만.� 동반� 형태별로는� 혼자� 참

여자가� 동반� 참여자에� 비해서� 향후� 참여의사가� 약간� 높음(혼자� 참여� 4.57,� 다른� 1명과� 같이� 참여� 4.25,� 두� 명이상� 같이� 참여�

4.03).� 이는� 참여의사가� 상대적으로� 높은� 젊은� 층에서� 혼자� 참여자가� 많으며� 동반� 참여자에� 비해서� 혼자�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보다� 분명했기� 때문에� 향후� 참여� 의사가�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추론됨.�

� � 구체적인� 참여동기별로는� 이웃� 주민과� 친하기� 위해서� 보다는� 식생활� 문제� 해결이나�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식� 습득의� 동기

로� 참여한� 참여자들의� 향후� 참여의사가� 상대적으로� 강함(이웃� 주민과� 친해지기� 위해서� 3.96,� 이웃주민과의� 협력을� 통한� 자원

절약� 4.19,�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슥� 습득,� 요리법등� 식사준비에� 필요한� 기술� 습득(4.66),� 주민� 봉사(4.29).�

-� 참여빈도별로는� 참여횟수가� 많을수록� 향후� 참여의사가� 높으며(1회� 3.82,� 2회� 4.08,� 3회� 4.41,� 4회� 이상� 4.54),� 참여� 적극성

별로는� 매우� 적극� 참여자의� 향후� 참여� 의사가� 가장� 높고� 소극참여자의� 참여의사가� 가장� 낮음(매우� 적극� 참여자� 4.64,� 적극� 참

여자� 4.19,� 보통� 참여자� 4.12,� 소극� 참여자� 3.38).

Page 24: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4 -

6.� 향후� 방향�

6-1.� 지역사회� 마을부엌� 사업� 확대의� 필요성�

-� 참여자의� 절대� 다수(95.0%)가� 마을부엌� 사업의� 확대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있음�

-� � 모둠별로는� 모둔� 모둠에서� 확대에� 동의하는� 의견이� 압도족으로� 높음.� 특히� 조리강서에서� “매우� 동의� 의견”이� 가장� 높음(매

우� 동의의견� 농촌� 55.6%,� 조리� 은평� 52.6%,� 조리� 관악� 18.9%,� 조리� 강서� 87.5%,� 지역아동� 40.0%,� 지역� 청년� 33.3%,� 열린�

식당� 50.0%).�

범주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비율

(사례�수)

매우�동의 55.6 18.8 52.6 87.5 40.0 33.3 50.0 41.5

동의 44.0 68.8 47.4 12.5 60.0 66.7 50.0 53.7

동의하지�않음� 0.0 9.4 0.0 0.0 0.0 0.0 0.0 3.7

매우�동의하지�않음� � 0.0 3.1 0.0 0.0 0.0 0.0 0.0 1.2

계� 100.0(9) 100.0(32) 100.0(19) 100.0(8) 100.0(5) 100.0(3) 100.0(6) 100(82)

Page 25: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5 -

-� 연령별로는� 30대와� 65세� 이상의� 고령자� 층에서� 적극� 동의의견이� 상대적으로� 적음(30대� 14.3%,� 65세� 이상� 12.5%).� 직업별로

는� 대학생에서� 적극� 동의의견이� 가장� 높음(66.7%).�

� � 참여형태별로는�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참여자에[서� 적극� 동의의견이� 높고(54.2%).� 소극� 참여자에서� 상대적으로� 적

음(25.0%).� 또한� 참여� 빈도가� 3회� 이상의� 참여자가� 2회� 이상의� 참여자에� 비해서� 적극� 동의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음(1회� 참여자�

25.1%,� 2회� 참여자� 25.0%,� 3회� 참여자� 56.2%.� 4회� 이상� 참여자� 55.6%).�

-� 또한�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확대에� 적극� 동의하는� 의견이� 많음.� 특히� 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업의� 확

대에� 동의하는� 비율이� 증가함�

Page 26: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6 -

6-2.� 마을부엌의� 지속과� 확대에� 가장� 필요한� 사항�

-� 마을부엌의� 지속과� 확대에�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가장� 많이� 꼽고� 있음(46.4%).� 다음으로� 마을부엌

에� 대한� 홍보와� 알림(26.2%).� 시� 당국� 등� 자자체의� 지원(25.0%)을� 들고� 있음.�

-� 모둠별로는� 마을� 부엌의� 지속과� 확대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엇갈라고� 있음.� 지역� 아동(60.0%)� 농촌,� 조리�

관악,� 조리� 강서,� 지역� 청년� 그리고� 조리� 은평� 모둠은� 시� 당국� 등� 지자체� 지원� 의견이� 높은데� 비해서,� 농촌,� 조리� 관악� 지역�

아동.� 열린� 식당은� 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꼽은� 의견이� 많음.�

범주 농촌� 조리�관악 조리�은평 조리�강서� 지역�아동 지역�청년 열린�식당�비율

(사례�수)

마을부엌에�대한�홍보와�알림 33.3 36.4 15.0 12.5 20.0 0.0 33.3 26.2

주민들의�관심과�참여 55.6 54.5 35.0 12.5 60.0 33.3 66.7 46.4

시�당국�등�지자체의�지원 11.1 6.1 45.0 75.0 20.0 66.7 0.0 25.0

기타� 0.0 3.0 5.0 0.0 0.0 0.0 0.0 2.4

계� 100.0(9) 100.0(33) 100.0(20) 100.0(8) 100.0(5) 100.0(3) 100.0(6) 100(84)

Page 27: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7 -

-� 연령별로는� 30� 40대에서� 지자체의� 지원�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으며(각각� 42.9%와� 28.1%)� 10대와� 20대� 그리고� 65세� 이상에

서는� 주민의� 관심과� 참여의� 의견이� 압도적임(각각� 71.4%,� � 60.0%,� 75.0%).� 직업별로는� 직장인에서� 지자체� 지원의견이� 학생에

서� 주민의� 관김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참여형태별로는� 의견을� 비교해� 보면,� 먼저� 참여경험에� 있어서� 처음� 참여자에� 비해서� 참여경험자에서� 지자체� 지원을� 더� 많이�

지적한� 반면,� 주민의� 관심과� 참여� 의견이� 적음(지자체� 지원� 의견� :� 처음� 참여자� 21.7%,� 참여� 경험자� 34.8%,�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 :� 처음� 참여자� 50.0%,� 참여� 경험자� 34.8%).�

-� 또한� 참여� 횟수가� 많은� 참여자에서� 자자체의� 지원을� 꼽은�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1회� 참여자� 4.3%,� 2회� 참여자� 16.7%,�

3회� 참여자� 11.8%,� 4회� 이상� 참여자� 57.1%),� 참여횟수가� 적은� 참여자에서� 홍보와� 알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크게� 증가함(1회�

참여자� 46.7%,� 2회� 참여자� 25.0%,� 3회� 참여자� 29.4%,� 4회� 이상� 참여자� 7.1%).� 또한� 참여� 정도별로는� 매우� 적극� 참여자에서�

지자체의� 지원을� 마을� 부엌� 지속과� 확대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한� 비율이� 약간� 높음(매우� 적극� 참여� 32.0%,� 비교적� 적

극� 참여� 21.9%,� 보통� 참여� 23.5%,� 소극� 참여� 25.0%).�

-� 즉� 참여형태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참여경험이� 많은� 참여자일수록� 지자체의� 지원의� 필요성을� 그만큼� 더� 강하게� 느

끼고� 있음을� 보여줌,�

Page 28: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8 -

III.�참여자�운영자�FGI

1.� 프로그램� 준비와� 진행�

<홍보와� 적합한� 참여자� 모집>

-� 참여자� 평가에서� 프로그램� 준비와� 관련한� 항목� 중� 홍보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여주었음.� 홍보에� 대한� 모니터링� 결

과는� 사업별,� 차수별로� 엇갈리는� 경향을� 보여줌.� 주로� 기존� 활동의� 참여자와�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업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새로운�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사업에서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있음.

-� 홍보� 활동의� 최종� 평가는� 당초� “목표로� 했던� 인원을� 충족했는지”와� 함께� “사업이� 목표로� 하는� 적합한� 대상이� 참여했는지”가�

중요함.� 홍보에� 어려움을� 겪은� 모둠은� 특정� 대상을� 모집하는데� 어려움을� 지적함.�

-� 새로운� 참여자� 대상� 사업이지만,� 지역의� 네트워크를� 다각도로� 활용하여�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둔� 사례도� 있음.�

-� 참여자들� 중에는� 보다� 적극적인� 알림과� 홍보를� 통한� 사업의� 지속과� 학대를� 바라는� 의견이� 다수� 있었음

Page 29: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29 -

<참여에� 관한� 문제들,� 새로운� 참여자에� 대한� 배려� 등� >�

-� 본� 시범� 사업에서� 마을부엌에� 처음� 참여하는� 참여자가� 많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했다는� 지적이� 있었음

<시간과� 공간� 문제>

-� 청년과� 아동� 대상� 프로그램은� 시간� 문제가� 가장� 큰� 문제의� 하나로� 지적.� 시간� 문제로� 참여자의� 모집이� 어려웠고� 신청하고�

참여하지� 않는� 등� 중간에� 참여하지� 않는� 사례들이� 있었음.� 또한� 조리에서� 식사� 그리고� 마무리까지� 필요한� 시간이� 적지� 않아서�

시간적� 제약이� 있는� 청년과� 아동� 청소년에� 적합한� 시간을� 배정하는� 문제가� 대두하였음.�

-� 사업장� 마다� 공간이나� 운영자의� 수� 등에� 따라서� 차이가� 있겠지만� 기존의� 마을� 부멐을� 활용한� � 하위� 모듈별� 적정� 인원은�

8~10명� 정도로� 평가함.�

2.� 사업� 효과와� 성과�

<요리에� 대한� 호기심에� 출발해서..>�

-� 손수� 음식을� 조리한다는� 호기심에서� 출발하였지만.� 먹거리의� 건강성에� 대해서� 재삼� 인식하고,� 참여자의� 공감을� 나누고,� 주변

과�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하고� 있음.�

<식생활의� 질적� 개선� :� 취약층에� 대한� 건강한� 먹거리� 제공>�

Page 30: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30 -

<자존감� 회복과� 힐링>

-� � 새로� 배운� 방법으로� 손수� 요리를� 하면서,� 그리고� 참여자들과� 경험을� 공유하고� 친밀감을� 공유하고,� 음식을� 다른� 분께� 제공

하면서� 자존감과� 치유의� 느낌을� 경험하고� 있음�

<네트워크� 형성과� 협력>�

3.�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과제들�

<적합한� 참여자� 모집과� 홍보� 방안� 모색>�

<공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대안들>

-� 공간� 문제는� 이후� 사업의� 지속성을� 위해서� 해결해야할� 대표적인� 선결과제의� 하나로� 지적됨.� 공간의� 크기보다� 공간의� 안정성�

확보가� 핵심� 사안으로� 대두.� �

-� 대안적� 공간을�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서� 여러� 의견들이� 제기됨.� 기부체납과� 기존� 식당을� 활용하는� 방안이� 대표적임.� �

� <예산� 지원>�

-� 사업의� 운영과� 관리를� 위한� 인건비와� 노후화된� 시설을� 보수하는데� 행정� 당국의� 예산� 지원이� 필요�

Page 31: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31 -

<마을부엌의� 차별성� 확보와� 방향성>�

-� 지자체� 지원시� 마을부엌의� 자생적� 특성들을� 유지할� 수� 있는� 방향성에� 관란� 의견� 제안�

Page 32: 시범사업운영모니터분석결과 - eco.or.kreco.or.kr/eco2016/wp-content/uploads/2018/12/20181223_075809.pdf · -시범사업에참여한참여자를대상으로“구조화된설문지”를통한면접조사실시.일부개방형설문을포함.-대부분모둠은프로그램종료이후에조사였으며.일부모듈은사전에참여와관련한문항을사전조사하고프로그램종료

- 32 -

마을부엌이란,,�마을부엌의�정체성� ?

1.참여성의�관점에서�

기능성과�필요� ->� �관계성의�경험� � ->� �실천적�체득� � � ->� �정체성과�치유에�도달

2.�지역사회의�복원�혹은�새로운�창출의�관점에서�

-�수평적�결속에서�수직적�연대로,�동질적�결합에서�이질적�융합으로

�요구에�대한�대응에서�새로운�구성에�이르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