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5
경희의학 : 30 권 제 1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30, No. 1, 2015 - 61 -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General Anesthesia of a Patient with Brugada Syndrome 김동현, 강종만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책임저자: 강종만,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Tel: +82-2-440-6193, Fax: +82-2-440-7804 E-mail: [email protected] Brugada 증후군은 특징적인 우측 흉부유도 심전도 와 정상구조의 심장에서 심실 세동에 의한 심인성 급사를 유발하는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1) 전체 급 사의 4-12%, 심장에 구조적 이상이 없는 급사의 20%에 연관이 되어 있으며, 유전 질환으로 11개 이 상의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가장 흔 한 것은 SCN5A 유전자의 변이로 이는 전체 Brugada 증후군 환자의 15-30%에서 발견된다.(2,3) 심실 세동 과 급사의 위험이 있으며, 전신 마취중의 여러 요인 (약물, 체온 변화 등)이 부정맥의 유발이 가능하므로 심실 세동을 유발하지 않도록 마취 관리에 신중을 기하고 발생 시 빠른 제세동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 . 본 증례는 특징적인 type I Brugada 심전도 소견 을 보인 환자에서의 복강경 충수절제술의 전신 마취 관리 경험에 대해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5세의 남자 환자(신장 167.9 cm, 체중 66.6 kg)급성 충수염으로 복강경 충수절제술을 위해 응급실 을 통해 입원하였다. 과거력 상 특이 병력은 없었고, 흉부 X-선 검사는 정상이었으며 혈액검사는 충수염 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백혈구 수치의 증가 이 외에는 정상 소견을 보였다. 환자의 수술 전 심전도 (Fig. 1) 상 우각차단의 양상과 우측 흉부유도상 ST 절 상승의 특이소견이 관찰되었다. 환자는 23전부터 3개월에 한 번씩 1020초간 지속되는 흉통 이 있었다고 하였으나, 실신이나 심계항진 등의 증 상은 없었으며, 심인성 급사의 가족력은 없었다. 자의 심전도 소견이 type I Brugada 심전도를 보였으 , type I 심전도는 가족력이나 증상이 없이도 심인 성 급사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 전기생리 학적 검사와 소듐 채널 차단제 유발검사 등의 이차적 검사는 환자의 거부로 시행하지 못하였다. 환자와 보 호자에게 Brugada 증후군으로 인한 주술기 부정맥이 나 심인성 급사 발생의 위험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받았으며 수술중 심실 세동의 발생 시 제세동을 위해 휴대용 제세동기를 준비하였다. 수술 전 투약 없이 수술실에 도착하였으며, 도착 후 비침습적 혈압 측정장치, 심전도, 맥박산소계측 기를 부착하여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활력 징후는 혈압이 134/76 mmHg, 심박수는 분당 95회의 정상동리듬을 보였으며, 산소포화도는 98%로 측정 되었다. 정상 활력징후의 확인 후 환자에게 midazolam 1.5 mg을 정주 하였다. 수술 중 부정맥 발생 시 제세 동을 위해 체외 제세동을 위한 접착식 패드를 부착 하였다(Fig. 2). 이후 수술중의 지속적 혈압 감시를

Upload: others

Post on 13-Aug-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khu.ac.krkmclib.khu.ac.kr/room/news/30_3_3.pdf · 2015-10-22 ·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경희의학 : 제 30 권 제1 호 □ 증 례 □

J Kyung Hee Univ Med Cent : Vol. 30, No. 1, 2015

- 61 -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General Anesthesia of a Patient with Brugada Syndrome

김동 , 강종만

경희 학교 의과 학 마취통증의학교실

책임저자: 강종만, 강동경희 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Tel: +82-2-440-6193, Fax: +82-2-440-7804

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Brugada 증후군은 특징 인 우측 흉부유도 심 도

와 정상구조의 심장에서 심실 세동에 의한 심인성

사를 유발하는 임상 특징을 보인다.(1) 체

사의 4-12%, 심장에 구조 이상이 없는 사의

20%에 연 이 되어 있으며, 유 질환으로 11개 이

상의 유 자와 련이 있는 것이 밝 졌다. 가장 흔

한 것은 SCN5A 유 자의 변이로 이는 체 Brugada

증후군 환자의 15-30%에서 발견된다.(2,3) 심실 세동

과 사의 험이 있으며, 신 마취 의 여러 요인

(약물, 체온 변화 등)이 부정맥의 유발이 가능하므로

심실 세동을 유발하지 않도록 마취 리에 신 을

기하고 발생 시 빠른 제세동을 한 비가 필요하

다. 본 증례는 특징 인 type I Brugada 심 도 소견

을 보인 환자에서의 복강경 충수 제술의 신 마취

리 경험에 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증 례

45세의 남자 환자(신장 167.9 cm, 체 66.6 kg)로

성 충수염으로 복강경 충수 제술을 해 응 실

을 통해 입원하 다. 과거력 상 특이 병력은 없었고,

흉부 X-선 검사는 정상이었으며 액검사는 충수염

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백 구 수치의 증가 이

외에는 정상 소견을 보 다. 환자의 수술 심 도

(Fig. 1) 상 우각차단의 양상과 우측 흉부유도상 ST

상승의 특이소견이 찰되었다. 환자는 2~3년

부터 3개월에 한 번씩 10~20 간 지속되는 흉통

이 있었다고 하 으나, 실신이나 심계항진 등의 증

상은 없었으며, 심인성 사의 가족력은 없었다. 환

자의 심 도 소견이 type I Brugada 심 도를 보 으

며, type I 심 도는 가족력이나 증상이 없이도 심인

성 사와 연 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4) 기생리

학 검사와 소듐 채 차단제 유발검사 등의 이차

검사는 환자의 거부로 시행하지 못하 다. 환자와 보

호자에게 Brugada 증후군으로 인한 주술기 부정맥이

나 심인성 사 발생의 험에 해 자세한 설명을

하고 동의를 받았으며 수술 심실 세동의 발생 시

제세동을 해 휴 용 제세동기를 비하 다.

수술 투약 없이 수술실에 도착하 으며, 도착

후 비침습 압 측정장치, 심 도, 맥박산소계측

기를 부착하여 활력징후를 측정하 다. 환자의 활력

징후는 압이 134/76 mmHg, 심박수는 분당 95회의

정상동리듬을 보 으며, 산소포화도는 98%로 측정

되었다. 정상 활력징후의 확인 후 환자에게 midazolam

1.5 mg을 정주 하 다. 수술 부정맥 발생 시 제세

동을 해 체외 제세동을 한 착식 패드를 부착

하 다(Fig. 2). 이후 수술 의 지속 압 감시를

Page 2: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khu.ac.krkmclib.khu.ac.kr/room/news/30_3_3.pdf · 2015-10-22 ·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 경희의학 제30 권 제1 호 2015 −

- 62 -

Fig. 1. Pre-operative electrocardiogram showed type-I Brugada electrocardiogram.

Fig. 2. External defibrillator pads were placed for intra-

operative defibrillation.

해 Modified Allen’s test를 실시한 후 1% lidocaine

을 요골 동맥 부 에 침윤하고 우측 요골동맥에 20

G 카테터를 거치하 다. 마취유도 활력징후는 압

이 130/65 mmHg, 심박수 분당 96회, 산소포화도 98%

를 보 다. 마취유도는 profopol 120 mg, rocuronium 50

mg을 정주 후, 미리 포화시킨 마취회로로 sevoflurane

3 vol%, O2 3 L/min, Air 3 L/min을 마스크로 호흡 시

키면서, 기도 삽 시의 역학 변화를 최소화하

기 하여 remifentanil을 사용하 다. 자발호흡의 소

실 후 기 내 삽 을 시행하 으며 기 내 삽

직후 압이 177/85 mmHg, 심박수가 분당 105회까

지 상승하 으나 그 이상의 증가는 없었다. 마취 유

지는 sevoflurane 2 vol%, O2 1.5 L/min, Air 1.5 L/min

로 하 으며, 수술 의 역학 안정성을 해 re-

mifentanil을 지속 정주하 다. 수술 압은 110~140/60~80 mmHg, 심박수는 75~95회, 산소포화도

는 100%로 잘 유지되었으며, 이마에서 측정한 피부

체온은 37.3~37.4℃를 유지하 다. 심 도는 심실성

빈맥이나 부정맥은 찰되지 않았다. 수술 시간은

약 30분이 소요되었으며, 수술이 끝난 후 자발호흡

의 회복 근이완의 역 을 해 sugammadex 200

mg을 정주하 으며 순조롭게 기 내 을 발 하

다. 수술 직후 회복실에서 심 도를 확인(Fig. 3) 하

으며 수술 과 같은 양상이었다. 이후 회복실에

서 1시간 동안 압, 산소포화도, 심 도를 찰하

으며 활력징후가 안정 으로 유지되어 일반 병실로

이송되었다. 그 후 특별한 증상이나 합병증이 나타

나지 않아 수술 후 2일째 퇴원하 다.

Page 3: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khu.ac.krkmclib.khu.ac.kr/room/news/30_3_3.pdf · 2015-10-22 ·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 김동 ․강종만:Brugada 증후군 환자의 신 마취 경험 −

- 63 -

Fig. 3. Post-operative electrocardiogram showed no difference from pre-operative examination.

고 찰

1992년 처음 기술된 Brugada 증후군은 우각차단과

ST 의 상승, 정상구조의 심장에서 심인성 사를

특징으로 한다.(1) 체 인 유병률은 10,000명당 5명

정도로 추정되며 환자가 질병의 잠복기에 있을 수

있어 이는 과소진단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 남성

에서 여성에 비해 8~10배 더 많이 나타난다.(2) 유럽

이나 북아메리카보다 아시아에서 더 많이 나타나며,

한국에서는 건강한 은 성인 남자 10,867명 0.9%

에서 Brugada형 심 도가 나타났다고 한다.(6)

Brugada 증후군의 특징 인 심 도는 3가지로 구분

되는데 이는 우측 흉부유도 심 도 V1~V3 하나

이상에서 2 mm 이상의 활모양(coved)의 ST분 상승

과 함께 T 의 하향이 나타나는 type I, 2 mm 이상의

ST분 은 나타나지만 T 가 상향 는 이상성으로

나타나 안장 모양(saddleback)을 나타내는 type II, 앞

의 두 형태 ST분 의 상승이 1 mm 이하로 나타나

는 type III로 나뉜다.(7) Brugada 증후군에서 한 환자

에서도 시기에 따라 세 가지 심 도가 모두 나타날

수 있으나 type I만이 진단 인 가치를 지닌다. 확진

을 해선 심실 세동이나 심실성 빈맥, 기생리학

검사 나타난 심실성 부정맥, 실신이나 45세 미만

의 심인성 사의 가족력 등이 동반되어야 한다. 하

지만 type I 심 도 소견만으로도 심인성 사와

련이 있으며, 따라서 type I 심 도 소견을 보이는 경

우 사의 험성이 있다고 보아야 한다.(4)

Brugada 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유 을 보이며

처음 발견된 유 자는 SCN5A로 이는 심장 소듐 채

을 암호화한다.(8) 아직 SCN5A가 유일하게 밝

진 유 자지만 18~30%만이 유 자 변이를 보이며

이는 증후군이 유 으로 여러 종류로 이루어 져있

음을 시사한다.(1)

환자들은 부분 무증상이며, 17~42%가 일생에

심실성 부정맥으로 인한 실신이나 심인성 사를 보

인다.(9,10) 부분은 40 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아

직 이에 한 원인의 설명은 명확하지 않다. 심인성

사를 보인 환자의 23%는 실신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0) 다른 소듐 채 질환과 같이 Brugada

증후군에서의 부정맥은 주로 우세한 미주신경 활동

과 련이 있어, 휴식이나 수면과 같은 상황에서 주

로 나타난다.(11) 치료에 있어서 제세동기 삽입술이

유일하게 확인된 효과를 나타낸 치료법으로 기생

리학 검사에 의한 심실 부정맥의 발생 등을 고려

하여 시행하게 된다.(2) 약물요법으로는 포타슘 류

차단제인 quinidine이 Brugada 증후군의 부정맥의 유

Page 4: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khu.ac.krkmclib.khu.ac.kr/room/news/30_3_3.pdf · 2015-10-22 ·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 경희의학 제30 권 제1 호 2015 −

- 64 -

발 빈도를 낮추며 부정맥의 electrical storm 상황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12,13)

흡입 마취약제의 선택에 있어 isoflurane은 QT간격

이 유의미한 증가가 있었으며, halothane은 감소시키

며 sevoflurane은 이에 한 향이 없었다는 연구결

과가 있었다.(14) 수술 후 근이완의 역 을 해 사

용되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억제제인 neostigmine,

pyridostigmine 등은 부교감신경 자극에 의한 ST분

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11,15) 본 증례에서는

sevoflurane을 흡입마취제로 선택하 으며 근이완의

역 을 해 sugammadex를 사용하 다. 한 환자

의 기 내 삽 수술 의 역학 으로 안 한

마취 유도와 유지를 해 단기작용성 fentanyl 유

도체인 remifentanil을 사용하 다.(16) Profopol은 가

장 많이 사용되는 마취 약제 하나로 심장보호효

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profopol 주입 증후군

에서의 ST분 의 상승 electrical storm에 의한

사의 보고가 있어 주의 깊은 사용이 필요하다.(17,18)

Bupivacaine은 경막 외 주입에 의한 Brugada형 심

도의 유발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방실 부정맥의 발생

을 래할 수 있으므로 부 마취 시의 약제 선택에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19,20)

Brugada 증후군을 가진 환자의 마취에 있어서 질

병에 한 정확한 지식과 부정맥 등의 증상을 유발

할 수 있는 약제에 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 수

술 후 심장내과 문의와의 긴 한 력이 필요

하며, 수술 의 부정맥 발생을 유발하지 않도록 노

력하고, 부정맥의 발생 시 빠른 처를 할 수 있도록

주의 깊은 찰과 마취 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General Anesthesia of a Patient with

Brugada Syndrome

Dong-Hyun Kim, Jong-Man Kang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medical University, Seoul, Korea

Brugada syndrome is clinical syndrome with unique

patterns of electrocardiogram(ST elevation in right

precordial leads and right bundle branch block) and a

high incidence of sudden death of patients with

structurally normal hearts. It is related to 4-12% of all

sudden deaths and 20% of sudden death with

structurally normal hearts. It is autosomal dominant

transmitted familial disease with incidence of 5 to 66

per 10,000.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to 10 times more prevalent

in male) and the appearance of arrhythmic event at an

average of 40 years. We report a case of general

anesthesia for an appendectomy of 45-year-old male

patient showing type-I Brugada electrocardiogram.

Key Words: Brugada syndrome, Arrhythmia, Electro-

cardiogram, Death, sudden

참 고 문 헌

1. Benito B, Brugada J, Brugada R, Brugada P.

Brugada syndrome. 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English Edition) 2009;62(11):1297-315.

2. Antzelevitch C, et al. Brugada syndrome: report of

the second consensus conference endorsed by the

Heart Rhythm Society and the European Heart

Rhythm Association. Circulation 2005;111(5):659-

70.

3. Kamakura S. Epidemiology of Brugada syndrome

in Japan and rest of the world. Journal of Arrhythmia

2013;29(2):52-5.

4. van den Berg MP, de Boer RA, van Tintelen JP.

Brugada syndrome or Brugada electrocardi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09;53(17):1569-1569.

5. Hermida JS, Lemoine JL, Aoun FB, Jarry G, Rey

JL, Quiret JC. Prevalence of the Brugada syn-

drome in an apparently healthy population. The

Page 5: Brugada 증후군 환자의 전신 마취 경험 - khu.ac.krkmclib.khu.ac.kr/room/news/30_3_3.pdf · 2015-10-22 · Clinical presentation of Brugada syndrome shows male predominance(8

− 김동 ․강종만:Brugada 증후군 환자의 신 마취 경험 −

- 65 -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0;86(1):91-4.

6. UHM JS, et al. Prevalence of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suggestive of sudden cardiac death risk in

10,867 apparently healthy young Korean men.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11;

34(6):717-23.

7. Wilde AAM, et al.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for

the Brugada syndrome. European Heart Journal

2002;23(21):1648-54.

8. Yan GX, Antzelevitch C. Cellular basis for the

Brugada syndrome and other mechanisms of arrhy-

thmogenesis associated with ST-segment elevation.

Circulation 1999;100(15):1660-6.

9. Brugada J, Brugada R, Antzelevitch C, Towbin J,

Nademanee K, Brugada P. Long-term follow-up of

individuals with the electrocardiographic pattern of

right bundle-branch block and ST-segment eleva-

tion in precordial leads V1 to V3. Circulation

2002;105(1):73-8.

10. Priori SG, et al. Natural history of Brugada

syndrome Insights for risk stratification and mana-

gement. Circulation 2002;105(11):1342-7.

11. Miyazaki T, Mitamura H, Miyoshi S, Soejima K,

Aizawa Y, Ogawa S. Autonomic and antiarrhy-

thmic drug modulation of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Brugada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1996;27(5):1061-

70.

12. Belhassen B, Glick A, Viskin S. Efficacy of

quinidine in high-risk patients with Brugada synd-

rome. Circulation 2004;110(13):1731-7.

13. MOK NS, CHAN NY, CHI‐SUEN CHIU, A. L. E.

X. Successful use of quinidine in treatment of

electrical storm in Brugada syndrome.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04;27(6p1):821-3.

14. Güler N, Kat I, Demirel CB, Bilge M, Eryonucu

B, Topal C. The effects of volatile anesthetics on

the Q-Tc interval. Journal of cardiothoracic and

vascular anesthesia 2001;15(2):188-91.

15. Otten RF, Dusa AC, Das MK. Brugada syndrome

in the presence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arasympathomimetic drug therapy. Pacing and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07;30(8):1039-42.

16. Komatsu R, Turan AM, Orhan‐Sungur M, McGuire

J, Radke OC, Apfel CC. Remifentanil for general

anaesthesia: a systematic review. Anaesthesia

2007;62(12):1266-80.

17. Shao H, Li J, Zhou Y, Ge Z, Fan J, Shao Z, Zeng

Y. Dose‐dependent protective effect of propofol

against mitochondrial dysfunction in ischaemic/

reperfused rat heart: role of cardiolipin.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2008;153(8):1641-9.

18. Vernooy K, et al.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predicting sudden death in propofol-related infusion

syndrome. Heart Rhythm 2006;3(2):131-7.

19. Phillips N, Priestley M, Denniss AR, Uther JB.

Brugada-type electrocardiographic pattern induced

by epidural bupivacaine. Anesthesia & Analgesia.

2003;97(1):264-7.

20. de La Coussaye JE, Brugada J, Allessie MA.

Electrophysiologic and arrhythmogenic effects of

bupivacaine. A study with high-resolution ventricular

epicardial mapping in rabbit hearts. Anesthesiology

1992;77(1):132-41.