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08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호주 일본 한국

Upload: arte

Post on 22-Jul-2016

260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호주 ․일본 ․한국

Page 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발행인 주성혜

발행일 2015년 1월 31일

발행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기획 교육진흥본부 본부장 정연희

국제교류팀 김세린

국제교류팀 양혜진

등록번호 KACES-1451-C006

ISBN 978-89-6748-139-1 93370

문의 Tel : 02-6209-5900Fax : 02-6209-1393E-mail : [email protected]

ⓒ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는 반드시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저작권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 있습니다.

Page 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서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은 해외 6개국-프랑스, 영국, 미국, 독일,

호주, 일본-과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따라 조사, 정리한 정책사

업 및 프로그램 운영 사례입니다.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보고서>를 통해

각 국가별 정책 흐름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했다면, 본 자료집은 그 실제 사례와 현

황을 살펴보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는 각 국가들이 다른 환경과 조건 속에서 어떻게

각각의 현실에 맞게 정책을 도출하고 현실화시키는가를 알아봄으로써 국내에 반영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국가에 따라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영역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거나 사회맥락

에 따라 차이가 있어 학교 관련 문화예술교육을 제외하고 사회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영역 전반의 사례를 다루었습니다. 지역의 수많은 문화기반시설에서

일상의 공동체를 강화하고 삶의 토대를 지지하는 보편적이고 일상적인 문화예술교

육, 비교적 향유기회가 적은 사람들을 위한 정책 사업이 이에 해당됩니다.

본 자료집은 우리나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시설 기반 프로그램’, ‘생애주기가 반영된 취미와

여가 프로그램’, ‘소외계층 및 소수자 참여 프로그램’과 각국의 ‘문화적 특성이 반영

된 프로그램’ 등 5개 영역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를 다시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

의 실행형태에 따라 ‘문화기반시설’, ‘소외계층’, ‘지역 공동체’라는 3개의 범주로 정

리되었습니다.

제시된 사례는 각 부처의 정책 자료, 사업 혹은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기본 자료

를 수집하였습니다. 또한, 보도자료, 서면인터뷰, 간담회 등을 통해 구체적인 운영현

황을 조사하였으며,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의 추천을 받아 실었습니다.

본 자료집에 실린 총 7개국의 22개 사례는 구성상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지만, 접근

에 따른 다양한 정책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통적인 키워드라도 각 국가별로

전개되는 양상이 다르기 때문에 각 국가의 특징을 비교하며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보고서>와 함께 본다면, 각 국가별 정책과 사례를

한 눈에 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각 사례 뒤에 실어놓은 홈페이지를 방문

하면 보다 자세한 상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본 자료집이 현장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와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한, 우리나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가야할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면 더할 수 없이 좋을 일입니다.

Page 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CONTENTS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009 문화적 맥락으로 설계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011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추상적 목표

012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주체와 대상의 모호한 경계

013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추진체계로 견인되는 사회적 가치

014 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경향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21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22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24 사례 1. 몽트뢰이 민중의 집

027 사례 2.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

030 사례 3. 가상의 공간들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35 영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36 영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38 사례 1. 도서관 기반 노인교육

040 사례 2. 네트웍스

042 사례 3. 아트 비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47 미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48 미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50 사례 1. 음악으로 연결하기

052 사례 2. 군(軍)에서의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

054 사례 3. 청소년 예술기업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59 독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60 독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62 사례 1. 클라이스트 박물관

064 사례 2.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

066 사례 3.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71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72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74 사례 1. 마음의 이야기

076 사례 2. 모래길

078 사례 3. 달콤한 꿈 만들기

080 사례 4. 빛리듬놀이

Page 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CONTENTS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85 일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086 일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088 사례 1.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

090 사례 2. 마음의 부흥

093 사례 3. 카이츠카 시립 야마테지구 공민관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099 한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맥락 및 특징

100 한국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요내용

102 사례 1.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

104 사례 2. 경자씨와 재봉틀

107 사례 3.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표목차

014 표 1_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4 표 2_ 영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5 표 3_ 미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5 표 4_ 독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6 표 5_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6 표 6_ 일본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17 표 7_ 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025 표 8_ 몽트뢰이 민중의 집의 주요 프로그램

028 표 9_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의 주요 프로그램

038 표 10_ 뉴캐슬의 성인학습서비스 소개

039 표 11_ 맨체스터의 화려한 외출 소개

050 표 12_ 네온아츠 소개

051 표 13_ 자장가 프로젝트 소개

052 표 14_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 프로그램

055 표 15_ 청소년 예술기업 참여 절차

062 표 16_ 클라이스트 박물관의 대상별 문화교육 프로그램

102 표 17_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 프로그램

104 표 18_ 경자씨와 재봉틀 프로그램 세부내용

Page 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연구진

연구책임자권순석 문화컨설팅 바라 대표

최혜자 문화디자인 자리 대표

공동연구자김인설 전남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목수정 재 프랑스 연구자, 기자

백유진 문화디자인 자리 연구원

안나경 국립현대박물관 전시 코디네이터

우지연 한국문화의집협회 사무처장

이원재 문화연대 문화정책센터 소장

이은희 재 영국 연구자

정진애 재 일본 문화기획자

함덕문 문화컨설팅 바라 연구팀장

Page 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은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사례 연구」(한국문화예

술교육진흥원. 2015년 2월 발행)의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본 자료집에 수록되었음

Page 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9

문화적 맥락으로설계되는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사회맥락과 정책 지형의 차이가 존재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어느 국가나 근대교육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 의

도와 목표가 명확하며 분석의 틀을 공유하기 쉬움

그러나 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정책적 설계 자체가 쉽지

않으며, 그 효과성을 확인하는 과정 역시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모호한 기

준으로 인해 항시적인 의심의 대상이 됨

한국은 비교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사회를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있는데, 이는 정책 설계와 집행의 한계를 일정하게 안고 있음을 의미함

그러나 정책은 사회적 맥락에 기초하므로 문화예술교육에서 사회 영역을 특화한다

는 것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음

명칭이 없을 뿐, 모든 국가에 존재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일반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이라는 명칭이 서구 사회에서는 낯선 용어이며, 더구나 사

회문화예술교육이라는 영역은 익숙하지 않은 영역 구분임

우리 사회의 사회문화예술교육과 같은 영역을 찾기 어려울 때가 있는데, 서구 사회

에서 문화예술교육 영역은 전체 사회를 의미하며 그 중 전략적으로 특화된 것이 학

교 영역임

다만 “교육”이라는 명칭은 사회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시민들의 문

화적 창의성을 높이고, 협력하는 공동체의 이상을 가진’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활동”

이라는 용어로 사용하고 있음

활동으로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이루어지는 곳

대부분의 지역 문화정책에서는 사회적인 문화 활동을 다루고 있으며, 본질적으로

노동과 일의 균형 및 여가와 휴식의 권리가 보편화되어 있는 사회의 사회문화예술

교육은 여가, 시민활동, 공동체 영역에서 다루고 있음

이는 시민의 자발적 문화 활동 영역에 속함을 의미하는데, 프랑스의 경우 2014년

12월 기준으로 전국에 청소년문화의집(MJC)이 1,383개 존재함

Page 1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 이런 시설은 생활문화시설로서 청소년문화의집, 문화활동센터, ◯◯◯(지역이름)센

터 등으로 다양하게 불림

이 시설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는데, 주민들의 요구에 맞추어 일상적이고

다양한 아틀리에가 운영되고 활동이 진행됨

또한 움직이는 활동(outreach program)은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활동방식임

미국의 경우 다양한 찾아가는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있는데, 주로 거주지 주변이나

거리, 요양원, 군부대 등 다양함

즉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장소는 시민이 있는 곳 어디에서나 이루어짐

공연장·박물관·미술관 등 시민의 세금을 지속적으로 받아 운영하는 문화기반시설

은 시민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특별한 공헌을 해야 하는 곳임

이러한 곳은 참신한 프로그램을 매번 실험하고 있으며 사회적 가치를 높이는 다양

한 방식의 활동으로 예술의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중책을 수행하고 있음

독일에서 있었던 베를린 필하모니의 프로젝트나 미국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의 지속

적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그러한 예임

사회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으로 요구되는 한국사회의 맥락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은 그 확대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제기 받아 옴

한국 사회는 서구와 같이 대대적인 사회 문화운동이 있었던 것이 아니며, 문화적인

공감대가 높은 사회분위기가 아니기 때문에 정책의 중요성이 분명함

일반적으로 유럽이나 영미권 국가는 1960년-70년대 문화적 격변을 통해 사회적 역

량이 한층 높아졌음

독일의 경우, 문화사회로의 지향을 가진 문화교육이 광범위하게 펼쳐져 있고, 이를

수행하는 중심시설로서 13개주 지역협회와 450개 이상의 사회문화센터가 있음

1970년대 사회운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이 시설들은 공립, 민간을 망라하여 그 활동

에 있어 공공성을 인정받는 지원의 대상임

그런 기초 위에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수행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 사회와 단순 비교

하기에 한계가 있음

Page 1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11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추상적 목표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불가능한 목표 “모두”

대개 문화예술교육정책은 “모두를 위한” 혹은 “전 국민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정책을

표방함

이는 한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은 보다 적극적으로, 다른 국가의 경우도 빈번하게

등장하는 정책적 수사임

그러나 “모두” 중에서 학교라는 영역에 있는 학생들은 쉽게 정책 사업에 노출될 수

있지만, 학교 밖 청소년이나 젊은 청년만 해도 정책적 대상에 포섭하기 쉽지 않음

하물며 “모두”의 범위를 사회 전체로 본다면 더욱 그러함.

때문에 전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애주기별 접근을 취하는데 이 역시

전체를 포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생애주기에 대한 기준

도 다양화되고 있음

그 사회의 이상을 담는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따라서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에서 말하는 “모두”는 이상적 표현이며, 정책적 비전을

표방하는 성격이 강함

따라서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애주기별 접근 +

직업적 접근 + 공동체적 접근 + 시설별 접근 + 사회적 이슈로의 접근을 시도하는

등 다양화하고 있음

최근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활동 즉, 스스로 배우고 즐기며 관계

를 맺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음

이는 약간의 정책적 조건만으로도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취향의 공동체에 대한

접근방식임

영국의 경우, 영국 전역에 자발적인 아마추어 문화예술 활동이 활성화되어 있는데,

정부는 이들의 자발적 예술네트워크(Voluntary Arts Network, VAN)의 교육, 워크

숍, 활동, 홈페이지 유지 등을 지원함

정부는 문화예술교육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데, 2008년 정부보고서는 전국 약 5

만개의 아마추어 동아리에서 약 9백 4십만 명의 인원이 아마추어 예술가나 문화자

원봉사자로 활동한다고 밝힘

영국 정부는 문화예술 활동을 통한 공동체는 지역 공동체를 강화하고 개인에게는

자신감과 소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함

Page 1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2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주체와 대상의모호한 경계

정부 주도성과 민간 주도성 사이의 주체/대상의 좌표

각 사회의 맥락에 따라 주체의 역할과 대상의 위치는 차이가 있으며, 협력적 관계

의 형식과 내용이 달라짐

정부가 주도적일 경우와 민간이 주도하면서 정부가 정책적 조정자의 역할을 수행

할 때에는 주체와 대상의 구분선에 차이가 존재하며, 때에 따라서는 주체와 대상의

경계가 흐려지기도 함

특히 학교문화예술교육과 달리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그 경계가 더욱 모호함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한 요구자 발굴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 대상자를 발굴하고 이들을 참여시

키는 다양한 방안을 고안하고 있음

그러나 가장 보편적인 이 구분은 사람의 생애를 정형화한 구조로서 20세 이전의 과

정과 60세 이후의 과정에서는 일정한 패턴이 있지만 전체를 포괄하기에는 역부족임

그럼에도 광범위한 대상을 구분하는 국가적 정책 단위에서 접근할 때 유효함

일상의 구체적인 단위로의 접근을 위해서는 지역 커뮤니티로의 접근을 시도하게 됨

특히 장애인, 이주민만을 정책의 대상을 접근하는 것을 차별적 태도로 인식하는 서

구사회에서는 커뮤니티적 접근이 보편적이면서도 유효한 접근임

거버넌스 혹은 파트너십의 모호성

현대의 정책은 거버넌스 혹은 파트너십을 통해서 정책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내용적으로 복잡하고 중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

그러한 협력이 없으면 다원화된 현대사회의 요구에 맞는 정책적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움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부처 간 협력이나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는

데, 이 역시 주체의 확장 과정이기도 함

따라서 네트워크 된 주체와 다양화된 대상이라는 현상은 주체와 대상의 경계를 모

호하게 만들고 있으며, 근대적 교육과정이 아니라 활동 중심의 설계는 더욱 경계

구분을 흐리게 하고 있음

Page 1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13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추진체계로 견인되는사회적 가치

지원사업의 성격과 사회적 성취

사회문화예술교육이 정책적 의미를 사회화하기 위해서는 추진체계를 통해 견인하게

되는데, 지원사업의 기준, 예산 사용의 기준, 파트너십 구축방식, 시민의 참여방식

등을 통해 이를 관철할 수 있음

이는 어느 국가에서나 보편적인 것으로 미국의 경우도 예외가 아님

미국 보스톤의 청소년 예술 사업(Youth Arts Enterprise) 프로그램을 하는 단체

AFH(Arts for Humanity)는 14세 전후 청소년들과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함

이 프로그램은 메사추세스 주 예술위원회와 보스톤 시 예술위원회의 지원을 받은

사업으로 문화예술을 통한 청소년 자존감 프로그램에 해당되어 지원대상이 됨

이 단체는 청소년을 지역사회 중요 자산으로 보고 청소년들이 문화예술분야의 전문

인으로 진출하는 것을 도와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게 하는 비영리단체임

이로서 사회문화예술교육 지원기관과 수행단체는 상호 파트너십을 통해 사회적 가

치와 존립목표를 달성하는 것임

예술의 사회적 역할의 지속적 확대

현대 사회에서 예술은 예술 본연의 역할과 사회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은 예술 본연의 역할 즉 예술의 수월성을 확인하는 정

책이 아니라, 예술의 접근성을 높이고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확장하는 정책임

단순히 예술 활동을 통해 창의성을 증진하는 것을 넘어 사회적 소통과 삶의 기획력

을 높이는 문제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인문학적인 접근을 통해 문화예술의 역할

을 확장한 것을 의미

문화예술교육정책을 표방하지는 않았지만, 문화활동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일본

의 문화예술교육은 치유와 재생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1995년 발생한 한신 아와지 대지진은 일본 사회의 충격적인 재해였으며, 일본 정부

는 이것의 복구 과정에 문화예술단체의 활동을 지원함

실의에 빠진 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화 NPO의 문화예술교육은 개인적 치유와 회복은

물론 지역재생의 수단으로 그 역할을 높이고 있음

Page 1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4

각국의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프랑스 문화통신부는 ‘국민의 문화권’이라는 비전의 수행자로서 역할을 하며 문화적

혜택을 일상화하는데 역점을 둠

따라서 프랑스 문화통신부는 정책적 설계자의 역할을 강력하게 추진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문화통신부 산하의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된 문화기반시

설이 중심이 되며, 여가 및 지역 사회 활동은 체육청소년부가, 시민의 자발적인 문

화활동 영역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영역에서 다루고 있음

표-1_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문화권으로서의 사회문화예술교육

- 문화정책과 사회문화정책 간에 그어진 경계

- 강력한 시민 문화역량

프로그램의

경향

- 교육중심이 아닌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

- 인문학적으로 설계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 다양한 접근성을 고려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영국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전통적으로 자유방임주의 정책을 중심으로 팔길이 지원정책(Arm’s length policy)

을 취하고 있는 영국이 적극적인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실험적이

며, 영국적 맥락에서는 논쟁적인 사안임

사회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은 문화권에 기초한 보편적인 정책이기보다는

사회적 결핍을 지원하고 사회적 활력을 회복하는 것에 맞추어져 있음

표-2_ 영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정치적 상황과 문화예술 담론화 과정이 격렬하게 진행

- 좁은 의미의 예술과 산업의 기초로서 문화예술교육

- 자발적 아마추어 활동과 사회문화예술교육

- 박물관 등 문화기반시설을 활용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경향

- 시민 참여가 다양한 프로그램

- 사회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 지역 커뮤니티 내 활성화 프로그램

Page 1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15 미국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언제나 문화민주주의에 대한 이상과 문화예술에 대한 민간(시장 포함) 활동 간의 뜨

거운 논쟁이 있는 미국에서 국립예술기금(NEA)는 정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최소한의

기구임

그러나 미국사회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많은 민간 재단에서 광범위하게 수행

하고 있는데,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은 국립예술기금(NEA)의 흐름만으로 파

악되지 않고, 민간재단의 공공지원 영역과 함께 살펴봐야 함

표-3_ 미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문화민주주의의 이념과 커뮤니티 아트의 사회적 토대

- 신자유주의의 이념과 보완적인 문화예술교육정책

- 강력한 시민사회문화 활동

프로그램의

경향

- 국가 차원에서의 장기 정책적 구상에 의한 프로그램

- 지역민 중심의 맞춤형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 지역 내 다양한 주체 간의 유기적 협력 프로그램

독일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강력한 연방제와 나치정부 이후 만들어진 헌법 규정에 의해 문화와 관련된 권한은

지방정부의 소관이며 연방정부는 환경 조성과 여건 마련 등의 역할 수행

그러나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1970년대 광범위하게 확산된 문화운동과 사회문

화센터에 힘입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지방정부는 이를 지원함

1998년 총리실 산하 연방 문화부의 역할 확대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의 환경은 보다

확장됨

표-4_ 독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강력한 지방분권과 연방의 문화적 조율

- 분단과 통일 그리고 새로운 독일적 전통의 시작

- 강력한 시민사회 활동과 문화교육의 전통

프로그램의

경향

- 사회적 반향을 염두에 두고 프로그램 배치

- 일상 커뮤니티 기반 프로그램

- 사회적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Page 1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6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호주 연방의 문화영역은 법무부 관할의 영역으로 주된 문화예술지원은 예술위원회

를 통해 지원하며, 지방정부의 역할이 활발함

이주민과의 화합을 중심 가치에 두는 호주의 다문화환경 속에서, 2013년 창의호주

(Creative Australia)정책을 발표함

이 과정에서 호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예술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졌

으나,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이 깊은 프랑스, 영국, 독일과의 차이가 있음

표-5_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

- 사고해결 중심의 사회문화예술교육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경향

- 댄스와 음악 중심의 프로그램

- 소수자를 위한 프로그램

- 원주민과 토레스해협 섬주민 대상의 프로그램

- 지역 커뮤니티 프로그램

일본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일본의 중앙 문화부처는 문화청으로 문부과학성의 독립청으로 조직되어 있음

주로 문화예술시설 조성과 지원 및 예술활동 지원에 역점을 두고 있다가 최근 시민

문화역량 강화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음

일본의 사회적인 문화예술교육은 주로 공민관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최근 다양한

변화 속에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문화활동과 문화NPO 활동이 활성화됨

다른 국가 대비 문화예술교육정책화 과정이 늦게 이루어지고 있음

표-6_ 일본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평생교육 중심의 사회 환경

- 변화하고 있는 문화정책의 위상

- 지방자치단체와 아트 NPO 활동의 연대

프로그램의

경향

- 어린이 중심의 프로그램

- 치유와 연대의 프로그램

- 지역사회의 과제에 초점을 맞춰가는 프로그램

Page 1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17 한국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의 경향

정책적 설계자의 역할을 하는 중앙정부의 역할에 따라 사회문화예술교육이 문화예

술의 영역을 넘어 사회적으로 확장됨

사회를 전체적 분석하고 사회적으로 필요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정책으로 설계한

후 전국적이고 체계적인 수행체계를 통해 지원하는 구조임

표-7_ 한국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환경 및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구분 분석내용

정책환경

- 문화예술교육의 안정적인 기반과 공감대 확보

- 중앙정부의 역할이 강력한 집중적 시스템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이 설정되고 설계되는 시스템

프로그램의

경향

- 사회문화예술교육 영역의 다양한 접근

- 프로그램 방법의 다양성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시도

- 사회적 문제와 결합하는 방식의 한계

Page 1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1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2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2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21

프랑스 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문화권으로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랑스의 문화적 맥락에서 문화는 만인이 함께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이며, 인간

자체가 문화적 역능을 가지고 있다고 봄. 따라서 사회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교육은 시민 스스로 선택하고 즐기는 활동임.

이러한 문화권을 누리지 못하는 환경과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며, 이것은 단지 향수차원의 문제가 아닌 권리 차원의 문제로 접근됨.

문화정책과 사회문화정책 간에 그어진 경계

1970년대를 거치며 문화활동(action culturelle)과 사회문화활동(action socio-

culturelle)의 영역 간에 분명한 경계가 생겨났음. 체육청소년부(Ministère de la jeunesse et des sport)로 여가를 포함한 사회문화 분야의 업무가 대거 이관되면

서, 문화통신부(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의 정책은 현저

하게 고급 예술창작 촉진이라는 방향으로 기울게 되었음. 그리고 이 간극은 1980년

대 들어서 최대치에 이름.

문화통신부는 문화예술공공기관(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등)에 가능한 한 많은 관객

들을 접근하게 하고, 예술작품들이 가능한 한 많은 장소에서 관객들과 만나는 일을

촉진하는데 초점을 맞추었고 박물관, 미술관 등의 문화예술기관을 통한 문화예술활

동이나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함.

강력한 시민 문화역량

프랑스는 강력한 문화통신부를 가진 나라로서 문화정책이 매우 효율적으로 설계 운

영되고 있음. 1983년 시작된 문화통신부와 교육부(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의 학교문화예술교육 사업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유지되는 것은 사

회문화적 배경과 깊은 관련이 있음.

1936년 인민정부 시절부터 제기된 문화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기반으로 1960~70

년대 유럽의 문화적 격변기 동안 프랑스는 새로운 실험과 정책적 시도를 꾸준히 수

행한 나라임.

따라서 정책의 입안과 집행 그리고 시민사회의 공감에 있어 어느 나라보다 강력한

기반이 존재하며, 정책적 환경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임.

Page 2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22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1960년대 이후 문화예술활동이나 교육활동의 실험성이 증폭되면서 사회적

으로 교육행위는 문화 활동(Activité culturelle), 문화 활성화(Animation

culturelle)라는 용어로 대체됨.

- 1960년-1980년 사이 문화환경의 변화와 현대적 패러다임에 맞는 다양한

논쟁과 활동이 활성화됨.

- 이러한 논쟁과 활동이 1960년-70년대에는 사회적으로 활성화되었으며,

1970년-80년대를 경과하면서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로 제기함.

- 990년 이후 문화다양성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실험이 왕성해짐.

정의 혹은

유사규정

문화예술교육

(E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문화 활동

(Activité culturelle) 문화 활성화

(Animation culturelle)

- 사회문화예술교육이라는 표현은 문화부와 교육

부의 협력관계를 나타내는 각종 문서에서 나오

는 정책용어임.

- 프랑스문화정책은 예술가들을 통한 창작 진흥

과 아마추어 문화 활동의 진작, 사회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사회문화활동으로 이루어짐.

-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인 예술교육은 정

책적으로 문화의 영역보다는 여가 활동의 영역

에 속함.

정책적

목표와 내용

-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문화권의 실현에 있으며 시기별로 성장하는데, 그

시작은 1936년 교육부 장관 쟝 제가 제시한 “모든 시민이 평생 문화와 교

육을 누릴 권리”를 보장하는 정책임.

- 1966년 문화부의 의뢰로 부르디외는 “한 개인의 사회계급이 예술에 접근

하는데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였고, 1968년 프랑스 학회는

장르를 넘는 통섭, 예술가들의 참여, 사회문화 영역과의 지속적 연계성,

현대 예술의 중요성을 담론화하기 시작함.

- 1971년 문화부와 교육부는 공동 문화참여기금을 출연하여 운영하였으며,

1983년 문화부와 교육부 간의 협정으로 학교 실험이 시작되었고 1985년

에는 10여 개에 이르는 예술 아뜰리에가 학교 프로그램에 편성됨.

- 2005년 프랑스의 문화부와 교육부가 함께 발표한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비판적 감수성 함양, 문화적 사회 불평등 해소, 문화적 다양성 강화, 다원

적인 인문적 능력 강화임.

정책의 주체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 주체는 문화통신부, 체육청소년부, 지방자치단

체임.

- 문화부는 예술진흥과 확산을 위한 부처로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문화

시설의 활성화, 학령기 문화예술교육을 함.

- 문화기반시설 지원에 문화예술교육이 포함되어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일부

가 여기서 시행되며, 문화부의 사업을 하는 지방조직 드락을 통해서도 사

업을 수행함.

- 시민의 여가 활동은 체육청소년부 소관인데, 공동체 활동, 시민문화 활성

화 사업 등은 사회문화예술교육 활동의 주요내용임.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체는 문화시설, 문화단체, 각종 협회들로서 공공기

관이거나 비영리 민간단체 및 협회이며, 예술가와 문화예술교육기획자도

일정한 자격을 인정받아 활동함.

프랑스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2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23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대상

- 문화통신부에서는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하

고 있으며, 프랑스 전역에 있는 문화시설을 다양하게 확장하고 활용하여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이 수행되고 있음.

- 체육청소년부에서는 전 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문화적인 여가 활동

으로 보고 체육활동과 함께 다루는데 주로 지역의 시민시설이나 비영리단

체의 활동을 통해 수행함.

정책의

추진체계

- 문화통신부의 지역문화활동국인 드락과 지자체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정

책이 추진됨.

(1977년부터 문화부의 기능이 분권되어 1980년대부터 드락을 확대함)

- 드락은 각 급의 지방자치단체 조직과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시민의

문화활동과 관련된 사항은 기본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 규정함.

- 문화통신부 외에도 시민의 여가활동을 담당하는 체육청소년부의 청소년

문화의집 등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및 협약을 통해 사회문화예술교육

역할을 수행함.

정책의 수단

- 사회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 활동은 문화활동이라는 형식으로

자유롭게 운영되며,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공간은 물론, 지역의 수많은 시

민문화공간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

-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영역의 내용은 아카이빙, 시각 예술, 영화, 프랑스어

와 프랑스의 언어, 공연예술, 문화유산, 책과 읽기, 건축, 환경, 도시 계획,

젊은 관객을 위한 실험 활동, 건축 등 다양함.

- 지원체계 역시 문화통신부, 체육청소년부, 복지부,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하

며, 이를 직접 수행하는 것은 예술가 혹은 문화기획자와 단체들임.

Page 2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24

사례 1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몽트뢰이 민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기관명 몽트뢰이 민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

기관목표 어린이와 성인을 대상으로 몸과 과학, 멀티미디어, 예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을 갖게 하는 교육 시행

주요내용 아마추어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문화센터 및 전시, 공연 공간 운영

특징 지역의 문화예술사회단체와의 연계작업과 예술가 레지던스를 통해

창작과 아마추어 문화예술 활동 교류

전 연령대의 예술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공공지원을 받고,

이로 인한 합리적 가격 정책으로 다른 문화공간에 비해 진입장벽이

낮다는 점이 큰 장점

몽트뢰이는 파리 근교에 있는 인구 10만의 작은 도시로 아프리카에서 온 이민자들

과 영화 및 공연예술 종사자들의 인구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도시임. 시립 예

술영화전용관(Cinéma Méliès)과 7개의 연극 공연장, 4개의 공공도서관, 음악과 무

용에 대한 전문교육이 진행되는 도립예술학교(Conservatoire), 시립 음악원

(l’instrumentarium)이 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104개의 문화관련 시민단체를 주축으

로 다양한 예술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 <아프리카 춤·노래 배우기>, <말레이

시아 춤 배우기> 등 이민자들의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는 프로그램이 특징임.

몽트뢰이 민중의 집(Maison Populaire à Montreuil)은 아마추어 문화예술교육 공

간이자 전문예술인의 창작기지임. 매 시즌 2천3백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며 아이들

과 성인들을 위한 100여개의 아뜰리에를 진행함. 예술가들의 작업 발표 및 공연 공

간으로도 활용되어 시민들은 아뜰리에를 통해 여러 예술교육을 배우기도 하고, 동

시에 예술가들의 작품과 공연을 관람할 수 있음. 여러 축제를 통해서 회원 간 소통

을 확대하기도 함. 예술가들에게 강의 기회와 함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

활성화를 지원함.

프로그램은 시각예술/디지털예술/음악/철학/인문과학/무술/언어/춤/연극/체조/신체

훈련/기공 등 예술, 인문,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이름. 주요 프로그램은 연간 단위

로 구성되며, 회원가입비 15유로(한화 약 18,700원)와 별도로 강의 한 개당 몽트뢰

이 주민의 경우 평균 135유로(한화 약 168,500원), 주민이 아닌 경우 평균 169유로

(한화 약 219,700원)으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음. 이외에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방학

Page 2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25

기간에는 1~2주 단위의 집중 연수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브런치

철학카페>나 <인문학자와 함께하는 토론회> 등 무료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음. 주

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음.

표8_ 몽트뢰이 민중의 집의 주요 프로그램

분야 프로그램

시각예술 수채화, 데생, 조각, 모자이크, 도자기, 디지털사진, 필름 사진

디지털예술 3D애니메이션, 시네마, 그래픽디자인, 인포그래픽, 비디오몽타쥬, 컴퓨터음악

커뮤니케이션 블로그 만들기, 인터넷사이트 만들기, 인터넷 활용 입문

언어 영어, 아랍어, 중국어, 스페인어, 일본어

음악 합창, 악기(드럼, 클라리넷, 기타 등), 음악학, 재즈 밴드, 쳄버뮤직 등

연극과 무용 연극, 아프리카 무용, 현대무용, 살사, 탱고, 락앤롤 무용 등

신체훈련 합기도, 카포에라, 체조, 요가, 기공, 스트레칭 등

프랑스는 지역문화단체 및 시민단체가 여러 공공기관으로부터 이중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청소년과 민중교육에 대한 사명을 맡은 정부 공인 협회인 몽트뢰이 민중의

집은 문화부의 문화개발국(Développement culturel)과 드락 일드프랑스(DRAC

Ile-de-France), 일드프랑스 지역의회(Conseil Régional d' ̂̂ile de France), 센생드

니 도의회(Conseil générale de la Seine-Saint -Denis)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고

있음.

홈페이지

http://www.maisonpop.fr

Copyright ⓒ 2015edouard sufrin - artworks

Page 2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26

Copyright ©ⓒ http://windupmedia.org

Copyright ©ⓒ http://dansequivive.blogspot.fr/

Copyright©ⓒ http://www.maisonpop.fr

Page 2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27

사례 2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Le CENTQUATRE­PARIS)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기관명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Le CENTQUATRE­PARIS)

기관목표 대중적이면서 현대적인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가장 동시대적인 예술작품

들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접근성 제고

주요내용 전 세계에서 온 예술가들이 <협력>이라는 작업방식을 통해 예술작품을

생산하고 전시하는 레지던시 공간 운영 및 아마추어 예술 활동 제공

특징 파리의 가장 낙후한 지역인 파리 19구에 위치한 문화센터에

현대예술가들을 받아들여 현대예술의 최첨단 전진기지가 되게

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자부심 고취

예술가들의 작업과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한 공간 안에서 진행

설립연도 2008년

2008년 파리시는 문화협력을 통한 창작 및 전시 공간을 목적으로 복합문화공간인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Le CENTQUATRE­PARIS)를 조성함. 18개의 창작 아뜰리

에, 일반인을 위한 창작 공간, 스튜디오 형태의 200석 소극장과 400석 중극장, 혁

신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인큐베이터 실험실, 예술 서점과 정원, 식당 등으로 공

간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음. 썽캬트르는 숫자 104로 번지수를 의미함.

이 공간이 위치한 파리 19구는 파리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 중 하나로 문화불균형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조성한 곳이 바로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임. 이 공간은 파리

시립장례서비스 건물로 사용하다 한동안 방치되던 곳으로 리모델링하여 문화공간으

로 재개관함.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의 개관 이후 파리 19구 지역은 활력이 되살아

나고 있음.

연간 예산은 1,180만 유로(한화 약 147억3,053만 원)에 달하는데 이중 약 800만 유

로(한화 약 99억8,680만 원)를 파리시가 지원하고 나머지 금액을 공연 ․전시의 입

장 수입과 입주기업(서점, 상가 등), 개인 후원 등으로 충당하고 있음. 더불어 인근

대학과 병원, 사회적 시설 등과 파트너십을 맺어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는 이민자가 모여 살고 있는 지역의 특색을 반영하여 다양한

세계 현대예술가들에게 작업 공간을 내주었음. 다양한 인종만큼이나 다양한 예술가

Page 2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28

들이 협업 작업을 통해 다양한 예술작품을 창작하고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예술가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독특한 점은 상주 예술가들이 정기적으로 오픈 스튜디

오를 개최해야만 한다는 것임. 예술가의 창작과 생산의 과정을 모두 지원하는 대신

이 작품들이 대중들과 직접적인 방식으로 관계 맺기를 요구하며 현대예술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함.

주말 아침에는 유기농 시장이 열리기도 하는 등 지역주민과 어우러질 수 있는 행사

를 정기적으로 주최함. 이 외에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과 공간을 시민들에게 제공함.

표9_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의 주요 프로그램

공간 내용

르 쌍끄(Le Cinq)

- 아마추어 예술활동 서비스 제공- 파리 18구와 19구에 소재하는 문화예술 단체들의 프로그램 진행공간으

로 제공

서점(Le Merle Moqueur)

- ‘철학과 함께 하는 간식’ 프로그램 진행- 오후 4시에 ‘썽캬트르 문화예술센터’ 내 대형 서점에서 철학자와 아이

들이 만나 간식을 함께 나누며 철학 토론을 하는 토요 프로그램

어린이들의 집(La Maison des

Petits)

- 0세부터 5세 이하의 어린이들과 부모들이 예술적 자극을 받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

- 연중 다양한 문화예술프로그램 제공

지역주민들이 지닌 문화의 다양성을 오히려 지역의 특정 문화로 인식할 수 있는 기

회를 마련했음. 지역주민들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 위에 예술가들의 문화적 다양

성을 혼합하여 그것이 오히려 지역의 개성이 되도록 의도한 것임. 문화적 불균형을

좁히기 위해 선택한 물리적 공간 또한 지역의 유휴공간을 재활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음.

홈페이지

http://www.104.fr/

Copyright ©ⓒ Une Racine dans la Ville

Page 2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29

Copyright ©ⓒ milllka

Page 3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30

사례 3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가상의 공간들(Lieux Fictifs)

구분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단체명 가상의 공간들(Lieux Fictifs)

단체목표 이미지에 대한 실험과 사고를 여러 다양한 장소에서 실현

주요내용 교도소에서 영상 분야 아뜰리에 운영

특징 수인들의 정서함양 뿐 아니라 사회 재진입 시 필요한 영상분야

직업교육과 결합

설립연도 1994년

프랑스 법무부(Ministère de la Justice)는 교도소 문화예술 아뜰리에를 위해 연간

250만 유로(한화 약 31억2,087만원)의 예산을 들여 외부 파트너와 함께 600여 개

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단순한 강의 형식의 교육을 넘어 실질적으로 예술을

직접 체험하고 결과물을 발표 및 공연할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해 지역 예술가 및

축제, 예술협회, 예술기관도 적극적으로 연계하고 있음.

가상의 공간들(Lieux Fictifs)은 1994년, 이미지에 대한 실험과 사고를 여러 가지

다양한 장소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두 명의 독립영화감독(캐롤라인 카카발레와 호세

체자리니)이 만든 단체임. 이 단체는 다양한 사람들과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영상 실험을 꾸준히 지속해 왔으며 특히, 법무부와 파트너십을 맺고

교도소 수인 대상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해옴.

법무부, 지방자치단체, 프랑스 재단의 지원을 받아 가상의 공간들이 진행하는 문화

예술 아뜰리에는 사회 재진입 시 필요한 영상 분야 직업교육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

음. 또한 수인들이 자신이 직접 만든 창작물을 통해 삶의 구체적인 목표를 설계하

고, 근본적인 삶의 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유도함.

가상의 공간들은 마르세이유의 보메트 교도소에서 영상음향창작교육 아뜰리에

(ateliers de formation et de création visuelles et sonores)를 운영하고 있음. 교

도소에서 수인들과 진행한 작업인 <2명당 9㎡(9㎡ pour 2)>는 영화로 제작되어

2006년 전국에서 개봉했고, 텔레비전에 방영까지 될 정도로 화제를 모았음.

최근 주목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경계, 안과 밖>으로 2개의 서로 다른 공간-감옥

안에 있는 스튜디오(경계 안)와 마르세이유의 시내와 시 외곽(경계 밖)-에서 동시

Page 3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1. 프랑스의 사회문화예술교육 31

에 진행함. 1년간 2회에 걸쳐 진행한 프로젝트에는 수인들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고등학생들과 지역주민들, 기업 직원들 등이 함께 참여했음. 각각의 아뜰리에에서

‘경계’라는 주제를 두고 한 편의 단편 영화를 제작하고, 제작 중간 단계에서 이 프

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이 한 자리에서 만남. ‘갇힌 사람들’과 ‘자유로운 사람

들’이 각자의 일상의 동선을 설명하면서 그 차이를 발견하고, 서로의 시선을 교환

함. 더불어 ‘자유’와 ‘감금’이라는 개념에 대한 의견을 나눔.

또한 <글쓰기 아뜰리에(atelier d’écriture)>, <교도소에서의 아침식사(Prison

Breakfast)>, <우리에게 일어난 일(Ce qui nous arrive)>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음. 특히, <우리에게 일어난 일>은 알자르 극단(Cie Alzhar)과 함께 연극과 영상

이 결합한 형태의 아뜰리에를 2년간 진행하여 113분짜리 장편 영화로 결실을 맺기

도 함. 이외 이미지 및 영상 실험을 꾸준히 지속하고 있으며 워크숍과 전시회를 통

해 유럽 전역으로 확산시키고 있음.

교도소의 수인들이 참여하는 문화예술 프로젝트는 수인, 예술가, 시민사회가 함께

관계를 이루고 프로젝트의 재정 지원은 정부가 담당함. 가상의 공간들은 이러한 구

조를 ‘다단계 접근 방식’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수인들의 프로젝트를 통해 개인이나

사회를 연구하거나 작품을 창출할 수 있고 이 과정 중 사회화와 교육, 영화제작이

이뤄지기 때문임. 또 결과물을 보급하여 경제효과를 누릴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시민사회에 새로운 화두를 던지거나 함께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임.

홈페이지

http://www.lieuxfictifs.org/

copyright ©ⓒ Lieux Fictifs

Page 3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32

copyright ©ⓒ Cie Alzhar

copyright ©ⓒ Cie Alzhar

copyright ©ⓒ Linda Mestaoui

Page 3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3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3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35

영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정치적 상황과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담론화 과정

영국은 신노동당 정부시절 가장 강력하게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창의

교육(creative education)’은 미래를 위한 정책의 위상을 가짐.

특히 ‘크리에이티브 파트너십(Creative Partnerships)’은 2002년 설립된 이래 2011

년까지 10여 년간 잉글랜드 지역 내 사회소외 계층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중점적으

로 진작시키기 위한 역할 수행.

그러나 2011년 보수-자민 연립 정부에 의해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중단되며, 사회적

으로 많은 논쟁을 빚음.

좁은 의미의 예술과 산업의 기초로서 문화예술교육

영국의 문화예술교육은 미적 성취와 창의성을 중심에 두고 예술 본연의 위상과 미

래 창조산업의 위상을 중심으로 사고됨.

때문에 격렬한 사회변동 속에 예술의 사회적 역할이 강조된 프랑스나 독일과는 성

격이 다름.

자발적 아마추어 활동과 사회문화예술교육

영국의 커뮤니티 아츠는 1960년 이후 지속적으로 지역과 사회 속에서 성장하여 대

안문화(Alternative Arts)로서 아마추어 예술활동을 진작하였음.

2008년 영국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전역에 자발적인 아마추어 문화예술활동

(시민 스스로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다양한 공동체와 연결되고 스스로 여가생활이

나 봉사를 하는 활동)이 매우 활성화되어 있음. 전국 5만개 정도의 자발적 아마추어

그룹의 590만 명의 회원과 350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활동 중임.

이들은 정부의 지원을 통해 자발적 예술네트워크(Voluntary Arts Network, VAN)로

결합되어 있으며, 정부 지원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의 응집, 보다 활기찬

공동체문화, 도시재생에 기여하고 있음.

박물관, 도서관 등 문화기반시설을 활용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영국의 문화예술교육은 전국에 분포된 문화기반시설을 중심으로 다양한 계층이 결

합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수행함.

학교와 연계한 프로그램은 물론, 일반 시민, 가족, 시니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있음.

Page 3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36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프랑스와 달리 영국의 사회교육에서 시민교육의 전통은 길지 않지만, 70년

대부터 교육연극과 커뮤니티 아츠의 실험적인 활동이 전개됨에 따라 사회

문화적 토대가 축적됨.

- 영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제3의 길을 제시한 신노동당의 사회설계의 일

환이며, ‘창의교육(creative education)’이라는 정책 용어를 중심으로 문화

예술교육의 목표 및 방법론에 관한 정책 및 학문적 논의가 축적됨.

정의 혹은

유사규정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문화교육

(Cultural learning)

- 기존의 예술교육은 예술을 통한 감수성 증진과

미적체험을 중시하는 개념임.

- 창의교육은 창의적 사고 기술을 습득하여 향후

지식 기반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예술교육의 개념임.

- 문화교육은 문화예술의 본질적 중요성을 강조

하고 예술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목적(접근성보

다는 수월성)으로 하는 개념임.

정책적

목표와 내용

- 문화미디어체육부는 예술과 교육 사이의 관계를 개발하는데 있어 네 가지

우선순위를 둠.

- 첫째, 배경이 무엇이든, 모든 사람은 예술에 대해 경험하고 참여할 기회를

학교에서든, 학교 밖에서든 가질 수 있어야 함.

- 둘째, 모든 사람은 관심 있는 예술에 대해 깊이 있게 배우고 재능을 개발

할 수 있는 기회를 학교에서든, 학교 밖에서든 가질 수 있어야 함.

- 셋째, 재능 있는 젊은 예술가는 가장 훌륭한 교습의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야 하며 그들의 잠재능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 넷째, 세계수준까지 숙련될 수 있도록 예술분야 종사자를 육성하여야 함.

정책의 주체

- 영국은 문화예술교육에 있어 문화미디어체육부, 교육부, 기업혁신기술부가

관계되어 있지만, 사회문화예술영역은 문화미디어체육부와 영국예술위원회

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함.

-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를 가진 지역연계기관, 영국영화협회, 영국문화재청,

국립예술컨퍼런스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을 연계하거나 직접 시행하기도

함.

-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기반시설 등은 독립적인 지원체계 속에 사회문화예

술교육을 운영함.

정책의 대상

- 영국은 어린이와 젊은 세대를 위한 예술향유와 교육의 기회를 부여하는

것을 영국예술위원회의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음.

- 따라서 학교는 물론 박물관, 미술관이나 지역의 시설에서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사업이 다양함.

- 또한 영국예술위원회는 노인이나 다양한 요구가 있는 공동체를 위한 지원

을 하고 있는데, 이 역시 중요한 정책적 대상임.

영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3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37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추진체계

- 문화미디어체육부는 문화예술교육의 추진을 위해 교육부 및 영국예술위원

회와 협력하며, 사업에 따라 내무부, 문화재청, 예술기관, 지역예술위원회,

영국영화위원회, 국립복권기금 등과 협력함.

- 사업은 성격과 영역에 맞게 중앙 혹은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국

공립시설은 자체사업을 운영함.

- 문화예술교육 범주에 들지 않는 사업도 많으며, 다양한 아마추어 문화예술

활동은 정책지원 범주 밖에서 시민 스스로 문화예술을 학습하고 관계 맺

는 방식을 통해 확장되기도 함.

정책의 수단

- 2014년∼2018년 영국예술위원회 기금 지원의 구조를 보면, 문화예술단체

지원, 박물관지원, 전략기금, 예술보조금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문화예술활

동 지원사업은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음.

- 전략기금사업 등은 소외지역이나 계층 혹은 소수자 및 이민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는데, 사회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은 교육적 방

식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문화활동을 통해 문화예술적 자극과 참여를 촉진

함으로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을 달성함.

Page 3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38

사례 1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도서관 기반 노인교육(Library service arts activities for vulnerable older people)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도서관 기반 노인교육

(Library service arts activities for vulnerable older people)

사업목표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새로운 기술 습득 및 사회적 고립 탈출과 건강 개선

주요내용 맨체스터/뉴캐슬 지역의 도서관과 협력하여 노년층이 즐길 수 있고

어울릴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 제공

특징 정신적, 신체적 건강 개선 및 공동체 의식 고취

지원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의 도서관 발전 계획(Libraries

Development Initiative)

뉴캐슬과 맨체스터시는 상당수의 노인인구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이들 대부

분이 소외된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는 것을 우려해 지역 도서관과 함께 집중 지원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음.

뉴캐슬과 맨체스터시는 교육프로그램 설계에 참여하지는 않았으나 타겟층 구성과

피드백,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서 도서관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는데 참여함.

뉴캐슬 : 성인학습서비스(Adult Learning Service)

표10_ 뉴캐슬의 성인학습서비스 소개

구분 내용

참여기관

- 타인위어 아카이브&뮤지엄(Tyne&Wear Archives&Museums)- 댄스시티(Dance City), 노던스테이지(Northern Stage), 로열극장(Theatre

Royal), 국제생명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Life), 세븐스토리즈(Seven Stories), 발틱현대미술관(BALTIC Centre for Contemporary Art), 글로브갤러리(Globe Gallery), 세이지음악당(The Sage Gateshead)

- 뉴캐슬 시당국의 예술진흥팀

프로그램

1. 신체훈련 : 국제생명센터(International Centre For Life)- 브레인스토밍, 요가, 합기도, 기공훈련 등

2. 스토리텔링 : 세이지음악당(The Sage Gateshead)- 어린 시절에 가장 좋아했던 이야기 나누기, 동화작가인 에니드 블라이튼의 책

으로부터 이야기 발췌하기, 우크렐레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

3. 장소 추억하기 : 노던스테이지(Northern Stage)- 개인적인 이야기를 나누며 가장 좋아하는 것들과 장소에 대한 기억들을 추억

하는 프로그램

Page 3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39

맨체스터 : 자원봉사 프로젝트 <화려한 외출(A Grand Day Out)>

표11_ 맨체스터의 화려한 외출 소개

구분 내용

참여기관

- 맨체스터 시 당국- 맨체스터 시의회(Manchester City Council)의 성인 건강&복지(Adults Health and Wellbeing), 지역사회&문화서비스(Community and Cultural Services)와 지역의 문화레저 서비스센터

프로그램

- 게임과 대화가 가능한 ‘커피모닝(relaxed coffee morning)’- 무용 세션 ‘액티브 라이프스타일(Active Lifestyles)’- IT기술 학습을 위한 ‘실버서퍼(Silver Surfer)’- 자원봉사자와 함께 하는 미술/공예 프로그램- 댄스 인 그레이터 맨체스터(Dance In Greater Manchester)의 무용 프로그램

프로그램은 참여활동을 기본으로 구성하되 디자인, 연구, 무용, 음악, 시각예술을

비롯하여 지난 시기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장소와 연계된 프로그램으로 구성했

음. 이는 참가자들에게 기술 및 신체적, 정신적 복지 차원에서 의미있는 결과로 귀

결됨.

뉴캐슬 시당국의 예술진흥팀은 향후 지역의 문화유산을 탐험하는 도보 프로그램 등

더 발전된 프로그램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되었고 맨체스터의 경우도 <화려한 외

출> 모델을 통해서 전략적으로 지역재생을 위한 새로운 실험을 시도할 예정임.

홈페이지http://www.artscouncil.org.uk/funding/funded-projects/case-studies/library-service-commissioning-arts-activities-ldi/

Copyright ©ⓒ http://www.artscouncil.org.uk

Page 4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40

사례 2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네트웍스

(NETWORKS)

구분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네트웍스(NETWORKS)

추진목적 취약계층 여성들의 복지와 자아의식 향상, 기술과 자신감 고취 및

공동체의식의 발현을 통한 참여의식 확대

주요내용 영국 남서부 브리스톨 지역의 범죄자 및 마약 중독자, 정신질환자,

성매매자 등 사회적으로 취약계층 여성 대상 예술프로젝트 시행

특징 참여여성들의 역량 확대 및 커뮤니티 일원으로서 소속감 고취

커뮤니티의 다른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 부여

시행단체 크리에이티브티 웤스 포 에브리원(Creativity Works for Everyone)

지원 지역사회 교육혁신기금(Community Learning Innovation Fund)

네트웍스(Networks)는 사회참여적인 예술가 그리고 지역기반의 컨템포러리 예술가

들이 협력하여 참여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고안된 창의 프로젝트임. 교

육대상 및 단체는 틴 병동(Teign Ward, 중간보호유닛). HMP 이스트우드 파크(HMP

Eastwood Park, 엄마와 아기 유닛), 원25(One25, 성매매자), 리씽크(Rethink, 정신

질환자), 브리스톨 마약 프로젝트(Bristol Drugs Project)가 있음.

취약계층의 여성들과 함께 컨템포러리 예술전시를 관람하고 다양한 창작의 기회를

가지며 시립 갤러리에서 예술작품을 선보임. 참여자들이 방향을 정하면 예술가들이

재료의 특징을 설명하거나 새로운 테크닉, 예술적 참고자료를 설명하며 안내하였고

이러한 유연한 접근 방식은 참여자들의 단계와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이 처한 상황

속에서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방식이 되었음.

참여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인터넷에 만들어진 디지털 스튜디오는 각 코스에서 관계

와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고 여성들과 도시문화를 매개하면서 예술작품을 통해 도

시의 문화지형을 창조하는데 있어 중심 역할을 하였으며, 가상의 스튜디오의 역할

을 하기도 함.

프로젝트는 소규모의 그룹 활동을 기본으로 하여 의료종사자들이 비공식적으로 참

여한 가운데 진행되었음. 예술가와 의료종사자가 함께 참여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취약계층의 여성이 자신의 계획을 스스로 창조하고 달성해가는 과정을 통해 그들

Page 4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41

자신에게 보다 안전한 삶의 환경을 창조할 수 있게 되었음.

네트웍스를 진행하는 동안 무분별한 생활패턴과 정신질환으로 혼란을 겪으며 자신

감이 결여되었던 여성들이 상당부분 동기부여를 받은 것으로 드러남. 첫 번째 코스

에서 80%가 넘는 여성들이 두 번째 코스에 등록하기를 희망하였으며, 두 번의 코

스를 통해 참여자들은 정신적 문제를 개선하는데 상당한 열의를 보임.

홈페이지 http://www.creativityworks.org.uk/what-we-do/for-mental-health/networks/

Copyright ©ⓒ http://www.creativityworks.org.uk

Page 4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42

복지에 접근하는 6가지 방법(Six Ways to Wellbeing Logos)

사례 3 지역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아트 비트

(Art Beat)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아트 비트(Art Beat)

추진목적 젊은 세대들이 지역사회를 리드할 수 있는 자신감, 커뮤니케이션 기술,

유연성 및 기타 역량 함양

주요내용 켄트주 테넷 지역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켄트주가 설정한 6개의

문화복지 구분에 접근하는 문화예술 워크숍

특징 지역의 젊은 세대에게 다양한 이벤트와 워크숍을 통해 미술, 의상,

음악, 무용, 조각 등 예술작품을 창작할 기회 제공

예술가들에게도 분야를 뛰어넘어 다른 작가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창의적인 도전의 기회 부여

시행단체 터너 컨템포러리 (Turner Contemporary)

지원 켄트주의회(Kent County Council), 영국 예술위원회(Arts Council

England)

아트비트(Art Beat)는 화가, 음악가, 무용가, 철학자를 비롯한 창의적 전문가들이 젊

은 세대들과 함께 작업하며 갤러리를 포함한 문화공간부터 해변까지 다양한 공간에

서 참여자와 촉진자 간의 지속적인 관계가 이루어지도록 함. 도서관, 쇼핑센터, 스케

이트 공원 등에서 공간의 특성과 상관없이 매주 다양한 워크숍 세션이 마련되었음.

터너 컨템포러리(Turner Contemporary)는 ‘예술이 자극하는 변화(Art inspiring

Change)’라는 비전을 갖고 켄트주의회 공공건강위원회(Kent County Council

Public Health)와 공동작업을 진행하여 지역주민들의 복지에 있어 문화예술의 역할

과 영향을 입증하기 위해 노력함. 2011년 이후 약 140만 명의 방문자와 약 9만 2천

명의 교육프로그램 참가자를 통해 갤러리가 지역주민의 복지와 삶의 질 향상에 얼

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확인함.

문화복지에 대한 6개의 구분은 켄트 시민들의 복지

(Wellbeing)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개인의 삶의 작

은 변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됨.

- 행동하기(Be Active): 신체(Body)

- 배우기(Keep Learning): 마음(Mind)

- 나누기(Give): 정신(Spirit)

- 접속하기(Connect): 사람(People)

- 이해하기(Take Notice): 지역(Place)

- 돌보기(Care for the Planet): 지구(Planet)

Page 4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2. 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43

Copyright ©© http://www.turnercontemporary.org

여름 방학 기간에 진행되는 본 프로젝트는 젊은 세대와 학생들의 호응이 점차 커짐

에 따라 2014년에는 10월까지 워크숍 기간이 확대되었음. 워크숍 참가자 124명 중

95퍼센트가 13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으로 학교를 뛰어넘어 지역사회에서의 문화

예술교육으로 의미있게 자리 잡은 것으로 평가받음.

홈페이지http://www.turnercontemporary.org/learn/00000000875/art-beat-projecthttp://www.artscouncil.org.uk/funding/funded-projects/case-studies/turner-contemporarys-art-beat-using-local-council-commission-run-inspiring-workshops-young-people/

Page 4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4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4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4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47

미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문화민주주의의 이념과 커뮤니티 아츠의 사회적 토대

미국은 문화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일반 시민들이 문화예술 참여 기회를 갖고 스스

로 자신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정체성을 그려내는 것을 중심 가치로 삼고 있음.

이러한 전통은 특히 1990년대 문화전쟁 이후 대중과 괴리된 예술을 위한 예술 행위

에 대한 성찰과 함께 현장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아츠의 활발한 전개를 가져옴.

이는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술에서 한발 더 나가 예술의 사회적 참여의 확장으로 현

장 중심의 사회문화예술교육과 활동의 중심이 됨.

신자유주의의 이념과 보완적인 문화예술교육정책

2001년 부시정부가 제안하여 발효된 미국의 교육제도인 아동낙오방지법(No Child

Left Behind Act)은 신자유주의의 경쟁적 교육제도로서 징계중심의 교육촉진 정책임.

학생의 표준학력고사 성적이 낮은 학교에 대해 예산을 삭감하는 이 제도는 결국 음

악, 미술, 연극, 무용 수업의 축소와 폐지를 낳았는데, 저소득층 거주지역 학교의

피폐화가 가속되었음.

21세기를 앞두고 인문분야 대통령위원회는 1997년 ‘창의적인 미국 (Creative

America)’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이는 중산층 이상이 주로 다니는 사립학교보다

는 저소득층이 주로 다니는 공립학교를 겨냥한 정책이었음.

따라서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현장은 프랑스나 독일과는 달리 신자유주의 경쟁

의 병리현상을 치유하는 성격이 존재함.

강력한 시민사회 문화 활동

미국은 어느 나라보다 민간의 자발적인 봉사나 기부가 강한 나라로서, 정부 영역의

재정 지원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지 않음.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정책적 지형에서 포착되지 않는 비영리 민간 영역이 존

재하며, 이는 미국 전역에서 행해짐. 특히 사회적 약자나 문화적 소수자를 지원하는

수많은 비영리 기구의 활동에 힘입어 다양한 사회문화예술교육 활동과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어 있음.

Page 4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48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1차 대전 이후 미국은 엘리트 예술을 중심으로 한 유럽식 예술에 집착함.

- 케네디 정부시절 A. 헉셔가 제출한 ‘정부와 예술(Government and the

Arts)’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예술의 접근성을 강조하였고 마침내 1965년

국립예술지금(NEA)가 설립됨.

- 1990년대 예술의 사회적 가치 논쟁(문화전쟁)이후 예술이 스스로 사회적

역할을 자임하고 커뮤니티 아츠가 활성화 됨.

- 반면 부시 행정부의 정책은 다중적이었는데, “창의미국”정책으로 이어지는

가하면 경쟁중심적 학교정책으로 학교사회에서 예술교육의 위치를 잠식하

기도 함.

정의 혹은

유사규정

커뮤니티 아츠

(Community Arts)

찾아가는 프로그램

(outreach program)

- 수월성에 집착한 미국의 예술에 대한 대중의

외면을 확인한 1990년대 이후 미국 예술가들의

대중친화 문화예술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커뮤니티 아츠가 발달했는데 이는 사회문화예

술교육의 영역에 해당됨.

- 커뮤니티 아츠는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예

술가(또는 예술강사)의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발전을 이루려는 것으로 결과보다 과정을 통해

성장하고 변화하는 프로그램임.

-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사회소외계층에게 문화예

술기관이 매개가 되어 서비스하는 형태로, 교

육 뿐 아니라 전시 및 공연의 관람도 이에 포

함됨.

정책적

목표와 내용

-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문화민주주의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누구

나 문화예술을 배우고 체험하며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함으로써 모

든 사람이 자율적으로 문화와 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임.

- NEA는 자신들의 미션을 “모든 국민에게 예술참여에 있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커뮤니티의 창조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소개하

고 있음.

정책의 주체

- 미국은 연방정부 차원의 부처조직 없이, 독립행정기관인 국립예술·인문학

재단, 국립인문학기금 그리고 국립예술기금을 통해 예술과 인문학 분야를

지원하고 있음.

- 대통령산하예술인문학위원회와 박물관·도서관서비스도 직접적이지는 않

지만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방향에 관계하고 있으며 필요에 의해서 협

업과 정보를 지원해 줌.

- 연방-주정부 파트너십 정책으로 모든 주에 주립예술진흥기관이 창설되어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직·간접적으로 운영함.

미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4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49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대상

-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 현장에 국한되지 않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 만큼 그 영역과 대상이 광범위함.

- 다만,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효율적인 제고를 위해 계층별 구분보다는

개인과 지역공동체로 나누어 사업의 단위를 재구조화하고 지역사회와의

공감대를 확대해나가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함.

정책의

추진체계

- 연방정부의 국립예술기금을 중심으로 56개의 주예술위원회(준주와 연방구

포함), 7개의 지방 예술연합, 4,000여개의 지역예술진흥기관들이 복잡하게

분산된 형태로 다양한 정책추진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도 이 틀을 따르고 있음.

(다양한 파트너십에 기반한 정책추진체계로 인해 문화예술교육단체가 사

업을 수행함에 있어 이론적으로는 복수의 기관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정책의 수단

-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 수단은 주로 커뮤니티 아츠 프로그램과

아웃리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소외지역이나 계층(노인

혹은 이주민 등)을 대상으로 한 정책을 수행함.

- NEA를 통해 지원되는 수많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대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가까우며 이는 교육의 기간이나 성격, 프로그램의 목적에 따

라 교육(education)이라는 용어를 대신해 projects, workshops, activities,

initiatives, actions 등의 용어로 쓰임.

Page 5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50

구분 내용

목적뉴욕시 보호관찰소에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예술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창조적, 사회적, 감성적 기술의 개발과 긍정적인 대인관계 구축에 기여

주요내용16개 예술단체들과 연계하여 춤, 음악, 연극, 시각예술, 시,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진행

지역별 프로그램

1. 부르클린 - 엑스멘탈(Xmental)은 합법적 그래피티 아트를 소개하고 가르치는 동시에 부

르클린의 힙합 아티스트의 공연을 함께 진행

2. 맨하탄- 프로젝트 YEAH(Youth Empowered to Act for Humanity)는 할렘지역의 네온

아츠 참가자들에게 미술사 강의에서부터 실제 미술 활동을 예술교육 전문가와 함께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전시 및 공연 활동까지 병행하도록 지원

사례 1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음악으로 연결하기(Musical Connections)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음악으로 연결하기(Musical Connections)

시행기관 와일 뮤직 인스티튜트(Weill Music Institute)

추진목적 소외계층 청소년들에게 예술 경험 및 예술성 향상의 기회 제공

주요내용 위기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시행

특징 음악 관련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

활동 진행

문화복지 차원에서 참여자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다양한 계층 흡수

메트라이프 재단(MetLife Foundation)이나 씨티재단(Citi Foundation)과

같은 민간재단의 재정지원을 받아 기업과 문화예술기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진적 모델 제시

카네기홀 산하 음악교육 기관인 와일 뮤직 인스티튜트(Weill Music Institute)는 예

술가와 예술단체의 지원을 관장하고 6개월마다 부르클린, 맨하탄, 퀸스 등지의 커뮤

니티를 선정해 각종 이벤트를 진행하며, 전체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협력적 방안

을 찾는데 노력하고 있음.

음악으로 연결하기(Musical Connections)는 청소년 보호관찰소에서 진행하는 문화

예술교육인 ‘네온아츠(Neighborhood Opportunity Networks Arts, NeON Arts)’

와 미혼모들을 위한 ‘자장가 프로젝트(Lullaby Project)’로 구성됨.

네온아츠

표12_ 네온아츠 소개

Page 5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51

구분 내용

3. 브롱스- 메이즐스 다큐멘터리 센터(The Maysles Documentary Center)는 할렘의 비

영리 예술단체로 브롱스 지역의 네온아츠 참가자들을 소그룹으로 나눠 12주 프로그램을 통해 짧은 다큐멘터리 제작 지도

자장가 프로젝트

표13_ 자장가 프로젝트 소개

구분 내용

목적음악을 통한 자녀와의 유대감 증진으로 미혼모에게 부모의 역할 및 책임감 인지

주요내용병원이나 보호관찰소, 노숙자 보호소에 있는 10대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자장가 작곡 프로젝트

프로그램

- 10대 미혼모들이 자신의 아이를 위해 직접 자장가를 작곡할 수 있게끔 전문 작곡가가 도와주며, 미혼모들의 자장가를 공연으로 만들어 공유하는 자리 마련

- 자장가는 아이에게 들려줄 수 있도록 밴드와 가수가 전문 스튜디오에서 녹음해 CD로 제작

홈페이지

http://www.carnegiehall.org/Education/Musical-Connections/

Copyright ©© http://www.carnegiehall.org

Page 5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52

예술단체 프로그램 대상

털사 심포니 오케스트라(Tulsa Symphony

Orchestra)

하트 스트링스(Heart Strings) : 환자들을 위한 병원 연주회 개최

퇴역군인, 가족

타이드워터 예술활동(Tidewater Arts

Outreach)

병원이나 가정방문을 통해 지역 예술가들의 예술 활동 제공

현역 및 퇴역군인, 가족

커밍 홈(Coming Home)

여행, 공동체, 대화를 주제로 벽화, 사진전, 대화의 장 진행

현역 및 퇴역군인, 가족

리사운딩 조이(Resounding Joy)

셈퍼 사운드(Semper Sound): 군 생활로부터 생긴 트라우마 질환들을 음악을 통해 치유

군 관계자, 자녀 및 가족

사례 2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군(軍)에서의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National Initiative for Arts & Health in the Military)

구분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군(軍)에서의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

(National Initiative for Arts & Health in the Military)

시행단체 아메리칸즈 포 디 아츠(Americans for the Arts)

사업목적 예술과 창의성을 통해 군인의 건강을 도모

군에서의 예술과 건강에 대한 가시성과 이해도 향상

현역군인과 직원, 가족과 퇴역군인 모두에게 예술적 가치 전파

주요내용 현역군인과 퇴역군인, 가족들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시행

특징 문화예술을 통한 사회복지 정책 운영

군(軍)에서의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National Initiative for Arts & Health

in the Military)은 2010년 봄 예술가와 의료진, 군 관계자의 예술을 통한 건강증진

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구체화되기 시작한 정책임.

아메리칸즈 포 디 아츠(Americans for the Arts)는 예술을 통한 건강증진과 복지를

구현하는 예술단체들의 네트워크 디렉토리를 구축하여 홈페이지에 PDF 파일 형태

로 게시했으며 향후 온라인 데이터베이스화 할 예정임. 모든 단체는 무료로 등록이

가능하고 등록하는 예술가나 예술단체는 국가구상 로고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업

선정은 아메리칸즈 포 디 아츠가 주관함. 2014년 12월 기준으로 23개 주의 59개

예술가 및 예술단체들이 등록됨.

표14_ 예술과 건강을 위한 국가 구상 프로그램

Page 5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53

예술단체 프로그램 대상

미국 음악치료협회(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6,000명 전문 음악 치료사 연합으로 대상자에게 음악 치료사 파견

현역 및 퇴역 군인, 군인가족, 의료진

크리에이티브 힐링 커넥션(Creative Healing

Connection)

전쟁 후 트라우마 질환을 앓고 있는 여성 퇴역 군인들을 위한 예술 치유 프로그램

여성 퇴역 군인

아트 엑세스(Art Access)

대학, 병원과 연계한 4주간 글쓰기 워크숍으로 전시 및 발표회 진행

퇴역군인, 가족

프롬 워 투 홈(From War to Home)

전쟁 참가 군인 재활 프로그램으로 전쟁에서의 경험을 사진과 이야기로 공유, 전시회 진행

참전군인

댄싱 웰(Dancing Well)

더 솔져 프로젝트(The Soldier Project): 트라우마를 겪고 있는 퇴역군인과 가족이 함께 전통춤으로 예술치유 경험

퇴역군인, 가족

국가적 네트워크 구축 사업(National Network Directory)은 현재 진행 중으로 장르

별 구분은 없고 지역 구분만 있음. 디렉토리에 있는 단체들의 프로그램 성격이 명

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고, 단순한 티켓 할인과 무료티켓을 제공하는 사례도 있음.

홈페이지

http://www.americansforthearts.org/

Copyright ©© http://www.americansforthearts.org/

Page 5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54

사례 3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청소년 예술기업(Youth Arts Enterprise)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청소년 예술기업(Youth Arts Enterprise)

시행기관 아티스트 포 휴머니티(Artists for Humanity)

사업목표 청소년들에게 창작 및 전시를 통한 예술 활동뿐 아니라 그와 관련한

상업적 활동 및 발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주요내용 14세 이상 청소년 대상 회화, 사진, 조각, 스크린 날염,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특징 지역사회 빈곤 청소년들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참여기회 확대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지역사회 유관 기관 및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

예술활동을 지지하는 다양한 관객층 확보 및 지역사회의 참여도 고취

아티스트 포 휴머니티(Artists for Humanity)는 직접적인 사회경험을 통해 청소년들

의 재능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기관임. 아

트스트 포 휴머니티가 진행하는 프로그램 중 청소년 예술기업(Youth Arts

Enterprise)은 청소년들을 젊은 예술가로 대우하며 보수와 50%의 작품 판매 수수

료를 지급함. 청소년들의 작품을 갤러리를 통해 판매하거나 개인사업체, 대기업, 문

화 사업과 관련된 기관에 공급하여 기관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수익을 창출하고

청소년들에게 보수와 판매수수료를 지급하는 구조임.

청소년 예술기업에 지원 및 참여하기 위한 자격 요건은 아래와 같음.

- 14세 이상의 청소년

- 36시간의 무보수 견습기간을 거치고, 72시간의 지역사회 봉사활동에 참여

- 보스톤 지역의 학교에 재학하는 정규 학생(주간, 야간, 검정고시 모두 포함)

- 최소한 평균 C 이상의 성적을 유지 및 성적표 제출은 필수

- 프로그램의 정규 운영시간에 참여 가능해야함

(학기 중: 화~목 오후 15:00~18:00 / 방학 중: 월~금 12:00~17:30)

청소년들은 멘토 역할을 하는 전문 예술가와 소규모 그룹을 지어 작품의 기획, 창

작, 마케팅, 협상의 전 과정에 참여하며 팀 구성원으로서 전문 아티스트와 똑같은

대우를 받고 근무시간을 엄수하며 성실한 자세를 유지할 것을 요구받음. 2013년 기

Page 5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3. 미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55

프로그램 내용

오픈하우스 투어- 정기 오픈하우스 투어 진행(매월 1, 3주 화요일 16:30)- 프로그램의 성격, 참여 학생의 책무에 대한 간략한 설명 진행

오리엔테이션 - 세부사항 안내 및 인터뷰 등록을 위한 문서작업 진행

인터뷰 -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또래 청소년이 질문자로 참여

무급 훈련 및 활동 평가

- 회화 훈련 후 자신의 초상화 그리기 과제를 통해 예술적 발전 가능성 평가

- 평가 후 청소년들은 보수를 지급받게 되며 회화 스튜디오에서 예술 훈련을 계속할지, 다른 스튜디오에서 다른 장르의 예술 훈련을 진행할지 결정

청소년리더십

- 2년 이상 성실히 참여한 청소년들에게 청소년 리더가 될 수 있는 자격 부여

- 청소년 리더는 특별 프로젝트뿐 아니라 인터뷰 질문자로 참여하며, 새로운 참여 청소년의 적응을 돕는 역할 수행

- 평균적으로 참여 학생의 20%정도가 참여

준, 청소년들의 시간당 임금은 8달러에서부터 시작하며 학기 중에는 주당 9시간까

지, 여름방학 중에는 주당 25시간까지 근무할 수 있음.

표15_ 청소년 예술기업 참여 절차

홈페이지

http://afhboston.org/

Copyright ©© http://afhboston.org/

Page 5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56

Copyright ©© http://afhboston.org/

Page 5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5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5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59

독일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강력한 지방분권과 연방의 문화적 조율

독일은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일체의 정책권한과 행정권한이 주정부에 있음.

따라서 연방정부는 국제사회와의 협력과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 지형을 구축하는 포

괄적이고 일반적인 정책을 추진함.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문화를 통한 자기 정체성, 사회적 소통능력 증진, 창의적인 사

회활동 증진, 사회협력과 공동체 의식 강화 등 광의의 문화적 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음.

또한 예술을 통해 사회의 활력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사회적 활기를

유지하고자 함.

분단과 통일 그리고 새로운 전통의 시작

독일은 전쟁과 분단 그리고 통일을 겪으면서 정치적 논리와 논쟁적 이슈에 대한 문

화적 대응 방식에 대해 익숙해있음.

특히 통일독일 이후 새로운 문화환경의 도래는 자유롭고 의식 높은 시민들의 참여

와 활동에 기초해 새로운 문화적 전통을 만들고 있음.

이러한 분위기는 베를린을 중심으로 한 자발적 문화예술 활동을 촉진하게 되었음.

강력한 시민사회 활동과 문화교육의 전통

독일은 2차 대전 이후 국가 차원의 통합을 위한 문화정책이나 국가적 이슈를 생산

하는 일이 불가능하였으나 분단이라는 환경으로 인해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었음.

이에 따라 독일의 시민교육 영역은 매우 발달했으며 다양한 형식의 시민교육 지원

이 이루어졌음.

1968년 68혁명과 1970년대 사회문화센터 활동은 사회적 요청과 시민사회의 자발적

이고 진취적 문화활동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문화교육의 전통을 만들

수 있었음.

Page 6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60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나치의 권위주의적 국가에서 시민을 계몽의 대상으로 인식했다면, 1945년

이후에는 정치적으로 성숙한 시민의 개념으로 전환되었음.

- 이로 인해 주로 국가의 지원을 받는 비정부기구, 각종 사회단체 등이 교육

의 주체가 되는 포괄적이고 다원적인 접근이 시도 됨.

- 1970년대 초반 학생운동과 대안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사회문화는 정치운

동이 중심이었던 이전의 사회운동과 달리 문화운동으로서의 차별성을 가

지며, 독일 사회전반에 사회문화센터를 양산함.

- 오랜 연방제의 전통이 강한 독일은 통독이후 1998년 총리실 산하 문화미

디어부를 창설하고, 적극적인 문화정책을 수행하기 시작함

정의 혹은

유사규정

문화교육

(Kulturelle Bildung)

- 독일은 문화교육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음.

- 문화교육협회와 문화교육증진협의회의『문화교

육을 위한 개념 입장과 제안』이라는 보고서는

문화교육을 “도시의 황량함에 대응하고 상실된

의사소통 연계를 회복하며, 상실된 감수성의

회복, 비판적인 판단과 기준교육 및 매체 활용

능력 강화, 여가생활에의 대응, 창의적이고 독

립적인 능력 개발, 삶의 내용에 대한 의미 부

여를 할 수 있는 성찰적 능력의 확대 등을 담

당할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음.

정책적

목표와 내용

- 독일의 문화교육은 “모든 사람을 위한 예술과 문화의 만남 및 참여”를 중

요시함.

- 문화교육은 감각, 지각, 창조적인 능력과 표현 능력에 영향을 미침.

- 문화교육은 역사에 접근하게 하고, 전통, 가치, 독일뿐 아니라 유럽 및 세

계의 문화적 업적을 알게”하는 것으로 봄.

- 2009년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기구에서는 문화교육의 과제를 인간의 평생

학습에 의해 구현된다고 보고, 지역의 다양한 주체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봄.

- 때문에 노인, 어린이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학교, 박물관이나 극장에

서 기초에서 고급한 것에 이르기까지 문화교육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봄.

정책의 주체

- 독일은 총리실 산하 문화미디어부과 독일연방문화재단이 연방 차원의 문

화교육을 주로 수행하며, 주정부가 지역적 상황에 맞는 문화교육을 수

행함.

- 연방기구로서 시민교육을 위한 연방 기구는 시민교육과 관련된 중추기

관임.

- 실천주체로서 사회문화센터, 독일문화협회, 청소년예술학교와 문화기관교

사협회연맹, 독일성인교육협회 등이 있음.

독일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6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61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대상

- 생애주기별 지원을 기준으로 전 연령별의 필요와 욕구에 맞추어 지원하나

아동·청소년을 최대 수혜자로 하되, 평생교육 개념으로 인식하고 지원함.

- 연령·계층·문화향유 복합기준에 의한 대상 기준으로 지원하는데, 전 연

령층을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을 추구하고 있으며, 연령별, 직업군별,

지역별로 해당 단체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및 활동을 전개하

고 있음.

- 현대 사회의 다양성에 조응하는 지원방식을 지향하며 이주민, 일시체류자

등 다양한 계층을 결합하여 진행함.

정책의

추진체계

- 문화미디어부의 문화교육정책은 독일연방문화재단과 각 문화교육기관과의

협력으로 추진됨.

- 이와는 별도로 각 주정부에서는 각각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자체적으로

문화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의 재정지원뿐 아니라 다양한 민간

및 기업 재정을 끌어들이고 있음.

정책의 수단

- 독일의 문화교육은 주정부와 민간사회문화센터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된 정책과제는 연방 영역에서 수행함.

- 문화미디어부 문화교육 사업은 ‘모두를 위한 문화’, ‘BKM 문화교육 상’, ‘문화교육 모델 프로젝트’, ‘연방문화재단의 이니셔티브’, ‘문화 및 통합’의

영역으로 나뉘어 추진됨.

- 연방문화재단 문화유산과의 교육사업은 새로운 관객에게 예술과 문화를

제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함.

- 2008년 설립된 문화교육을 위한 베를린 프로젝트 기금은 베를린에서 예술

가뿐만 아니라 어린이, 청소년 및 젊은 성인의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수행함.

Page 6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62

대상 내용

미취학 아동 매년 11월 독서의 날에 읽기 프로그램 진행

클래스 1-6 클라이스트의 ‘강한 조나스’ 읽기, 박물관에서 동화읽기(로카르노의 거지)

클래스 7-10 - 클라이스트에 대해 알아보는 ‘젊은 클라이스트’ 프로그램과 시티 투어 - 특별 프로그램으로 독서 후 박물관의 특별 세미나 개최, 학생들의 연구 논문

참여

사례 1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클라이스트 박물관(Kleist Museum)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기관명 클라이스트 박물관(Kleist Museum)

설립목적 독일 대표시인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1777-1811)의 삶과 업적 기념

주요내용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와 그의 문학에 대한 교육

특징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문학 교육 진행

설립연도 1969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클라이스트 박물관(Kleist Museum)은 박물관, 전시관,

도서관, 박물관 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화교육 프로그램이 특화되어 있음. 클라

이스트 박물관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문화적 기억으로 연방 정부의 블루 북(Blue

Book)에 기록되어 있음.

클라이스트 박물관은 전 수비대 학교의 건물에 1969년에 설립되었음.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와 그의 문학사적 환경인 도서관은 3만4천 권 이상의 책과 콜렉션을 소장

하고 있으며 그 자체로 아름다운 바로크 양식의 기념물로 의미가 있음. 2013년 10월

17일 유럽 연합, 연방, 프랑크푸르트 브란덴부르크 주의 지원으로 리모델링 후 재개

관함. 두 배 이상 큰 전시 공간에서 정기적으로 문학, 예술 전시회를 개최하고 있음.

클라이스트 박물관의 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독일 연방 문화미디어부(Beauftragter

der Bundesregierung für Kultur und Medien)의 ‘문화모델 프로젝트’의 지원을 받

아 운영하고 있음. ‘문화모델 프로젝트’는 2010년부터 전 연방주를 대상으로 추진할

만한 가치가 있고 모델링이 될 만한 문화교육 프로젝트에 지원하는 사업임.

표16_ 클라이스트 박물관의 대상별 문화교육 프로그램

Page 6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63

대상 내용

클래스 11-12- 고등학교 클라이스트 : 클라이스트의 삶과 저서에 대해 알아보는 일일 프로

그램 및 특별 세미나- 클라이스트 박물관의 영구 컬렉션 가이드 투어

홈페이지

http://www.heinrich-von-kleist.org/kleist-museum/kulturelle-bildung/

Copyright ©© http://www.heinrich-von-kleist.org

Page 6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64

사례 2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

시행기관 쿨투어팔라스트 함부르크(KulturPalast Hamburg)

사업목표 힙합교육을 통해 취약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이 한 사람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 마련

주요내용 13~25세 청소년을 위한 무료 힙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성과 발표회

개최

특징 청소년들을 변화시키고 적극적으로 사회 변화의 과정에 참여시켰으며,

사회의 책임있는 시민의 역할을 만드는데 기여

문화교육은 사회의 민주화를 촉진하며 교육 및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에게도 접근

할 수 있음. 문화교육은 마을에서의 사회적 약자 가정의 어린이와 청소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열고 있음.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HIP HOP ACADEMY HAMBURG)는 13~25세 청소년을 위

한 힙합 교육 프로그램임. 2007년부터 시작한 무료 교육 프로그램으로 함부르크 문

화청(Kulturbehörde Hamburg)의 지원과 재단법인 함부르크(Hamburgische Kultur

-stiftung)의 후원을 받음.

브레이크 댄스, 디제잉, 랩, 비트 박스, 새로운 스타일의 춤 등 힙합 문화와 관련한

모든 분야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음. 젊은 사람들은 그들의 안무, 가사 및 낙서를

무대에 올리며 현재와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청소년들은 힙합 아카데미의

과정에 언제든지 가입할 수 있음. 젊은이와 노인을 위한 무료 힙합 워크숍에는 누

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참여는 모두 무료임.

함부르크 힙합 아카데미의 핵심 아이디어는 장기적인 인재 육성 프로그램이라는 것

임. 3단계 교육 프로그램을 거치는 동안 참가자들은 자신의 기량을 지속적으로 발

전시킬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음. 이런 과정을 통해 랩, 댄스 안무

와 비트 박스 쇼를 개발하고 무대에 올리기도 함.

홈페이지 http://www.heikeguenther.de/http://www.hiphopacademy-hamburg.de/

Page 6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65

Copyright ©© http://www.hiphopacademy-hamburg.de/

Page 6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66

사례 3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기관명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

설립목적 “교육은 우리를 강하게 만든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린이와 가족을

격려한다”는 슬로건을 내세운 어린이 대상 복합 문화교육 활동공간

주요내용 어린이, 가족 대상의 체험위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특징 독일 연방 문화미디어부의 문화교육 프로젝트 가운데 ‘모두를 위한

문화’의 대표 사례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Kinderkreativzentrum Krokoseum)는 3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교육 코스모스인 할리 프랑크 재단 내에 위치함.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박물관, 예술,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있음. 방학 프

로그램, 주제별 프로젝트 작업 및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은 무료로 매일 오후

에 모든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음.

크로코세움 어린이 창조센터는 6세-12세까지의 어린이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신의 열정, 재능, 강점 및 약점을 충족하기 위해 어려운 과

제에 도전하기도 함. 모든 점심이 무료이며 12시부터 16시까지 운영함.

어린이 쓰기 워크숍, 어린이를 위한 과학 실험, 오후에 아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

교 박물관 투어, 박물관 교육, 가족 주말 프로그램, 어린이 전시회, 어린이 도서관,

어린이 생일파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모든 이를 대상으로 무료로 제공되는 크로코세움 어린이창조센터의 프로그램은 독

일 사회교육과 문화교육의 오랜 역사가 기반이 되어 현대적으로 재탄생된 사례임.

특정 소외계층보다는 모든 이를 위해 접근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놓는 ‘모두를 위한

문화교육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사례임. ‘모두를 위한 문화교육 프로젝트’는 예술과

문화에 더 많은 사람들이 익숙하게 하기 위한 교육 사업 및 기관 지원사업임.

홈페이지 http://www.francke-halle.de/

Page 6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4. 독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67

Copyright ©© http://www.francke-halle.de/

Page 6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6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7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7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71

호주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호주인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예술 소비 성향은 높은 편으로, 약 92%의 호주

인이 창조자로 그리고 관객으로서 다양한 방식과 경로를 통해 예술적 창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음.

가장 활성화된 현대예술 분야는 문학, 시각예술, 음악, 댄스, 공연, 영화 산업, 패션

과 디자인임. 그 중에서 종합공연예술로 대변되는 무용, 댄스, 음악에 대한 호주 정

부의 지원은 매우 적극적인 편임.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맞춰 여러 장르 간 융합하고 협업하는 미디어아트와 연계된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점차 많아지고 있는 추세임.

사고해결 중심의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순히 예술을 기능적으로 학습하고 익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사안과 접목한 주

제를 정하여 이를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하는 실천적이고 사고해결 중심의 문

화예술교육을 시행하고 있음.

이를 통해 국민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예술

적으로 고민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음.

사회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의 활성화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가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회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을 단기간부터 장기간(최대 3년 정도)에 걸쳐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기금 조성의 발판을 마련하여 주고 있음.

지역사회의 예술적 발전을 도모하고 각 커뮤니티 구성원 간 유대감을 형성하며, 나

아가 구성원이 주체가 되어 타 지역 주민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운

영하고 있음.

소외계층을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 강화

호주의 경우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를 비롯하여 소

외계층을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이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프로젝트를

지역 커뮤니티와 문화예술기관, 그리고 주 정부 문화예술기구와 지방자치단체가 파

트너십을 구축하여 다양한 경로로 지원하고 있음.

Page 7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72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호주는 풍요로운 신생국가답게 풍부한 문화예술 환경과 활동이 일반화된

국가이며, 각 지방정부의 활동이 활발한 나라임.

- 문화예술정책의 중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오다가, 2010년 “창의호주”정책

을 마련하였으나 정치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한국과 같은 일관성 있는 정

책 추진이 어려움.

- 그럼에도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예술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다양성을 고취하고자 하는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짐.

정의 혹은

유사규정

예술교육

(Arts Education)

- 법률적 정의는 없으나 공식적인 정책 자료에서

는 ‘학교 외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내 문화

예술교육’이라고 사용하고, 문화예술교육을 사

회적인 의미로 사용하면서 학교에서의 문화예

술교육을 별도로 칭하기도 함.

- 정부 문서에서 문화는 예술을 통해 개인과 국

가의 정체성을 표현한다고 서술함.

- 또한 예술은 문화와 역사, 전통과 영향을 주고

받으며 우리의 시대와 살아가는 모습을 대변한

다고 서술하여 예술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 명

시하였음.

정책적

목표와 내용

- 2005년에 문화부처와 교육부처 총리 회의를 통하여 교육과 예술 선언을

발표하였음.

- 이것에 따르면 호주의 어린이층과 청소년들이 모든 방면에서 다양한 형태

의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는 것에 1차적인 목표가

있음.

- 나아가 학교와 예술가, 예술가와 학생, 그리고 문화예술기관과의 폭넓은

협업으로 지역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 문화를 새롭게 만들기

위해 문화예술교육은 필수적이라 함.

정책의 주체

- 호주는 연방 정부, 주 정부, 준 정부, 그리고 지역 정부 내 문화예술 관련

부서와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음.

- 호주 예술위원회는 호주 연방 정부의 예술과 산하 13개의 직속기구 중 문

화예술진흥기금을 집행하는 정책 사업 기구로, 기금 운영 이외에도, 예술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및 산업을 육성함.

- 문화예술단체 및 예술기관은 중요한 활동의 주체이며. 호주 전역에서 예술

강사 활동을 하는 예술가가 수많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음.

정책의 대상

- 연령과 계층, 문화 다양성을 인정한 모든 대상을 문화예술교육의 대상이자

참여 주체로 보고 있어 참여자가 곧 주체가 됨.

- 생애주기별 대상의 정형화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협력 기관과

사회적 문제를 직시하면서 특수한 요구에 대응하는데 유리하도록 정책 대

상으로 발굴되어 있음.

호주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7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73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추진체계

- 연방 정부에서 기본적인 문화예술정책을 수립하고 주 정부와 준 정부가

책임 관할기관으로 지정되어 학교를 비롯하여 여러 단체에서 문화예술교

육을 지원하고 있음.

- 모든 주 정부와 준 정부에는 문화예술 전담과가 있는데, 각 정부마다 중점

을 두고 있는 예술교육 프로그램 및 정책적 지원에서도 차이가 있음.

- 지역 정부가 문화기금 조성 및 여러 계층과 문화 수준을 고려 한 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사회기반 교육 프로그램 등을 자율적으로 운영하

고 있음.

정책의 수단

- 호주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일반인, 소수자, 원주민, 소외지역, 지역커뮤니티

등 세분화된 정책의 대상을 상정하고 추진.

- 일반인 대상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시각예술, 음악, 드라마, 댄스/무용, 미

디어아트 등 5가지 영역의 활동이 중심을 이루는데, 특히 미디어아트는

중점 영역임.

- 소수자를 위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대체적으로 일반인과 장애인, 그리고

예술가가 함께 창의적인 워크숍을 진행하고 발표하는 형태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

- 원주민과 토레스해협 섬주민 대상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원주민들의 참여

를 촉진하고 예술적 재능을 공유하면서 원주민만의 독특한 전통문화를 유

지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것에 집중함.

- 지역 커뮤니티 내 사회문화예술교육은 커뮤니티와 연계한 지속가능한 사

회문화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

Page 7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74

사례 1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마음의 이야기(Yarns of the Heart)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마음의 이야기(Yarns of the Heart)

시행단체 커뮤니티 아츠 네트워크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Community Arts Network Western Australia)

사업목표 젊은 층의 높은 자살율과 원주민의 사회적 고립 및 배제가 심한 눙가

지역 내 예술프로젝트 시행을 통한 지역 공동체 발전 도모

주요내용 원주민 고유문화 유지 ‧ 발전이 가능한 공예프로그램 ‘인형만들기 프로젝트’ 운영

특징 원주민과 지역사회와의 갈등, 공동체 내 폭력, 정체성에 관한 사항을

재조명할 수 있었고 내적 및 외적 치유의 계기 마련

원주민들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문화예술을 통한 웰빙 라이프 구현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발전

지원 호주 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가족 ․ 주택 ․ 지역사회서비스 ․ 원주민부(Department of Families and

Housing, Community Services and Indigenous Affairs),

교통 ․ 지역행정 ․ 문화스포츠부(Department of Regional Australia, Local

Government, Ats and Sport)

커뮤니티 아츠 네트워크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Community Arts Network Western

Australia)는 원주민 커뮤니티의 문제를 극복하고 원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한 문화와 커뮤니티(Strong Culture, Strong Community, SCSC)’ 프로그램을

통해 2009년부터 2년 간 다양한 예술프로젝트를 진행함.

마음의 이야기(Yarns of the Heart)는 SCSC 프로그램 중 하나로 저명한 섬유작가

날다 시어즈와 세실 윌리엄스가 네로진 눙가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원주민들과 함께

진행하였음. 이 프로그램은 1994년에 커뮤니티 아츠 네트워크 웨스턴 오스트레일리

아가 한 차례 진행한 적 있는 인형만들기 프로젝트를 다시 한 번 하고 싶다는 원주

민의 요청에 따라 2009년 버전으로 재탄생했다는 의미가 있음.

원주민들이 인형 만들기를 통해 공동체의 일원으로 소속감을 느끼고 원주민 문화를

향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자긍심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인형만들기 워크숍을 진

행함. 워크숍에서는 재활용 소재들과 기증받은 장신구를 활용해 각자의 삶과 이야기

가 담긴 인형을 만들었음. 또, 인형만들기 과정 전에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별도로 진

Page 7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75

행하여 원주민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음.

스크린웨스트(ScreenWest)의 후원을 받아 인형만들기 프로젝트 과정이 다큐멘터리

로 제작되기도 함. 원주민들이 만든 인형들은 1994년에 제작되었던 인형들과 함께

서호주박물관에서 4개월 간 전시되었고, 일부는 호주국립미술관에서 소장함. 이 전

시는 중국 베이징에서도 순회 전시를 가졌음.

1994년 인형만들기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이 다시 참여해 추억을 회상할 수

있었던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원주민의 전통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

으며 효과적인 예술 치료의 사례로 국내, 국외에서 원주민의 삶이 깃든 예술을 소개

하는 기회가 되었음.

홈페이지

http://www.canwa.com.au/

Copyright ©© Nicola Davison

Page 7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76

사례 2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모래길(Sand Tracks)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모래길(Sand Tracks)

시행단체 컨트리 아츠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Country Arts WA)

사업목표 원주민 음악 육성

주요내용 원주민 현대음악을 홍보하고 장려하는 순회 형식의 멀티 프로젝트

특징 지역 내 자생적 예술 활동 및 생산을 활성화하고 음악을 통해 치유와

건강한 지역 공동체 구축에 기여

지원 호주 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

2009년에 시작된 모래길(Sand Tracks) 프로젝트는 원주민 지역 공동체에서 음악

적 재능이 있는 사람들을 발굴하여 성장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문적인 공연 예

술가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임.

원주민 음악을 대중에게 알리고 육성하기 위해 기획한 프로젝트로 젊은 층으로 구

성된 원주민 음악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무대를 창출하고 원주민들의 문화와 언어,

음악을 장려하고자 하였음.

이 음악 밴드에는 기성 음악가와 전문 예술가, 그리고 신진 음악가가 함께 구성원

으로 참여해 매해 5~6개의 지역 공동체를 방문함. 모래길 프로젝트는 음악적 테크

닉과 기술을 향상시키고 원주민 현대음악을 홍보하고 장려하는 순회 형식으로 진행

됨. 공연을 하면서 각 지역에 거주하는 원주민 음악가들이 서로 만나고 배우고 공

감대를 형성하며 새로운 음악적 시도와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됨.

투어 공연에 참여한 음악가들은 각 지역의 젊은 예술가와 음악가들에게 음악적 조

언 및 테크닉, 공연과 관련된 사항을 가르치고 방문한 지역의 공연밴드가 순회공연

에서 세션으로 공연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함.

2012년에는 ‘트레이너 훈련(Train the Trainer)’ 스타일의 워크숍을 새롭게 도입하

여 추후 모래길 프로젝트의 지역 순회공연에서 선보일 새로운 인재를 발굴하기도

하였음. 또, 스토리텔링 워크숍을 개최하여 지역 문화와 원주민 사회, 음악에 관한

진솔한 이야기를 공유하기도 했음.

Page 7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77

원주민 현대음악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짐으로써 원주민 음악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원주민의 문화와 언어, 음악적 특색을 통한 문화적 소통의 자리이기도

했음.

홈페이지

http://www.countryartswa.asn.au/

Copyright ©© Matt McHugh

Page 7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78

사례 3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달콤한 꿈 만들기(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구분 소외계층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달콤한 꿈 만들기(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시행단체 아츠 아웃웨스트(Arts OutWest)

사업목표 장애 아동의 개인적 성취감 고취와 공감대 형성

주요내용 ‘꿈’을 주제로 한 다양한 예술 워크숍 진행

특징 장애 아동의 감성을 섬세하게 이끌어 내며 감성 중심적이고

문제해결적인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타진

지원 아츠 앤 디서빌러티 파트너십(Arts and Disability Partnership)

뉴사우스웨일스 주정부의 지원을 받아 아츠 아웃웨스트(Arts OutWest)가 진행한 달

콤한 꿈 만들기(Sweet Dreams Are Made of This)는 장애 아동 대상 사회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임. 아동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공감대와 개인적 성취감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예술 디렉터와 음악가, 영화 및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무용가를

포함해 지역문화예술센터 및 엑세시블 아츠(Accessible Arts)가 함께 협업하여 진

행한 프로젝트임.

뉴사우스웨일스주 서부 근교에 있는 오렌지, 배서스트, 리스고 지역의 장애인 기관

들과 연계하여 24번의 워크숍을 진행하였음. 워크숍은 38명의 장애 아동이 꿈이라

는 주제를 가지고 작곡, 퍼포먼스, 영화, 시각예술 예술가들과 함께 예술을 접하고

표현하는 과정으로 구성함. 워크숍이 끝난 후, 각 지역의 문화회관에서 작품 전시회

를 진행함.

장애 아동의 감성을 섬세하게 이끌어 내며 여러 매체를 창의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시도해 장애 아동의 오감 발달에 도움이 되었음. 또 호주에서는 미디어아트가 예술

교육에서 중요한 장르로 부각되고 있는 만큼 현재의 트렌드를 반영해 융복합적 예

술을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시도가 이루어짐.

홈페이지 http://nswartsanddisabilitypartnership.arts.nsw.gov.au/portfolio/artsoutwest/

Page 7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79

Copyright ©© Adrian Stmes

Page 8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80

사례 4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빛 리듬 놀이(Light Rhythm Plays!)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빛 리듬 놀이(Light Rhythm Plays!)

시행단체 일루민아트(Illuminart)

사업목표 음악과 미디어아트를 통한 장애, 비장애인 간 공동체적 유대감 형성

주요내용 장애, 비장애인과 함께 하는 시청각 퍼포먼스 및 멀티미디어 공공

이벤트 진행

특징 현대미술의 가장 최전방에 있는 뉴미디어아트를 통해 장애,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예술을 통한 재미 추구

빛 리듬 놀이(Light Rhythm Plays!)는 전 연령대의 대중이 신나는 음악과 미디어

아트를 공공장소에서 경험하면서 사회적, 공동체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예술을 통한

삶의 휴식과 재미를 되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 프로젝트임.

2012년에 호주 노르도프 로빈스 음악치료 단체(Nordoff Robbins Music Thearpy

Australia)로부터 조언을 받아 조안 서덜랜드 공연예술센터(Joan Sutherland

Performing Arts Centre)에서 첫 선을 보인 후 뉴사우스웨일스주 펜리스 지역에 있

는 여러 장소에서도 시행되었음. 2013년에는 중앙호주에 위치한 호주국립영상자료

원(National Film and Sound Archive)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공공 이벤트로

진행되었으며, 장애인을 위한 예술공연의 일환으로도 개최되었음.

빛 리듬 놀이는 시청각 퍼포먼스와 멀티미디어 이벤트를 결합하여 진행되었으며,

‘2013년 장애인을 위한 날’의 주요 공연이었음.

지역사회의 구성원(장애 및 비장애인 모두)이 함께 어울려 인터렉티브 음악, 라이트

쇼, 미디어 프로젝트로 구성된 디지털 매체 기반의 예술을 즐기고 참여하였음.

지역 커뮤니티에 기반한 공공예술 프로젝트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부각

되며 우수 사례로 평가받음.

홈페이지http://illuminart.com.au/project/light-rhythm-plays-2/

Page 8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5. 호주의 사회문화예술교육 81

Copyright ©© http://illuminart.com.au/

Page 8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8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8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8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85

일본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평생교육 중심의 사회 환경

일본의 문화정책은 지역문화의 진흥을 위해 공공문화시설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프

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이는 사회교육-평생교육이라는 정책 하에 공민관을 중심

으로 확대되었고, 현재도 다수를 차지함.

공민관은 일본 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인 사회문화예술교육 기관이지만, 문화예술교

육의 취지와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음.

변화하고 있는 문화정책의 위상

일본의 문화정책은 지역문화의 진흥, 공공문화시설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프로그

램의 출현 및 발전,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활동의 지원 특화를 통해 성장

하여 왔음.

일본에서는 문화를 정책적 중요성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취급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지진 이후 민간영역의 문화예술 활동 주체의 등장과 활성화라는 현상이 두드러지면

서 다양한 민간활동이 활성화되기 시작함.

이런 가운데 일본의 문화정책에서 국민의 문화권과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짐. 한국과 같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견인은 존재하지 않으나, 이미 오랫

동안 쌓아온 지역기반으로 인해 지방정부 차원의 문화정책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양상임.

지방자치단체와 아트 NPO(Non-Profit Organization) 활동의 연대

소외계층(일본에서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음)문화예술교육, 고령자, 장애인, 일용노동

자 등을 대상으로 한 워크숍, 아트 프로젝트를 실시하는 지방자치단체와 NPO의 활

동 역시 다양함.

NPO가 주도하는 안전, 안심과 관련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지역의 안심, 안전에 필

요한 신뢰관계를 문화예술을 통해 구축하는 프로그램으로 주목받음. 특히 NPO법인

플러스 아츠(Plus Arts NPO)가 고안한 ‘이자! 카에루캐러반(イザ!カエルキャラバ

ン!)’은 지진, 재해 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새로운 방재훈련

시스템으로 민간의 활동임에도 전국적으로 확산됨.

Page 8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86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일본의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국의 주도하에 “작은 정부, 큰 민간”의

정치 문화를 지향하며, 전통적으로 "문화에 관련하지 않는다."는 방침 아래

별도의 ‘문화부’를 가지고 있지 않음.

- 1950년대부터 공민관을 중심으로 사회교육 시스템이 발달하여, 시민사회교

육을 담당하였으며, 박물관 도서관 등의 문화시설에서의 교육 및 활동도

담당하였음.

- 지역 차원에서 이루어지던 문화정책에 일본 정부가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

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국제사회의 변화와 일본 내 자연적․사회적 현상

을 해결하기 위해 문화적 역할을 확대함.

- 시설중심 지원에서 활동중심 지원으로 전화하면서 (재)문화창조, 문화NPO

활동이 활성화 됨.

- 2014년 발표한 ‘문화예술입국 중기플랜’은 문화예술진흥정책으로 문화예술

교육정책을 포함함.

정의 혹은

유사규정

사회교육

예술교육

지역문화진흥 정책

- 일본에서 문화예술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사회

교육에서 이루어진 ‘취미예술교육’과 문화영역

에서 진행되어 온 ‘지역문화진흥’ 정책에서 찾

을 수 있음.

- 문부과학성 사회교육과는 공민관, 박물관, 도서

관을 통해 사회교육을 추진하는데, 이는 주민들

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하는 생활예술에 가까움.

- 문부과학성 문화청은 일반국민을 위한 문화예

술진흥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국민의 문화

력 증진을 중요하게 다룸.

정책적

목표와 내용

- 사회교육법에 따르면 국가 및 지방 자치 단체는 사회교육의 장려에 필요

한 시설의 설치 및 운영, 집회 개최, 자료 제작‧배포, 기타 방법을 동원하

여, 국민이 스스로 모든 기회를 이용하여 생활에 문화적 교양을 높일 수

있게 한다는 내용을 명시하고 있음.

- 문화청의 문예진흥계획에서 문화력은 문화가 지역사회를 건강하게 만들고

일본 전체를 풍요롭고 활기차게 만들 힘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함.

- 최근에는 문화예술을 통한 국가의 위신 부여, 문화예술이 야기하는 경제적

인 파급효과, 차세대로 문화 전승, 커뮤니티의 교육 효과 등을 제기하며

문화예술진흥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음.

정책의 주체

- 사업의 주체는 문부과학성 생애학습정책국과 문화청으로 생애학습정책국

은 사회교육을 통해 도․도․부․현과 시․정․촌으로 이어져 있지만, 사회교육의

경우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음.

- 문화청의 경우,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지원사업을 하고 있는데, 이는 주로

아트NPO활동과 문화시설 지원사업을 통해 활성화됨.

- 아트NPO는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단체로서 다양한 활동과 연

대를 통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주민사업이나 마을 사업 등에

참여하고 있음.

일본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8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87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대상

- 문부과학성은 사회교육을 별도로 특화하여 사회교육과에서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공민관, 도서관, 박물관 등 사회문화시설을 교육과 학습의

장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함.

- 문화청의 문화예술진흥 사업 중에도 아동을 위한 사업은 별도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지만, 보편적인 국민의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활동을 축으로 세

분화되어 있음.

정책의

추진체계

- 문부과학성의 정책은 생애학습정책국 사회교육과로부터 지방자치단체인

도․도․부․현 및 시․정․촌으로 재배치되어 교육위원회를 통해 정책이 추진되

며 문화청의 경우는 주로 지역 내 아트NPO의 활동을 통해 정책을 수행

함.

(일본의 경우 문화예술영역과 교육영역이 분리되어 있으며, 교육적 방식과

문화예술의 방식에 차이를 두고 있음.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경우 양쪽에

걸쳐 운영됨)

정책의 수단

-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은 공민관 활성화 외 도서관 진흥, 박물관 진흥

등 다양한 정책적 틀에서 고려되고 있음.

- 문화청의 문화예술진흥사업은 ‘문화력 프로젝트’ 혹은 ‘문화력 확산 프로젝

트’를 통해 실현되는데, 각 사업은 문화예술교육을 별도의 사업으로 특화

하지 않고, 국민의 문화력 증진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음.

Page 8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88

사례 1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Art Revival Connection TOHOKU)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단체명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Art Revival Connection TOHOKU)

단체목표 예술이 가진 ‘살아갈 힘’을 통해 재해로 잃어버린 커뮤니티의 재생에 기여

주요내용 재해지역 주민들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특징 거대한 재해 후, 행정이 감당할 수 없는 지역의 다양하고 개별적인

문화적 필요를 민간단체에서 대응하며 시민들이 예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더욱더 확산시키려는 움직임 형성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재해지역 가운데 하나인 센다이 지역에서는 지진 후 ‘센다이

부흥을 위한 예술가 파견 실행위원회’가 결성되었음. 실행위원회를 구성하는 한 단

체인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Art Revival Connection TOHOKU, ARC>T)은 센

다이의 지역 연극인과 일본연출가협회가 중심이 되어 만든 예술가 네트워크 조직으

로 피해지역에 거주하는 예술가들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앞장섰고, 연극분야의 예술

가 파견 및 연락 조정을 담당했음.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은 어린이들과 장애인, 고령자가 소외되고 배제되지 않는

지역사회 만들기에 앞장서는 것을 활동 방향으로 하여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

하고자 함. 재해지역 아동시설, 유치원, 보육원 등 각종 시설의 신청을 받아 그에

맞는 예술가를 연결시키는 ‘찾아가는 활동’과 센다이시 부흥을 위한 ‘예술가 파견사

업’, 미야기현 지역의 ‘차세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체험 사업’ 등을

진행함.

예술을 통한 도호쿠 재생의 문화예술교육 사업 중 ‘차세대를 이끌어 갈 어린이 문

화예술체험 사업’은 동일본 대지진에 상처 입은 동북 지역의 어린이들을 위한 문화

예술 활동을 제공하여 어린이들이 안심하며 지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

지방공공단체, NPO법인, 재단법인, 문화예술단체로 구성된 4개의 실행위원회(이와

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센다이현)에서 예술가를 초·중학교에 파견하여 강의,

공연을 진행함.

동일본 대지진 이후의 일본 문화예술계는 ‘예술’이 가진 ‘치유의 힘’, ‘살아갈 힘’을

재확인함. 교육, 복지와 같은 타 분야와의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이 활성화되었으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 예술가의 의식 향상에도 영향을 끼쳤음. 예술 현장에서

는 재해 재난에 따른 예술 분야의 위기관리 대책에 대해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음.

Page 8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89

홈페이지

http://arct.jp

Copyright ©©http://arct.jp

Page 9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90

사례 2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마음의 부흥(心の復興)

구분 지역 공동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마음의 부흥(心の復興)

사업목표 동일본 대지진의 재해지역 주민들에게 문화예술 활동을 통해 힘과

위로를 주는 것, 즉 ‘마음의 부흥’을 위한 계기 마련

주요내용 재해지역에 예술가를 파견해 문화예술 활동 제공

특징 재해지역 주민에게 문화예술 감상 및 체험의 기회 제공

재해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위한 거점을 만들어 주민들의 마음의

부흥뿐 아니라 지역의 부흥을 위한 활력 창출

동일본 대지진 이후 문화예술 관련 행사들이 취소되고 문화예산이 축소되는 가운데

당시 콘도 세이치 문화청 장관은 “이러한 분위기일수록 오히려 전국 각지에서 활발

한 문화예술활동이 일어나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활력을 되찾는 것, 이것이 결국

일본 전체의 건강한 부활을 가져올 것”이라고 언급하며 문화예술을 통한 ‘위로’와

‘용기’를 북돋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함.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후, 6월에 긴급 예산이 편성되어 8월부터 파견 사업을 실시

하였으며 주된 피해지역인 이와테현, 미야자키현, 후쿠시마현, 토치기현, 센다이시

5개의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의 필요와 상황에 맞춰 음악, 연극, 라쿠고(만담), 댄

스 등 459개의 사업을 실시하였음. 2012년 3월에는 ‘문화예술에 의한 부흥 추진 컨

소시엄’이 설립되어 재해지역에서의 문화예술 활동 조사 보고서를 편찬하는 등 다

양한 활동을 정리하고 있음.

피해지역의 도와 현 및 시‧정‧촌에서 공연 감상 등 문화예술에 의한 마음의 부흥(心の復興)을 기획하여 중앙 정부에 신청하면 지원하는 프로세스임. 문화예술단체와 연

계하기 어려운 지자체의 경우 문화청이 음악과 연극 단체를 연결시켜주기도 함.

마음의 부흥은 ‘지역발 문화예술창조발신 이니시어티브 사업’ 중 한 항목으로 편성

되어 현재까지 피해지역의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하고 있음. 2014년 대상 지역은 홋

카이도,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토치기현, 사이타

마현, 치바현, 니가타현, 나가노현 11도와 현으로 확대되었음.

2014년도에 진행한 사업으로는 부흥 기념 사업(고전, 음악제 등), 재해지역의 학교,

Page 9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91

유치원, 보육소, 피난소, 병원, 복지시설에서의 공연 관람(연극, 콘서트, 영화감상,

라쿠고, 낭독 등), 국내외 예술가의 문화예술 활동 거점 형성(아티스트 인 레지던스

등), 문화예술 체험활동 기회 제공(댄스, 악기연주 등)이 있음.

홈페이지

http://www.toiho.info/locus

Copyright ©©http://www.toiho.info/locus

Page 9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92

Copyright ©©http://www.toiho.info/locus

Page 9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93

사례 3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카이츠카 시립 야마테지구 공민관(貝塚市立山手地区公民館)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기관명 카이츠카 시립 야마테지구 공민관(貝塚市立山手地区公民館)

기관목표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교육 사업 운영 및 지역 커뮤니티의 장 형성

주요내용 공민관의 사회교육 사업을 기반으로 공민관과 지역주민이 함께

현대미술 이벤트인 ‘카이츠카 마치나카 아트 뮤지엄’ 개최

특징 공민관에서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현대 미술 이벤트 개최

약 20여명의 지역주민이 실행위원회에 참여해 아트디렉터부터

디자인까지 행사의 전반을 담당하는 시스템 구축

행사의 퀄리티를 높여 이 행사의 기획과 개최가 지역주민에게 자랑이

되도록 했으며,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들이 ‘예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 제공

공민관은 일본의 대표적인 사회교육시설로 전국에 약 1만 6천관이 설치되어 있음.

지역주민에게 친숙한 학습거점이자 지역 커뮤니티 형성의 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

행하고 있음. 제2기 교육진흥 기본계획에서는 공민관 등의 사회교육시설을 거점으

로 관계 기관이 협력하여 지역의 과제 해결을 위한 강좌, 지역주민의 상호학습 지

원을 통한 지역 커뮤니티 형성 활동을 추진하도록 함.

2013년부터 시작한 사회교육 활성화 지원 프로그램은 5개의 구분으로 나누어져 있

으며 각각의 테마는 일본이 당면한 사회 문제를 나타내고 있음. 1) 청년의 자립·사

회참가 지원, 2) 지역의 방재 거점 형성 지원, 3) 지역 인재를 통한 가정 교육, 4)

지역 진흥 지원, 5) 기타 지역의 교육적 자원을 활용한 지역 과제 해결 지원의 5개

구분이 있음.

‘공민관을 중심으로 한 사회교육활성화 지원 프로그램’은 어느 지역에나 존재하는

공민관을 주축으로 지역과 행정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존의 사회교육에서 실시

하기 어려웠던 사업(재정적, 인적 자원의 측면에서)을 국가의 지원을 통해 실행 가

능하도록 했음.

또한 공민관이 하지 못하는 전문적인 부분들을 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보완하면

서 보다 전문적인 지도와 활동이 가능해져 지역의 다양한 인재와 폭넓은 세대가 참

여할 수 있는 여지가 넓어졌음. 문화예술 활동 역시 생활문화나 교양의 차원을 벗

Page 9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94

어나 지역의 NPO와 연계하여 전문적이고 색다른 시도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지역

사회의 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취미활동을 벗어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게 됨.

카이츠카시는 오사카의 남쪽에 위치한 인구 약 9만 명의 지역임. 2012년 가을, 카

이츠카 시립 야마테지구 공민관(貝塚市立山手地区公民館)과 지역주민의 협력을 통해

현대 미술 이벤트인 ‘카이츠카 마치나카 아트 뮤지엄(貝塚まちなかアートミュージア

ム, Kaizuka Machinaka Art Museum)’을 시작하였음. 당시에는 공민관 주관의 사

회교육사업으로 시작했으며 강좌와 이벤트로 구성됨.

이벤트의 개최장소가 된 야마테 지구에는 미즈마데라와 같이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절들이 아름다운 자연에 둘러싸여 있음. 카이츠카 시가지와 야마테 지구는 작은 철

도로 연결되어 있어 이벤트를 통해 지역의 매력을 홍보하여 지역 활성화에도 기여

하고자 했음.

홈페이지

http://fallinland.jp/kaizuka/

Copyright ©©http://fallinland.jp/kaizuka/

Page 9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6.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95

Copyright ©©http://fallinland.jp/kaizuka/

Page 9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9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9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Page 99: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99

한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맥락 및 특징

문화예술교육의 안정적 기반과 공감대 확보

미국을 제외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진보적인 정부 하에서 추진된 사업임. 따라

서 정권이 바뀌는 경우 많은 부침이 있기 마련인데, 한국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정

책의 수립 이후 3개의 정부가 있었음에도 꾸준히 유지됨.

특히 정치적 성향이 다른 정부 하에서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문화예술교육 관련

한 법적, 제도적 기반이 비교적 안정화되었다는 점은 물론 문화예술교육을 지지하

고 유지하기를 원하는 관계자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함.

중앙정부의 역할이 강력한 집중 시스템

한국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추진체계는 다른 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앙정

부의 역할이 강력하며 그 역할을 대행하는 집행 주체의 위상도 안정적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경우 프랑스 역시 강력한 중앙 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

문화예술교육까지 관장하는 것은 아님. 그러나 한국의 경우 학교문화예술교육과 사

회문화예술교육을 두루 관장하는 일괄된 중앙 시스템이 존재하며 이는 문화예술교

육 정책이 빠른 시간 내에 발전을 한 중요한 계기가 됨.

반면 중앙정부의 추진체계가 지역에 기초한 문화적 맥락과 자유로운 상상력을 일정

하게 제한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함.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영역이 설정되고 설계되는 시스템

서구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및 내실화를 위한 새

로운 교육방식과 내용 도입을 의미함. 이것이 수용될 수 있는 것은 이미 사회 속에

서 다양한 문화예술 관련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음.

한국의 경우 사회적 문제의식과 역량이 프랑스나 영국에 비해 낮고 문화예술을 향

유하는 문화수용 능력도 낮음.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수립과 유지를 지지할

사회적 공감능력이 매우 약한 상태.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병행 추진은 사회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활동을 교육적 측면으로 축소했다는 비판과 시민들의 문화적 권리에 기초하는 교육

적 활동을 통제하였다는 비판에서 자유롭기 어려움.

Page 100: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0

구분 주요내용

사회문화예술

교육의 배경

- 1980년대 민주화이후 사회적으로 문화예술활동이 활발해지고 다양한 실험

이 시도됨.

- 2003년 참여정부의 문화정책인 ‘창의적인 문화시민’에 부합하는 정책으로

문화예술교육정책이 수립됨.

- 국민의 문화 역량 증대를 위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의 문화예술교육정책

에 영향을 받음.

- 성격이 다른 정권에도 불구하고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보편적 문화정책으로

자리 잡음.

정의 혹은

유사규정

문화예술교육

(Arts and culture

education)

- 문화예술교육진흥법은 제2조에서 문화예술교육

을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

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이라고

규정하고 있음.

- 또한 사회문화예술교육을 “문화예술교육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

화예술교육”으로 정의하고 있음.

정책적

목표와 내용

- 문화예술교육정책을 최초로 설계하였던 2004년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

합계획>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 “개인의 창의성 증진과 사회의 문

화역량 제고”로 규정함.

- 2014년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비

전을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소통과 공감, 함께 나누는 행복”으로 제시하

고,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를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문화예술교육의 지역

화, 문화예술교육의 내실화로 설정함.

- 이는 문화예술교육의 목표가 학교와 사회를 망라하여 사회적 역할을 수행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함.

정책의 주체

- 정책의 주체는 문화체육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지역센터이며, 정

책의 파트너는 교육부, 문화예술단체, 기관 및 시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사(예술강사 포함)임.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서 문화예술교육단체, 문화시설 등은 프로그램

의 활용처이기도 하지만, 프로그램을 직접 개발하거나 기획하기도 함.

-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주체로서 예술강사는 문화예술교육을 원하는 기관이

나 시설에 파견되는데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직접 담당함.

정책의 대상

- 생애주기별로 문화예술교육 대상을 발굴하여, 유아, 아동청소년, 청년, 장

년, 노년 모두를 대상으로 정책을 수행하고 있음.

- 소외계층은 별도의 틀로 접근하는데, 복지시설 이용 계층에 대한 접근, 군,

교도소, 소년원 등이 있음.

한국사회문화예술교육의주요내용

Page 101: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101

구분 주요내용

정책의

추진체계

- 중앙정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광역, 기초 단위로 이어지는 문화

예술교육정책 추진체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

- 이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기초권 문

화예술교육단체로 정책이 추진되는 구조임. (대부분의 광역문화예술교육센

터는 광역문화재단이 위탁운영을 하고 있음)

정책의 수단

- 국민의 생애 연령별 욕구에 맞추어 대상에 맞는 사회문화예술교육 프로그

램 체계를 구축함.

-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대상을 시설과 기관중심으로 파악하고 접근하고 있

음.

- 2013년 기준 사회문화예술교육 예산의 약 70%가 복지시설이나 군, 교도

소, 산업단지 등에 투입되고 있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정책 내용이 소외계

층 문화예술교육과 사회통합의 성격을 가짐.

Page 102: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2

사례 1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

구분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

사업목표 농산어촌 및 기타 문화소외지역으로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문화향유 격차 해소

주요내용 버스를 활용해 농산어촌 및 문화소외지역으로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체험 프로젝트 운영

특징 예술교육 특화형 체험버스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통해 오래

기억될 수 있는 찰나의 경험 제공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은 2012년부터 시작한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사업’으

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음. 예술가가 버스를

타고 전국 농산어촌 지역으로 찾아가는 컨셉으로 버스의 공간적 특수성을 활용하여

독특하고 흥미로운 문화예술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음.

2014년에는 전국 농산어촌 및 기타 문화소외지역 아동과 어르신을 대상으로 160회

의 프로그램 진행이 이루어졌음. 아동 대상 프로그램으로 별빛첨성대, 풋풋풋풋 버

스옵스큐라, 라이징스타를 어르신 대상 프로그램으로 무빙 아트캔버스, 사물(事物)

놀이를 진행함.

표17_ 움직이는 예술 정거장 프로그램

프로그램 내용

별빛첨성대다양한 색지 위에 그린 라인 드로잉을 여러 겹으로 묶어 만든 ‘코라’에 떠오르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그려 만든 나만의 별자리 만들기

풋풋풋풋 버스옵스큐라

사물을 다방면으로 접근해 보는 기회를 통해 눈과 손으로 빛을 느끼고 이해해보며 예술감각을 깨우기

라이징 스타 자신의 꿈과 친구의 꿈을 소통하고 공유하며 노래로 만들어보기

아! 이케바나사물과 관련된 기억과 동작의 특징을 파악하여 움직임을 만들어보는 창작 무용 교육

무빙아트캔버스

어르신들의 추억과 꿈을 바탕으로 평소에 느꼈던 기분과 순간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액션페인팅 체험

사물(事物)놀이 자신의 물건들 속 기억과 가치를 담은 나만의 액자 만들기

홈페이지

http://www.arte.or.kr/

Page 103: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103

Page 104: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4

주제 내용

경자 씨를 찾습니다- 공개 오디션 3분 이야기 ‘나는 왜 경자씨인가’- 영화 ‘할머니와 란제리’ 감상 후 다과

나는 경자 씨 ‘나’를 찾는 심리극 진행

사례 2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경자씨와 재봉틀

구분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경자씨와 재봉틀

시행기관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사업목표 ‘한 사람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라는 컨셉 아래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삶을 갖고 있는 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주요내용 50-60대 여성 대상 주제통합형 문화예술교육 진행

학습소모임 운영을 통해 50-60대 대상 노인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수요조사

통합결과보고서 및 연구보고서 제작

특징 50-60대 어머니들의 삶과 욕구를 보다 다층적이고 세밀한 방식으로

들여다보아야 할 필요성 인식

교육 참여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재발견하고, 치유하며

자긍심을 갖고 성장할 수 있기를 기대

경자씨와 재봉틀은 ‘2014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노인 분야 시범사업’의

지원을 받아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진행한 사업임. ‘2014 복지기관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의 노인대상 사업이 예술강사 파견 및 장르별 지원방식에 국한되

어 있다는 점에 착안해 다양한 노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노인 분야 시범사업

을 추진하였음. 수요조사와 시범사업 운영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과 광역 문화

예술교육지원센터의 협력으로 진행되었음.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에서 진행한 경자씨와 재봉틀은 아내, 엄마, 할머니로 불

릴 수밖에 없는 50-60대 여성을, 자신의 역할을 규정하는 집 밖으로 불러내 그들

의 살아온 이야기와 앞으로의 꿈을 꺼내놓고 오로지 자기에 집중할 수 있는 문화예

술교육 프로그램으로 2014년 시범운영함.

표18_ 경자씨와 재봉틀 프로그램 세부내용

Page 105: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105

주제 내용

나의 몸뚱이- 그때 그 사진으로 나를 소개하기- 마사지와 네일아트로 내 몸뚱이에 사과하기- 타로점으로 내 삶을 반추해보기

르포 ‘경자’(가을소풍과 집밥나눔)

서로서로 심층 인터뷰 진행

스물 일곱 경자 씨- 나의 ‘한 때 꿈’을 주제로 참여형 연극 활동 진행- 편지쓰기와 여행 기획

경자 씨와 재봉틀- 여행 기획- 명상과 인생디자인 워크숍. 깜짝공연 진행

기능 습득 위주의 프로그램이 아닌 50-60대 여성 내면의 욕구와 갈등을 예술로 승

화하고자 하였음. 참여자의 삶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으로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

육, 삶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진행되었음.

홈페이지

http://www.gjarte.or.kr/

Copyright ©©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Page 106: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6

Copyright ©©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Page 107: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7. 한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107

사례 3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구분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사업명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사업목표 청소년들의 문화감수성 및 자기이해 증진, 창의성 및 인성 함양의

기회와 방과 후 돌봄 기능 제공

주요내용 일반 ․ 소외계층 청소년 대상으로 예술 창작 과정 및 전문적 공연 ․전시경험 기회 마련

특징 기능 중심의 교육이 아닌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창의적인 프로그램 운영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

술교육 지원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

원과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 주관하는 사업임.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

업’은 부처 간 협력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문화예술 정책이 확산되는 문화 환경을

조성하여 수혜대상별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문화예술교육의 효

과성을 높이기 위한 사업임.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추진체계

Page 108: 정책자료집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자료집 본문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자료집 108

방과후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수요조사를 바탕

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프로그램 운영단체를 공모, 선정한 후 청소년수

련시설과 매칭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음. 1개 프로그램 운영단체는 5개 내외의 청

소년 수련시설을 담당했으며, 1개 청소년 수련시설에서 연간 30회 내외의 교육 프

로그램을 진행하였음.

Copyright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