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0095/1... ·...

126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2 0 11. 2. 경상북도 영양군

Upload: others

Post on 26-Sep-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

2 0 11. 2.

경상북도․영양군

제 출 문

경상북도지사․영양군수 귀하

본 보고서를 귀 기 에서 의뢰한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방안」의

최종성과품으로 제출합니다.

2011년 2월

연 구 기 명 : 한 국 농 경 제 연 구 원

연 구 책 임 자 : 박 석 두 연 구 원

연 구 참 여 자 : 오 내 원 선 임 연 구 원

최 지 선 임 연 구 원

김 창 호 연 구 원

i

요 약

□ 연구목 연구내용

◦ 경북 양군에 경북 북부권역과 강원 남부권역 충북 북부권역을 아우르는 국가

산채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산채의 생산에서 가공· 매에 이르는 과정을

화하고 연구·개발 련 산업을 집 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출을 확

하여 경북 양군과 북부권역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자 함.

- 산업 측면에서 산채의 재배·가공·유통· 매의 과정에 걸쳐 세하고 낙후되어

있는 기술 경 수 을 신함으로써 산채산업의 화·선진화를 이룩함.

- 지역발 측면에서 상 으로 낙후되어 있는 경북 양군과 북부권역의 발 을

한 거 시설로 활용하고자 함.

- 수출확 측면에서 산채식품의 수출을 확 하여 농산물 수출 100억 달러 목표 달

성에 일조하고자 함.

◦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5개 분야로 구성됨.

- 산채·송이·산양삼의 수 ·생산·유통·가공 황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련 정책 사례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방안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 산채·송이·산양삼의 수 동향

◦ 국민생활수 향상과 자연·건강식품에 한 심 고조로 산채·송이·산양삼에 한

수요가 증함. 산채의 자연친화 ·건강식·지역의 청정이미지 등이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음. 그러나 부분 산에서 채취하거나 품종 개량 없이 자연 인 환

경에서 재배가 이 지는 계로 공 이 원활하지 못한 상황임.

◦ 국산 산채와 송이의 수입이 증가하 으나 소비자들이 품질과 안 성이 뛰어난

국내산을 선호하면서 수입은 정체됨.

- 산채는 2000년 이후 국내산 산채가 경쟁력을 가지면서 수입이 정체

ii

- 국산과 북한산 송이 수입은 증가하 으나 품질이 낮아 부분 식당에서 소비

- 일본에서는 국산 농산물에 한 안 도를 우려해 국내산 수출 송이 선호

- 산양삼은 수출입 HS코드가 주어지지 않아 정확한 통계 악이 어려우며, 보따리

상이나 국제우편을 통해 국 장뇌삼의 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다시 국

내산으로 둔갑되어 매되는 등 시장교란이 일어나고 있음.

□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황과 문제

◦ 산채는 수요 증가와 수입산과의 차별화 성공으로 국내 총생산량이 지속 으로 증

가하는 추세임. 2009년 산채 총생산액은 3,024억으로 년 비 41.7% 증가

◦ 송이는 작황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매우 극심한 편임. 2009년 송이 총생산액은 425

억 원으로 년 비 38.4% 증가

◦ 산양삼도 작황에 따라 생산량 변동이 매우 심함. 2009년 산양삼 총생산액은 152억

원으로 년 비 10.1% 증가

- 국 산양삼 생산농가 1,875호, 재배면 5,650ha

- 경북의 산양삼 재배면 은 1,398ha로 국에서 가장 넓으며, 다음으로 강원도

1,277ha, 남 982ha, 충남 598ha 순임.

◦ 2009년 국의 산채 생산액 기 70 이내 시·군을 상으로 시도별 집 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경기도와 충남 등 서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부분 백두 간

에 인 한 것으로 나타남.

◦ 산채의 생산 집 도를 근거로 국의 주요 산채 생산지역을 9개 권역으로 구분함.

권역들 강원 남부·충북 북부·경북 북부권역이 가장 많은 지역을 아우르고 있으

며, 치상 산채 생산이 많은 백두 간의 심부에 치

- 강원 남부·충북 북부·경북 북부권역은 강원, 충북, 경북의 3개 도와 평창, 제천,

주 등 13개 시·군으로 집 형 집산형태임.

◦ 산채·송이·산양삼은 자연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주산지 이외의 지역에서 재배가 어

려움. 지역·권역 단 로 해당 지역의 여건에 맞게 생산·유통·가공을 종합 으로

리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며, 계 성이 강한 품목들이므로 안정 인 소

득확보를 해 작부체계 개발과 기술보 교육 지원 필요

◦ 산채와 산양삼의 육종개발 연구와 보 을 담당할 수 있는 문 인 기 설립 필요

iii

□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황과 문제

◦ 산채는 일반 농산물과 달리 계 생산, 소량·분산되는 시스템으로 유통구조가 매

우 열악함.

- 산지수집상 → 도매시장 혹은 벤더 → 형소매 혹은 백화

- 산지농 (생산자) → 하나로마트, 백화 , 할인

- 생산자 → 산지 시장, 형 소비처, 방문객

◦ 송이는 생산자(채취자)들이 산림조합을 통한 공 , 수집상· 매상, 축제 등을 통한

소비자 직거래, 수출 등의 여러 형태로 유통

- 「 화 송이축제」와 「울진 강송 송이축제」등의 지역축제들은 다양한 볼거리

와 먹을거리를 제공하므로 인지도가 높아 소비자들이 선호하며 송이 매에도 큰

역할 담당

◦ 산양삼은 생산자, 산지수집상, 소비지 매인(혹은 한의원), 소비자 등의 3~4단계로

구성

- 최근 경매시장을 통한 거래와 생산자-소비자간 직거래, 유통업체나 회원들을 통한

직 매가 크게 증가

- 2011년부터 시행되는 생산이력제를 통해 불법거래가 어 산채의 유통시장이 많

이 안정화 될 것임.

◦ 산채와 송이는 지역 매를 우선 으로 하기 때문에 국 매 체계가 미흡함. 부

분 산채는 4~5월, 송이는 9~10월에 개최하는 지역 축제기간 생채로 매하고

있음. 그러나 국 시장 공략을 해서는 단지화, 품질 리, 공동출하, 랜드, 콜드

체인 시스템 등에 한 비 필요

◦ 품질 리시스템을 도입해도 리품종의 다양화와 리지역의 범 함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따라서 지역·권역에 품질 리를 담당할 수 있는 기 설립

필요

□ 산채·송이·산양삼의 가공 황

◦ 산채는 부분 반찬용으로 단순 가공되는 형태이므로 추가 인 소비 확 나 부가

가치 증 를 기 하기 어려움.

iv

◦ 송이의 경우도 부분 생채로 소비되며 가공용 소비는 경미한 편임. 그러나 최근

송이를 활용한 송이차, 송이 편, 송이장조림등 다양한 제품이 상품화되고 개발

임.

◦ 산양삼은 일부 발효음료나 녹즙의 형태로 가공되고 있지만 제품 개발이 미미한 실

정임. 환캔디, 우치, 즙 등의 상품이 개발되어 매 임.

◦ 아직까지 단순 가공 제품으로 생산됨에 따라 안정 인 농가소득에 기여하지 못하

고 있음.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개발· 매할 수 있는 가공기술의 체계 인 기술보

과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며, 생산자조직· 학연구소·산림과학원·지자체·산업체·농

업기술센터 등의 단편 이고 일시 인 지원이 아닌 계 구성원들이 의체를 구

성하여 지역 내 생산물이 제품으로 가공되고, 산업화에 성공할 때까지 지속 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 산채·송이·산양삼의 발 을 한 과제

◦ 미곡·축산·시설농업이 어렵고, 토지 이용 농가 경 합리화가 불리한 산지에 주

로 산채·송이·산양삼의 주산지가 치함. 이들 지역은 규모화가 필요한 곡물농업,

축산, 시설농업 등 보다는 토지생산성이 높은 특용작물의 재배가 합

◦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 추구 식생활은 향후 산채를 비롯한 송이와 산양삼의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

◦ 산채·송이·산양삼에 한 연구개발사업이 지역 학, 지역연구소, 농업기술센터 등

을 심으로 활발하게 이 지고 있음. 그러나 이들 기 들은 기술개발분야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내놓지만 상품의 홍보와 마 등의 사업화 지원 부문은 민간 기업

에 비해 문성이 결여되어 있음. 따라서 육묘에서 생산·유통· 매에 이르기까지

연속성 있는 R&D와 산업화를 담할 국립 연구소 필요

- 성장 잠재력 있는 가공업체에 해 창업보육 기업지원, 기술 시험생산지원,

마 지원, 교육훈련 등 안정 인 기업지원이 가능한 종합연구시설이 필요

◦ 산채·송이·산양삼의 지리 표시제와 생산이력제 운 시스템 구축, 연계산업 육성,

특구 유치, 련 업체 유치 등의 행정 지원 필요

◦ 산채·송이·산양삼이 산업으로 발 하려면 국 시장을 상으로 하는 량생산 체

v

제로 화하고 1차 산업에서 2~3차 산업과 결합하여 부가가치 제고가 필요함. 따라

서 지역에 합한 소수 품목에 특화하고 규모화된 생산단지 조성, 공동출하와 품질

리를 담당하는 품목별 생산자조직 육성, 새로운 시장개척을 한 다양한 산채가

공식품 등의 상품 개발, 지역 통합 랜드 리를 한 유통체계 확립, 육종과 재배

기술 개발과 보 을 담당할 R&D 기 설립 등의 지역 신 인 라 구축이 필요함.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 산업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는 “동일 산업이나 동종 산업에서 지리 입지에

근 성을 갖고 군집을 이루고 있는 사업체들의 집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최

근에는 “비슷한 업종의 다른 기능을 하는 련 기업·기 들(연구개발 기능을 담당

하는 학 연구소, 생산 기능을 담당하는 기업 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벤처캐피탈과 컨설 등)이 일정 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과 상호작용

을 통해 사업 개·기술개발·부품조달·인력·정보교류 등에서 시 지 효과를 발휘하

는 것”으로 보다 폭넓게 정의

◦ 과거의 산업정책은 정부주도하의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수직형 구조와 효율을 시

하며, 획일화를 통한 「국가비교우 」창출을 목 으로 지역산업을 업종별로 악

후 특정산업을 유치·지원 육성하는 형태 다면, 산업클러스터는 지역주체가

심이 되어 클러스터 략을 수립하고, 내발 산업정책을 계획하며, 연계기능과 창

조성을 시하는 등 특색 있는 「지역비교우 」창출을 목 으로 특성있는 산업과

기술의 집 화 연계기능의 배치를 우선 으로 수행하는 형태임.

◦ 소득수 향상과 함께 세계 으로 LOHAS 지향성이 심화되면서 고품질 식품에

한 수요가 지속 으로 늘고 있는 추세임. 산채식품은 생산제품이 건강과 직결되는

생필품이라는 에서 여타 식품과 다르기 때문에 산채 고유 특성을 감안한 특성화

된 식품클러스터정책이 필요

◦ 산채는 1차 농산물 소비증 에는 한계가 있지만, 2차 가공품을 심으로 한 산업화

에 잠재력이 큼

- 고기능성을 부각시킬 경우 건강식품으로 수요 잠재력

- 산채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아직 경쟁이 약한 블루오션

- 웰빙 자연식과 청정 환경을 결합한 휴양산업 잠재력

vi

□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정책

◦ 국가가 정책 으로 조성한 농식품산업분야의 표 인 클러스터는 2009년부터 추

진하고 있는 국가식품클러스터이며, 이외에도 국가가 정책 으로 지역단 에 조성

한 클러스터로 2005~08부터 조성한 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 2009년 클러스터사업

범 를 역화한 역클러스터사업, 2010년부터 역클러스터사업 신 지역 략

식품산업육성산업 등이 있음.

◦ 앙정부의 정책 의지와 계없이 지자체에서 필요에 의해 자율 으로 조성한

지역클러스터사업으로 「양구 산채클러스터」와 「완도 복클러스터」사업 등이

있음.

◦ 국가식품클러스터사업은 식품기업과 연구기 등 연 산업의 집 화를 통해 연구

개발(R&D)을 활성화함으로써 고부가 식품산업의 육성과 수출확 를 통해 국가경

제발 을 지향하기 해 조성함. 궁극 으로는 농어업과 식품산업의 융복합화를

진하여 고부가식품산업 발 도모가 목 임.

◦ 지역 략식품산업육성사업은 우수한 지역특산품을 융복합 산업화하여 농식품산업

을 지역성동력으로 견인하기 해 추진됨.

- 농어업인은 원료납품, 식품기업은 가공·유통을 담당하는 농어업인 참여형 식품제

조기업 집 육성

◦ 시군 농산업클러스터는 2005년부터 농어 지역 유무형 향토자원을 1·2·3차 산업으

로 연계 발 시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목 으로 추진됨.

- 사업주체는 부분 지자체 고, 생산·유통사업 형태가 부분이었음.

- 향토산업과 차별성이 부족하고, 특산식품과 식품가공사업과 연계성 낮음.

□ 지자체 산채 련 정책 추진 계획

◦ 청도군에서는 참나물, 두릅, 도라지, 고사리 등 청정 환경에서 재배되는 산채와 연

계하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산업화하여 지역 표 랜드로 조성할 계획으로

「청도군 산채산업화 기반 조성사업」을 계획. 청도군의 표 ‘건강’ 이미지를

산업화하고, 지역의 우수자원를 활용한 산채 약선을 세계화하기 한 핵심 인

라 서비스 체계 구축을 목 으로 함.

- 사업비 200억 원 규모로 산채 콤 스 건립, 산채 산업화단지 조성, 산채 에코힐

vii

링타운 조성, 산채 기술개발지원 효능분석·인증사업, 산채제품 표 화, 산채(약

선)인력양석 등이 주요 내용임.

◦ 울릉군은 산채특화단지 조성을 한 포 재정지원으로 자립기반 마련과 정주여

건 조성으로 농업생산성 향상과 농가소득 제고 도모를 해 「울릉군 산채산업화

계획」을 수립함. 주요 사업내용으로 친환경농업 확산을 한 유기질 비료 공 ,

친환경농산물 재배단지 조성, 농작업 기계화를 한 수송체계 구축,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를 한 지원체계 구축 등임.

◦ 양구군은 앙정부에 의존하지 않는 내발 발 을 지향하며, 산학 력·지자체, 주

민·지역개발 문가 등의 역할 강화, 상호토론·학습·벤치마킹 등을 통한 지역의

신역량 강화를 목 으로 「양구군 산채클러스터 구축계획」 수립함.

- 2005년부터 2010년까지 1·2차에 걸쳐 각각 124억 원과 118억 원을 투입하여 재배

면 확 , 연구용역, 산채 가공업체 육성지원, 유기질 비료 지원, 산채 체험마을

조성, 문기술·리더교육 등을 수행

□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FOODPOLIS)는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 로서 역할 수행을

비 설정하고, 클러스터 단지 내 150여개 식품기업과 10개 내외의 연구소 입지를

목표로 추진하며, 향후 10년 이내 선진국 수 의 식품산업기술에 도달을 목표로 설

정함. 그리고 식품 문국가산업단지 조성, 로벌 경쟁력을 갖춘 R&D 심으로

운 하며, 지역식품클러스터와의 연계 강화를 주요 략을 설정함.

- 사업기간 2009~2015년, 총사업비 6,181억 원, 사업규모 2,935,800㎡(89만 평)

- 1단계 사업(2010~2015년)에서 사업시설, 지원시설, 공공시설 등을 조성하고, 2단

계 사업(2015~ )에서 주거시설과 상업시설 심으로 조성을 계획

-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식품안 지원센터, 식품기능성평가센터, 식품패키징지원센

터의 3 핵심 R&D 센터 입지하여 R&D 기능 강화

◦ 고창 복분자클러스터는 1993년 고창군에서 복분자 식재비용 보조에서 시작하여 복

분자 생산·가공·연구개발·육성제도·연 산업 개발 등을 각종 지원을 통해 활성화

된 사례임.

- 복분자시험장, 고창황토복분자 농조합, 복분자세계명품화연구회, 고창군청, 복분

viii

자가공업체, 복분자 재배와 가공 후방 연 업체 등이 고창군 복분자클러스터 발

에 크게 기여

- 2000년 이후 고창지역 복분자 재배면 은 약 40배, 생산량은 50배, 재배농가수는

약 23배가 증가하여 복분자 산업화가 속하게 진

- 생과, 복분자주, 복분자음료, 기타 가공품 등 연간 복분자산업 매출액은 1,100억

원 수 으로 성장

◦ 네덜란드 푸드밸리(food valley)는 와게닝겐 학과 민간이 심이 되어 와게닝겐

지역을 생명공학 도시로 만들려는 로젝트로부터 시작됨. 지자체와 지역기 등

9개 기 이 공동출자하는 트 쉽으로 설립됨. 지역기 의 공동출자에 의해 형성

되었기 때문에 정부기 이 아닌 공공기 임.

- 푸드밸리는 학과 업체들 간 네트워크 형성과 다양한 요구를 조정해주는 ‘코디네

이터’ 역할 수행을 해 설립됨. 학에서 개발된 기술을 기 로 창업을 지원하고,

소식품업체의 기술과 경 면에서 애로사항 해결이 주요 기능

- 주요 연구개발 기 으로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 NIZO 연구소, TNO 연구소,

TIFN(Top Institute Food and Nutrition) 등이 있음.

- 창업지원 시설 로그램으로 와게닝겐 바이오 트 센터, 와게닝겐 창업장려

로그램, Agro BTC, 코르테노드 과학단지, 식품사업체 창업지원 로그램(Food

and Nutrition Delta) 등이 있음.

- 정부의 극 인 라 지원, 학연구소 심의 발 , 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활

성화를 한 담기 설치, 로벌 기업과의 제류 모색 등이 푸드밸리의 성공

요인임.

□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강 ·약 ·기회· 요인(SWOT)

◦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은 다음과 같은 강 요인을 살려 청정한 자연환경

친환경 유지재배 방식을 발 시키고, 국유림을 활용한 산지재배 방식을 통해 다양

한 품목의 산채 생산을 확 하는 한편 산채축제·송이축제를 홍보와 마 매

확 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발 시킬 필요가 있음.

- 청정한 자연환경

- 풍부한 산지와 국유림

- 산나물축제·송이축제의 경험과 높은 성가

- 재배 산채 종류 다양

- 어수리 등 희소산채 재배 강

ix

◦ 반면, 다음과 같은 약 요인이 있는데, 이 무엇보다 재배면 과 생산량 소규모,

유통·가공·연구 기반 취약, 지역 랜드 미약 등의 요인을 해소할 필요가 있음.

- 수도권과 도시로부터 원격지

- 재배면 과 생산량 소규모

- 농업인력 부족과 노령화

- 유통·가공·연구 기반 취약

- 지역 랜드 미약

◦ 산채산업의 다음과 같은 기회요인에 의해 산채에 한 수요가 늘어나므로 산채 생

산을 확 할 수 있을 것으로 망됨.

- 친환경·고품질·기능성식품 수요 증

- 식품산업육성· 특회계 등 지원정책 강화

- 농산어 체험 증

- 한식세계화와 농산물 수출 증

- 상주- 덕간 고속도로 개통

◦ 산채산업의 발 을 제약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음.

-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

- 산채의 주산지 간 경쟁 심화.

- 다양한 음식료 가공품의 등장

- FTA/WTO 등 농산물시장 개방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을 청정·고부가·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설정함.

- 청정산업: 친환경 재배 방식을 발 시켜 지역의 청정 이미지를 유지함은 물론 식

품으로서 산채의 안 성과 품질을 높이도록 함.

- 고부가산업: 산채 가공산업을 육성하여 부가가치 제고와 소득증 를 도모함.

- 신성장동력산업: 산채산업이 양군과 경북 북부권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이

되도록 함.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장기 목표는 산채 생산규모 확 , 가공산업 육성, 지역 랜

드 확립 등으로 설정함.

- 생산규모 확 : 목표연도(2015년)에 2009년 생산액의 10배 규모로 확

x

- 가공산업 육성: 목표연도에 2009년 생산액의 10배 이상으로 확

- 지역 랜드 확립: 목표연도까지 특정 품목을 심으로 지역 랜드 확립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과 목표를 달성하기 한 추진 략은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조성: 산채 재배단지, 테마 크, 연구·유통·가공· 시·

매·홍보 · 문음식 등으로 구성된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를 조성함.

- 산채산업의 6차산업화: 산채의 생산·유통· 매·가공· ·교육·연구 등 1·2·3차

산업을 융·복합하여 6차산업으로 발 시킴.

- 산채 생산자 유통의 조직화: 산채 품목별 작목반과 연구회를 조직하여 공동

매 지역 랜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과 목표를 달성하기 한 추진 략에 따라 실행해야 할

구체 인 과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산채 생산 분야: 지역 내 권역별로 특화품목을 선정하여 집단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작목반을 활성화하며 재배인력을 육성하도록 함.

- 산채 유통 분야: 우선 작목반별 공동출하조직을 구성하고 지역 통합 랜드를 형성

하는 한편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종합유통센터를 건립함.

- 산채 가공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가공단지를 조성하여 1차가공(건조,

임) 공장 외에 2차(첨가식품과 음료), 3차(신물질 추출) 가공공장을 도입함.

- 산채 도농교류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산채테마 크를 조성하

는 한편 산채축제를 활성화하고 산채 음식과 체험 코스를 개발하도록 함.

- 산채 연구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국립산채연구소를 설립하여 입주 가

공업체를 지원하고 가공업체의 창업을 지원하는 한편 연구·개발 기능을 수행함.

- 재배 품목 선정: 어수리 등 경쟁력이 있는 품목을 지역 표 품목으로 육성하는

한편 취·더덕 등 량 품목을 포함하여 신규 도입 품목을 추가 선정하도록 함.

◦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방안은 경북 양· 화·울진을 심으로 한 경북 북부권역

을 상으로 하나 재 산채산업 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강원도와 양구군, 경북

울릉군·청도군 등과 연계 력하여 사업을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함.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방안

◦ 산채산업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이 3개 단지로 구성하되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와

산채테마 크 단지는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심 시설지구에 배치하며, 산채재배단

지는 다수의 지역에 분산 배치하도록 함.

xi

- 산채재배단지: 산지·노지·시설재배 등 다양한 재배유형의 산채 집단 재배단지

-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 산채연구소·종합유통센터·가공공장 등을 심으로 구성

- 산채테마 크단지: 산채 체험·학습· 락시설이 집결된 시설 단지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발 방안

◦ 산채산업클러스터 발 방안을 5개 분야로 나 어 제시한바 첫째, 산채 재배 생

산 확 는 산지재배·노지재배·시설재배 산지재배와 시설재배 심으로 재배 면

을 확 하는 것으로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다음 3개 사업에 총 120억 원의 사업비

를 투입할 것을 제시하 음.

- 산채 집단재배단지 조성: 지역 내의 소지역별로 다수의 집단재배단지를 분산해서

조성하며, 일부 재배단지는 공공투자로 조성하여 (가칭) 산채생산·유통공사가

리·운 하도록 함.

- 산채학교·산채연구회 육성: 산채 재배 기술을 갖춘 신규 인력을 육성하기 하여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하여 산채학교 과정을 설치하며, 기존 산

채 재배 농업인의 정보 교환 기술 향상 등을 해 자율 인 학습단체로서 산채

연구회를 조직하여 정기 인 연구 모임과 해외연수 등을 실시하도록 함.

- 산채 재배시설 자재 지원: 산채 품목에 해 시설재배 시설비, 산지 수시

설, 종묘·종자 등을 지원함.

◦ 둘째, 산채 유통 개선은 우선 품목별 공동출하조직을 육성하고 장기 으로 역

권역별로 산채 통합 랜드를 구축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여 다음 3개 사업

에 185억원을 투입할 것을 제시하 음.

- 공동출하조직 육성: 기에는 지역농 의 지역별·품목별 사업단이나 농조합법

인이 가능하나 역의 품목조합 형태가 바람직하며, 유통시설이나 출하선도 ·공

동선별 ·포장재비 등을 지원함.

- 지역 랜드 형성: 1차 으로 시·군 단 랜드를 목표로 하지만 몇 개 시군을 포

함하는 역 랜드를 지향하며, 지역 랜드의 리 주체로서 생산자연합회 구성

과 랜드 사용 인증 차·표시방법 사용 제품에 한 지원, 원산지표시 등록

품질 리와 친환경농산물·HACCP·GAP 등 인증이 필요함.

- 종합유통센터 설립: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 단지에 제3섹터형 공기업이 운

하는 산채종합유통센터를 설립하여 공동마 총 개별마 지원, 물류 기

능, 산채산업 선도 기능, 시장·직 장 운 등을 수행하도록 함.

xii

◦ 셋째, 산채 가공산업 육성은 1단계로 건조· 임·김치류 제조, 2단계로 산채 음료와

첨가식품 가공, 3단계로 산채의 기능성 물질 추출과 신물질 제조 등 3단계 발 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여 다음 3개 사업에 총 190억 원을 투입하도록 함.

- 가공산업단지 조성: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 지구에 15ha의 가공산업단지를

조성하여 입주기업에 분양 는 임 하고, 산채연구소의 연구·개발·교육·연수·창

업지원 등의 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공기업 가공업체 설립·운 : 가공산업단지 내 민간 가공업체의 입주를 선도하기

하여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체의 리와 종합유통센터, 산채 테마 크, 산채

재배단지의 리·운 을 맡게 될 제3섹터형 공기업으로 하여 가공업체를 설립·

운 하도록 함.

- 가공업체 창업 지원: 산채연구소에 창업보육센터를 두고 산채 가공업체의 창업을

한 기술·경 교육과 컨설 제공, 세제 지원 설비·운 자 지원, 제품 홍보

지원 등을 제공하도록 함.

◦ 넷째,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의 기본방향은 체험 을 한 산채 테마 크

조성과 도농교류 활성화 등 두 종류의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다

음 3개 사업에 총 140억 원을 투입하도록 함.

- 산채 테마 크 조성: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 지구에 산채 재배단지를 심으

로 시· 매·가공·학습· 락·편의 시설 등을 갖춘 시설로서 산채 테마 크를

조성하여 제3섹터형 공기업이 운 하도록 함.

- 산나물·송이·산양삼 축제와 도농교류 활성화: 산채 등의 채취·수확기에 개최하는

축제와 4계 에 실시할 수 있는 마을 농가 단 의 도농교류 로그램은 산채의

식재·채취·수확·요리·가공 체험과 강습, 산채·약 ·수목 찾아보기 등 체험·학습·참

여 로그램으로 활성화하도록 함.

- 산채 문음식 개설 산채요리·식단 개발 보 : 산채 테마 크와 종합유통

센터에 민간이 운 하는 문음식 을 개설하고, 산채 요리·식단의 개발·강습·체

험 등을 해 산채 테마 크 내에 상설 로그램과 시설 문인력을 배치함.

◦ 다섯째,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해 경북 양군에 국립 산채연구소를 설립

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총 400억원을 투입하여 다음과 같이 산채연구소

를 설립할 것을 제안함.

- 산채연구소 설립 이유: 연구소는 산업클러스터의 핵심이며, 지속 ·장기 인 연구

를 해서는 연구소가 필요함. 한 입주기업에 한 창업 보육과 컨설 , 직원에

xiii

한 교육·연수, 기업에 시험·연구 시설과 장비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해서도

연구소가 필수 임.

- 국립연구소로 설립해야 하는 이유: 도립·군립 연구소는 연구 인력 4명 정도의 소

규모로 연구를 제 로 할 수 없어 인력과 장비의 유휴와·낭비를 래하게 되므로

규모 연구소가 필요하며, 북 익산시의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주 역시에

「세계김치연구소」 등 국립연구소와 형평을 해서도 산채연구소를 국립연구소

로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 산채연구소의 연구 분야와 기능: 기에는 생산 확 를 한 시험재배와 재배기술

종자보 등에 주력하나 궁극 으로는 품종개량, 2·3차 가공 신물질 추출에

한 연구에 주력해야 함. 한 산채연구소는 연구 외에 산채가공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에 해 창업 보육, 교육·연수·컨설 , 시험·연구 행 장비 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이를 해 시험포장(노지, 시설), 재배기술 품종개량 연

구실, 가공이용연구실, 리실, 연수시설 등을 갖출 필요가 있음.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

◦ 이상에서 제시한 분야별 투자 사업의 사업별 투자 규모를 총 하면 총 1,035억 원

으로서, 가장 많은 사업비가 투자되는 분야는 1개 사업(산채연구소 설립)으로 구성

된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분야로서 총 사업비의 38.6%를 차지함.

- 산채 재배 생산 확 분야: 3개 사업에 총 120억 원(총 사업비의 11.6%)

- 산채 유통 개선 분야: 3개 사업에 총 185억 원(17.9%)

- 산채 가공산업 육성 분야: 3개 사업에 총 190억 원(18.4%)

-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분야: 3개 사업에 총 140억 원(13.5%)

-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분야: 1개 사업에 총 400억 원(38.6%)

◦ 5개 분야 13개 사업 투자 규모가 큰 사업은 산채연구소 설립 400억 원, 산채종합

유통센터 설립 170억 원, 산채 테마 크 조성 130억 원, 집단재배단지 조성 100억

원, 제3섹터형 공기업 가공업체 설립·운 90억 원 등의 순임.

◦ 5개 분야 13개 사업에 투자되는 총 1,035억 원의 재원별 비 을 보면, 국비 708억

원(68.4%), 도·군비 173억 원(16.7%), 자부담 154억 원(14.9%) 등임.

- 자부담의 비 이 높은 사업은 제3섹터형 공기업 설립(총 사업비의 44.4%), 집단

재배단지 조성(40.0%), 산채종합유통센터 설립(30%) 등임.

xiv

◦ 총 1,035억 원의 투자재원을 조달하는 방안으로는 다음 3가지를 고려할 수 있는데,

이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 승인 방안을 추진하고자 함.

①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으로 승인 받아 일 조달하는 방안

② 역지역발 특별회계의 포 보조사업으로 승인 받아 일 조달하는 방안

③ 농림사업, 특회계사업 등에서 해당되는 사업의 보조 을 하나하나 끌어모아

조달하는 방안

- 그 이유는 산업클러스터 조성 규모와 사업 산 확보 면에서 유리할 뿐 아니라 산

업클러스터의 지속 인 운 을 해서도 국가의 지속 인 지원이 필요하며, 익산

의 국가식품클러스터 주의 세계김치연구소 등과 형평을 이루게 됨.

□ 산채산업클러스터 추진체제

◦ 산채산업클러스터 담 추진기구 설치

- 역할: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발 에 필요한 제반 행정·기획·연락 업무 담

- 필요성: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업무 담 인력의 확보와 문성 제고에 필요

- 설치부서: 기에는 담인력 배치, 이후 별도의 부서 설치

◦ 산채산업클러스터 운 의회 구성

- 구성: 산채산업클러스터에 참여하는 산·학· ·연의 표들로 구성

- 역할: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운 과 계되는 제반 업무 의 의견 조정

- 필요성: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련기구 간 력과 조정

◦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 설립

- 필요성: 공익 목 으로 설립된 산채가공업체 테마 크의 운 에 필요

- 형태: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

- 출자: 지자체, 농 , 농업인단체, 지역주민 등

- 운 상: 산채 가공업체와 산채 테마 크 공공투자로 설치된 산채 재배단지

xv

ABSTRACT

A Study on Constructing and Developing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While people are highly interested in healthy living recently with their increasing incom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ighly functional and high quality food. In particular, as wild edible plants are recognized as a nature-friendly, healthy and green food sourc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m from consumers. While wild edible plants are a high income source for farmers who grow them, they are expanded to related industries, e.g., local festivals, tourism,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and the like to contribute to greatly vitalizing local economy. Therefore, relevant municipalities in which wild edible plants are cultivated are promoting plans for developing the wild edible plant food industry. However, while there is an sharply increasing demand for wild edible plants, there is not smooth supply to inhibit expansion of the wild edible plant mark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crease the added value to create new growth power for the northern Gyeongbuk region by constructing a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centered on the northern Gyeongbuk region, modernizing the entir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rocessing of wild edible plants and integrating research, development and related industrie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presenting a scheme for constructing a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and vitalizing operation thereof and reviews an essential promotion system, investment plan and financing scheme for executing the plan for constructing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Detail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s overview of research, e.g., background, purpose, methods, details, scope and procedure of this research. Chapter 2 describes the current process and problems of supply and demand, distribution and processing of wild edible plants, pine mushrooms, woods-grown ginseng, and proposes to construct an industry cluster as a strategy for development. Chapter 3 reviews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involved strategies, and cases of Korean and overseas food industry clusters. Chapter 4 describes analysis of strength and weakness,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he wild edible plant industry in the northern Gyeongbuk region including Yeongyang, Bonghwa and Wooljin, etc., and presents the purpose of cultivating the wild edible plant industry as a clean, high value-added new growth power industry to be a vision for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and to expand the production scale, support the food processing industry and establish local brands. The strategy for promotion includes construction of a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complex, industrialization of the wild edible plant industry as the 6th industry, and organization of farmers and distribution. Chapter 5 describes spacial divisions and

xvi

locations for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how to enhance cultivation and production of wild edible plants, improving of distribution, supporting the processing industry, tourism, vitalizing urban-rural exchange, R&D, etc. Chapter 7 reviews the scheme of investment and the promotion system for constructing and developing the national wild edible plant industry cluster.

Researchers: Seok-Doo Park, Nae-One Oh, Ji-Hyun Choi, Chang-Ho KimResearch period: 2010. 6. - 2011. 2.E-mail address: [email protected]

xvii

차 례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 추진 배경 ···········································································································3

2. 연구 목 ·······················································································································5

3. 연구 범 ·······················································································································6

4. 연구 내용 ·······················································································································7

5. 연구 추진 방법 ·············································································································8

6. 연구 추진 차 ·············································································································9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황

1. 산채·송이·산양삼의 수 동향 ··················································································13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황과 문제 ·································································16

3.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황과 문제 ·································································25

4. 산채·송이·산양삼 가공 황 문제 ··································································29

5. 산채·송이·산양삼의 발 을 한 과제 ····································································32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련 정책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37

2.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정책 ·····················································································45

3. 국내외 식품클러스터 추진사례 ·················································································50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1.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65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69

xviii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방안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구성과 공간 배치 ····································································75

2. 산채 재배 생산 확 ····························································································78

3. 산채 유통 활성화 ······································································································82

4. 산채 가공산업 육성 ····································································································89

5.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94

6.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98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한 투자계획 ······························································105

2.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운 을 한 추진체제 ···············································107

참고문헌 ·························································································································109

xix

표 차 례

제2장

표 2 - 1. 산채 수 동향 ······························································································14

표 2 - 2. 송이 수 동향 ······························································································15

표 2 - 3. 산양삼 수 동향 ···························································································16

표 2 - 4. 주요 산채의 품목별 재배 황 ····································································18

표 2 - 5. 산양삼 재배 황 ···························································································20

표 2 - 6. 권역별 산채 생산 황 ·················································································23

제3장

표 3 - 1. 과거의 산업정책과 산업클러스터정책의 상이 ········································42

표 3 - 2. 고창군 복분자 재배 추이 ·············································································53

표 3 - 3. 고창군 복분자 가공업체 수 ··········································································54

표 3 - 4. 복분자 산업 연간 매출액 ·············································································54

제4장

표 4 - 1. 산채산업클러스터 발 단계별·분야별 핵심 과제 ······································72

제5장

표 5 - 1. 산채산업클러스터 심 시설지구의 구성요소별 면 ······························77

표 5 - 2. 산채 재배 생산 확 투자사업비 ···························································81

표 5 - 3. 종합유통센터의 규모 ·····················································································88

표 5 - 4. 유통활성화 투자사업비 ·················································································89

표 5 - 5. 식품가공 참고 사례 ·······················································································90

표 5 - 6. 산채가공단지의 규모 ·····················································································91

표 5 - 7. 가공산업 육성 투자사업 ···············································································93

표 5 - 8. 산채테마 크의 시설과 규모 ········································································95

xx

표 5 - 9. 산채 도농교류 투자사업비 ···························································97

표 5-10. 도립 군립 품목별 연구소 개황 ····························································99

표 5-11. 산채 연구 분야와 내용 ···············································································101

표 5-12. 국립산채연구소 설립 투자비 조달 내역 ···················································101

제6장

표 6 - 1. 투자 사업의 사업별·재원별 투융자 규모 ·················································106

xxi

그 림 차 례

제2장

그림 2 - 1. 산채 생산 실 ···························································································17

그림 2 - 2. 산채 품목별 생산액 ···················································································17

그림 2 - 3. 송이 생산 추이 ···························································································19

그림 2 - 4. 산양삼 생산 추이 ·······················································································20

그림 2 - 5. 산채 생산액 70 이내 시군 분포도 ·······················································21

그림 2 - 6. 주요 산채 생산 권역 구분 ········································································22

그림 2 - 7. 산채의 주요 유통경로 ···············································································25

그림 2 - 8. 산채 매처별 비 ···················································································26

그림 2 - 9. 산채 매방법별 비 ···············································································26

그림 2-10. 송이의 주요 유통 경로 ·············································································27

그림 2-11. 산양삼의 주요 유통 경로 ··········································································28

그림 2-12. (주)농수원의 산채 가공 제품 ···································································30

그림 2-13. 양양군의 송이 가공 제품 ··········································································30

그림 2-14. 천지 농조합의 산양삼 가공 제품 ···························································31

제3장

그림 3 - 1. 클러스터 기반의 지역산업정책 ································································41

그림 3 - 2. 산업클러스터의 구성 요소 ········································································43

그림 3 - 3.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 ··········································51

그림 3 - 4.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단계별 단지조성 ·············································52

그림 3 - 5. R&D 지원 체계도 ······················································································52

그림 3 - 6. 고창군 복분자클러스터의 구성요소 ·························································55

그림 3 - 7. 성공요인 ······································································································61

xxii

제4장

그림 4 - 1.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분석 ·······································68

그림 4 -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 ························································70

제5장

그림 5 -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구성 모식도 ·····························································76

그림 5 - 2. 산채 유통 활성화의 목표와 기본 방향 ···················································82

제1장 연 구 개 요

1. 연구 추진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4. 연구 내용

5. 연구 추진 방법

6. 연구 추진 절차

제1장 연구개요 3

제1 장

연 구 개 요

1. 연구 추진 배경

◦ 세계 식품시장 규모는 2007년 4.6조 달러에서 2009년 4.9조 달러, 2014년은 5.8조

달러로 연평균 3.3%씩 증가할 것으로 추정됨. 세계 식품시장의 규모는 앞으로도 지

속 으로 성장할 것으로 망되는 바, 이에 응하여 로벌 식품기업들은 과감한

R&D 투자, 유통네트워크, 랜드 워 등을 앞세워 세계시장에서의 향력을 확

하고 있음.

- 세계 자동차시장(1.6조 달러)과 IT시장(2.8조)보다 큰 규모

- 식품기업의 매출액 비 R&D 투자액 비율: 스 스 네슬 (Nestle) 1.6%, 일본 아지

노모토 2.6%, 국·네덜란드 유니 버(Unilever) 2.4%, 덴마크 데니스코(Danisco)

4.5% 등

◦ 국내 식품산업 한 지속 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세 기업이 다수로 R&D 투자

가 부족하여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으며, 2008년 이후 식품산업이 농림수산식품부

로 이 됨으로써 지역경제 발 을 한 핵심 산업으로 인식되는 한편 농업과의 연

계 강화가 요구되고 있음.

-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는 1995∼2006년에 연평균 4.9% 증가하 으나 GDP에서 차

지하는 비 은 1995∼2000년의 5.9%에서 2006년 4.9%로 감소하 음.

- 농림수산식품부는 식품산업의 발 을 하여 2009∼2015년에 1조원을 투입하여

익산시에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하는 한편, 2011년부터 ‘ 역클러스터

사업’을 ‘지역 략식품산업육성사업’으로 확 개편하기로 하 음.

4 제1장 연구개요

◦ 최근 웰빙(Well-being) 풍조와 LOHAS(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지향성

이 확산됨에 따라 고품질·기능성 식품이 각 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채식품

에 한 수요가 증하는 추세로서, 산채 주산지 시·도와 시·군은 경쟁 으로 산채

식품산업의 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 4,200여종 480종이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

90여종이 식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인정되나 2008년 재 37종의 산채가 8,500

여ha에 재배되고 있음.

- 산채는 재배농가의 소득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지역축제와 가공식품 개발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

- 강원도는 ‘강원산채 명품화 추진 5개년계획’을 수립하고 2010∼2014년에 328억원

을 투입하여 횡성(더덕), 태백·인제·양구(곰취), 정선(곤드 ), 양양(고사리), 강릉

(음나무순), 철원(두릅) 등을 품목별 최고 주산지로 육성하기로 하 음.

- 강원도 양구군은 2005∼2007년에 신활력사업으로 124억원(국비 93억원, 군비 5억

원, 자부담 26억원)을 투입하여 장뇌삼 등 산채 재배면 을 확 하고 산채가공업

체와 산채체험마을 조성 등을 지원한 데 이어 산채클러스터를 추진하고 있으며,

월군도 추진하고 있음.

◦ 경북은 북부권역을 심으로 송이·석이·감·산 ·오갈피·오미자·산나물 등의 임산

물 생산량이 국에서 1 를 차지하고 있으며, 임산물축제가 활발하고, 식품 련

연구소 등 연구 인 라가 양호하여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심지로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

- 식품제조가공업체는 1,416개소( 국의 7.3%)에 종업원 수 14천명(5.7%)이며, 식

품산업 매출액은 1조 5천억 원(5.4%)으로 비 이 낮아 식품산업을 발 시킬 필요

가 큼.

- 식품과 련되는 경북 등의 학부설연구소 40개, 도 정부지원 연구센터 56

개가 소재해 연구 인 라가 양호함.

- 포항 기북 양 일월산 산나물 축제, 문경 오미자 축제, 화 송이축제 등 임산

물 련 지역축제가 활성화되어 있음.

◦ 식품산업의 발 을 해서는 식품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여 국가에서 략 으로

R&D 투자를 확 하고 산·학·연· 력체제와 신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세계

인 추세인바, 산채산업의 발 을 해서도 산채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제1장 연구개요 5

- 해외의 식품산업클러스터: 미국의 나 밸리(Napa Valley), 덴마크·스웨덴의 외

순드(Öresund), 네덜란드의 푸드 밸리(Food Valley), 일본의 식료산업클러스터 등

- 북 익산의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계획: 국내외 식품기업·연구소·산업체 등이 집

된 국가식품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 로 육성한다는 비

하에 2009∼2015년에 총 10,068억원(국비 3,446억원, 민자 5,600억원, 지방비

1,022억원)을 투입, 400ha 규모로 식품 문클러스터를 국가산업단지로 조성한다

는 계획임.

2. 연구 목

◦ 경북 양군에 경북 북부권역과 강원 남부권역 충북 북부권역을 아우르는 국가

산채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산채의 생산에서 가공· 매에 이르는 과정을

화하고 연구·개발 련 산업을 집 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출을 확

하여 경북 양군과 북부권역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자 함.

◦ 산업 측면에서 산채의 재배·가공·유통· 매의 과정에 걸쳐 세하고 낙후되어

있는 기술 경 수 을 신함으로써 산채산업의 화·선진화를 이룩함.

◦ 지역발 측면에서 상 으로 낙후되어 있는 경북 양군과 북부권역의 발 을

한 거 시설로 활용하고자 함.

◦ 수출확 측면에서 산채식품의 수출을 확 하여 농산물 수출 100억 달러 목표 달성

에 일조하고자 함.

6 제1장 연구개요

3. 연구 범

3.1. 시간 범위

◦ 기 연도: 2010년

◦ 계획기간: 2011∼2015년

- 계획기간 에 산채 재배단지, 테마 크단지, 연구·유통·가공단지 등 국가산채산

업클러스터의 심시설 설립

- 계획기간 이후에도 산채 생산·유통·가공의 발 을 해 필요한 정책방안 제시

3.2. 공간 범위

◦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지역: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의 심 시설은 경북 양

군에 입지하도록 하고, 생산·재배단지는 울진· 화군 등 인 지역에까지 넓 조성

하며, 산채산업의 발 정도에 따라 경북북부·강원남부·충북북부를 아우르는 역

권역으로 확 하도록 함.

- 산채 생산권역의 구분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의 포섭 권역에 해서는 추후 재

검토할 수 있음.

◦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의 사업 상 지역은 경북 역은 물론 국의 모든 련 지

역에까지 미칠 수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상 지역을 경북 양군을 심으로 한

북부권역에 한정하는 것으로 함.

3.3. 내용 범위

◦ 산채의 범 는 식용 산채를 심으로 하며, 산양삼과 송이버섯을 추가로 검토하나

생산·유통·가공 황과 문제 등에 국한하고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방

안에서는 품목별 발 방안까지 검토하지는 않을 것임.

◦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심 시설은 경북 양군에 입지하는 것으로 제하고

제1장 연구개요 7

그 근거를 검토하는 데 그치며, 입지 선정에 해서는 그 이상 고려하지 않기로 함.

- 입지 선정은 발주처의 요청에 의거하 음.

◦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조성 운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을 두며,

이를 해 먼 산채의 수 ·생산·유통·가공 황과 망 과제를 검토하여 산채

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을 검증하고, 국내외 식품산업클러스터 사례를 조사하여 벤

치마킹 사항을 도출함.

◦ 산채산업클러스터 추진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수 인 추진체제와 투자계획 재원

조달 방안까지 검토하도록 함.

4. 연구 내용

가. 산채·송이 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황

1) 산채·송이·산양삼의 수 동향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황과 문제

3)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황과 문제

4) 산채·송이·산양삼의 가공 황과 문제

5) 산채·송이·산양삼의 발 을 한 과제

나.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련 정책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2)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정책

3)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와 시사

다.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1)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분석

8 제1장 연구개요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라.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방안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공간 구성과 입지

2) 산채 재배 생산 확

3) 산채 유통 활성화

4) 산채 가공산업 육성

5)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6)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마.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추진체제

5. 연구 추진 방법

5.1. 문헌 조사

◦ 산채 련 선행연구와 정책자료 통계자료

◦ 해외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사 문헌

5.2. 설문조사

◦ 조사 상: 산채 재배·유통· 매·가공·수출 련 농업인·기업인 등

◦ 조사 내용: 산채 재배·유통· 매·가공·수출 실태와 발 방안

제1장 연구개요 9

5.3. 국내 출장조사

◦ 산채 주산지의 산채 재배·유통· 매·가공·수출 실태와 발 계획

◦ 경북 양군의 농업 여건과 산채산업 실태 입지 여건

5.4. 자문위원회 운영

◦ 자문 원회 구성: 산채 련 농업인·기업인·연구자 등

◦ 자문 원회의 역할: 보고자료 검토의견 자문의견 제시

6. 연구 추진 차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 산채·송이·산양삼의 수급 동향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현황과 문제점

3.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현황과 문제점

4. 산채·송이·산양삼 가공 현황 및 문제점

5. 산채·송이·산양삼의 발전을 위한 과제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3

제2 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황

1. 산채·송이·산양삼의 수 동향

1.1. 산채 수급 동향

◦ 최근 국민생활수 향상과 자연식품·건강식품에 한 심 고조로 산채에 한 수

요가 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특히 산채가 자연친화 ·건강식·청정이미지 등

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그러나 이러한 산채에 한

심과 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산채 생산은 특성상 부분 산에서 채취하거나

품종 개량 없이 자연 인 환경에서 재배가 이 지므로 공 이 원활하게 이 지지

않고 있는 상황임.

◦ 상업 목 의 산채 재배는 80년 이후부터 본격 으로 이 지기 시작함. 90년

산채 수요가 크게 증가하 지만 국내 생산량 부족으로 국산 산채 수입이

증함. 2000년 에 이르러 수요가 완만히 증가하고 국내산 산채가 경쟁력을 갖기

시작하면서 외국산 산채의 수입은 정체

- 산채의 수출은 수입에 비해 미미한 수 임.

- 산채 자 률은 물량 기 50% 후 수 이며, 액 기 으로 80~90% 수 임.

14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표 2-1. 산채 수 동향

단 : 톤

구 분 1993 2000 2008

국내생산 17,842 25,591 39,962

수입 3,969 37,034 34,616

수출 13 216 80

국내공 량(소비량) 21,978 62,409 74,498

자 률(%) 81.2 41.0 53.6

1.2. 송이 수급 동향

◦ 70년 에 정부는 송이 수출에 의한 외화획득과 농·산 주민의 권익보호를 목 으

로 「임산물사용제한고시」 도입함으로써 송이의 유통은 산림조합의 공 을 통해

서만 가능하 고 채취한 송이의 부분이 일본 등지로 수출됨. 그러나 1996년부터

용도제한 규정이 폐지됨에 따라 내수공 이 자유롭게 되었고, 이후 값싼 국산과

북한산 송이가 국내에 반입되면서 「임산물사용제한고시」의 필요성이 사라지게

되고 2006년 10월부터 사용제한고시 완 폐지됨. 「임산물사용제한고시」가 폐지

됨에 따라 국내 소비자들도 어렵지 않게 송이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송이 소비도

크게 증가함.

◦ 국내 송이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국과 북한산 송이의 수입도 크게 증가함. 국내

산 송이의 경우 부분 생송이 형태로 수출되거나 국내 소비자들에게 매되는 데

반해 국과 북한산 송이의 경우 부분 식당에서 소비되고 있음.

- 일본에서는 국산 농산물에 한 안 도를 우려해 한국산 송이에 한 호응이

높은 편임.

- 최근 송이 수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송이 자 률이 50% 이하로 하락함.

◦ 송이는 채취한 해의 기온과 기후의 향을 많이 받는 임산물로 매년 생산량(채취

량)의 기복이 극심한 편이며, 생산물량 변화에 따른 가격변동폭이 매우 큰 편임.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5

표 2-2. 송이 수 동향

단 : 톤

구 분 2000 2005 2009

국내생산 536 724 337

수입 197 387 481

수출 402 143 23

국내공 량(소비량) 331 968 795

자 률(%) 161.9 74.8 42.4

1.3. 산양삼 수급 동향

◦ 2000년 이후 건강에 한 심고조로 산양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량도

매년 늘어나는 추세임. 산림청에서는 산양삼의 유통시장 규모를 약 2000억 원으로

추정함. 그러나 재배시장 규모는 약 138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음. 따

라서 산양삼은 약 90%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것으로 추정됨.

- 산양삼은 엄격한 통제로 정상 인 유통경로로는 국제 인 반출입이 어렵고, 재

수출입을 한 HS코드가 주어지지 않아 인삼과 섞여 수입되므로 통계 악 곤란

- 최근 보따리상이나 국제우편을 통한 국산 장뇌삼(국내 가격의 1/10 수 )의

반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국내산으로 둔갑되어 거래되거나 일부 양심 이

지 못한 농가들에서 국산 장뇌삼을 이식하여 재배한 후 국내산으로 속여 는 등

의 시장 교란행 발생

◦ 2011년 1월부터 시장을 교란하는 불법 인 수입과 유통을 근 할 목 으로 산양삼의

생산이력제를 도입하여 산양삼 농가 보호와 국내 산양삼시장의 유통질서 개선할 계획

- 산양삼 재배지에 한 신고 차를 마련하고, 산양삼에 한 검사기 을 지정·운

하여 일정수 이상의 품질검사를 완료한 산양삼만 시 에 유통할 수 있도록 함.

- 산양삼 제품의 표시기 과 단 기 을 마련해 유통 소비과정에 인삼류와 혼란

방지

16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표 2-3. 산양삼 수 동향

단 : 톤

구 분 2000 2005 2009

국내생산 320 9,764 42,721

수입 - - -

수출 - - -

국내공 량(소비량) 320 9,764 42,721

자 률(%) - - -

2.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 황과 문제

2.1. 산채·송이·산양삼 생산 현황

가. 산채 생산 황

◦ 산채는 수요 증가와 수입산과의 차별화 성공으로 국내 총 생산량이 지속 으로 증

가하는 추세임.

- 2009년 산채 총 생산량은 46,828톤으로 년에 비해 17.2% 증가

- 2009년 산채 총 생산액은 3,024억 원으로 년에 비해 41.7% 증가

◦ 산채 품목별로는 더덕 생산액이 1,078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도라지 742

억 원, 취나물 568억 원, 두릅 247억 원 순임.1

1 산림청 임업통계에서 산채는 고사리, 도라지, 더덕, 두릅, 취나물, 고비, 기타산나물의 6개 품목에

해서만 조사하고 있으므로 이들 품목 이외 국의 최근 산채 생산 황은 악이 어려움.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7

그림 2-1. 산채 생산 실

2,026 1,929 1,9782,135

3,024

0

1,000

2,000

3,000

4,000

0

10,000

20,000

30,000

40,000

50,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생산량 생산액

생산량(t) 생산액(억원)

자료: 2009 임산물생산조사. 산림청

그림 2-2. 산채 품목별 생산액

923 

613  600 682 

1,078 

226  223  261  269  247 421 540  553 

612  568 456 553  564  572 

1,311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2005 2006 2007 2008 2009

더덕 두릅 취나물 기타산나물

생산액(억원)

자료: 2009 임산물생산조사. 산림청

18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 2003년 농진청 조사결과 국 산채 재배면 은 5,700ha, 재배농가수는 약 24,000호

에 달하 음. 그리고 산채의 재배는 부분의 노지에서 이 지는 것으로 나타남.

- 산채 재배 면 은 노지 4,776ha, 자동화 시설재배 483ha, 비가림 441ha 순임.

◦ 국 으로 총 36작목을 재배하고 있으며, 품목별로는 더덕, 취나물, 도라지, 땅두

릅, 고사리 등을 주로 재배는 것으로 나타남.

표 2-4. 주요 산채의 품목별 재배 황

구 분  시도

계  노지 비가림 시설

농가(호)

면(ha)

농가(호)

면(ha)

농가(호)

면(ha)

농가(호)

면(ha)

계  - 23,991 5,699.30 19,824 4,775.80 1,769 440.7 2,398 482.8

더덕 10 3,967 1,790.40 3,947 1,790.40  - -  -   -

취나물 13 4,300 900.8 2,454 529.3 959 201.4 887 170.1

도라지 11 5,288 748.2 5,288 748.2 -  -  -  - 

땅두릅 11 1,339 397.1 1,095 341.5 42 7.2 202 48.4

달래 7 1,802 370.8 1,110 242.7 201 47.5 491 80.6

고들빼기 6 1,740 262.6 1,619 214.1 119 48.1 2 0.4

고사리 6 375 218.2 373 218 2 0.2    

쑥 6 1,225 190.8 1,220 190.2 1 0.2 4 0.4

나무두릅 7 550 143 547 137.9  - -  3 5.1

참나물 8 234 103.6 51 12.1 147 84.6 36 6.9

냉이 2 427 75.8 427 75.8  - -  -  - 

머 7 520 70.6 185 25.3 122 14.5 213 30.8

바귀 4 526 70.2 485 65.7 41 4.5  - - 

돌나물 4 148 53.5 24 4.6 4 1.6 120 47.3

삼엽채 2 160 53 -  -  -  -  160 53

자료: 2003년 농진청 내부자료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19

나. 송이 생산 황

◦ 송이는 작황에 따라 생산량의 변동이 매우 심한 편임.

- 2009년 송이의 총 생산량은 337톤으로 작황이 나빴던 년에 비해 85.9% 증가

- 2009년 송이의 총 생산액은 425억 원으로 년 비 38.4% 증가

◦ 송이는 생태 환경이 합한 특정 지역에서만 생산됨. 양양· 덕·울진· 화 지역

등 소나무의 생장에 유리한 남서향 산지에서 질 좋은 송이가 많이 생산되고 있음.

고품질 송이 생산을 해 울진군은 2000년부터 송이산 가꾸기사업을 진행

그림 2-3. 송이 생산 추이

707

433

682

307

425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2005 2006 2007 2008 2009

생산량 생산액

생산량(t) 생산액(억원)

자료: 2009 임산물생산조사. 산림청

다. 산양삼 생산 황

◦ 산얌삼도 송이와 마찬가지로 작황에 따라 생산량의 변동이 매우 심함.

- 2009년 산양삼 생산량은 43톤으로 년 비 121.5% 증가

- 2009년 산양삼 생산액은 152억 원으로 년 비 10.1% 증가

20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그림 2-4. 산양삼 생산 추이

117 

159 

119 

138 

152 

40 

80 

120 

160 

200 

10 

20 

30 

40 

50 

60 

70 

80 

2005 2006 2007 2008 2009

생산량 생산액

생산량(t) 생산액(억원)

자료: 2009 임산물생산조사. 산림청

◦ 국의 산양삼 생산농가 수는 1,879호이며, 재배면 은 5,650ha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남. 지역 으로는 경북이 1,398ha로 재배면 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강원도 1,277ha, 남 982ha 충남 598ha 등의 순이었음.

표 2-5. 산양삼 재배 황

구분 인천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남 북 경북 경남 제주 합계

농가수

3 52 620 188 55 325 164 418 51 3 1,879

재배면

1.8 213 .9 1,277.1 451 .5 598 981 .8 515 .1 1,398.6 199 .7 13.5 5,649.9

자료: 한상섭. 산양삼의 생산 황 효율 인 리체계 구축방안. 강원 학교.

라. 시도별 산채·송이·산양삼 생산 황

◦ 2009년도 산채의 생산액 통계를 기 로 시도별 집 도 분포를 확인하기 해

공간분석을 시도한 결과 산채의 주요 생산지는 부분 백두 간과 인 한 것으로

나타남.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1

- 산채 생산액 기 국 70 이내의 시·군을 으로 표시한 결과 경기도와 충청남

도 등의 서부 지역을 제외하고 부분 백두 간과 인 한 곳에 치하는 것으로

확인됨.

그림 2-5. 산채 생산액 70 이내 시군 분포도

22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마. 권역별 산채 생산 황

◦ <그림 2-5>에서 나타난 산채 생산 집 도를 근거로 주요 산채 생산지역을 권역으

로 구분하면 강원 동권, 강원 서권, 강원남부·충북북부·경북북부권, 충청권,

북동부권, 지리산권, 남남부권 등의 형태로 분류 가능

- 경북북부·강원남부·충북북부권이 권역들 가장 많은 지역을 아우르고 있으며,

치상으로도 산채 생산이 많은 백두 간의 심부에 치

그림 2-6. 주요 산채 생산 권역 구분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3

◦ 그리고 산채 생산액을 기 으로 <표 2-6>과 같이 권역을 분류하 을 때 강원 남부·

충북 북부·경북 북부권역의 생산액 비 이 국 비 20%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

타남.

- 이 권역은 강원, 충북, 경북의 3개 도와 평창, 제천, 주 등 13개 시군으로 집 형

의 집산형태를 보임.

표 2-6. 권역별 산채 생산 황

단 : 백만 원, %

권역 해당 시군 생산액 비율

강원 동권 고성, 양구, 인제, 양양, 강릉, 삼척(6시군) 30,813 10.2

강원 서권 철원, 화천, 춘천, 홍천, 횡성, 원주(6시군) 59,274 19.6

강원 남부

충북 북부

경북 북부권

평창·정선· 월·태백

제천·단양

주· 화·안동· 천· 양·울진·울릉(3도 13시군)

60,388 20.0

충청권충주·청원, 천안· 산·태안·홍성·보령·부여·논산·서천

(2도 10시군)30,583 10.6

북권산, 무주·진안·장수·임실·완주·순창

(2도 7시군)12,093 4.0

지리산권함양·산청·하동·사천·남해, 남원, 구례·곡성· 양·순

천·여수(3도 11군)32,104 10.6

남 남부권 나주, 화순, 강진, 해남, 고흥(5시군) 15,334 5.1

제주권 제주, 서귀포(2시군) 28,376 9.4

기타

(경기, 경남, 경북)이천·가평·양평·남양주·강화, 거창·창녕·합천, 경주·문경 31,951 11.0

소계 상 70개 시·군 289,283 95.7

국 합계 302,405 100.0

24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2. 산채·송이·산양삼 생산의 문제점

가. 지역성과 계 성

◦ 산채·송이·산양삼은 각 작물별로 자연환경에 매우 민감한 편이어서 특정 지역(주산

지) 이외의 지역에서 재배가 어려운 편임. 특히 송이와 산양삼은 집 형 집산형태

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음. 따라서 지역·권역 단 로 해당 지역의 여건에 맞게 생산·

유통·가공을 종합 으로 리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함.

- 산채의 경우 생명력이 강하여 기술 으로 큰 어려움 없이 재배가 가능하지만 산양

삼의 경우 문 지식이 필요한 재배가 어려운 작물임에도 불구하고 재까지 재

배 련 매뉴얼이 없는 상황임. 따라서 조속한 시일 내에 련 기 들의 지원 하에

산양삼의 매뉴얼 작성이 이 져야 할 것임.

◦ 산채의 경우 계 으로 4~5월, 송이는 9~10월에 채취하는 계정성이 강한 작물임.

일부 재배농가에서는 이 때 벌어들이는 수익이 한 해 수익의 부인 경우가 많음.

따라서 농·산 의 안정 인 소득 확보를 하여 여러 가지 산채를 연 재배 생

산할 수 있는 작부체계 개발과 기술 보 교육 지원 필요

나. 종묘확보의 어려움

◦ 일반 인 작물의 경우 기 이나 민간종묘회사를 통해 기에 필요한 종묘를 구입

이 가능하지만 산채와 산양삼의 경우 종묘를 문 으로 연구하거나 다루는 기

이 아직 없는 계로 종묘 확보가 원활하지 않은 편임.

- 일부 지역에서는 자생지 보호 목 으로 종묘나 이식하는 것을 철 하게 리하는

곳이 있어 종묘 확보가 어려움.

- 산채 재배는 부분 품종개량이 이 지지 않은 야생종을 그 로를 채취하여 재배

하는 형태로 이 짐. 야생종 고유 특성을 유지하는 것도 좋지만 수량이나 품질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품종개량에 한 연구 필요

- 따라서 산채·송이·산양삼의 육종개발 연구와 보 할 수 있는 기 필요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5

3. 산채·송이·산양삼의 유통 황과 문제

3.1. 산채·송이·산양삼 유통 현황

가. 산채 유통 황

◦ 산채는 일반 농산물과는 달리 계 생산, 소량·분산 생산되는 시스템으로 유통구

조가 매우 열악한 실정임. 그러나 최근 일부 지역에서 단지화, 조직화를 통해 주산

지를 형성하여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남해 창선농 의 고사리, 양구의 곰취, 논산과 횡성의 더덕·도라지 등

- 한 두 품목에 집 하고 철 한 품질 리와 공동출하

◦ 산채의 유통 경로는 크게 세 가지 형태임.

- 다수가 산지 수집상을 거쳐 도매시장에서 거래되거나 벤더를 거쳐 형소매 , 백

화 에 납품

- 일부 품목별 주산지에서는 산지 농 을 통하거나 생산자가 직 하나로마트나 백

화 , 할인 등 형소매 에 매

- 산지 시장, 형 소비처, 방문객 등에 직 하거나, 우편 매, 인터넷 매

- 일부 포 매매(더덕)가 있으나 부분 생산자가 수확 후 매

그림 2-7. 산채의 주요 유통경로

생산자

수집상 도매시장

밴 더 대형판매점

도소매상

소비자

우편판매, 방문

농협

26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그림 2-8. 산채 매처별 비

0.2

24.826.3

24.922.9

0.9

0

5

10

15

20

25

30

산림조합 농협 수집상 도소매상 소비자 기타

자료: 2006년 임업경 실태조사. 산림청

◦ 향후 형소매 으로의 직 과 방문객·인터넷·통신을 통한 소비자 직 의 비 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망

- 국 시장을 상 로 하기 해서는 주산지 형성으로 철 한 품질 리와 안정

물량 공 , 거래교섭력 확보가 요

- 양 직거래, 소비자 직 , 가공용 등 다양한 매처별 포트폴리오 구성 필요

그림 2-9. 산채 매방법별 비

93.2

0.6 1.8 0.14.3

0

20

40

60

80

100

직접판매 우편판매 전화주문판매 인터넷판매 기타

자료: 2006년 임업경 실태조사. 산림청

나. 송이 유통 황

◦ 과거 채취한 송이는 부분 각 지역 산림조합의 수매와 공 을 통해 일본 등지로

수출되었으나 「임산물사용제한고시」가 폐지된 후 국내 소비자들도 어렵지 않게

송이를 할 수 있게 됨.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7

◦ 조합이나 법인을 통할 경우 입찰수수료가 붙으므로 수집· 매상과 소비자간 직거

래 등의 거래방식으로 환되고 있음. 매방법의 다양화로 송이 생산자는 높은 등

의 송이뿐만 아니라 여러 등 의 송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매할 수 있게 되었

고, 소비자들은 손쉽게 송이를 구매 가능하게 됨.

- 그러나 산림조합의 공 이 아닌 직 거래의 경우 송이의 등 정이 유동

◦ 화·울진 지역의 송이는 품질이 우수하고 「 화 송이축제」와 「울진 강송 송

이축제」등의 지역축제를 통해 다양한 볼거리와 먹을거리를 제공하므로 인지도가

높아 소비자들이 선호함. 2010년 산림조합을 통해 공 된 송이의 물량 비율은 지역

별로 덕 60%, 안동 70%, 울진 40%, 화 30%에 이르는데 화와 울진의 송이는

축제를 통한 직거래가 많아 인근 지역에 비해 공 물량이 은 편임.

◦ 송이는 부분 생채로 유통되며 가공용으로 매되는 물량은 극히 일부에 불과

그림 2-10. 송이의 주요 유통 경로

다. 산양삼 유통 황

◦ 기존의 산양삼의 유통구조는 생산자, 산지수집상, 소비지 매인( 는 한의원), 소

비자의 3~4단계로 구성됨. 최근 경매시장을 통한 거래와 생산자 - 소비자간 직거래,

유통업체나 회원들을 통한 직 매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임.

◦ 산양삼도 송이와 마찬가지로 부분 생삼 주로 거래되며, 일부 음료 혹은 가공약

품의 원료 등으로 거래되고 있음.

28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그림 2-11. 산양삼의 주요 유통 경로

3.2. 산채·송이·산양삼 유통의 문제점

가. 유통· 매 시스템 미흡

◦ 산채와 송이는 지역 매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국 매 체계가 아직 미흡한

편임. 산채는 다품목 소량생산으로 부분 5월에 개최되는 지역 산채축제 기간

생채로 소비자들에게 직 매하고 있고, 송이 한 9~10월에 개최되는 지역 송이

축제 기간에 부분의 생송이를 매하고 있는 상황임. 그러나 국 시장 공략을

한 단지화, 품질 리, 공동출하, 랜드 등에 한 비도 부족

- 생채 유통에 필요한 콜드체인 시스템( 냉, 냉장 장고, 냉장차)이 없어 유통과정

에서 손실과 품 하 발생할 우려 있음.

- 지역·권역 단 의 산채·송이·산양삼을 안정 취 · 리할 수 있는 종합유통센터

필요

나. 품 질 리시스템 미흡

◦ 2011년 1월부터 산양삼에 하여 소비자들이 생산·가공·유통 과정을 확인할 수 있

는 생산이력제를 도입함. 생산이력제를 통해 잔류농약 확인과 문제발생시 역추

을 가능하게 하여 산양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국삼과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짐.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29

◦ 한편 인제의 곰취, 정선 곤드 , 울릉도 산채, 양양 송이 등의 농산물들이 지리 표

시제에 등록됨. 지리 표시를 통해 소비자들은 품질을 신뢰할 수 있고, 유사품과 차

별화가 가능하며, 인지도가 떨어지는 상품은 홍보 효과를 낼 수 있음.

◦ 그러나 이러한 품질 리시스템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외국산 혹은 유사품이 국내산

과 유명 지역 특산품으로 둔갑하는 경우가 발생함. 리하는 품종 지역이 워낙

다양하고 범 하여 이러한 상이 발생함. 따라서 권역에 산채·송이·산양삼의 품

질 리를 담당할 수 있는 기 설립 필요

다. 홍보 부족

◦ 반 으로 산채의 공 이 부족 상황에서 홍보· 고의 필요성이 으므로 홍보에

한 인식이 부족한 편임. 특히 해당 지자체에서는 매년 개최되는 련 축제 홍보

에만 으로 심을 기울임. 따라서 련 축제뿐만 아니라 이와 연계하여 산

채·송이·산양삼을 활용한 식품, 지역 특색을 나타낼 수 있는 메뉴 개발, 산채 문

음식 개 등의 체계 인 홍보 략과 활동이 필요

4. 산채·송이·산양삼 가공 황 문제

4.1. 산채·송이·산양삼 가공 현황

가. 산채 가공 황

◦ 산채 가공은 부분 반찬용으로 단순 가공되는 형태에 불과함. 보통 세척, 증가, 건

조 는 냉동·염장, 포장, 매 하는 형태임. 그리고 단순 가공에 그치기 때문에 추

가 인 소비 확 나 부가가치 증 를 기 하기 어려운 상황임.

◦ 경북 양군의 (주)농수원에서 곰취, 곰달래, 산마늘 등을 활용한 기능성 산채김치

와 송이, 더덕, 도라지 등의 장아 를 생산 이며, 산채효소·식 ·소스류 개발

상품화와 천연물 사포닌 등 기능성 물질에 한 연구를 수행 임.

30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그림 2-12. (주)농수원의 산채 가공 제품

산채김치 맹이 곰취김치 산채5종세트

나. 송이 가공 황

◦ 송이는 부분 생채로 소비되며, 가공용 소비는 극히 미미한 수 임. 그러나 최근

신활력지역 지원사업 등 정부지원을 통해 지역에서 가공품에 한 연구개발이 이

지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으로 상품화되어 매 임.

- 강원도 양양 지역에서 송이차티백, 송이 편, 송이청, 송이장조림 등의 여러 가지

제품 형태로 가공되어 매

그림 2-13. 양양군의 송이 가공 제품

송이차 송이청 송이장조림

다. 산양삼 가공 황

◦ 산양삼은 일부 발효음료나 녹즙의 형태로 가공되고 있지만 아직 제품의 개발이 미

미한 실정임. 경북 안동의 천지 농조합법인에서 고가의 산양삼을 활용하여 고·환·

캔디· 우치, 더덕음료·즙 등의 상품을 개발하여 매 이며, 일부 제품은 미국으

로의 수출을 계획 임.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31

그림 2-14. 천지 농조합의 산양삼 가공 제품

천지 산양삼 농축액 천지 산양삼 음료 천지 산양삼 고(膏)

4.2. 산채·송이·산양삼 가공의 문제점

가. 체계 인 가공기술 지원 과 보 미흡

◦ 산채·송이·산양삼은 부분 원형 상태의 생채나 단순 가공 제품으로 생산됨에 따라

물량과 가격변동에 따라 안정 인 농가소득을 기 하기는 힘든 실정임. 생산 농가

들은 가공에 필요한 기술·자본· 문지식 등 모든 측면에서 부족함. 한 일부 생산

자들은 단순 가공을 하고 싶어도 시설기 을 갖추지 못해 제품인가를 받지 못하여

시 하지 못한 정도로 세함. 따라서 건강식·기능성 식품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채·송이·산양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개발· 매할 수 있는 가공기술의

체계 인 지원과 보 이 필요함.

나. 산·학· ·연 력 계 미흡

◦ 산채·송이·산양삼의 효능과 기능성에 한 연구결과가 최근 많이 발표되고 진행

이지만 생산자조직, 학연구소, 산림과학원, 지자체, 산업체, 농업기술센터 등은

단 사업을 심으로 단편 이고 일시 인 계를 유지에서 발 하여 계 구성원

들이 의체를 조직하여 지역 내 생산물이 제품으로 가공되고, 나아가 산업화에 성

공할 수 있을 때까지 지속 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필요

32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5. 산채·송이·산양삼의 발 을 한 과제

5.1. 산채·송이·산양삼 개발의 의의

◦ 산채·송이·산양삼의 주산지들은 부분 규모화된 미곡, 축산, 시설농업 등의 토지

이용 농가 경 합리화가 유리하지 못한 산에 치함. 이들 지역은 농지면 이

좁아 규모화가 필요한 곡물농업, 축산, 시설농업 등에서 경쟁력을 갖기 어렵고, 토

지당 생산성이 높은 특용작물 재배에 경쟁력이 있음.

- 산채·송이·산양삼 생산 지역의 ‘청정 이미지’와 국유림 등 산림과 목재를 활용한

특화가 경쟁력이 될 수 있음.

- 특히 산채의 경우 특성상 생명력이 강하여 유휴지나 야산 등을 활용한 조방 임

업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음.

◦ 송이의 생산은 기온과 기후 등 생태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양양, 울진, 화, 덕

등 특정 지역을 심으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음. 이들 지역들은 송이와 련된 양

양송이축제, 울진 강송송이축제, 화송이축제 등의 다양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제

공함으로써 방문객들을 유인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

◦ 국민소득 증가에 따른 건강 추구 식생활은 향후 산채를 비롯한 송이와 산양삼 수요

의 지속 인 증가를 측 가능하게 함. 그러므로 산업으로의 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

- 산채·송이·산양삼은 청정지역에서 채취하거나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무공해 식품

이미지 보유

-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포함된 알칼리 식품으로 산성화된 체질 개성에 효과

-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의 장의 활동을 원활히 하고 비만 개선

- 어린 시 , 고향, 명 의 추억을 되살리는 통문화 음식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33

5.2. 산채·송이·산양삼 산업의 과제

가. 연구 개발

◦ 산채·송이·산양삼의 연구개발은 부분 신활력지역 지원사업 등 정부지원 사업을

통해 진행되고 있음. 이들 사업을 통해 산채·송이·산양삼을 활용하여 진액, 차, 잼,

스 , 술 등의 인 제품으로 만들고자 하는 연구개발사업이 련 지역 학,

지역연구소, 농업기술센터 등을 심으로 활발히 이 지고 있음. 그러나 이들 기

들은 기술개발 분야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내놓지만, 지원사업이 완료된 이후 지속

인 연구수행에는 한계가 있으며, 상품의 마 과 홍보 등의 사업화 지원에 있어

서는 민간 기업에 비해 문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음. 그러므로 해당 작물의

육묘에서 생산·유통· 매에 이르기까지 연속성 있는 R&D를 담할 수 있는 국립

연구소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산업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임.

나. 가공업체

◦ 성장 잠재력 있는 가공업체에 해 창업보육 기업지원, 기술 시험생산지원,

마 지원, 교육훈련 등을 통해 안정 인 기업 운 이 가능하도록 인도해주는 종

합연구시설 필요

◦ 산채·송이·산양삼은 주로 농 이나 농조합법인 는 생산자단체 등이 심이 되

어 음료와 반찬 등의 단순 가공 수 으로 이 지고 있으나, 규모에서는 단히

세한 편임. 따라서 이들에게 가공식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실험·분석·생산장비 등을

지원하여 상품 생산에 성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종합지원시스템이 필요함.

다. 행정 지원

◦ 산채·송이·산양삼 등을 지리 표시제에 등록하여 생산·유통 단계별로 한 기

을 설정함으로써 안 하고 균일한 품질의 송이가 생산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

임. 이외에도 생산이력제 운 시스템 구축, 연계산업 육성, 특구 유치, 련 업체

유치 등 다양한 행정 지원이 이 져야 할 것임.

◦ 산채·송이·산양삼의 산업화가 성공하려면 산업클러스터가 조성되어야 하며, 생산

기반 구축을 한 시설지원과 약리효능 식품개발에 한 연구에 한 지원이

이 져야 함.

34 제2장 산채·송이·산양삼의 생산·유통·가공 현황

라. 지역 신 인 라

◦ 산채·송이·산양삼이 산업이 발 하려면 국 시장을 상으로 한 량생산 체제로

환하고 1차 산업에서 벗어나 2·3차 산업과 결합해 부가가치를 제고해야 함.

- 지역에 합한 소수의 품목에 특화하고 규모화된 생산단지 조성

- 공동출하, 품질 리를 담당하는 품목별 생산자조직 육성

- 시장에 안정 으로 물량을 공 하기 한 건조시설과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한 다양한 산채가공식품, 기능성 물질추출 상품 개발

- 새로운 시장 개척과 매 포트폴리오 구축, 지역 통합 랜드를 리 등 유통체계

의 확립

- 육종과 재배 기술 개발과 보 , 상품 개발과 포장기술 개발, 산채의 기능성 연구

등을 담당할 R&D 기 설립

◦ 산채의 생산, 가공, 유통, 연구가 효율 으로 연계하여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추진이 필수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2. 산채산업클러스터 관련 정책

3. 국내외 식품클러스터 추진사례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37

제3 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련 정책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

1.1. 산업클러스터의 개념

◦ 산업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 産業集積)란 “동일 산업이나 동종 산업에서 지리

입지에 근 성을 갖고 군집을 이루고 있는 사업체들의 집합체”로서 정의됨.

- 의의 의미로서의 산업클러스터는 실제 으로나 잠재 으로나 핵심(core) 산업과

구매- 매의 연 계를 갖고 연결된 모든 산업들의 사업체의 군집을 의미하며,

의의 개념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하게 연결되어 지역 인 근 성을 갖고

있는 사업체들의 군집(Bernet, 1998)

◦ 그동안 클러스터의 개념은 Porter(클러스터 이론), Enright, Krugman 등에 의해 보

완되면서 산업집 , 산업 문화, 집단학습 등으로까지 확 하고 있음. 최근에는 산

업클러스터를 보다 폭넓게 정의하여 “산업클러스터란 비슷한 업종의 다른 기능을

하는 련 기업·기 들(연구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학 연구소, 생산 기능을 담

당하는 기업 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벤처캐피탈과 컨설 등)

이 일정 지역에 모여 네트워크 구축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업 개·기술개발·부품조

달·인력·정보교류 등에서 시 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음.

◦ 클러스터는 비교우 요소를 바탕으로 구축된 산업이 경제지리 으로 인 한 지역

38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에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창출하는 집 의 이익이 경쟁력의 요한 원천이기 때문

에 그 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산업의 집 은 일 이 알 드 마샬이 지 한 바와 같이 산업집 지는 숙련 노동

자들에게 넓은 시장을 제공하며, 산업에 필수 인 양질의 서비스 집 을 유인하

고, 정보교환을 활성화하여 기술발 을 진시키는 이익을 창출함.

- 나아가 산업의 집 은 보다 근본 인 이익을 창출하는데 첫째, 산업의 지역 집

화는 규모에 한 수확체증(increasing returns to scale)을 유발하고, 둘째, 개별기

업에게 규모의 외부경제(external economies of scale)를 제공함.

1.2. 산업클러스터의 효과

◦ 클러스터의 조성 효과는 정태 국지화경제(Localization economies)경제와 동태

Marshall-Arrow-Romer(MAR)유형의 외부경제로 구분됨. 국지화경제는 산업내

문화 경제효과로서 다음과 같음.

- 첫째, 산업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기업간 문화가 강화되고, 문화된 간재 투

입, 사업지원업무 융시장의 유용성 증가에 의한 경제효과에서 나타남.

- 둘째, 노동시장의 경제 효과로서 숙련노동자와 문화된 노동자 풀(pool)의 확장

과,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숙련노동자의 모색이 용이

- 셋째, 기업간 의사 달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상호 보완성의 이득과 새로운

시장개척, 경제활동의 통합, 그리고 새로운 신의 채택 등이 기업간에 나타남.

- 넷째, 특정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공공재 공 과 특정서비스 공 의 규모의 경제

효과가 있음.

◦ MAR유형의 외부경제는 동일한 산업 내에서 지역 기업 간 지식의 축 과 지식

이를 통해 유발되는 동태 외부효과(Glaeser et al., 1992; Henderson, 1994)를 의

미함.

- 동태 외부효과는 그 산업 내에서 지역고용의 집 과 한 지역 내 산업활동의 역사

통 수 에서 찾을 수 있음. 한 산업에 기업들간의 지식공유와 축 (build-up)

은 특정 산업 내에서 볼 수 있는 산업의 통과 문화에 의해서 개선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39

1.3. 산업클러스터정책의 방향성

◦ 세계경제가 지식기반경제로 환된 이래 ‘ 신’과 ‘산업클러스터 이익’이 경쟁력의

원천 역할을 한다는 에서 클러스터정책 역시 신의 진 클러스터 이익 향유

에서 기획·추진되어야 할 것임.

- 신의 요성은 이른바 산업경제로 이행한 이래 꾸 히 강조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특히 시되고 있는 것은 지식기반경제의 도래 때문

- 지식기반경제란 주지하다시피 인간의 창의성에 기 한 지식과 정보를 창출, 확산,

활용할 수 있는 신 능력이 경쟁력 부가가치의 원천인 경제로서, OECD 국가

를 심으로 1980년부터 성장의 동력을 확인한 결과 지식이 요한 요소로 작용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서 지식을 통한 신의 요성이 새삼 강조

- 즉, 산업 발 의 건은 투입요소의 증 가 아닌 신을 통한 성장동력 창출

◦ 따라서 클러스터정책의 기본방향은 지역 신체제(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구축 발 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음.

- 1990년 들어와 신체제론과 클러스터론의 결합에 따라 지역 신체제가 확

립됨.

- 지식기반경제로의 환에 따라 국가단 에서보다 지역단 에서의 상호작용과 공

동학습이 신 창출에 더 유리하다는 이 입증되었기 때문

◦ 신 주도형 발 의 핵심은 지식·기술의 창출·활용·확산과정의 시스템화, 교육·훈

련을 통한 인 자본의 축 효율 활용에 있음.

- 양 성장 모델과는 달리 모든 경제주체들이 참여와 력, 상호학습을 통해서만

달성 가능

- 특히 개인 차원에 머물러 있는 지식을 사회 자본화함으로써 발 이 가능하다는

에서 신의 요성은 더욱 강조됨.

- 신능력을 강화하기 해서는 신클러스터의 효율 작동에 필요한 미시 경제

사업 환경이 요

- 즉, 지속 인 경쟁우 는 구에게나 근 가능한 제품, 서비스 혹은 자본으로 창

출되는 것이 아니라, 략 결정으로 왕성한 기업활동이 이루어지는 국가 지

역 사업 환경 속에서 내부와 외부자원의 결합에 의해 창출

40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지역 신체계의 핵심요소는 크게 산업클러스터, 산업육성기반, 그리고 지역산업 추

진체계 등 세 축으로 구성됨.

- 산업클러스터는 크게 과학기술체계와 산업생산체계 그리고 기업지원체계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호 유기 인 결합형태

․과학기술체계는 학과 연구기 을 비롯해 이들 기 에 소재한 각종 응용연구시

설의 집합체를 의미

․산업생산체계는 략산업과 후방 연 산업이 층 으로 기업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기업들의 집합체

․기업지원체계는 공공 민간부문의 기술지원, 마 , 유통 등 다양한 생산지원

기 서비스 기업들의 집합체를 의미

- 산업육성기반은 략산업 육성에 필요한 산업인력, 산업입지, 정보 인 라, 지역마

등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진하는 인 , 물리 기반

․특히 략산업을 심으로 하는 산업육성기반은 숙련된 노동인력의 양성과 지원

그리고 핵심거 단지, 간거 단지, 기능 집 단지 등 산업단지의 정비 확

충이 필요

- 산업육성기반은 략산업 육성에 필요한 산업인력, 산업입지, 정보 인 라, 지역마

등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진하는 인 , 물리 기반

․특히 략산업을 심으로 하는 산업육성기반은 숙련된 노동인력의 양성과 지원

그리고 핵심거 단지, 간거 단지, 기능 집 단지 등 산업단지의 정비 확

충이 필요

- 지역산업추진체계는 추진 운 체계를 구축하는 것으로서, 국가 차원의 추진

체계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자율 운 체계, 그리고 법과 제도 등을 포함

◦ 지역 신체계의 핵심요소는 술한 산업클러스터, 산업육성기반, 그리고 지역산업

추진체계 이외에도 지역산업추진체계와 산업클러스터를 매개하는 네트워크 기구

와 이의 활성화 로그램이 요한 역할을 차지함.

- 지역산업추진체계에서 기획·조정 역할, 개기능, On/Off line의 력 로그램을

수행하는 지역 랫폼이 필요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41

1.4. 클러스터기반 지역산업정책

◦ 클러스터 근 산업정책은 지역 신체제상의 다양한 신주체가 지역 내에 집 되

어 상호작용에 의한 학습을 통해 신이 가속화되는 산업환경이 조성되도록 시장

실패와 시스템 실패를 시정하려는 정책임.

- 특정지역에서 지역산업클러스터가 출 하는 것을 보증할 수 있는 정책수단은

없음. 정책 으로 특정지역에 산업클러스터를 형성하여 발 시킬 수도 있을 것

이지만, 지역은 구조 장 (structural advantages), 역사 특성(historical singu-

larities)과 기회(chance)에 의해서 부분 결정되기 때문

- 그러므로 정책수단이 지역산업클러스터를 창출하는 것보다는, 특정지역에서 치

한 산업클러스터의 발 을 진시키는 것에

그림 3-1. 클러스터 기반의 지역산업정책

【 시장/시스템 실패 】 【 정책 응 】

비효율 시장기능 ⇒ ⋅경쟁정책과 규제개

정보실패 ⇒⋅기술 측

⋅ 략 시장정보의 제공

신주체간 제한 인 상호작용 ⇒

⋅네트워킹의 진을 한 기구

⋅교류의 場 제공

⋅네트워크에서 력 진

지식하부구조와 시장구조의

제도 부조화 ⇒

⋅산학 동 우수연구센터의 설치, 운

⋅산학공동연구개발사업의 진

⋅인력양성

⋅기술이 사업

신을 요구하는 수요자의 부재 ⇒ ⋅정부조달정책의 실시

정부실패 ⇒

⋅민 화

⋅공공부문 개

⋅정부개입의 축소

자료: OECD(1999), Boosting Innovation: The Cluster Approach, Paris. p.420.

42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구체 으로 정책 상 부문을 보면, 연구개발 기반의 구축, 기업을 포함한 공동연구

의 활성화 지원, 시스템간 연계기능 랫폼 기능을 하는 핵기 구축, R&D인

력 양성, 창업 진사업, 신주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축 등을 들 수 있음.

- 신은 기업 내외부의 연구개발 인력, 기업간 지식 (spillover), 공동연구개발

등에 기반한 력, 기술력있는 창업의 활성화, 기업간 력 가능성을 증 하고 지

역내에서 정보흐름을 증진시키는 네트워킹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

표 3-1. 과거의 산업정책과 산업클러스터정책의 상이

산업정책 산업클러스터

산업

정책

- 지역산업을 업종별로 악하여 특정산

업을 유치ㆍ지원, 육성

ㆍ정부주도하의 개발계획

ㆍ수직형 구조와 효율 시

ㆍ획일화를 통한「국가비교우 」창출

- 지역산업을 群으로 악하여 지역 산업간

연계를 창조

ㆍ지역주체의 클러스터 략

ㆍ내발 산업정책

ㆍ연계기능과 창조성 시

ㆍ특색 있는 「지역비교우 」창출

모델

- 주요산업·첨단산업 시설의 배치

ㆍ공공사업을 통한 인 라정비

ㆍ인센티 에 의한 기업유치

ㆍ강력한 선도기업

ㆍ첨단산업 하이테크 지향

ㆍ연구시설의 하드 시

- 특성있는 산업과 기술의 집 화, 연계기

능의 배치

ㆍ기술 노하우의 축척

ㆍ클러스터를 진하는 인재 기업유치

ㆍ 소기업주체의 네트워크, 강력한 기업지

원부문

ㆍ기존산업과의 융합

ㆍ시즈와 니즈의 융합 시, 지역으로의 기술

이 진

역- 국가가 단 , 국가간 경쟁, 국가 비교우

- 조직이 단 , 례 형식 시

- 지역이 단 , 지역간 경쟁, 지역 비교우

- 개인이 단 , 시행착오 시

1.5. 산업클러스터의 조건과 구성 요소

◦ 클러스터의 발 조건

- 탄탄한 과학기반으로 선도 연구기 과 우수과학자

- 기업가정신의 존재와 육성 시스템

- 비즈니스 모델과 성공사례의 존재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43

- 양질의 풍부한 고용기회와 매력 인 주거환경

- 창업모육시설과 교통·통신망 등 산업인 라

- 자 조달원으로서 벤처캐피탈

- 법률, 회계. 컨설 등 문서비스의 공 자와 수요자(기업)

- 지역연합, 동호회, 각종 회의와 교류기회 등 효율 인 네트워킹 기회

- 지역개발을 한 공공부문의 정책 지원

그림 3-2. 산업클러스터의 구성 요소

교육훈련

지역문화

금융 물류유통

정보통신

기반시설클러스터 네트워크

산 ․학 ․관 사업단

연구개발시스템

(육종, 재배, 가공지역산림개발)

생산시스템(임산물생산, 가공지역소득사업 등)

산업자원시스템

(자재, 포장, 마케팅)

과학기술산업화 기관

사업화지원기관

1.6. 농식품산업분야 클러스터 조성유형

가. 정책 으로 조성된 클러스터

◦ 국가가 정책 으로 조성한 농식품산업분야의 표 인 클러스터는 2009년부터 추

진하고 있는 국가식품클러스터임. 정부는 국가식품클러스터를 농어업과 식품산업

의 융복합화를 통해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의 허 로서 육성하여 국가 경쟁력 제고

에 기여하고자 사업을 추진함.

44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국가가 정책 으로 지역단 에서 조성한 클러스터로서는 2005∼08년부터 조성한

지역농업클러스터사업이 있으며, 2009년에는 클러스터사업범 를 역화한 역

클러스터사업으로 환하여 추진하 음. 2010년부터는 역클러스터사업 신 지

역 략식품산업육성산업을 추진함. 이들 사업의 주체는 지방정부지만 사실상 정책

으로 조성된 것임.

나. 자율 으로 조성된 클러스터

◦ 앙정부의 정책 의지와 계없이 지자체에서 자율 으로 조성한 지역클러스터

사업이 있음. 표 인 사업은 「양구 산채클러스터」, 「완도 복클러스터」 사업 등

임. 이들 사업은 지자체에서 신활력사업 등의 산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을 감안하

여 추진한 사업임.

◦ 네덜란드의 푸드밸리(food valley)나 덴마크-스웨덴의 외 순클러스터는 앙정부

와 지방정부의 도움을 거의 받지 않고 제조업체의 필요에 의해서 자연발생 으로

조성되어 우리나라의 클러스터와는 조 임.

1.7 산채산업클러스터조성의 필요성

◦ 지역의 산업경쟁력의 요소가 변하고 있음

- 산업화 시기에는 집 에 의한 규모화가 필요함. 이 단계에서는 후방 산업과

규모 소비시장이 경쟁력의 주 요인임.

- 연 된 과학기술 개발과 신 인 기업가가 차 요한 산업경쟁력 의 요인으로

부각

◦ 산채 고유의 특성을 감안한 특성화된 식품클러스터정책이 필요함. 산채식품은 생산

제품이 건강과 직결되는 생필품이라는 에서 여타 식품과 다른 특성을 보유함.

- 특히 소득수 향상과 함께 세계 으로 LOHAS 지향성이 심화되면서 고품질의

식품에 한 수요가 지속 으로 늘고 있는 추세

◦ 산채는 1차농산물의 소비증 에는 한계가 있고, 2차 가공품을 심으로 한 산업화

의 잠재력이 큼

- 높은 기능성을 활용한 건강식품 수요 잠재력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45

- 산채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아직 경쟁이 약한 블루오션

- 웰빙 자연식과 청정 환경을 결합한 휴양산업 잠재력

◦ 산업기반이 미약한 양에서 산채산업 발 을 해서는 클러스터 개념에서의 종합

근이 필요함.

2.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정책

2.1. 국가식품클러스터사업

◦ 국가식품클러스터사업은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식품기업, 연구기 등 연 산업의

집 화를 통해 연구개발(R&D)을 활성화함으로써 고부가 식품산업의 육성과 수출

확 를 통해 국가 경제의 발 을 지향하기 해 조성됨.

◦ 정부는 국가식품클러스터사업을 통해서 궁극 으로 농어업과 식품산업의 융복합화

를 진하여 고부가식품산업의 발 을 도모하고자 함.

2.2.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사업

◦ 2009년에 지역특화된 농산업의 신을 해 사업해당 지역을 역화하여 「 역클

러스터」사업을 추진한 바 있음. 그러나 이들 사업이 단순 생산·유통 심의 사업으

로 추진됨에 따라 고부가가치 2·3차 식품산업으로 환이 필요하게 되어 2011년부

터 「지역 략식품산업육성사업」으로 환하게 됨.

◦ 이 사업은 비교우 가 있는 지역특산품을 융복합 산업화하여 농식품산업을 지역성

장동력으로 견인하기 해 추진되었음. 즉, 농수산업을 식품산업과 연계한 창의

상생모델로서 정립하고자 하 음.

- 농어업인은 원료납품, 식품기업은 가공·유통을 담당하는 농어업인 참여형 식품제

조기업 집 육성

46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2011년 12개사업 잠정 선정

- : 김치, 유자, 매실, 복분자 등

2.3. 시군 농산업클러스터

◦ 2005년부터 조성된 지역농업클러스터 사업은 농어 지역 유무형 향토자원을 1·2·3

차산업으로 연계 발 시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목 으로 추진되었음.

◦ 2005년 5월 20개의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단이 지정되었고, 사업단별로 3년간

연평균 국고 9억원이 지원되었음.

◦ 2007년 12월에는 시범사업을 거쳐 본사업지역으로 22개소가 선정된 바 있음.

◦ 시범사업단 19개 사업단이 식품과 연계한 사업을 추진하 으며, 사업주체는

부분 지자체 고 생산·유통사업 형태가 부분이었음.

◦ 지역클스터사업은 유무형자원을 1,2,3차산업으로 연계 발 시키고자 하는 기존의

향토산업과의 차별성이 미흡해 복사업의 성격이 존재함.

◦ 부분의 지역클러스터사업이 지역농업과 연계한 식품가공과 매 략 수립과는

무 하여 특산식품과 식품가공사업의 연계성은 낮았음.

2.4. 지자체 산채 관련 정책 추진 계획

가. 청도군 산채산업화 기반 조성

□ 사업배경 목

◦ 청도는 참나물, 두릅, 도라지, 고사리, 버섯류 등의 산채가 청정환경에서 재배되고

있는 이 을 활용하여 산채와 연계되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이를 산업화하여 지

역의 표 랜드로 조성할 계획임.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47

◦ 청도군은 웰빙, 로하스 이미지에 부합하는 표 아이콘인 “건강”을 산업화하고,

지역의 우수자원을 활용한 산채 약선을 세계화하기 한 핵심 인 라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청도지역의 장

◦ 300년 통의 구 약령시와 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와 상생 연계로 시 지

효과를 극 화할 수 있고, 체계 인 산채 련 교육 환경 조성을 한 운 로그

램 지원 체계마련이 가능함.

◦ 구한의 학교, 남 학교, 경북테크노 크, 구경북한방진흥원 등 학, 연구

기 , 특화센터의 집 으로 우수 기술개발이 용이함.

□ 사업개요

◦ 사 업 비: 200억원

◦ 사업내용: 산채 컴 스 건립, 산채 산업화 단지조성, 산채 에코힐링타운 조성,

산채에 한 기술개발지원 효능분석·인증사업, 산채제품 표 화, 산채(약선)인

력양성

□ 기 효과

◦ 집 화 단지조성에 따른 기내식, 건강식 등 연 산채산업의 시장 확 와 제품개발

로 산채산업 역화

◦ 산채에 한 국제 인 심 제고로 로벌 경쟁력 증진에 기여

◦ 국가 정책과제인 일자리창출과 국격향상에 기여

나. 울릉군 산채산업화 계획

□ 추진배경

◦ 울릉군은 지리 열악한 환경에 따른 육지와 농산물 생산기반, 매확보 등에서 타

지역보다 불리해 생산성도 낮고 농업기반도 취약함.

◦ 울릉군에 산채특화단지 조성을 한 포 재정지원으로 자립기반을 마련하고

48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정주여건 조성으로 농업생산성 향상과 농가소득 제고를 도모함.

□ 사업내용

◦ 친환경농업 확산을 한 유기질 비료 공

- 화학비료 사용 감과 토양지력 회복 친환경 산채생산을 해 고품질 유기질

비료 확 공

- 소요 산액: 10억원(3년간)

◦ 친환경농산물 재배단지 조성

- 울릉군 특산작목(더덕, 산마늘, 고추냉이)에 한 품목별 생산 단지 조성과 가공산

업 육성

- 소요 산액: 20억원(3년간)

- 특화단지조성: 2개소(10억원) - 더덕, 산마늘, 고추냉이 단지조성

- 가공산업육성: 1개소(10억원) - 특산물 가공품 생산( 임, 김치, 캔, 차 등)

◦ 산채기반조성을 한 휴경지 등 축산 조사료포장 조성과 농작업 기계화를 통한 수

송체계 구축

- 울릉군의 경작지 85%가 경사지에 치하여 농자재 생산 농산물 수확시 고강

도의 노동력 투입으로 농업 생산성 하

- 경사지 경작지, 휴경지에 축산 조사료 생산포장 조성을 한 농업용 모노 일 설

치로 수송효율 향상과, 경작지 인근 생산 농산물 운반을 한 동력운반차 보 으

로 농업인 건강보호와 생산성 향상

- 소요 산액: 20억(3년간), 농업용 모노 일 보 18억원, 농용 동력운반차 보 2억원

◦ 친환경농산물 소비활성화를 한 지원체계 구축

- 일반농산물과 차별화된 유통 경로의 다양화를 통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자

근성 제고

- 소비자의 가치(가격, 건강, 양, 안 등)를 증진시키는 환경 조성, 소비 진 유도

- 소요 산액: 10억원(3년간)

․친환경농업 직거래 활성화를 한 장체험장 조성: 3억원

․친환경농산물 학교 식확산 등 로처 다양화를 한 지원: 7억원

◦ 농축수산자원의 고품질 퇴비 자원 생산시스템 개발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49

- 농축수산 부산물의 자원화로 경종, 양축의 자연순환형 환류체계 구축, 고 어종

( 복, 해삼 등) 보호를 한 불가사리 등의 구제 부산물의 퇴비 자원화로 청정 녹

색섬 조성

- 소요 산액: 60억원(3년간)

․축산분뇨 퇴비화 시스템 구축: 40억원

․불가사리 등 퇴비화 시스템 구축: 10억원

․생균제 생산시스템 구축: 10억원

다. 양구군 산채클러스터 구축계획

□ 사업필요성

◦ 앙정부에 의존하지 않고 내발 발 을 지향

- 산학 력과 지자체, 주민, 지역개발 문가 등의 역할 강화

- 상호토론, 학습, 벤치마킹 등을 통해 지역의 신역량 강화

□ 사업목표

◦ 지역 신역량강화를 통한 자립 성장동력의 구축

◦ 소득향상과 일자리 창출을 한 생산 소득기반 조성

◦ 랜드 개발과 효과 인 마 략 개로 지역 이미지 상승

□ 사업 기간 사업비

◦ 1차: 2005~2007년, 124억원(국비 93억원, 군비 5억원, 자부담 26억원)

◦ 2차: 2008~2010년, 118억원(국비 101억원, 군비 3억원, 자부담 14억원)

□ 1차 사업 내역

◦ 1차년도: 재배면 확 , 연구용역 7건

◦ 2차년도: 재배면 확 , 산채 가공업체 육성 지원, 유기질비료 지원, 산채 체험마

을 3개소 조성, 유망산채 지원, 문기술·리더교육

◦ 3차년도: 재배면 확 , 산채포럼과 신 의회, 기술교육·견학, 산채가공업체

50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육성 지원, 산채유통공사 설립 추진, 자상거래 등

□ 2차 기간 사업내역

◦ 1차년도: 재배면 확 , 산채체험마을 조성, 산채 련 교육

◦ 2차년도: 재배면 확 , 친환경자재 지원, 연구용역 2건, 산채 체험장 3개소 조성,

‘산채로’ 상표 등록, 홍보 운

◦ 3차년도: 재배면 확 , 소득작물 발굴, 친환경자재 지원, 산채 임류 개발, 곰취차

생산, 공동 세척·선별·포장·출하 확

3. 국내외 식품클러스터 추진사례

3.1.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

가. 사업목 필요성

◦ 식품기업, 연구기 등 연 산업의 집 화를 통한 R&D 심의 수출지향 식품산

업클러스터를 조성함.

◦ 농어업과 식품산업의 융복합화를 통한 동북아시아 식품시장의 허 로 육성함으로

써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함.

나. 사업목 필요성

◦ 사업기간: 2009 ~ 2015년

◦ 총사업비: 6,181억원(2009년까지 40억 원)

◦ 사업규모: 2,935,800㎡(89만평)

◦ 지원조건

- 건축비·운 비: 국고 50%, 지방비 50%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51

- 장비비·연구개발비: 국비 100%

- S/W 사업비: 국비 70%, 지방비 10%, 민자 20%

다. 비 ·목표 략

◦ 국가식품클러스터(FOODPOLIS)는 동북아 식품시장의 허 로서 역할 수행을 비

으로 설정함.

◦ 클러스터단지내 150여개 식품기업과 10개내외의 연구소 입지를 목표로 추진하며,

향후 10년 이내 선진국 수 의 식품산업기술에 도달함을 목표로 설정함.

◦ 주요 략은 식품 문국가산업단지 조성, 로벌 경쟁력을 갖춘 R&D 심으로 운

하며, 지역식품클러스터와의 연계를 강화함.

그림 3-3.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

라. 단계별 단지조성

◦ 1단계사업은 2015년까지 사업시설, 지원시설, 공공시설 등을 조성하며, 2단계사업

은 주거시설과 상업시설 심으로 조성함.

52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그림 3-4.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단계별 단지조성

마. R&D 지원 체계

◦ FOODPOLIS 내 식품안 지원센터, 식품기능성평가센터, 식품패키징지원센터의 3

핵심 R&D 센터가 입지하고, 신도시로 이 하는 국립 출연연구기 과 네

트워킹을 강화함.

그림 3-5. R&D 지원 체계도

바. 추진 상 황

◦ 기재부 비타당성 조사(KDI) 완료

◦ 산단 조기착공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 지연

- 토지주택(LH)공사 내부자 사정으로 신규사업추진 불가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53

◦ 국내외 투자유치활동을 개하고 있으나 아직 큰 성과 없음

- 클러스터의 성격, 내용 등에 한 세부사항 미확정에 따른 기업의 투자결정 유보

◦ 핵심 3개 R&D 센터 기능 정립

- 각 R&D 센터별 기능과 역할에 한 논의

3.2. 고창 복분자클러스터

가. 고창 복분 자산업 연

◦ 1993년부터 복분자 묘목 지원 식재, 1994~95년 복분자주 공장 2개소 설립

◦ 1999년 고 정주 회장 방북시 김정일 국방 원장에게 복분자주 선물 이후 명성

◦ 2000년 이후 복분자 재배와 복분자주 가공 등 지속 으로 증가

◦ 고창군은 1993년 복분자 식재 비용 보조에서 시작하여 재까지 각종 지원 계속

- 복분자 생산 지원: 복분자 식재, 비가림 하우시 시설, 장고 설치

- 복분자 가공 지원: 가공업체 설립, 가공 시설 등

- 복분자 연구·개발 지원: 복분자시험장 설립, 학술 용역 등

- 복분자 육성제도 지원: 지리 표시제, 복분자육성조례, 복분자산업특구 지정, 산

업재산권 출원 등

- 복분자 연 산업 개발: 복분자 빌리지 조성, 복분자클러스터사업 등

나. 고창 복분 자 재 배 추이

◦ 2000년 이후 고창지역 복분자 재배면 은 약 40배, 생산량은 약 50배, 재배농가수

는 약 23배 각각 증가하여 복분자산업화가 속하게 진 됨.

1995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농가수(호) 130 210 410 740 1,344 2,154 3,749 4,628 4,795 4,664

면 (ha) 17 35 70 150 302 484 913 1,270 1,333 1,303

생산량(톤) 54 110 140 320 600 1,510 2,733 4,500 4,800 5,000

표 3-2. 고창군 복분자 재배 추이

54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다. 고창 복분 자 가공 추이

◦ 복분자 가공업체 수는 2005년 7개소에서 48개소로 증가

- 복분자주 제조업체는 2005년 5개소에서 9개소로 증가

- 복분자 음료 제조업체는 2005년 1개소에서 26개소로 증가

합계 주류 음료 한과 장류 떡, 분말(기타)

48개소 9 26 3 3 7

표 3-3. 고창군 복분자 가공업체 수

라. 고창군 복분 자산업 매 출액

◦ 복분자 산업 연간 매출액은 1,100억원 수

생과 복분자주 복분자음료 기타 가공품 농가 가공품

420억원 450억원 57억원 45억원 150억원

표 3-4. 복분자 산업 연간 매출액

마. 고창군 복분 자클러스터 구성요소

◦ 복분자시험장(1999년 설립): 10인(지도직 2, 행정직 4, 연구사 2, 보조 2)

◦ 고창황토복분자 농조합(2003년 설립): 11개 읍면 작목반이 결성한 조합법인

◦ 복분자세계명품화연구회(2004년 조직): 학습조직으로 결성하 으나 기능 미약

◦ 고창군청

◦ 복분자가공업체

◦ 복분자 재배와 가공 후방 연 업체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55

그림 3-6. 고창군 복분자클러스터의 구성요소

3.3. 네덜란드 푸드밸리(food valley)

가. 클러스터 개황

□ 클러스터 입지의 유리성

◦ 푸드밸리가 형성되어 있는 와게닝겐 지역은 통 으로 축산업을 심으로 한 농

업이 발달한 지역이며, 이를 기반으로 오래 부터 각종 식품업체들이 입지하면서

농식품산업과 연구개발의 심지로 성장한 지역임.

- 농업과 식품에 한 경쟁력의 배경에는 이 분야에서 수 십 년 동안 축 된 연구기

술 때문이며 그 핵심에는 와게닝겐 학이 있음.

- 와게닝겐 지역에는 학과 각종 연구소가 존재했었으며 서로 통합을 거쳐서 재

의 와게닝겐 학 연구소(Wageningen University Research Center)로 통합되었음.

◦ 푸드밸리에는 국제 식품회사, 연구소, 와게닝겐 학과 UR(Wageningen University

and Research Centre) 등이 집 되어 있음. 푸드벨리 안에는 약 15,000명의 문가

가 식품 련 과학과 기술개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음. 한 더 많은 인력이 식품

56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제조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음. 푸드밸리는 국제 식품산업 지식의 활동 인 심장

부임.

□ 설립배경

◦ 1997년 Wageningen university가 주도하고 민간이 참여하여 Wageningen 지역을 생

명공학 도시로 만들려는 “City of Life Sciences” 로젝트를 시작함.

- 기업-연구기 - 학간 시 지 강화를 해 시작

- 지식기반 기업 창업을 지원하는 Biopartner Centre Wageningen 설립

- 앙정부, 지방정부, 기업에 의해 50백만유로가 3년간에 걸쳐 지원됨

◦ 2003년에 지자체와 지역기 등 총 9개 기 이 공동출자하는 트 십으로 설립되

었음.

- 앙정부 부처의 지원을 받기 보다는 지역기 의 공동출자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

므로 정부기 이라기 보다는 공공기 이라고 할 수 있음.

◦ 와게닝겐지역에 푸드밸리를 설립한 것은 와게닝겐 학 등이 보유한 농식품 분야

에서의 통 인 경쟁력과 연구개발 분야에서의 우수한 성과를 이용할 수 있었기

때문임.

◦ 기 4년간의 목표

- 3개의 주요 R&D 센터 유치

- 25개의 R&D 기반 기업 유치

- 25개의 새로운 신 R&D 로젝트 런칭

- 500~800개 고용 창출

□ Food Valley 주요 기능

◦ 푸드밸리는 학과 업체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다양한 요구를 조정·해결해 주는

‘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수행하기 한 기구로 설립

◦ 학에서 개발된 기술을 기 로 창업을 지원하고 소식품업체의 기술·경 면에서

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것이 푸드밸리의 주요 기능

◦ Food valley의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음

- Food Chain에 존재하는 련 분야의 신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57

- 지식간의 연결 고리 제공(matchmaking)

- 마 과 홍보

- EU 자 수주를 한 로비

- 새 기술 산업화 지원과 새로운 사업의 개발

- 지식소통과 순환 강화

- 지식 공유를 한 모임의 주선

나. 주 요 연구개발 기

□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 (WURC)

◦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는 푸드밸리의 가장 요한 연구기 인 동시에 푸드밸리

설립의 출자자임.

□ NIZO 연구소

◦ 1948년에 낙농업 연구소로 설립되었으며 업체와의 계약연구를 주로 하고 정부의

지원은 없음.

◦ 업체의 요구를 반 해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의 장 은 연구소가 일종의 랫폼 역

할을 하면서 업체와 의사소통을 하고 력을 하며 풍부한 연구인력을 이용할 수 있

다는 것임.

- 연간 약 600여개 로젝트 수행

- 연구소 내에 총 200여개의 연구실 보유

- 한 지역에 생산시설이나 시제품 생산시설이 없는 소규모 업체들이 NIZO 연구

소의 시설을 이용해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를 한 식품제조

설비를 갖추고 있음.

□ TNO 연구소

◦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를 제외하고 푸드밸리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연구소이

며, 과거에는 정부가 산의 100%를 지원하는 기 이었지만 재는 정부에서 약

30%만 지원하고 나머지는 수탁 연구를 통해서 조달하고 있음.

◦ TNO의 주요 연구분야는 다음과 같음.

- 소비자와 시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신 인 식품 개발

58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식품과 양에 한 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식품산업 정부기 에 자문하는

기능 수행

- 식품안 성의 문제, 건강 증진, 식품업체의 창업을 한 등록과 기술까지 분야

에 걸친 컨설 과 연구를 수행

- 각종 식품정책에 한 정보의 제공 략 수립 기능 수행

□ TIFN(Top Institute Food and Nutrition)

◦ TIFN은 원천기술 개발을 한 력 연구개발 로그램을 시행하기 한 네트워

크임.

- 주요 연구분야는 양과 건강, 구조와 기능성, 그리고 미생물학 기능성과 안

성에 한 연구

- 이 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연구기 은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 NIZO 식품연

구소, TNO, 마스트리히트 학 등임.

다. 창업지원 시설 로 그 램

□ 와게닝겐 바이오 트 센터(Biopartner Center Wageningen)

◦ 이 센터는 와게닝겐 학, 경제부, SNS 은행, 겔더란트 주, 와게닝겐 시 등이 공동

으로 투자하여 설립한 기 이지만 그 운 에 해서는 독립 인 조직임.

◦ 신생기업에게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함.

- 생명과학과 기타 기술 분야의 창업지원

- 10,000㎡ 규모의 사무실과 실습실 제공

- 연구개발을 한 다목 시설의 이용

- 시제품 생산시설 제공

- ICT를 포함한 인 라 제공

- 푸드밸리 생명과학 분야에 한 연구개발 네트워크 참여

□ 와게닝겐 창업장려 로그램 (Wageningen Business Generator)

◦ 와게닝겐 학이 자체 으로 개발된 기술을 산업화시키기 해 구체 인 지원 차

를 마련한 로그램임.

- 비즈니스 잠재성이 있는 과학 아이디어 발굴 → 상업화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59

◦ 연구개발의 기부터 산업화 시기까지의 체 단계를 포 하는 로그램으로

기 단계의 연구개발 아이디어에 한 지원부터 산업화를 한 등록까지 포함하고

있음.

□ Agro BTC

◦ 푸드밸리지역의 Agro Business Park에 치한 사무실 지원 시설임.

◦ 사무실 시설을 낮은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1개월에서 1년까지 단기계약

을 통해서 사무실을 이용하고 기간연장도 가능하기 때문에 창업기업의 기 비

용을 감시키는 효과가 있음.

◦ 비서실이나 식당 등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코르테노드 과학단지 (Wageningen Science Park Kortenoord)

◦ 와게닝겐 학 인근에 새롭게 조성한 과학단지로서 주로 생명과학, 식품, 보건

환경분야 기 들이 입주해 있음.

◦ 약 40ha의 면 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아직 50% 정도의 입주율에 그치고 있음.

◦ 2002년 경부터 와게닝겐 학과 교류하기 원하는 연구개발기 들이 입주하기 시작

하여 재는 바이오 트 센터, 하우트 연구재단 등이 입주해 있고 Agro Business

Park 도 인근지역에 있음.

□ 식품사업체 창업지원 로그램(Food and Nutrition Delta)

◦ 이 로그램은 궁극 으로 네덜란드를 유럽지역에서 가장 선도 인 식품 신 지역

으로 발 시키기 한 것임.

◦ 특히, 소기업에 을 두고 식품산업의 신기술 개발과 창업지원을 수행하는 것

이며 이를 통해서 소비자의 요구와 기 에 부응하는 신 이고 새로운 식품을 개

발하도록 하는 것임.

라. 성공요인 시사

◦ 정부의 극 인 인 라 지원이 있었음.

60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 물류/ 교통/ 공공 시설 등 인 라에 한 투자

- 학에 한 연구 보조 지원

- 2001년 ‘Cluster innovation conference’ 개최 시 극 지원

◦ 학연구소 심의 발 을 이룩함.

- Wageningen university와 로벌 기업 간 공동 연구/ 력 체계 구축

- 다양한 분야에 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와게닝겐 학 연구센터를 심으로

한 푸드밸리에 세계 인 고 인력이 유입되고 있음.

- 네덜란드의 푸드밸리가 세계 인 경쟁력을 갖춘 식품산업클러스터로 발 한 배경

에는 세계 인 연구개발능력이 있음

◦ 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활성화를 한 담기 을 설치함.

- Food Valley 클러스터 주도 하에 학, 지역 소기업, 기업 연구소를 연계하

는 담기 (Wageningen UR)과 소규모의 유연한 네트워크 조직(사무국) 운

- 소규모의 유연한 료조직과 다양한 참여기 들간의 네트워크 형성

- 기 3~4년간 푸드밸리에 한 재정지원이 있었으나 이 경우도 지역 련 업체와

기 들 간의 력과 균형을 조건으로 제시하여 연구소와 기업간의 력, 그리고

참여하는 연구인력 등 각종 세부사항에서의 균형을 유도함.

- 네트워크 담기구를 통한 기업과 연구소간, 연구소와 연구소간, 기업-연구소-기

타 조직간의 공동의 목표 설정, 정보 공유 등

◦ 로벌 기업과의 제휴를 모색함.

- 미국, 유럽 등의 선진 기업과의 네트워크 형성

- 말 이시아 러시아 등과 식품클러스터 공동 개발을 한 상호 자본 기술

투자

제3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필요성과 관련 정책 및 국내외 산업클러스터 사례 61

그림 3-7. 성공요인

12USA15

Europe

12

Netherland61

ASIA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1. 영양·봉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65

제4 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1.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1.1. 강점 요인

◦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강 요인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음.

- 청정한 자연환경: 산채는 친환경 유기식품으로서 재배지역의 자연환경이 오염되

지 않고 깨끗할수록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산지로서 유리함.

- 풍부한 산지와 국유림: 산채의 재배 유형은 산지·노지·시설재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산지와 국유림이 풍부할 경우 산지재배 면 을 확 하는 데 유리함.

- 산나물축제·송이축제의 경험과 성가: 양군은 산나물축제, 화군과 울진군은 송

이축제를 매년 개최하고 있어 소비자들에게 산채와 송이 산지로 잘 알려져 있

을 뿐 아니라 축제 기간에 생산물의 부분을 매할 만큼 매장으로서의 역

할도 큼.

- 재배 산채 종류 다양: 단일 품목의 산채 주산지로는 비 이 작지만 다품목을 소량

으로 생산하고 있어 생산 확 와 품목 다양화에 유리함.

- 어수리 등 희소산채 재배 강 : 양군은 산채 생산액 기 으로 주산지라고 할 수

없으나 제1의 어수리 산지로 알려져 있어 희소성을 인정받고 있음.

◦ 이상의 강 요인을 살리기 해서는 청정한 자연환경 친환경 유지재배 방식을

확 발 시키고, 국유림을 활용한 산지재배 방식을 통해 다양한 품목의 산채 생산

66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을 확 하는 한편 산마울·송이축제를 홍보와 마 매 확 에 활용할 수 있

도록 발 시킬 필요가 있음.

1.2. 약점 요인

◦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약 요인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음.

- 수도권과 도시로부터 원격지: 원격지이기 때문에 산채의 매와 유통, 가공업체

설립 유치, 도농교류, 연구·개발 인력의 확보와 육성 등 여러 면에서

불리함.

- 재배면 과 생산량 소규모: 양· 화·울진은 산채의 재배면 과 생산량이 산채

주산지 시·군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홍보와 마 면에서 불리할 뿐 아니라 유

통의 조직화와 지역 랜드 확립을 통한 유통 효율화를 도모할 수 없음.

- 농업인력 부족과 노령화: 이는 다른 농 지역과 산채 주산지 시·군에서도 겪는 일

반 인 상이지만 산채산업에서는 산채의 재배 생산 확 , 유통 조직화와 지

역 랜드 확립, 가공산업 육성 등 산채산업의 발 에 최 의 장애요인이라고 할

수 있음.

- 유통·가공·연구 기반 취약: 산채산업이 발 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매 확 가

요하며, 이를 해서는 유통의 효율화, 가공을 통한 과잉 재고 물량의 처리와

부가가치 제고,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신품종·신제품 등이 핵심인데 재는 그

기반조차 갖춰져 있지 않은 실정임.

- 지역 랜드 미약: 농산물·임산물의 효율 인 유통을 해서는 지역 단 통합

랜드의 구축과 품질 리가 필수 인데, 이 지역의 경우 농가 단 개별 매에

의존하여 지역 랜드가 형성되지 않고 있음.

◦ 이 지역의 산채산업이 발 하기 해서는 이상의 약 요인 재배면 과 생산량

소규모, 유통·가공·연구 기반 취약, 지역 랜드 미약 등의 요인을 해소하는 것이 가

장 먼 필요함.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67

1.3. 기회 요인

◦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발 에 정 인 향을 미치게 될 기회요인으로

는 다음을 들 수 있음.

- 친환경·고품질·기능성식품 수요 증 : 국민소득 증 와 웰빙 풍조의 확산에 따라

친환경·안 ·고품질·기능성 식품에 한 수요가 늘고, 산채식품에 한 수요 한

증가하고 있어 산채와 그 가공품의 생산을 확 할 수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음.

- 식품산업육성· 특회계 등 지원정책 강화: 식품산업이 농업부문으로 이 되면서

농림수산식품부로 명칭이 변경되는 한편 식품산업에 한 지원정책이 강화되고,

역지역발 특별회계의 개편에 의해 지자체의 사업에 한 포 보조가 시행됨으

로써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사업을 개하기 좋게 되었음.

- 농산어 체험 증 : 양군 산채의 부분이 산나물축제 장에서 매되

는 등 재도 농 이 산채 매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데, 산채 련 체험

로그램과 시설 등을 정비할 경우 체험 이 더욱 증 됨으로써 산채의 생산·

유통· 매·가공 등의 발 에 정 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 됨.

- 한식세계화와 농산물 수출 증 : 농산물 수출이 증 되면 산채의 수출 한 늘릴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고, 그럼으로써 산채와 가공품의 생산 한 확 할 수 있게

될 것임.

- 상주- 덕간 고속도로 개통: 이를 통해 수도권 도시와의 근성이 좋아짐으

로써 산채류를 매하는 데 유리해지고 체험 등 방문객이 늘어날 것으로 기

됨.

◦ 이상의 기회요인 상주- 덕고속도로 개통이 이 지역에만 해당되는 요인이고 나

머지는 국 어느 지역에나 용되는 요인이므로 시·군 주산지간 경쟁 면에서는 이

지역에만 유리한 것은 아니나 체 으로 산채에 한 수요가 늘어나게 되므로 산

채 생산을 확 할 수 있을 것으로 망됨.

1.4. 위협 요인

◦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발 을 제약할 수 있는 요인으로는 다음을 들

수 있음.

68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 산채산업클러스터를 국가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식품사업체 유치를 둘러싸고 경합하게 되므로 산

채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데 큰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임.

- 산채의 주산지 간 경쟁 심화: 산채의 주산지 시·군이 모두 산채산업 발 계획을

추진함으로써 산지 간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상됨.

- 다양한 음식료 가공품의 등장: 이는 산채의 2차가공품 수요를 체·차단하게 되므

로 산채 가공산업의 발 에 치명 인 악 향을 미칠 수 있음.

- 역내 권역·부문·농가 간 이해 립: 지역에는 다수의 소권역이 존재하고, 다양한

품목의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들이 있어 서로 이해가 립될 수 있고, 그 경우 산채

산업의 발 을 지원하는 시책을 시행하기 어렵게 됨.

- FTA/WTO 등 농산물시장 개방: 모든 지역 해당 농산물에 피해를 미치게 되며, 산

채의 수입이 늘어 국내 생산을 축시키는 등 악 향이 상됨.

◦ 이상의 요인 역내 권역·부문·농가 간 이해 립이 이 지역에만 해당되는 요

인이고, 나머지는 국에 걸쳐 산채 생산을 축시킬 우려가 있는데, 이에 해서는

지역 차원에서 응하기 어려우나 산채산업 발 계획을 수립할 때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

그림 4-1. 양· 화·울진 지역 산채산업의 SWOT 분석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69

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과제

2.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으로는 다음을 설정함.

- 청정산업: 친환경 재배 방식을 발 시켜 지역의 청정 이미지를 유지함은 물론 식

품으로서 산채의 안 성과 품질을 높이도록 함.

- 고부가산업: 산채 가공산업을 육성하여 부가가치 제고와 소득증 를 도모함. 산채

가공을 통해 고부가산업으로 발 하지 못할 경우 산채산업은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 신성장동력산업: 산채산업이 양군과 경북 북부권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이

되도록 함. 이를 해서는 산채산업에 련되는 연 산업이 집 동반성장하지

않으면 안 될 것임.

◦ 비 이란 최종의 궁극 인 미래상이므로 산채산업이 이상과 같은 모습에 도달하기

해서는 종합 ·장기 인 발 계획을 수립하여 련 사업을 지속 으로 추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임.

2.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목표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장기 목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생산규모 확 : 산채 생산규모의 확 는 산채산업 발 을 한 토 에 해당되므로

목표연도(2015년)에 2009년 생산액의 10배 규모로 확 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 가공산업 육성: 산채 가공산업은 산채산업 발 의 핵심이므로 목표연도(2015년)에

산채 첨가 식품 등 가공상품 생산액 목표를 100억 원으로 설정함.

- 지역 랜드 확립: 산채 주산지로서 명성을 얻으려면 지역 랜드 확립이 필수이므

로 특정 산채 품목을 심으로 지역 랜드를 선정하여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장기 목표는 산채의 생산·유통·가공의 구조와 규모에 한

목표이므로 재의 실 에 비해 과다 책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음.

70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2.3.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추진전략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과 목표를 달성하기 한 추진 략은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조성: 산채 련 시설을 한 곳에 집 하여 력에 의한 시

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산채 재배단지, 테마 크, 연구·유통·가공· 시· 매·

홍보 · 문음식 등으로 구성된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를 조성하도록 함.

- 산채산업의 6차산업화: 산채의 생산·유통· 매·가공· ·교육·연구 등 1·2·3차

산업을 융·복합하여 6차산업으로 발 시킴으로써 산채산업이 경북 북부권역의 새

로운 성장동력산업으로 성장하도록 함.

- 산채 생산자 유통의 조직화: 산채 품목별 작목반과 연구회를 조직하여 공동

매 지역 랜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

◦ 이상의 추진 략은 따로따로 추진하기보다는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 추진

기부터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림 4-2.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목표· 략

2.4.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발전단계별 과제

◦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 과 목표를 달성하기 한 추진 략에 따라 실행해야 할

구체 인 과제는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발 단계에 따라 계획기간은 조성단계, 계획

이후 기간은 발 단계로 나 어 분야별로 다음과 같이 설정함.

- 산채 생산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발 의 석이 되는 생산규모의 확 를 해

지역 내 권역별로 특화품목을 선정하여 집단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작목반을 활성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71

화하며 재배인력을 육성하도록 함. 발 단계에서도 이런 사업을 지속하면서 재배

기술을 개발하고 표 화하도록 함.

- 산채 유통 분야: 공동 매와 지역 랜드 확립을 목표로 우선 작목반별 공동출하조

직을 구성하고 지역 통합 랜드를 형성하는 한편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종

합유통센터를 건립함. 발 단계에서는 유통 문회사를 육성하고 유통과 가공을

연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함.

- 산채 가공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단계에서는 클러스터 단지 안에 가공단지

를 조성하여 1차가공(건조, 임) 공장과 2차가공(첨가식품과 음료) 공장을 입주하

도록 하고, 발 단계에서는 2차가공 공장을 확 하는 한편 3차가공(신물질 추출)

공장을 도입하도록 함.

- 산채 도농교류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산채테마 크를 조성

하는 한편 산채축제를 활성화하고 산채 음식과 체험 코스를 개발하도록 함.

발 단계에서는 기 조성된 산채테마 크와 체험 도농교류를 활성화하도

록 함.

- 산채 연구 분야: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안에 국립산채연구소를 설립하여 가공단

지에 입주하는 가공업체를 지원하고 창업보육센터를 통해 산채 가공업체의 창업

을 지원하는 한편 연구·개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 발 단계에서도 연구소의 가

공업체 지원과 창업 지원을 계속하며 연구·개발 기능을 확 하도록 함.

- 재배 품목 선정: 어수리 등 다른 지역에 비해 경쟁력이 있는 품목을 지역 표 품

목으로 육성하는 한편 취·더덕 등 량 품목을 포함하여 새로 도입할 품목을 추가

선정하도록 함. 발 단계에서는 재배품목을 약용식물과 고기능성 산채로 확장하

도록 함.

◦ 이상의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발 을 한 과제를 시행하는 지역은 우선 경북

양· 화·울진을 심으로 한 경북 북부권역을 상으로 하나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되어 정착 단계에 들어서면 상 지역을 확 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재 산채산업 발 계획을 독자 으로 추진하고 있는 강원도와 양구군, 경북의 울

릉군과 청도군, 그 외 다른 시·군과 연계 는 력하여 사업을 지속 확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함.

72 제4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비전·목표·전략·과제

표 4-1. 산채산업클러스터 발 단계별·분야별 핵심 과제

계획기간 (2011∼2015) 계획기간 이후 (2016∼2020)

발 단계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단계 산채산업클러스터  발 단계

생산지역별 특화품목 선정, 집단 재배단지 조성

작목반 활성화, 재배인력 육성

재배단지 지속 확

재배기술 개발 표 화

유통 작목반별 공동출하조직, 지역통합 랜드 형성

유통단지 조성 종합유통센터 건립

유통·가공 연계 시스템 구축

유통 문회사 육성

가공 가공단지 조성 1차가공(건조, 임) 공장

2차가공(첨가식품, 음료) 공장

2차가공 공장 확

3차가공(신물질) 모색

도농교류

/

산채축제 활성화, 산채음식 개발

산채테마 크 조성, 코스 개발

테마 크 활성화

도농교류 활성화

연구산채연구소 설립, 가공업체 지원

창업보육센터 설립

교육기능 강화, 외부 연구용역 활용

가공업체 지원 강화

품목어수리, 산나물 얼굴상품화

취, 더덕 등 형 품목 포함, 새로운 품목 추가

약용식물로 확장

지역 확산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구성과 공간 배치

2. 산채 재배 및 생산 확대

3. 산채 유통 활성화

4. 산채 가공산업 육성

5. 산채 관광 및 도농교류 활성화

6.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75

제5 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방안

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구성과 공간 배치

1.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단지 구성

◦ 산채산업클러스터는 다음과 같이 3개 단지로 구성하되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와

산채테마 크 단지는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심 시설지구로 한 곳에 집 하며, 산

채재배단지는 다수의 지역에 분산 배치하도록 함.

- 산채재배단지: 산지·노지·시설재배 등 다양한 재배유형의 산채 집단 재배단지

-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 산채연구소·종합유통센터·가공공장 등을 심으로 구성

- 산채테마 크단지: 산채 체험·학습· 락시설이 집결된 시설 단지

◦ 산채재배단지: 산채 재배에 당한 다수의 소지역에 분산 배치하여 주산지화 하며,

재배 면 은 목표 면 을 설정하되 지역 내 소지역의 실정을 감안하여 탄력있게 설

정 운용하도록 함.

- 경북 양군 외에 화·울진군에도 재배단지를 조성하며,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

성단계를 거쳐 발 단계에서는 권역을 확 하여 컨 강원도 양구군, 경북 울릉

군과 청도군 등 산채산업 발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시·군과 연계 력하여 재

배단지를 확 하도록 함.

- 자연경 과 농 문화가 우수한 지역은 재배와 체험 도농교류, 소규모 가공

등을 겸하도록 함.

76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그림 5-1. 산채산업클러스터의 구성 모식도

◦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심 단지로서 한 곳에 집 조성하

며, 부지면 은 35ha로 잠정함.

- 연구·유통·가공단지의 입지는 외부 근도가 좋은 곳에 배치 (고속도로 IC 고려)

- 홍보· 시 , 매장, 체험학습 등을 건립하여 매 체험 기능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함.

◦ 산채테마 크단지: 경 과 망이 좋은 산지에 시설로 손색없게 조성하며, 부

지면 은 35ha로 잠정함.

- 산채 재배단지를 심으로 시· 매·가공·학습 · 락·편의시설 등 부 시설

설치

- 산채의 재배에서 요리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체험 학습하고 홍보하는 장소로

활용

◦ 산채산업클러스터 심 시설지구의 입지 선정: 경북 도청 양군청 담당자와

의하여 산채연구·유통·가공단지와 산채테마 크단지를 분리하지 않고 한 곳에 집

하기로 하고, 2개 단지의 부지 면 합계 70ha를 한 곳에 확보하기로 하 음.

1.2. 산채산업클러스터 중심 시설지구의 토지이용계획

◦ 산채산업클러스터 심 시설지구는 총 70ha 규모로서, 크게 산채 연구·유통·가공단

지와 산채 테마 크단지로 구분되는데 각 시설의 부지 면 은 <표 5-1>과 같으며

단지 내 배치는 조감도에서 보듯이 다음과 같이 잠정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77

- 산채 연구·유통·가공단지는 심 시설단지의 하부 입구 쪽에 배치하여 단지 앙

을 통과하는 지방도로의 쪽 산 에 산채연구소와 온실 등 부 시설을 배치하고

산채종합유통센터는 단지 입구 쪽 도로에 근 하도록 배치하 으며, 산채가공공

장 단지는 도로 아래쪽에 배치하 음.

- 산채테마 크단지는 심 시설단지의 상부에 배치하여 화훼단지·정원단지·동물원

단지·시설단지 등을 앙에 배치하고, 숲에는 산채재배단지와 산책로·숙박단지·

망 등을 배치하 음.

표 5-1. 산채산업클러스터 심 시설지구의 구성요소별 면

구분 도입시설 부지 면 (ha)

산채 연구·유통·가공단지

국립산채연구소와 부 시설 5

산채가공공장 15

산채종합유통센터 5

공용면 (도로, 주차장) 10

소계 35

산채 테마 크단지

산채재배단지 10

화훼단지 3

정원단지 3

동물원단지 3

시설단지 1

숙박단지 등 5

공용면 (도로, 주차장) 10

소계 35

합계 70

78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2. 산채 재배 생산 확

2.1. 목표

◦ 산채 재배 생산 확 목표는 2015년에 2009년 생산규모의 10배 규모로 확 하

는 것으로 설정하 음.

- 산채산업의 발 에 가장 요한 산채 유통의 조직화와 지역 랜드 확립, 산채 가

공산업의 육성 등을 해서는 생채 매량을 넘어 가공 원료를 공 할 수 있을 만

큼 생산량을 확 할 필요가 있음.

◦ 지역 내 다수의 소지역에 다양한 재배유형의 산채 재배단지를 분산 조성하게 되므

로 상 지역의 선정 시 토지 조건과 함께 지 주민의 참여 의향 능력 등을

충분히 감안하도록 함.

2.2. 기본방향

◦ 산채의 재배 유형은 산지재배·노지재배·시설재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배유

형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산지재배와 시설재배 심으로 재배 면 을 확 하도

록 함.

- 산지재배의 장 : 산채 재배에 체험 등을 연계하는 데 유리하며, 시설재배

주의 경쟁지역과 차별화할 수 있고, 유휴 산지자원의 활용과 넓은 재배면 확보

등의 면에서 유리함.

- 산지재배의 단 : 수확량이 고, 품질 리와 기 수확이 곤란함.

◦ 산채와 산양삼을 함께 재배할 경우 소득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를 장려하도록 함.

- 산양삼은 소득이 높은 반면 장기간 재배( 개 7년 이상)하므로 그 기간 동안 소득

을 얻을 수 없는데 산채와 산양삼을 함께 재배할 경우 산채 소득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유리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79

2.3. 추진전략

가. 산채 집단재 배 단지 조성

□ 필요성

◦ 산채의 생산을 확 하기 해서는 개별 농가의 재배 확 보다는 집단재배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효율 임.

- 산채 유통의 조직화, 지역 랜드 구축, 산채 가공산업 육성 등 산채산업의 발 을

해서는 무엇보다 먼 생산을 확 할 필요가 있음.

□ 조성 방법

◦ 지역 내의 소지역별로 다수의 집단재배단지를 분산해서 조성함.

- 재배단지는 마을과 골짜기 등 소 지역별로 작목반을 결성하여 여러 곳에 분산 조

성하도록 함.

- 재배단지에 임도와 수시설을 설치하고, 일부 지역에는 물류· 매시설 1차가

공 시설을 설치하도록 함.

- 경 과 망이 좋은 재배단지에는 작업용 모노 일 등을 설치하여 체험· 시설

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

◦ 일부 재배단지는 공공투자로 조성하여 (가칭) 산채생산·유통공사가 리·운 하는

방안도 가능함.

- 산지 재배단지 조성 사례: 남 화순군 산약 단지 710ha, 충북 동군 산양삼

재배단지 32ha, 경기도 포천시 산양삼 단지 420ha(테마 크와 박물 포함) 등

나. 산채학교·산채연구회 육성

□ 필요성

◦ 산채 생산을 확 하기 해서는 산채 재배 면 확 를 한 토지의 확보와 함께

재배 인력의 확보가 요함.

- 재배 인력의 확보란 양 인 인원과 질 인 능력을 다 같이 확보하는 것을 의미함.

80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시·군의 산양삼 재배단지 조성 사례

1. 경기도 포천군 산양삼 재배단지

◦ 2008년 10월 「장생고려산삼 농조합법인」의 신청으로 산림청 주 ‘산지 약

용식물 특화단지 조성사업’ 공모사업으로 선정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일 산지 420ha에 산양삼 재배단지 조성

- 사업비: 11억 2,500만원(국·도비 50%, 시비 10%, 자부담 40%)

- 산양삼 종자 350㎏ 종, 종묘 20만본 식재

◦ 추가 시설: 산삼박물 , 산양삼종합유통센터, 한약재제조공장(사업비 55억원)

- 생산단지 6∼7ha에 한약재테마 크와 산삼박물 건립

▪테마 크: 산양삼 재배과정 체험

▪박물 : 세계 산양삼, 희귀산삼, 인삼 등 시

- 산양삼 종합유통센터, 한약재 생산·제조공장 건립 정(2011년)

◦ 면 확 계획: 1천ha까지 연차 으로 확 계획

2. 충북 동군 산양삼 재배단지

◦ 군유림 32ha에 산양삼 종 종묘 식재

- 2007년 14ha에 묘삼 14만본 식재, 10㎏ 종(7개 작목반에 23,000만원 지원)

- 2008년 18ha에 묘삼 377,000본 식재, 35㎏ 종(9개 작목반에 4억원 지원)

- 2009년 추가로 5ha의 군유림에 사업비 3억원으로 산양삼 식재

◦ 재배 지 인근 주민 5호 이상이 작목반을 구성해 2ha 안 의 군유림에 산양삼

재배단지 조성시 묘삼 식재비와 종비 지원할 계획

- 수익 분배: 10년 후 수확· 매해 수익은 군:작목반=2:8로 분배할 정

3. 남 화순군 산약 단지

◦ 고려인삼 시배지로 알려진 모후산 일 710ha에 산약 재배단지 조성

- 사업비: 4억 2천만원

- 2007년 140ha에 더덕·도라지 종자 2,100ℓ 종

- 2007년 가을 모후산 주변 570ha에 맥문동 등 산약 142만본 식재

◦ 화순군은 13,8000만 원의 사업비로 모후산 일 에 산양삼재배단지 조성 계획

◦ 산채 재배 기술을 갖춘 재배 인력을 확보하기 해서는 지역 단 의 산채학교

재배 농가의 자율 학습단체로서 산채연구회를 육성할 필요가 있음.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81

□ 운 방안

◦ 산채학교의 운 : 시·군 농업기술센터 는 농업인회 , 농업인 학 등에 산채학교

과정을 설치하여 신규 인력을 상으로 재배기술 등을 강의하도록 함.

- 강의 실습 시설은 농업기술센터의 기존 시설 활용

- 강의 인력은 농업기술센터 인력 는 산채 재배 선진농업인 활용

- 시·군의 지원: 강의 인력과 시설의 운 비 자재비 일체 지원

- 산채학교와 연계하여 산채 상담소 운

◦ 산채연구회의 운 : 기존 산채 재배 농업인의 정보 교환 기술 향상 등을 목 으

로 한 자율 인 학습단체로서 정기 인 연구 모임과 해외연수 등 실시

- 연구회 회합 장소는 농업기술센터, 농업인회 는 마을회 등 기존 시설

- 연구회 연구 모임은 정기 모임과 특별 모임으로 나 어 운

- 시·군의 지원: 해외연수비와 연구회 운 비 지원

다. 산채 재 배 시설 자재 지원

◦ 지원 상: 산채 품목의 시설재배 시설비, 산지 수시설, 종묘·종자 등

- 특히 신규 도입 품목 등에 해서는 종자 등 지원

◦ 지원 방법: 농림사업의 지원 기 용

2.4. 투자 사업

표 5-2. 산채 재배 생산 확 투자사업비

단 : 억 원

사업명투자액

합계 국비 도·군비 자부담

집단재배단지 조성 100 40 20 40

산채학교·산채연구회 육성 5 4 1 -

산채 재배시설 자재 지원 15 6 3 6

합  계 120 50 24 46

82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3. 산채 유통 활성화

3.1. 목표

◦ 산채 유통 활성화의 목표는 공동출하조직과 랜드화를 통한 국 인 매 체계

확립으로 설정함.

◦ 이를 통하여 수요에 부응한 생산체계 유도, 상품가치 증 , 시장 교섭력 제고, 생산

자 소득안정 증 를 도모함.

3.2. 기본 방향

◦ 품목별 공동출하조직 육성으로 안정된 로 확보 시장교섭력 증

- 재 도매시장을 주로 매하고 일부 차별화된 상품이 할인 , 백화 을 통해

매되고 있음.

- 자직거래, 단체 식, 외식업체 등 다양한 매처를 확보하여 효율 인 유통 포

트폴리오를 구성함.

그림 5-2. 산채 유통 활성화의 목표와 기본 방향

공동출하조직 지역브랜드화 종합유통센터

전국적인유통체계 구축

시장교섭력 증대

홍보와품질관리

소득증대와 안정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83

◦ 장기 으로 역권역별로 산채 통합 랜드를 구축하여 홍보와 품질 리

- 소비자들이 원산지에 민감하므로 원산지표시제 정착. 이 문제는 강원도, 제주도

등 타 지역과 공동보조 필요

- 벌크 매를 지양하고 랜드에 의한 소포장 유통 추진

- 상유지 사고나 소지역별 이해 계( : 일월산 랜드 입장) 등 장애요인 극복

◦ 생체, 가공품의 유통 물류와 마 의 심지로서 종합유통센터 건립

3.3. 추진 전략

가. 공동출하조직 육성

□ 공동출하조직의 필요성

◦ 생산자조직을 통해 공동으로 시장에 응함으로써 로 확보와 시장교섭력 증

등 마 효과를 높이고 유통 비용을 감함.

- 산채의 경우 주산지별로 작목반이 구성되어 있으나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생산

자가 개별로 출하하고 있는 실정임.

- 그 결과 선별·포장·운송 비용이 과다하고 홍보, 과 같은 마 활동을 제 로

하지 못하고 있음.

◦ 공동출하조직은 공동선별, 공동계산이라는 장치를 통해 시장에 응함.

- 공동선별은 출하조직이 공동으로 기 을 정해 상품의 등 과 출하 여부를 정하는

것을 의미함.

- 공동계산은 공동선별한 농산물을 생산자를 구분하지 않고 공동으로 매한 후 사

에 정한 방식에 따라 매 을 정산하는 방식임.

◦ 공동계산제의 장 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김동환, 농식품 이제 마 으로

승부하라, 2009).

- 일정한 기 에 의해 엄격한 선별이 이루어지므로 품질 리를 통한 소비자 신뢰도

가 높아짐.

- 일정한 기간 동안 매된 평균가격으로 정산하므로 험을 분산시킬 수 있음.

- 농가별 구분 없이 등 별로만 거래와 물류조작을 하므로 유통비용을 약하고 상

품성 하를 방지함.

84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 우수하고 많은 물량을 취 하므로 도매시장 도매인 등과의 거래에서 교섭력을

가지게 됨.

□ 공동출하조직의 형태

◦ 공동출하조직의 형태는 지역농 의 사업단(작목반 단 ), 지역농 , 농조합법인,

품목농 등을 생각할 수 있음.

◦ 공동선별, 공동계산이 성공하기 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의식과 상호간의 신뢰,

조직의 마 능력 등이 기 조건으로 필요함.

◦ 이러한 을 감안하면 기에는 지역별, 품목별로 지역농 의 사업단이나 농조합

법인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시장 응을 충분히 하기 해서는 보다 역 단 인 품

목조합의 형태( : 경북 북부 산채농 )로의 발 이 바람직함.

- 품목조합에는 개별 생산자뿐만 아니라 농조합법인이나 작목반도 회원으로 가입

할 수 있음.

□ 공동출하조직의 단계별 기능 발

◦ 1단계로는 공동선별, 공동계산 조직으로 발 을 유도함.

◦ 2단계로는 산채의 수 상황에 따라 생산을 조 하고, 가공업체와 원료 공 물량·

가격을 의하는 조정시스템을 구축함.

◦ 지역별 생산자 조직이 연합하여 국 산채 생산자 회를 구성하고 연구, 홍보사업

등을 포함하는 자조 단체화를 지향함.

□ 공동출하조직에 한 지원

◦ 생산자들의 공동출하조직 참여를 유인하고 공동출하조직의 사업역량을 보완해주기

한 지원이 필요함. 다음과 같은 지원을 생각할 수 있으나, 출하조직의 여건과 품

목에 따라 구체 인 지원 내용이 결정되어야 할 것임.

◦ 상품성을 유지하고 유통비용을 일 수 있는 유통시설에 한 지원이 우선 고려될

수 있음. 농산물은 보통 [수확 - 운반 - 선별(세척) - 포장( 냉) - 장 - 운송]을 거쳐

소비지로 공 되는데, 특히 온 장고와 냉장탑차를 갖춘 콜드체인 시스템이

요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85

- 이러한 시설의 일부는 개별 출하조직이 갖추기보다는 종합유통센터의 시설을 공

동 이용하는 방안을 모색함.

◦ 공동마 을 활성화하기 한 출하선도 , 공동선별 , 포장재비 등을 지원하고,

소비지 시장정보를 제공하거나 홍보 행사를 통해 로 개척을 지원함.

◦ 성수기에 홍수 출하된 물량이나 품 생산품을 처리하기 한 1차 가공공장(건

조), 고부가가치 상품을 제조하기 한 2차 가공공장의 설치 는 임 를 지원함.

- 설치 장소는 마을 는 산채산업클러스터 내에 둠.

상주 외서농협 공동출하사업 사례

외서농 은 비교 열악한 조건에서 “배”를 특화작목으로 선정하고 공동출하사업

을 통해 품질 고 화와 농가수취가격 제고를 이루어낸 사례임.

외서농 의 공동계산제는 1998년부터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사업에 이해가 극

인 수출작목반 10농가를 상으로 함. 2010년 4개 작목반에 254농가가 참여하고 있음.

공동계산조직의 문호는 개방하되, 3문 불가 원칙(어디로, 언제, 얼마에 팔 것인가는

농 이 으로 임하고 묻지 말라는 원칙)을 수용하도록 했음. 신 조합은 농

가에 한 생산자재와 포장재 등을 지원하고 무이자로 출하선도 을 지원( 상 액

의 50%)하여 공동계산제의 정산 지체 문제를 보완함.

한 조합은 생산단계에서부터 품질을 리하며, 수확시기 지정을 통해 미숙과의

출하를 방지함. 출하 등 은 외형과 당도에 따라 5등 화 하되 선별과정은 회원의 참

여를 막고 외부인의 고용을 통해 진행함.

매는 조합이 으로 책임지며 수출, 백화 , 형 할인 , 도매시장, 우체국과

농 유통 쇼핑몰 등으로 다각화함.

공동계산제 결과 개별 출하에 비해 20% 정도 높은 수취가격을 받아 농가소득 향

상에 크게 기여함.

나. 지역 랜드 형성

□ 필요성

◦ 랜드는 소비자가 상품을 식별하고 구별하여 신뢰도를 가질 수 있게 해 주므로

매활동에서 갖는 의미가 매우 큰 비가격 경쟁요소임. 특히 산채와 같이 소규모의

다수 생산자들이 생산하는 지역 농산물의 품질 리와 홍보를 해서는 지역 랜드

가 유리함.

86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 랜드는 단순히 상표명과 표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특성과 품질을 포

함하여 총체 실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이 있음(김동환, 게서).

- 본원 기능으로는 출처 기능(생산자 표시), 구별 기능, 품질보증 기능(상품에

한 정보 취득과 처리의 효율성), 신뢰 기능, 자산 가치 기능을 들 수 있음.

- 생 기능으로 인지도 강화, 충성도 강화, 고 기능, 상징 기능 등이 있음.

□ 지역 랜드 운 방안: 조례 제정 생산자연합회 구성

◦ 재 우리나라 농산물 랜드의 가장 큰 문제 은 세한 랜드의 난립에 따른

랜드 리와 홍보의 미흡임. 이러한 세성을 해결하는 방안 의 하나가 시군

단 지역 랜드화임.

- 지역 랜드는 세성을 극복하는 수단이지만 랜드 리체계가 미흡한 경우가

많음. 특히 지역 랜드가 다수 품목을 포함할 경우 이종 품목간 랜드 리 기

을 정하기 어려운 등 문제가 심화됨.

◦ 지역 랜드의 엄격한 리를 해서는 랜드 리 주체로서 생산자연합회 구성,

랜드의 사용 인증 차와 표시 방법, 랜드 사용 제품에 한 지원 등이 필요하

고 이를 조례 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 지역 랜드는 1차 으로 시군 랜드를 목표로 하지만, 몇 개 시군을 포 하는

역 랜드를 지향함. 랜드의 리 주체이자 지자체의 정책 트 로 생산자단체

연합회의 구성이 필수 임.

- 지역 내 소지역 생산자단체의 하 랜드를 병기하는 것도 필요함. 이는 공동출하

와 공동계산의 실질 단 이자 무임승차 문제를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

◦ 랜드의 표시와 사용에 해서는 조례를 통하여 법 근거를 갖추지만, 실제 운용

은 생산자단체 의회가 주도함으로써 자율과 책임을 부여함.

□ 지역 랜드 발 방안: 품질인증과 상품 정보 표시

◦ 소비자에게 인정받는 워 랜드로 성장하기 해서는 랜드 이미지 개발과 작명,

상표 원산지표시 등록 등 법 차, 품질 리와 이에 따르는 친환경농산물,

HACCP, GAP 등 인증이 필요함.

◦ 산채 지역 랜드는 건강이나 지역자원을 상징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실제 개발

은 문 업체의 도움을 받도록 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87

◦ 랜드 리의 첫걸음은 상품 정보와 공 의 신뢰성임. 따라서, 등 과 포장의 균일

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별·유통과정을 통제하고, 특히 신선 산채의 공 기간에

해 납품처와의 사 계약을 명확히 하는 것이 요함.

다. 종합 유통센터 설립

□ 종합유통센터의 필요성

◦ 소비자의 농산물 구매 패턴이 고 화, 다양화함에 따라 이에 신속히 응할 수 있

는 산지유통체계의 변화가 필요함. 즉, 산지에서 수집 후 소비지에서 이루어지던

등 화, 규격화, 랜드화 등이 산지에서 이루어질 때 상품성과 부가가치의 제고가

가능해짐.

◦ 특히 도매시장, 할인 , 백화 , 자상거래 등 다양한 거래처와의 거래시 산지 종

합유통센터가 거래교섭력을 높이는 기반이 될 수 있음.

□ 종합유통센터의 기능

◦ 공동마 총 개별마 지원

- 지역 랜드 리를 통한 산채 상품화와 함께 소비처의 요구를 악하여 생산자에

게 환류하는 마 사업을 총 함.

◦ 물류 기능

- 생산된 산채를 집하, 냉, 선별, 포장, 장을 거쳐 유통업체와의 매계약에 따라

반출함.

- 자상거래와 우편 매의 기반을 갖추고 반출 작업을 행함.

◦ 산채산업 선도 기능

- 공동출하조직, 랜드화 미참여 생산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선도 기능과 함께 산채

생산기반 확 를 도모함.

- 지역 산채의 신뢰도 확보로 소비를 확 하고 주산지로서의 자 심을 제고함.

◦ 시직 장 운

- 유통센터나 산채 테마 크 방문자나 객을 상으로 산채와 가공품을 시하

여 매 홍보를 도모함.

88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 센터 내에 산채음식 운

- 산채를 활용한 음식의 개발과 보 을 해 종합유통센터 내에 산채 문음식 1

호를 개 함. 이를 모태로 주요 소비지에 직 는 랜차이즈 을 확 할 수

있을 것임.

□ 건립 치

◦ 산채산업클러스터 진입로 부근의 근성이 양호한 곳으로 함.

□ 도입 시설과 규모

◦ 물류시설, 주차장, 사무실, 시 , 산채 문음식 포함 건평 0.8ha, 부지 5ha

표 5-3. 종합유통센터의 규모

단 : ㎡

시설규모

건물 부지

물류시설 ( 냉, 장, 선별, 입출하) 5,70010,000

사무실 300

시 1,000

2,000직 장 400

산채 문음식 600

주차장 - 38,000

합 계 8,000 50,000

□ 종합유통센터의 운 주체

◦ 『(가칭) 산채생산·유통공사』로 함.

- 기에 상당한 투자자 이 소요되는 과 민간조직이 아직 성장하지 않은 을

고려하여 경상북도나 양군이 출자하는 공기업이 체 투자와 운 을 맡음.

◦ 산채생산자 의회의 기능과 역할 확 에 따라 연차 으로 운 탁과 시설 임

를 하고, 차 민간의 지분을 확 해 제3섹터 방식을 고려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89

3.4. 투자 사업

◦ 유통활성화 사업으로 향후 5년간 185억 원 투자

- 국비 91억 원, 지방비 37억 원, 자부담 57억 원

표 5-4. 유통활성화 투자사업비

단 : 억 원

사업명투 자 액

계 국비 지방비 자부담

산채종합유통센터 설립 170 85 34 51

산채공동출하조직 시설 지원 10 4 2 4

산채 지역 랜드 운 지원 5 2 1 2

합 계 185 91 37 57

4. 산채 가공산업 육성

4.1. 목표

◦ 가공산업 육성을 통한 산채의 생산 확 와 부가가치를 제고함.

- 산채류는 품목별 생산기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장성이 약하여 생체로는 소비가

한정됨. 따라서 가공을 통하여 소비를 늘릴 수 있음.

- 1차 원료농산물의 맛과 양, 형태에 변화를 주는 가공을 통하여 부가가치를 제

고함.

◦ 시장성 있는 가공식품의 개발로 산채 산업 체를 선도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함.

4.2. 기본방향

◦ 산채 가공기술 발 상품개발 수 에 따라 단계별로 가공공장을 입지토록 함.

90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 1단계: 건조를 한 단순가공 공장과 임류·김치류 제조 공장

- 단순가공의 경우도 재 삶아서 건조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냉동, 염장, 살균

등 기술개발을 통해 양과 맛·향 등 미감을 유지하도록 함. 특히 최근 염장 산채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음.

◦ 2단계: 산채음료, 산채 첨가 식품 가공

- 섭취 편의성과 기능을 높인 녹즙 추출과 발효를 통해 소비를 확 하고 부가가치를

제고함. 산채 음료는 유통기한이 요한데 산채 일반음료는 6개월, 젖산발효음료

는 4도에서 9일간 장 가능함.

- 산채가루 등을 첨가한 국수, 과자, 빵, 떡 등 산채 첨가 식품을 개발함.

- 산채 식품을 개발하기 해서는 공통 으로 포장기술, 품질 리시스템, 유효성분

안정화 기술 등 개발이 필요함.

◦ 3단계: 산채의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여 약제 등 신물질 제조

- 산채를 이용한 암 치료제, 돌연변이 억제제 등의 약리작용과 개발 가능성이 연구

되고 있음. 산채의 약리작용으로 돌연변이 억제로는 쑥, 냉이, 개미취, 민들 , 참

나물, 참취, 미나리, 두릅, 고들빼기 등이 유효하며, 항암효과는 두릅, 개미취, 더

덕, 참취, 곰취, 민들 , 선학 (짚신나물)에서 발견된다는 연구가 있음.

- 산채의 기능을 활용한 고기능 상품이 개발되면 산채 수요는 비약 으로 증 할

수 있음.

표 5-5. 식품가공 참고 사례

사 례 사업 내용

모싯잎 송편

· 남 지역의 통음식으로 승되어 떡집에서 소규모로 매하던

것을 2005년부터 지역에서 상업화

· 2010년 재 읍내에 60여개 업체 존재

· 2009년 매출액 100억 원으로 10억 원 이상 업체 5~6개로 추정됨

정선과 강릉 수리취떡

· 수리취잎을 넣어서 만든 떡으로 강원도 통 음식

· 지역에 따라 찹 인 미, 멥 시루떡 등 다양한 형태

· 정선과 강릉에서는 수리취떡 만들기가 단오 행사의 최 체험품목

산채 음식 시피

· 취나물 무침과 볶음 외에 취냉면(즙을 사용), 취나물 잡채(시 치

체) 등 통음식 개발

· 취나물 크림수 와 같은 퓨 음식도 개발

산채 음료 개발

· 산채의 기능성을 살린 음료 개발은 기술 으로 가능

· 부가가치가 높고 량으로 원료 수요가 있으나 마 비용이

과다하여 신 한 검토 필요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91

4.3. 추진 전략

가. 가공산업단지 조성

□ 필요성

◦ 가공공장이 들어서기 해서는 기반이 갖춰진 공장부지가 필요함.

- 산채가공산업은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핵심 요소로서, 산채가공산업과 연구소

유통·물류 시설이 집된 산업단지가 필요함.

□ 가공산업단지의 입지와 규모

◦ 입지는 산채산업 클러스터 내로 함.

◦ 가공산업단지의 규모는 총 15ha로 설정함.

- 1, 2, 3단계별로 가공공장이 입지하게 되므로 공장부지 면 도 단계별로 사용됨.

◦ 가공산업단지는 조성 후 입주업체를 상으로 분양 는 임 함.

표 5-6. 산채가공단지의 규모

업종 부지 면 (ha) 비고 (생산액)

1단계 건조, 임 2.8 200억

2단계 산채 음료, 산채 첨가식품 5.6 400억

3단계 기능성 물질 6.6 470억

합 계 15.0 -

※ 음식료품 제조업 원 단 140㎡/억 원 용

나. 공기업 가공공장 설립 운

□ 필요성

◦ 2차, 3차 가공공장의 경우 민간 가공업체의 입주가 부진할 가능성이 높아 그에

한 안으로 공익 목 의 가공공장 운 이 필요함.

◦ 단, 100% 공공부문이 출자하는 경우 경 의 비효율성이 우려되므로, 민간의 투자

를 유치하도록 하고 장기 으로 민간 지분이 50%가 넘는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으

92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로의 발 을 도모함.

- 민간에서는 농 , 농업인단체, 농업법인, 일반인 등의 출자가 가능함.

□ 지방공기업의 운 리 상

◦ 산채산업클러스터 단지 체의 리와 종합유통센터, 가공공장, 테마 크, 재배단

지의 투자와 부분 운

지방 공기업의 농산물가공 사례 : (주)와인코리아

1996년 설립된 동포도가공 농조합법인을 모태로 2004년에 동군이 출자함으

로써 제3섹터 지방공기업이 됨. 자본 은 75억 원으로 동군이 30%, 2명의 주주

가 50%, 소액주주 20%의 지분으로 구성됨.

지역의 포도, 복분자, 매실을 원료로 와인과 음료를 가공· 매하며 와인열차 등의

사업도 겸함. 원료 조달은 30%는 계약재배, 나머지는 수확철에 농가로부터 직

수매함. 수매가는 운 원회에서 결정하는데 산지 가격보다 높은 수 임.

2005년 클러스터사업으로 선정되어 12억 원(보조 80%, 자부담 20%)으로 와인 숙

성통, 체험시설, 창고, 와인트 인을 마련함.

생산품은 주로 수출하며, 학교 식(포도즙), 벌크 객 매, 체험활동, 와인

장고 여 등으로 역을 확 하고 있음

동군은 포도농가가 직 운 하는 소규모 와이 리를 증가시킬 계획인데, 와인코

리아는 이들과 력체계를 구상하고 있음.

와인코리아는 불리한 지역여건에서 공기업이 가공산업에 참여하여 원료수매를 통

한 농가들의 소득안정, 지역지명도 제고, 객 증가, 지역고용 창출, 수출 등의 효

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다. 가공업체 창업 지원

□ 필요성

◦ 재 경북북부 지역에는 산채 가공업체가 거의 없으므로 창업 지원이 필요함.

- 양군에 산채김치업체인 양그린푸드가 사업을 시작하 음.

- 양 티골 작목반에서 산마늘 장아치와 김치를 만들고 있으나 가내수공업, 체험

형태로서 시 은 하지 않고 있음.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93

□ 지원방안: 자 , 기술, 로, 인력 등 분야

◦ 산채연구소에서 산채가공 련 기술 개발과 보 을 담당함.

- 기 공통기술 외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기술도 특정 업체와 공동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춤.

◦ 산채연구소 내에 창업보육센터를 두어 산채가공업 창업을 한 기술·경 교육과

컨설 을 제공함.

◦ 클러스터 내의 공장부지와 건물을 임 하여 기 자본부담을 이되, 업체가 희망

할 경우 분양하고 취득세 감면 등 세제 지원을 함.

◦ 농림수산식품부의 통·발효식품육성지원사업 등을 활용하여 설비 운 자 을

지원함.

- 원료농산물의 안정 확보를 한 계약재배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생산자단체와

가공업체를 연계해주고 계약선도 지원을 확보해 .

◦ 종합유통센터를 통해 가공업체 생산품의 마 과 홍보를 지원함.

4.4. 투자 사업

◦ 산채가공산업단지 조성 등 3개 사업에 5년간 총 190억 원을 투자함.

- 국비 110억 원, 지방비 30억 원, 자부담 50억 원

표 5-7. 가공산업 육성 투자사업

단 : 억 원

사업명투 자 액

계 국비 지방비 자부담

산채가공산업단지 조성 50 50 - -

공기업 가공업체 설립 운 90 40 10 40

민간 가공업체 설립 지원 50 20 20 10

합 계 190 110 30 50

94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5.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5.1. 목표

◦ 산채 의 활성화를 통해 산채산업을 산채의 생산· 매·가공· 이 결합된 6차

산업으로 발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 산채를 재배하는 산지에서 산채를 심거나 채취하는 체험, 산채 요리와 산채 음료

만들기 체험, 산채 축제 참여, 산지에서의 휴양이나 산책 등산 등 로그

램을 통해 산채 을 활성화 할 수 있음.

- 산채 이 활성화될 경우 수입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방문객을 상으

로 산채와 가공품을 매할 수 있고, 산채의 맛과 효능 등을 홍보하는 효과 한

거둘 수 있음.

◦ 산채테마 크 등 산채를 활용한 시설을 개발함으로써 농 의 역을 확

하고자 함.

5.2. 기본방향

◦ 산채 도농교류 사업의 기본방향은 체험 을 한 산채 테마 크 조성과

도농교류 활성화 등 두 종류의 사업을 함께 추진하는 것으로 설정함.

- 산채 테마 크는 공공투자로써 조성하는 심 시설로서 산채산업클러스터 단

지에 입지하도록 함.

- 도농교류 활성화는 산채의 식재·채취·수확 체험과 요리·음료 제조 체험, 주변 산지

에서의 산채·약 등 자연학습 체험과 휴양·산책·등산 등 포츠 활동을 산채 재

배 마을·농장에서 마을 단 는 농장 단 로 실시함.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95

5.3. 추진전략

가. 산채 테마 크 조성

□ 필요성

◦ 산채만으로는 상이 되기 어렵기 때문에 산채를 테마로 하여 볼거리·놀거리·

배울거리·살거리·먹을거리·즐길거리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할 필요

가 있음.

□ 산채 테마 크의 입지와 구성

◦ 산채 테마 크의 입지: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지구 내에 입지

◦ 산채 테마 크의 구성: 산채 재배단지를 심으로 시· 매·가공·학습· 락·편의

시설 등 부 시설 설치

- 산채의 재배에서 요리에 이르기까지 과정을 체험 학습하고 홍보하는 장소로

활용

- 산채 재배단지에 스 링클러 작업용 모노 일 등을 설치하여 재배용 작업용

으로 활용하는 한편 시설로도 활용

- 인 산지에 수목원과 등산 산책로 등을 조성하여 산채 테마 크와 연계

□ 산채 테마 크의 운 주체

◦ 공공투자로써 조성하는 산채 재배단지,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지구, 공기업 형

태의 산채 가공공장, 산채 테마 크 등을 리·운 하는 공기업을 설립

표 5-8. 산채테마 크의 시설과 규모

시설 종류 부지면 (ha) 건물면 (ha) 비    고

산채재배단지 10 -시 체험 목 의 국내외 산채 재배, 산지·노지·시설 재배 병행

화훼단지 3 - 경 조성용 화훼 재배

통정원 3 -

동물원 3 - 어린이용 소형 동물원

시설단지 1 0.5사무실, 농특산물 시· 매장, 음식 , 편의 ,

상·홍보·학습실, 산채요리 체험장 등

숙박단지 5 0.1 방갈로 30평*10동

주차단지 10 - 15평*1,000 기

합  계 35 0.6

96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나. 산나물·송이·산양삼 축제와 도농 교류 활 성화

□ 필요성

◦ 축제를 통해 산채·송이·산양삼 등과 지역 농·특산물의 매를 진하고, 수입

을 얻기 해서는 더 많은 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축제의 내용과 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축제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 축제는 특정 시기에 단기간 개최된다는 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마을과 농가 단

에서 평소 도농교류를 실시하여 농 의 기회를 확 하도록 함.

□ 축제 도농교류 로그램

◦ 축제의 로그램은 주민이 주연이 되고 외지 방문객이 객이 되며, 연 인의 공연

등이 주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게 요함.

- 공연 주의 로그램보다 체험과 학습, 참여 심의 로그램

- 산채 등의 채취 체험

- 산채 등의 요리·음식료품 경연 회

- 산채 등의 재배법·요리법 강습

- 산채 약 찾기 회

◦ 마을 는 농가 단 에서 일상 으로 실시하는 도농교류 로그램은 산채 수확기

만이 아니라 4계 내내 계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요함.

- 산채의 재배 체험: 산재의 식재부터 수확까지 필요한 작업의 체험

- 각종 산채와 약 ·수목 찾아보기: 산과 들에 자생하는 식물에 한 학습 체험

- 산채 요리 가공 체험 등

◦ 산채 축제 도농교류 활성화를 한 코스· 시설 개발 필요

다. 산채 문음식 개설 산채요리·식 단 개발 보

□ 필요성

◦ 산채의 소비를 확 하기 해서는 무엇보다 산채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과 요리법

등을 개발·보 할 필요가 있음.

- 지역 내에 국 으로 유명한 산채 문음식 이 있을 경우 산채와 지역을 홍보하

는 효과가 큼.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97

□ 산채 문음식 의 개설

◦ 산채 문음식 의 입지: 산채 테마 크의 지원시설과 연구·유통·가공단지의 종합

유통센터 내에 개설

◦ 산채 문음식 의 운 은 민간에 일임하며, 그 종사자를 연계· 력 로그램으로

서 산채요리 강습·체험의 강사로 할 수 있을 것임.

□ 산채요리·식단 개발

◦ 산채 요리·식단의 개발과 강습 체험 등을 해 산채 테마 크 내에 상설 로그

램과 시설 문인력을 배치하도록 함.

- 산채 요리·식단의 개발은 외지의 요리 문가를 활용할 수 있음.

◦ 산채 재배와 채취 요리 체험을 한 도농교류사업 개

- 도농교류에 필요한 음식·숙박시설 설치 지원

5.4. 투자 사업

◦ 산채 테마 크 조성 등 3개 사업에 총 140억 원을 투자함.

- 산채 테마 크 조성 사업 130억 원, 산나물 축제 활성화와 산채 음식 개발 도농

교류 지원에 각 5억 원

- 국비 107억 원(76.4%), 도·군비 32억 원(22.9%), 자부담 1억 원(0.7%)

표 5-9. 산채 도농교류 투자사업비

단 : 억 원

사업명투자액

합계 국비 도·군비 자부담

산채 테마 크 조성 130 100 30 -

산나물축제 활성화 5 4 1 -

산채 음식 개발 도농교류 지원 5 3 1 1

합  계 140 107 32 1

98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6.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6.1. 목표

◦ 산채 연구·개발의 당면 목표는 재배 품목 선정을 한 시험재배와 응시험 고

품질·생력 재배기술의 개발·보 이지만 궁극의 목표는 육종에 의한 우수 품종의 개

발·보 , 2·3차가공 기술 개발과 상품화, 기능성 신물질의 추출 등임.

- 기능성 신물질 연구 단계에서 산채 외에 약 도 연구 상이 될 수 있음.

6.2. 기본방향

◦ 산채 연구·개발을 해서는 경북 양군에 국립 산채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설정함.

- 산채연구소는 국립 외에 도립이나 시·군립으로도 가능하나 국립연구소 설립을 기

본방향으로 설정하 음.

6.3. 국립산채연구소 설립

□ 필요성

◦ 연구소 설립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음.

- 산채의 재배에서 가공에 이르기까지 재배품목 선정 고품질·생력 재배기술 개

발·보 , 우수 품종 개발을 한 육종, 산채 수요 증 와 고부가가치 획득을 한

가공, 기능성 물질 추출 등 첨단 기술 개발 등 각 분야에 걸쳐 지속 인 연구·개발

을 해서는 산채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 산업체·학계·행정기 ·연구소 등이 집 된 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발 을 해서

도 연구소가 핵심 시설로 반드시 필요함. 산채연구소는 연구·개발 기능 외에 입주

기업에 한 창업 보육과 컨설 , 직원에 한 교육·연수, 기업에 시험·연구 시설

과 장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임.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99

□ 산채연구소의 설립주체

◦ 산채연구소는 국립·도립·군립 등이 모두 가능하나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국립연구소

로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 기존 도립 군립 품목연구소의 연구 인력은 <표 5-10>에서 보듯이 4인으로서

겨우 시험재배 정도에 그칠 뿐 본격 인 연구는 하지 못하는 수 이며, 양구

통일농업시험장의 경우 가공 연수시설을 갖추고도 연구 인력이 없어 가동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임.

- 이처럼 소규모의 도립·군립 연구소를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할 경우 연구를 제 로

할 수 없어 인력과 장비의 유휴와·낭비를 래하게 되므로 연구소의 규모를 일정

규모 이상으로 해야 하며, 이를 해서는 국립연구소로 설립해야 함.

- 북 익산시에 국가식품클러스터, 주 역시에 「세계김치연구소」 등 서쪽 지역

에 설립될 국립연구소와 형평을 해서도 산채연구소를 국립연구소로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함.

표 5-10. 도립 군립 품목별 연구소 개황

고창 복분자시험장(군립) 양구 통일농업시험장(군립) 강원도농업기술원 평창분소

설립경과 ▪1997 복분자시험장 공

▪1999 복분자시험장 개

▪2002 경지역지원사업신청

▪2005 부지선정

▪2008 공

▪1992 산채시험장 인가

▪1993 청사 공

연구인력  정규직 4인  정규직 2인, 계약직 2인  연구직 2인, 기능직 2인

연구분야 ▪재배: 연작피해, 수형개발,

친환경자재

▪육종: 고당도, 조기개화,

무 자 가공

▪재배: 60여종 산채

시험재배

▪육종: 형질고정 안됨 

▪가공: 연구인력 없어 방치

▪재배기술

▪품종개발

▪가공이용

연구시설

시험포장

▪건물 5동 528평(연구동,

리사,  온 장고 27평)

▪건물 6동 350평(본 ,

창고, 온 장고 44평,

리사)

▪건물 6동 255평

온실

시험포장

▪온실 100평

▪포장 2,600평(노지 1,550,

유 자원 포장 600,

비가림 450)

▪온실 4,254평(유리온실 72,

자동화하우스 467, 비닐하

우스 2,264)

▪유 자자원포장1,451)

▪포장 3.6ha

연구장비 ▪시험기기 73종 등 장비

146종

▪시험기기 70여종

▪농기계

100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동향

◦ 세계김치연구소 개요

- 치: 주 역시 정( 재는 한국식품연구원 부설로 경기도 성남시 소재)

- 설립 개소식: 2010년 3월 10일

- 한국 식품연구원의 부설 연구소 형태로 출범하여 기존 인 라 활용

- 2010년 기본실시설계 거쳐 2011년 완공 정

◦ 투자계획: 건축사업비 총 484억원( 액 국비)

2009 2010 2011 2012 2013 합계

30억원 100억원 54억원 150억원 150억원 484억원

◦ 황 애로사항

- 황: 인력 25명 확보(2010년 9월)

- 애로사항: 건축공사 추진, 연구소 운 , 인력 등을 한 소요 산 확보 필요

◦ 향후 계획: ‘발효식품 장기 책’수립과 ‘김치산업진흥에 한 법률(안)’마련

□ 산채연구소의 연구 분야와 기능 시설

◦ 산채연구소의 입지 : 산채산업클러스터 심시설지구의 연구·유통·가공 단지 내

◦ 산채연구소의 연구 분야: 산채연구소의 연구 분야는 <표 5-11>에서 보듯이 재배품

목 선정을 한 시험재배와 고품질·생력 재배기술 개발·보 부터 육종·가공 기

능성 신물질 추출에 이르기까지 분야를 망라하게 되며, 발 단계에 따라 기에

는 생산 확 를 한 시험재배와 재배기술 종자보 등에 주력하나 궁극 으로

는 품종개량, 2·3차 가공 신물질 추출에 한 연구에 주력해야 함.

- 재배기술 보 의 일환으로 산채 재배 기술이 좋은 농가의 재배 기술 수집 활용

- 산채연구소의 연구 외에 외부 연구 인력을 활용한 연구용역 병행

제5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조성 및 발전 방안 101

표 5-11. 산채 연구 분야와 내용

내  용

재배

▪ 재배품목 선정을 한 시험재배

▪ 노동력을 감할 수 있는 재배법

▪ 임간재배 등 자원을 활용하면서 고품질 생산을 한 재배법

▪ 합한 비료와 농약의 개발과 사용 기 , 친환경재배 기술

육종▪ 유 자원 확보 품종 개발과 보

▪ 외국 산채 허 , 약용작물의 자료 수집과 응 시험

가공▪ 생 이고 식감을 유지하는 장가공 포장 기술

▪ 산채 첨가 식품 개발

기능성 ▪ 산채의 기능 기능성 물질 추출 연구

◦ 산채연구소는 연구 기능 외에 산채가공단지에 입주하는 기업에 해 창업 보육, 교

육·연수·컨설 , 시험·연구 행 장비 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 산채연구소의 시설: 시험포장(노지, 시설), 재배기술 품종개량 연구실, 가공이용

연구실, 리실, 연수시설 등

6.4. 투자 사업

◦ 국립산채연구소 설립 사업비로 총 400억 원을 투자함.

- 국비 350억 원(87.5%), 도·군비 50억 원(12.5%)

표 5-12. 국립산채연구소 설립 투자비 조달 내역

단 : 억 원

사업명

투자액

합계 국비 도·군비 자부담

산채연구소 설립 400 350 50 -

합  계 400 350 50 -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투자계획

2.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을 위한 추진체제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05

제6 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을 한 투자계획

1.1. 투자 사업의 사업별·재원별 투자 규모

◦ 제5장에서 제시한 분야별 투자 사업의 사업별 투자 규모를 총 하면 <표 6-1>에서

보듯이 총 1,035억 원에 달하는바 이를 분야별로 정리하면 가장 많은 사업비가 투

자되는 분야는 1개 사업(산채연구소 설립)으로 구성된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분야로서 총 사업비의 38.6%를 차지함.

- 산채 재배 생산 확 분야: 3개 사업에 총 120억 원(총 사업비의 11.6%)

- 산채 유통 개선 분야: 3개 사업에 총 185억 원(17.9%)

- 산채 가공산업 육성 분야: 3개 사업에 총 190억 원(18.4%)

- 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분야: 3개 사업에 총 140억 원(13.5%)

- 산채 연구·개발 기능 강화 분야: 1개 사업에 총 400억 원(38.6%)

◦ 5개 분야 13개 사업 투자 규모가 큰 사업은 산채연구소 설립 400억 원, 산채종합

유통센터 설립 170억 원, 산채 테마 크 조성 130억 원, 집단재배단지 조성 100억

원, 제3섹터형 공기업 가공업체 설립·운 90억 원 등의 순임.

◦ 5개 분야 13개 사업에 투자되는 총 1,035억 원의 재원별 비 을 보면, 국비 708

억 원(68.4%), 도·군비 173억 원(16.7%), 자부담 154억 원(14.9%) 등임.

- 자부담의 비 이 높은 사업은 제3섹터형 공기업 설립(총 사업비의 44.4%), 집단

재배단지 조성(40.0%), 산채종합유통센터 설립(30%) 등임.

106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표 6-1. 투자 사업의 사업별·재원별 투융자 규모

단 : 억 원

사업명투자액

합계 국비 도·군비 자부담

집단재배단지 조성 100 40 20 40

산채학교·산채연구회 육성 5 4 1 -

산채 시설 지원 15 6 3 6

소 계(산채 재배 생산 확 ) 120 50 24 46

산채종합유통센터 설립 170 85 34 51

산채공동출하조직 시설 지원 10 4 2 4

산채 지역 랜드 운 지원 5 2 1 2

소 계(산채 유통 개선) 185 91 37 57

산채가공산업단지 조성 50 50 - -

공기업 가공업체 설립 운 90 40 10 40

민간 가공업체 창업 지원 50 20 20 10

소 계(산채 가공산업 육성) 190 110 30 50

산채 테마 크 조성 130 100 30 -

산나물축제 활성화 5 4 1 -

산채음식 개발과 도농교류 지원 5 3 1 1

소 계(산채 ·도농교류 활성화) 140 107 32 1

산채연구소 설립 400 350 50 -

총 계 1,035 708 173 154

1.2. 투자 재원 조달 방안

◦ 총 1,035억 원의 투자재원을 조달하는 방안으로는 3가지를 고려할 수 있음.

①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으로 승인 받아 일 조달하는 방안

② 역지역발 특별회계의 포 보조사업으로 승인 받아 일 조달하는 방안

③ 농림사업, 특회계사업 등에서 해당되는 사업의 보조 을 하나하나 끌어모아

조달하는 방안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07

◦ 3가지 방안 ①의 방안이 가장 어렵고, ②와 ③은 어렵지 않으나 보조 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생각됨.

- 그러나 산채산업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는 데는 지장이 없을 것임.

◦ 3가지 방안 ① 국가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계획 승인 방안을 추진하고자 함.

- 산업클러스터 조성 규모와 사업 산 확보 면에서 유리

- 산채연구소와 산채종합유통센터 등 산업클러스터의 운 을 해 국가의지속 지

원 필요

- 익산의 국가식품클러스터 주의 세계김치연구소 등과의 형평

2.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 운 을 한 추진체제

1.1. 산채산업클러스터 전담 추진기구 설치

◦ 역할: 산채산업클러스터 조성·발 에 필요한 제반 행정·기획·연락 업무 담

◦ 필요성: 산채산업클러스터 련 업무 담 인력의 확보와 문성 제고에 필요

◦ 설치부서: 기에는 담인력 배치, 이후 별도의 부서 설치

- 북 고창군의 경우 농업기술센터와 복분자시험장에 담인력을 배치하 다가 최

근에는 군청 조직으로 지역 략과를 설치, 18명이 복분자 련 업무를 담하고

있음.

1.2. 산채산업클러스터 운영협의회 구성

◦ 구성: 산채산업클러스터에 참여하는 산·학· ·연의 표들로 구성

◦ 역할: 산채산업클러스터의 운 과 계되는 제반 업무 의 의견 조정

◦ 필요성: 산채산업클러스터의 련기구 간 력과 조정

108 제6장 산채산업클러스터의 투자계획과 추진체제

1.3.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 설립

◦ 필요성: 공익 목 으로 설립된 산채가공업체 테마 크의 운 에 필요

◦ 형태: 제3섹터형 지방공기업

◦ 출자: 지자체, 농 , 농업인단체, 지역주민 등

◦ 운 상: 산채 가공업체와 산채 테마 크 공공투자로 설치된 산채 재배단지

참고 문헌 109

참고 문헌

강일 외. 1997. “고려엉겅퀴 컴 리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개발”. 「한국식품 양과학회지」제

32권 제6호

강일 외. 1999. “산채류를 이용한 양조간장의 제조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2권 제5호.

경기도. 1935.「朝鮮の 山果と 山菜」. 경기도 임업회.

곽수년 외. 2006. “ 남 남부 지역 5일장에서 유통되는 신선 산채류의 종류와 규격”. 「한국인간·식물·

환경학회지」제9권 2호.

권순배. 2005. 「천연물질을 이용한 산채류 주요 병해충의 방제 연구」. 농 진흥청.

권 제. 「행정사례: 산채류 포장상품화사업 추진사례」. 「지방행정」제33권 제374호. 강원도 정선군.

김갑태 외. 1997. “가리왕산의 산채 분포에 한 연구”. 「한국임학회지」제86권 제4호.

김동욱 외. 2003. 강원의 약 와 산채.

김동환. 2009.「농식품 이제 마 으로 승부하라」. HNCOM.

김원배. 1995. “산채류 시설재배 황과 재배기술”. 「시설원 연구」 제8권 제1호.

김정호 외. 2005. 「지역농업클러스터 발 방안」. 한국농 경제연구원.

김 주 외. 2007. “국내 문헌에 나타난 항균, 항산화, 항암 항당료성 산채의 종류와 내용”. 「한국

인간·식물·환경학회지」제10권 제2호.

남유경 외. 2005. “국내 자생 산채류의 연구 황과 개발 가능성”.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제8권

제1호.

농림부. 2003. 「두릅을 이용한 신기능 식품소재 제품개발 연구」. 최종연구보고서.

농식품부. 2000. 「섬쑥부쟁이, 참취, 곰취의 식품소재화 가공제품 다양화 기술 개발 : 최종연구보

고서」. 농림부.

농 진흥청. 1996. 「산채(어수리, 곰취) 연화재배 곰취김치 가공기술 개발」. 경상북도 양군 농

지도소. 농 진흥청.

농 진흥청. 1997. 「주요 산채 곰취의 양액재배 기술개발 연구 (제1차년도)」. 농 진흥청.

모 문 외. 2006. 「산지 농업소득자원 발굴 육성 연구」. 농 진흥청 강원도농업기술원.

박윤 외. 2005. “자생 산채에 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제8권

제4호

박희 . 2009. “산채 자원의 기능성물질 연구 동향”. 「원 과학기술지」제27권 별호1.

배종향. 2005. “남부지방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의 유통 실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16

권 제3호.

산림청. 2005. 「유용 생식용 고품질 산채자원 개발」. 산림청.

산림청. 2006. 「임업경 실태조사: 양묘업, 산채재배업, 버섯재배업」. 산림청.

산림청. 2010. 「2009 임산물생산조사」. 산림청.

상지 학교. 2006. “고원농업과 친환경 원 작물”. 상지 학교 국제친환경유기농센터.

110 참고 문헌

서울 학교, 농림수산부. 「한계농지를 이용한 고소득 임산작목 개발과 농산 주민의 소득 증진방안

연구」. 서울 학교. 농림수산부.

석성근. 2007. “국토정 앙 양구 산채클러스터구축사업”.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손병태. 1991. “경북동남방언의 산채유명에 하여”. 「한민족어문학」제19권.

승 호. 2007. “산채의 소비행태 분석”. 강원 학교 석사 학 논문.

신 철 외. 1992. “자생 산채류의 개발에 한 연구”. 「농업과학연구」제10권 제1호.

안수용 외. 2009. “산채류 재배의 동향과 망”. 「원 과학기술지」 제27권 별호1.

안수용. 2006, “산채특화의 가능성과 비 , 지역의 비 찾기” . 2006년도 양구군 지역리더교육 자료.

지역재단.

양원모. 1986. “산채의 성분에 한 연구”. 「한국식품 양과학회지」제15권 제4호.

오덕환 외. 1999. “산채혼합음료에 한 감마선 조사의 선도유지효과”. 「농산물 장유통학회지」제6

권 제1호.

오 애 외. 1992. “산채류의 보존과 일본식 임”. 「식품과학지」 제4권.

윤여창 외. 1998. “산채류의 수 측 경제성분석” . 「산림경제연구」 제6권 제1호.

윤화 , 2005, “단기소득임산물의 소비자 구매형태에 따른 유통활성화 방안에 한 연구,” 식품유통연

구, 제22권 제4호.

이돈구. 1995. “조림·생태·생리·야생동물분과 : 산채의 생산성 조사 연구”. 「95년도 정기총회 학술발

표회」.

이동 . 2009. “울릉도 자생 산채류의 연구·재배·이용 황 개발방안”. 서울시립 학교 석사 학

논문.

이미순 외. 1992. “산채류와 과채류의 이용”. 「농 생활과학」 제13권 제2호.

이미순. 1986. “한국산채류 이용의 역사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제1권 제2호.

이복남. 1993. “산채류의 생산과 경 모델”. 「시설원 연구」 제4권 제1호.

이 득. 2009. 3. 「주머니속 나물도감 생태탐사의 길잡이(9)」. 황소걸음.

이 득. 2010. 3. 「산나물 들나물 백과」. 황소걸음.

이재명. 2009. 「느 하게 친해져도 괜찮아」. 산나물 421. 환크리에이티 컴퍼니.

이택주. 2006 . “유용 생식용 고품질 산채자원 개발”. 산림청.

이 화 외. 2008. “한국생약자원생태도감 : 약 ·산채·야생화·산야 ·농작물. 1. 자엽식물”. 지오북.

임상철. 2009. “산채자원의 이용 가공기술”. 「원 과학기술지」제27권 별호1.

임재하. 1994. “양액재배 응 유망 산채류 선발”. 「한국원 학회 학술발표요지」제12권 제2호.

장 재. 2002. “먹을 수 있는 우리 자생식물(식용산채)”. 「식물·인간·환경」 제5권 제1호.

정차권 외. 1999. “산채류의 이용한 양조간장의 제조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1권 제5호.

조은자. 2000. “산채류의 이용실태에 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15권 제1호.

조자용 외. 2005. “경남․ 남 북 일부 지역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의 유통 실태”. 「원 과학기

술지」제23권 별호2.

주진호 외. 2007. “고랭지 경사 산채류 재배에 의한 토양 유실 감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지」

제40권 제6호.

참고 문헌 111

최주식. 1999. “산채(곰취)의 연 재배 기술”. 「최고농업경 자과정 논문집」 제5권.

편해문. 2006. 5. 「산나물아 어딨노?」. 소나무.

평창산채시험장. 1996. 「시설원 연구」제9권 제2호.

한상섭. 2008. 「산양삼의 생산 황 효율 인 리체계 구축방안」. 강원 학교.

함승시 외. 1989. “식품자원연구실편 : 정선군 산지식용자원 조사 연구 - 제 1 보 산채류의 자원조사 -” .

「농업과학연구」제3권.

함승시 외. 1997.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개발에 한 연구”. 「한국식품 양과학회지」제26권 제1호.

허북구 외. 2005. “산채 나물 자원의 문헌 고찰”. 「원 과학기술지」 제23권 별호1.

허북구 외. 2005. “지리산권역에서 산채류의 유통 이용 실태”. 「원 과학기술지」제23권 별호1.

허북구 외. 2005. “지리산권역에서 산채류의 유통 이용 실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제8권

제2호.

허북구 외. 2006. “충남 지역 5일장과 형 소매 에서 나물용 신선 채소의 매 실태”. 「원 과학기

술지」제24권 제3호.

홍진숙. 1981. “고산지 의 산채를 이용한 통음식에 한 연구”. 세종 학 학원 가정학과 석사 학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