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에너지안보 - steeldaily.co.kr¤‘국의 에너지...ii.중국에너지생산,...

12
중국의 중국의 에너지 에너지 안보 안보 - - 중국 중국 에너지 에너지 수급현황 수급현황, , 전망과 전망과 전략 전략 - - 이 태 환 (한중싱크넷 회장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I. 서론 중국의 에너지 안보 2020년 GDP를 2000년의 4배로 증대 계획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확보 요구됨 2003년 미국에 이어 세계 제 2위의 석유소비 대국 부상 -석유의 대외 의존도 급속 증가 중국 에너지 안보는 동북아의 문제, 나아가 세계적 문제

Upload: others

Post on 01-Nov-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중국의중국의 에너지에너지 안보안보

    -- 중국중국 에너지에너지 수급현황수급현황, , 전망과전망과 전략전략 --

    이 태 환 (한중싱크넷 회장 ,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I. 서론

    중국의 에너지 안보

    2020년 GDP를 2000년의 4배로 증대 계획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확보 요구됨

    2003년 미국에 이어 세계 제 2위의 석유소비 대국 부상

    -석유의 대외 의존도 급속 증가

    중국 에너지 안보는 동북아의 문제, 나아가 세계적 문제

  •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중국의 에너지 생산 및 소비 현황

    -세계 2위의 에너지 소비국, 세계 3위의 에너지 수입국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중국의 에너지 소비 구조(유형별)

  •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1.석유1993년 원유 순 수입국이 된 이래 석유 소비량 급격히 증대.

    2020년, 석유 수입량이 국내 소비량의 최대 63-70%차지할 전망

    중국의 석유 생산량과 소비량 추이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2005년 3백8십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 세계 6위의 석유 생산국

    세계 주요 산유국

  • 중국 주요 유전과 각 생산량 (2006년 1월) –출처 Oil & Gas Journal

    519,108대륙붕중국해양석유공사(CNOOC)

    67,092Zhongyuan

    78,567Sinopec Star

    535,531Shengli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Sinopec)

    162,422Changqing

    222,524Xinjiang

    256,991Liaohe

    929,268Daqing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

    생산량(bbl/d)유전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중국의 석유 수입(지역별)

    중국의 석유 수입 (국가별) 중국의 석유수입 (지역별)

  •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2. 석탄중국의 석탄 생산량과 소비량 추이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중국의 산업별 석탄 소비량 및 전망 세계 각 지역별 석탄 소비량 및 전망

  •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3. 천연가스

    중국의 천연가스 생산량과 소비량 추이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에너지 중 천연가스의 비중 (국가별)

  •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4. 전력중국의 유형별 전력 생산량 추이

    II. 중국 에너지 생산, 소비 현황과 전망

    5. 원자력

    중국의 원자력 생산 및 비중

  •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1. 향후 20년의 과제

    화석 연료 과다 의존으로 인한 공급 압력

    경제 발전의 에너지 의존도 비교적 높음

    오염문제와 환경보호에 대한 요구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2. 국내전략 - 에너지절약 및 효율성 증대

    1) 천연가스의 공급과 사용 증대

    공급의 증대와 함께 시장 개발이 요구됨

    사회적 환경적 목표를 위해 천연가스 사용 장려

    2) 석탄 의존도 감축과 청정 석탄 사용 비중 증대

    산업 구조조정, 개발질서 규범화, 대형기지 육성 및 기술 개발

    생태 환경과의 조화

    석탄과 다른산업의 조화로운 발전 추구

    전력용 석탄 가격 체제 개혁

  •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3) 석유 안보 : 석유 공급 증대와 공급불안요인 최소화

    1993년 원유 순 수입국이 된 이래 석유 소비량 급격히 증대.2020년, 석유 수입량이 국내 소비량의 최대 63-70%차지할 전망

    전략적비축유 증대및 조기 경보 체제 수립

    4) 수력 발전 의존도 증대

    5) 원자력 발전설비 증축

    2020년까지 발전용량을 4배로 증대 (40GW) 할 계획(30기정도)

    청정 에너지이지만, 안전과 비용 측면에서 우려 대두

    핵 폐기물의 안전한 저장 문제에도 관심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6) 재생 가능 에너지 활용 확대

    전력 생산량을 90-100GW 추가 증대

    소형 수력발전 60-70GW, 풍력 발전 20 GW , 바이오 메스 에너지

    1GW, 태양열, 지열, 해수 발전량 소폭 향상 등

    7) 전력 공급 능력의 확대

    독점 체제 개선 및 시장 장벽 제거 노력

    가격 조정을 통한 전반적인 에너지 소모 감축 유도

    친 환경화: 재생에너지, 청정에너지 활용 장려

    경제, 사회, 생태환경과 조화로운 발전 추구

    중서부 지역 우대

  •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3. 대외전략-에너지 공급원 다양화

    1) 공급 불안 요인의 최소화

    국제 석유시장 전면적 진입과 참여

    중동, 중앙아시아, 러시아, 아프리카, 남미 국가 들과 전략적

    에너지 동맹

    III.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2) 에너지 외교 를 통한 공급 확대

    러시아와 에너지 협력 확대중동 산유국에 대한 에너지 외교

    인도와의 협력 구체화-입찰 정보 공유 포함한 5개항의 에너지 협력협정 체결, 입찰 대상에 대한 정보 교환 등의 체계화 합의

    카스피해 자원 확보 노력-우즈베키스탄 천연가스 개발 투자 약속(6억 달러)-카자흐스탄 우라늄 공동 개발 합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 외교-2006년 11월 3∼5일아프리카 48개국 초청베이징(北京) 에서‘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개최협력증진 합의

  • IV. 중국 에너지 안보상 문제점

    1. 미국과의 경쟁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산유국들의 중국에 대한 러브 콜이 미국 자극

    미국과 관계가 좋지 않은 베네수엘라및 차드와의 ‘석유 외교’

    이란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려는 중국의 움직임도 미국과의 갈등 요인.

    미국은 중국이 대량의 원유비축을 무기 삼을 경우 국제유가에 미칠영향에 대해 우려

    양국간 에너지안보의 문제로 인해 경쟁이 심화될 경우 국제질서의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음.

    2. 일본과의 경쟁및 갈등 심화

    해양 자원, 수송로를 둘러싸고 정치적 논쟁 고조 가능성- 춘샤오 가스전

    일본과 중국의 대 아프리카 외교 전

    IV. 중국 에너지 안보상 문제점

    3. 전략적 수송로 안전 확보

    중국의 원유수입로가 미국과 일본에 의해 통제될 가능성

    - 향후 중국이 의존할 해양 수송로 : 호르무즈해협, 인도양, 남사군도를 지나는 전통적인 ‘동아시아 해로’

    - 미 해군이 중동 걸프 만에서 남 중국해에 걸친 해로 통제

    - 중미관계 악화 시 미국이 이를 봉쇄할 수 있음

    - 인도양 권역에 대한 중국 영향력 확대로 미일과 중국간 대립 가능성 증대

    중국 국무원의 에너지연구소:

    여섯 개의 전략적 원유 수입로

    안정적 확보를 위한 계획 수립

  • V. 전망 및 결론

    1. 석유공급 불안요인에 대한 취약성 증대

    -신중상주의적 전략적 접근법

    -국제석유시장 기제에 돌발변수로 나타날 가능성

    2. 중국-미국, 중국-일본 간 경쟁 증대

    3. 해양 수송로 안전 확보 노력

    -미국에 의존 (테러와의 전쟁 협조)

    -중국 해군력 증강

    4. 다자간 에너지 협력 가능 분야

    - 에너지 효율성 증대를 위한 협력

    - 친환경 대체 에너지 기술 협력

    감사합니다.

    이 태 환 (한중싱크넷 회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